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대작가 귄터 그라스의 솔직한 고백

스타쿠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5.05.10 15:21:08
조회 137 추천 0 댓글 1

http://news.donga.com/Main/3/all/20150509/71146245/1




◇양파 껍질을 벗기며/귄터 그라스 지음/장희창 안창혁 옮김/576쪽·2만5000원·민음사
대작가 귄터 그라스의 솔직한 고백… ‘양파…’와 후속작 ‘암실이야기’ 출간

71146243.1.jpg귄터 그라스는 2006년 자서전 ‘양파 껍질을 벗기며’를 출간하고 가진 한 독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제목에 양파를 쓴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양파 껍질을 벗기면서, 즉 글을 쓰는 동안에, 껍질 하나하나, 문장 하나하나가 좀 더 분명해지고 의미가 통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사라진 것들이 생생하게 다시 모습을 드러내는 법이지요.” ⓒ Gerhard Steidl 2009
<iframe class="ekjsinwaveyzscyuhbii" marginheight="0" marginwidth="0" src="http://ar.donga.com/RealMedia/ads/adstream_sx.ads/2012.donga.com/news@x56" frameborder="0" height="50" scrolling="no" width="100%"><a href='http://ar.donga.com/RealMedia/ads/click_nx.ads/2012.donga.com/news@x56'><img src='http://ar.donga.com/RealMedia/ads/adstream_nx.ads/2012.donga.com/news@x56' alt='TextBanner'></a></iframe><a target="_blank" href="#">3<iframe class="ekjsinwaveyzscyuhbii" marginheight="0" marginwidth="0" src="http://ar.donga.com/RealMedia/ads/adstream_sx.ads/2012.donga.com/news@x57" frameborder="0" height="20" scrolling="no" width="350"><a href='http://ar.donga.com/RealMedia/ads/click_nx.ads/2012.donga.com/news@x57'><img src='http://ar.donga.com/RealMedia/ads/adstream_nx.ads/2012.donga.com/news@x57' alt='TextBanner'></a></iframe></a>
71146239.1.jpg
“내게 내려진 바로 다음 행군 명령서는 내 이름을 한 신병이 나치 무장 친위대의 어느 훈련장에서 전차병 훈련을 받게 되었음을 명백히 말해 주었다.”

저 문장 하나가 두꺼운 자서전을 통째로 집어삼켰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독일 작가 귄터 그라스(1927∼2015)는 2006년 자서전 출간 직전 독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17세 때 나치 무장 친위대에서 복무한 사실을 고백했다. 나치의 책임을 묻는 작품 ‘양철북’으로 세계적 인정을 받은 그가 자신의 과오를 오랜 기간 감춘 사실이 드러났다.

국내에선 지난달 13일 그라스가 세상을 떠나고 뒤늦게 출간됐다. 오히려 다행이다. 친위대 복무 논란과 상관없이 차분히 읽게 됐으니. 자서전은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된 1939년부터 첫 소설 ‘양철북’ 초판본이 나온 1959년까지 그의 20, 30대의 삶을 다룬다. 그는 ‘믿음 깊은 소년 나치’였고 무장 친위대를 엘리트 부대로 여기고 동경했던 불명예와 부끄러움을 고백한다. 기록에 남지 않은 과오를 스스로 고백한 것이다.

책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그를 작가로 만든 굶주림이다. 그에겐 세 가지 굶주림이 있었다.

첫째는 미군 포로수용소에서 겪은 배고픔이다. 그는 굶은 적 없이 자랐지만 수용소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자신을 갉아먹는 굶주림에 시달렸다. 둘째는 성욕이다. 그는 자신의 페니스에 대해 꽤 상세히 서술하며 주변 여자들에게 지독한 욕정을 품고 돈이 아닌 입으로 매음하던, 마치 발정이 나 헐떡이는 개처럼 굴었던 자신을 고백한다. 첫 굶주림은 상상으로 요리를 하거나 얼어붙은 감자를 먹으면서 몇 시간을 견뎠고, 둘째 굶주림은 자신의 오른손으로 조절했다. 낯 뜨거울 정도로 가감 없는 그의 솔직함이 인간 본질에 대한 사유를 가능케 하지 않았을까.

<iframe class="ekjsinwaveyzscyuhbii" marginheight="0" marginwidth="0" src="http://ar.donga.com/RealMedia/ads/adstream_sx.ads/2012.donga.com/news@Position1" frameborder="0" height="120" scrolling="no" width="520"><a href='http://ar.donga.com/RealMedia/ads/click_nx.ads/2012.donga.com/news@Position1'><img src='http://ar.donga.com/RealMedia/ads/adstream_nx.ads/2012.donga.com/news@Position1' alt='banner'></a></iframe></div> 세 번째 굶주림은 제어할 수도, 제어해 본 적도 없었다. 바로 예술이다. 그는 이렇게 썼다.

“종이란 종이는 모조리 더럽힐 정도의 중독성을 통해서도 허기를 해소할 수 없었다. 진저리가 날 정도로 포식해 봐도 그 굶주림을 가라앉힐 수 없었다. 만족한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 난 언제나 좀 더, 좀 더 하며 허기를 느꼈다.”

그는 조각을 공부하다가 글로 눈을 돌린다. 시로 등단한 그는 몇 편의 시를 방송국 심야프로그램에 팔고 받은 원고료로 타자기에 쓸 종이를 샀다. ‘양철북’을 쓸 당시의 그의 회상엔 희열이 느껴진다. “한 장 한 장. 단어들과 이미지들이 재촉했고, 번갈아가며 상대의 뒤꿈치를 밟았다. 너무도 많은 것들이 냄새 맡고, 맛보고, 관찰하고, 이름 붙여지기를 원했다.”

자서전엔 문인 그라스에 관한 여러 사연이 기록돼 있다. 그는 어머니 대신에 가게 외상값을 받기 위해 여러 집을 다니면서 키운 관찰력으로 사실적인 산문 쓰기 능력을 길렀고 담배를 사면 받을 수 있는, 예술 작품이 인쇄된 쿠폰을 모아 예술 공부를 했다. 강박에 가까운 글쓰기를 위해 담배를 물게 됐다.

<iframe class="ekjsinwaveyzscyuhbii" src="http://ar.donga.com/RealMedia/ads/adstream_sx.ads/2012.donga.com/news@x15" border="0" marginwidth="0" marginheight="0" frameborder="0" height="250" scrolling="no" width="250"></iframe>
‘양파 껍질을 벗기며’의 후속편 격인 2008년 출간한 자전소설 ‘암실 이야기’도 함께 출간됐다. 글쓰기에 몰두하느라 4명의 여성에게서 얻은 8명의 자식을 제대로 돌보지 못한 미안함을 ‘또’ 글쓰기로 풀어냈다.

성욕과 식욕, 두 욕구에 멈춰 있었다면 그는 작가가 되지 못했을 거다. 보통 사람은 왜 창작 욕구가 성욕이나 식욕처럼 본능이 될 수 없는지 좌절하다가도, 예술가의 어두운 면을 마주하니 죽을 때까지 채워지지 않을 그 허기가 간단치 않음이 느껴져 다행이다 싶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84013 이 글 어때? (183.99) 15.05.23 87 0
84012 아직 모기 (183.99) 15.05.23 51 0
84010 자작시 평 부탁드립니다 [3] 닳고닳은 학생(122.202) 15.05.23 148 0
84009 신인문학상 공모전 관련 질문있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3] 청소년(122.202) 15.05.23 255 0
84005 3류 작가에서 벗어나고 싶다 [4] 니그라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23 166 0
84004 최근에 백금발로 염색했음 [5] 1939(121.133) 15.05.22 150 1
84002 초예 : 니들이 하는건 예술이 아니야 [6] ㅇㅇ(31.3) 15.05.22 266 8
83999 웃고 싶어서 윤후명 소설을 꺼내 읽었다 [마지막 사랑 노래] 터널(182.160) 15.05.22 123 1
83997 동기가 듣도보도 못한 문예지로 등단했네여 [2] 1939(39.7) 15.05.22 318 0
83994 그냥 글 ㅇ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22 79 3
83990 문학갤러들은 현대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함 [10] ㅇㅇ(223.33) 15.05.22 218 0
83989 안녕하세여 [3] 1939(1.215) 15.05.22 99 0
83987 제 글쓰기의 문제점좀 알려주세요 [3] 잉여인간(175.112) 15.05.22 126 0
83986 문학도 학문이지 않냐 [4] 카스트로(183.108) 15.05.22 126 1
83984 - [3] 박한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22 185 3
83981 "생각 깨는 도끼"...2900원 문예 서평지 출간 [2] 토니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22 101 1
83976 만 키베스 ...... [2] (183.99) 15.05.22 67 0
83975 만쯔기브에스 만쯔기브에스 ...... (183.99) 15.05.22 71 0
83974 글은 배우거나 공부하는 것이 아닙니다 [4] 유랑(152.99) 15.05.22 144 1
83973 ㄹㅎ님 문청40인가 그 분이신가요 [2] ㅁㅁ(27.119) 15.05.22 89 0
83972 mons pubis : (특히 녀자) 불두덩 [54] (183.99) 15.05.22 958 1
83971 백발.txt [2] 집밥맛나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22 181 0
83970 서점 가면 윤동주 시집 있겠지? [18] ㅅㄹ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22 281 0
83969 이 아침 공알 배우기 [3] (183.99) 15.05.22 199 0
83962 ㅀ의 공알 노름 [35] 푸른사자로젠(109.163) 15.05.22 222 2
83961 임수정의 오빠 푸른사자로젠(109.163) 15.05.22 55 0
83960 임수정의 점 푸른사자로젠(109.163) 15.05.22 59 0
83959 임수정의 구토 [3] 푸른사자로젠(178.175) 15.05.22 118 0
83958 나를 검색하지말지니라 푸른사자로젠(192.42) 15.05.22 47 0
83956 나를 검색하려 하지 말아라 [1] 푸른사자로젠(78.46) 15.05.22 80 0
83955 닭 vs 달걀 [2] 막내작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22 79 0
83954 자작소설 초반 부분 써봤습니다. 흥미로운지 평가좀요 [2] 디디디(1.241) 15.05.22 152 0
83948 우리나라 요괴를 소재로 해서 쓰고싶다 [1] ㅁㅁ(27.119) 15.05.21 68 0
83946 부자 보다 더 한 악마는 없다. [8] 니그라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21 153 0
83945 담배, 그리고 커피. 그리고 [4] 카스트로(183.108) 15.05.21 121 0
83944 속임수.txt [3] 집밥맛나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21 137 0
83943 변화 푸른사자로젠(193.111) 15.05.21 50 0
83941 보았느냐 푸른사자로젠(188.138) 15.05.21 57 0
83940 잊으라 [2] 푸른사자로젠(62.210) 15.05.21 95 0
83939 ㅀ는 보거라 [6] 푸른사자로젠(188.138) 15.05.21 130 0
83938 마법의 단어 [2] 즐갤러(125.141) 15.05.21 92 0
83936 세상을 이해할 수 없는 이치 [2] 즐갤러(125.141) 15.05.21 135 0
83935 멍청한 사람들에게 가장 큰 가르침은 즐갤러(125.141) 15.05.21 72 0
83934 늦은 새벽, 커피와 담배와 시 즐갤러(125.141) 15.05.21 103 0
83932 여성의 음핵과 그 명칭 [김원회의 맛있는 성] [2] (183.99) 15.05.21 804 0
83930 오솔길로 걸어가는데 (183.99) 15.05.21 50 0
83929 폭력배 제거론 20150521 [2] 니그라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21 119 0
83928 난 사실 펭귄이 아닐까? [2] 막내작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21 96 0
83927 - 박한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5.21 132 3
83926 요즘 산이(211.170) 15.05.21 158 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