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인류의 달의 정복

Outersid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5.09.22 19:52:42
조회 180 추천 0 댓글 3




1)


슈피겔그러나 모든 것이 이렇게 잘 기능 하는데 도대체 무엇이 극복되어야 하는가? 하는 매우 소박한 물음으로 당신에게 이의를 제기 할 수도 있다. 더 많은 발전소가 더 능숙하게 지어진다. 인간은 지구의 고도로 기술화된 지역에서 잘 부양되고 있다. 우리는 번영 속에 살고 있다. 여기서 정말로 결여되어 있는 것이 무엇이란 말인가?

하이데거모든 것이 잘 기능하고 있다. 모든 것이 기능하고 있다는 그 것, 그리고 그러한 기능함이 점점 우리를 끊임없이 더 확장된 기능으로 몰아가고 있다는 것, 기술이 대지(大地, Erde)로부터 인간을 더욱 떼어놓고 뿌리 뽑는다는 바로 그 것이 섬뜩한 것이다. 달로부터 지구로 전송되어 온 사진을 보았을 때 당신은 어떠했는지 모르지만 나는 정말 충격을 받았다. 핵 폭탄도 필요하지 않다. 인간의 뿌리뽑힘은 이미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우리에게는 순수하게 기술적인 관계만 남아있다. 오늘날 인간이 살고 있는 곳은 더 이상 대지라고 할 수 없다. 이미 알려진 것처럼 최근에 나는 시인이며 저항 운동가인 르네 샤르(Rene Char)와 프로방스에서 긴 대화를 나누었다. 미사일 기지가 프로방스에 건설되자 그 지방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파괴되었다. 감상적인 과장이나 목가적인 찬미와는 거리가 먼 이 시인은 만약 시와 사유가 다시 한번 힘(폭력적이지 않은)을 얻지 못한다면 그곳에서 벌어진 인간의 뿌리뽑힘은 결국 종말이 되고 말 것이라고 말했다.

슈피겔우리는 여기 이 지구에 살아야 하고, 일생동안 거기에서 벗어나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 지구에 존재하는 것이 인간의 운명인지 아닌지 누가 알겠는가? 인간에게 정해진 운명이란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인간이 지구로부터 다른 행성으로 옮겨 갈 가능성도 어쨌든 볼 수 있다.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을 수도 있다. 인간의 터전이 여기라고 어디에 쓰여져 있단 말인가?

하이데거내가 아는 한 인간의 경험과 역사에 따르면 모든 본질적이고 위대한 것들은 인간이 고향을 갖고 있고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데에서 기원한다. 예를 들어 현대 문학은 파괴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2)


...... 나는 그 진공 세계에 두 명의 우주인이 첫발을 딛고, 달 표면에서 장난감처럼 뛰어다


니며 자욱한 먼지 속에서 골프 수레 같은 것을 밀고, 한때는 사랑과 광기의 여신이었던 달


의 눈에 깃발을 꽂는 것을 보았다. 빛나는 달의 여신이라는 이미지가 이제는 모두 우리의 


마음 속에서 어두워졌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음에 대통령의 연설이 뒤따랐다. 그는 엄숙


하고 단조로운 목소리로 이 일은 인류가 창조된 이래 가장 위대한 사건이라고 선언했다. 


그 말에 옆에 있던 노인들이 웃음을 터트렸고 아마 나도 한두 번쯤 싱긋이 우었을 것이


다. 


하지만 그 말이 아무리 불합리하게 들렸더라도 누구나 부정할 수 없는 것이 한 가지 있었


다. 그것은 아담이 낙원에서 추방된 이후로 자기 집에서 그 보다 더 멀리 떨어져 본 적이 


없었다는 것이었다.



-달의 궁전, 폴 오스터



3)


내가 아는 유명인 중에서 "인류의 달 탐사 행위"에 매우 부정적인 평가를 내린 두 사람이 


있다. 언급한 마르틴 하이데거와 폴 오스터가 그 사람들이다. 폴 오스터의 가장 유명한 책


이면서, 동시에 가장 매혹적인 책에 대해서 어떤 비평을 한다는 것은 내 능력 밖의 일이


다. 또한 책이 주는 감격이란 각자의 경험 세계에 속하기 때문에 그것에 대해 한 사람이 


독단적 형언을 한 다는 것은, 좋은 책이 가진 본래적 의미에 대한 지나친 훼손이 될 것이


다. 그저 본인의 개인적 체험에 간주해서 첨언해본다면, 나는 그 책을 이십대 초중반의 


어느 언저리에서 처음 접했고, '달 탐사'가 왜 그렇게 우리에게 부정적인 의미로 기술되어


야 하는지, 전혀 이해하지 못하였다.


 

슈피겔과 같은 입장은 아니었던 것 같다. 그저 지금의 내가 -또한 우리가- 속한 


시공간적 경험 세계가, 1960년대 말의 미국인들과 지구인들의 그것과 지평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그 "사건"의 본질적 의미가 체험적으로 와닿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는 폴 오스터가 


기술한 그 "정신적 충격"의 이미지를 아직도 지우지 못한 상태로 지금까지 왔고, 틈틈이 계속


해서 그곳으로  돌아가고 있다. 이제는 조금씩 왜 '적절한 거리두기'와 조화로운 


'공간적 배치'가 삶의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란 사실이 이해가 된다. 폴 오스터는 


부정적 이미지를 기술하기는 했지만, 그 단락에 특별한 해석을 첨가하진 않았기 때문에, 


이후 페이지에 전개되는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했다. 당시의 내 삶의 시간적 배경


위에서 그런 종합적 상황이 이해가 될 바탕은 또한 없었다. "기술"이 삶에 주는 유용함과 


편리함이라는 배경이 전개되는 만큼, 우리는 "신화적 이미지"과 "몽상적 상상력"이 주는 


배경을 상실한다는 이해를 당시에는 전혀 전개할 수 없었다. 하지만 내 삶이 후에 적혀진 


배경으로 들어가면 갈수록, 전에 적혀진 배경에 속한 사람들의 '경험적 공간'과는 멀어지


고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기술의 진보'로 삶의 영토가 그만큼 확장되었노라 지도


자들이 소리높여 외쳤지만, 폴 오스터가 저술한 그것만큼 "자기"가 되지 못하고, 자신의 


삶이 왜소해져 가는 경험을 하는 사람들은 지금도 있다. "빛나는 밤의 여신"이란 이


미지의 대지에 "신화적 허구"라는 확증의 깃발을 꽂는 순간, 달과 우리들 사이에 존재했


던 "어둠과 매혹의 거리"또한 그만큼 좁아졌다. 우리는 그만큼 작아졌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99603 횽들 신화도 고전문학 범주에 포함될까?? [1] ㅇㄷ(116.123) 15.10.09 59 0
99600 이란, '이슬람 모독' 루슈디 초청한 프랑크푸르트도서전 보이콧 dotory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8 38 0
99599 짜잔 오래 기다렸지 29분이 만든 세계다 [8] 시인같잖은(112.222) 15.10.08 178 3
99597 세계를 만들거야 [12] 시인같잖은(112.222) 15.10.08 139 0
99596 죽음보다 강한, 죽음을 초월하는 것은 바로... ㅁㄹㄱ(223.62) 15.10.08 42 0
99595 노벨문학상 전쟁·재난의 증언 다큐소설로 쓴 알렉시예비치 dotory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8 67 0
99593 죽음과 섹스의 공통점은? [6] ㅁㄹㄱ(223.62) 15.10.08 115 0
99591 남희성 작가는 노벨문학상 가능할까? [1] ㅇㅇ(203.237) 15.10.08 89 0
99590 주제 같은 걸로 장난치는 건 어떻게 생각함 [3] 가나다라(182.213) 15.10.08 125 0
99585 자기 할말만 하는 사람은 별로. [2] 火水木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8 86 0
99584 문학권력? 火水木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8 48 0
99581 임파랑 ㅋㅋ(221.165) 15.10.08 93 0
99580 a 저분 왜저래... [2] asd(119.204) 15.10.08 91 2
99566 글쟁이보다 그림쟁이나 깽깽이가 낫지 [2] 난해(223.62) 15.10.08 104 1
99564 죽음에 의지는 모든 차별상을 폐기 시킴 [1] 검은남작(121.125) 15.10.08 65 0
99560 에효..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8 38 0
99559 내 인생 어디로 흘러가는걸까용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8 48 0
99556 술 중독이란 게 [8] (211.107) 15.10.08 128 0
99555 소설에서 자신만의 세계라는 게 [1] 엠제이(27.113) 15.10.08 119 0
99554 내가 가장 못난 것 같다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8 49 0
99552 붓글씨 해석좀.. 1111(121.186) 15.10.08 46 0
99551 J와. 火水木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8 54 0
99550 자존감부터 높여야겠어 [3]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8 106 1
99549 감정의 절제라는 것. 정말 힘든것 같아. [5] 火水木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8 108 0
99548 깊고 길며 얊고 고른 호흡의 글. [1] 火水木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8 72 0
99547 첫경험이란 파괴적인것 검은남작(121.125) 15.10.08 76 0
99545 힘에의 의지 검은남작(121.125) 15.10.08 115 0
99543 일짝잘더니 다섯시에 인나지네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8 41 0
99542 흐르는 강물에 몸만 맡기지않고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8 39 0
99538 죽은 벌레 [1] D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8 106 2
99537 보통의 보통 [1] D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8 84 2
99536 죽음만 이야기 하자 [1] 검은남작(121.125) 15.10.08 103 0
99535 흠..흠... 반응이 없네 [2] D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8 212 5
99534 탈갤합니다. [5] 흑단나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8 467 0
99531 탈 갤 dd(218.55) 15.10.08 62 0
99530 우리엄마 Da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8 195 5
99528 졸리다 ㅁㄹㄱ(223.62) 15.10.07 55 0
99527 그런데 고은이 그렇게 대단한 시인임? Kn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7 99 0
99526 노벨문학상 예상. [1] Kn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7 171 0
99512 글쎄. 나도 나한텐 전혀 기대 안하거든 火水木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7 60 0
99508 죽음만이 명료하네 [3] 검은남작(121.125) 15.10.07 100 1
99505 이 시 어떻게 다듬으면 좋을까 [5] ㅇㅇㅇ(121.165) 15.10.07 104 0
99498 참 써두길 잘했다 싶은 ㅇㅇㅇ(39.7) 15.10.07 94 3
99495 사실 여기 글 쓰기가 좀 무서웠었는데 [8] ㅇㅇㅇ(39.7) 15.10.07 130 0
99494 비평받을 때 가장 좆같은 건 말이야 [28] po(39.116) 15.10.07 1107 0
99493 표현하는 연습이 중요한가 ㅇㅇㅇ(39.7) 15.10.07 40 0
99490 일요일에 내가 짜파게티 요리사가 되는 까닭은? ㅁㄹㄱ(223.33) 15.10.07 42 1
99487 곱창 [7] ㅁㄹㄱ(223.33) 15.10.07 68 0
99485 소세키의 우미인초를 읽고 있는데 이 구절이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4] 나그메(110.70) 15.10.07 133 0
99483 스트레스 받아서 위아프다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07 4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