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GQ] 3월호 '지금 충무로의 톱배우는 누구인가?'

하균빠(59.27) 2007.02.24 21:07:07
조회 319 추천 0 댓글 1


 

feature_clitique_01-jackal35.jpg

 

송강호. 자기가 잘 할 수 있는 영화를 선택하는 것 같다. 적당히 모험도 하면서 커리어 관리를 잘한다. 이상한 변신 같은 건 하지 않고 특유의 캐릭터 잘 살리면서 다르게 갈 수 있는 역할을 잘 고른다. 시나리오를 보는 안목이 탁월한 것 같다. 완전히 망하는 영화 같은 어리석은 카드는 절대 고르지 않는 배우다. 흥행은 배우와는 상관없는 것이다. 그건 산업 종사자들이 믿고 있는 허상이다. 티켓 파워라는 것은, 그들이 톱배우를 캐스팅하는 것으로써 흥행이 될 수 있다고 허상으로 믿고 있는 부분이 아닌가 싶다. 어떤 영화에 나오는 배우가 티켓 파워라는 게 있다는 게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 할리우드 같은 경우 톰 크루즈 시스템이 가능하다. 다양한 색깔의 역할을 다양한 감독과 시나리오 작가, 프로듀서를 통해 만들어갈 수 있는 시스템이다. 심지어 배우 이미지를 만들어가는 에이전시까지 집단적으로 톰 크루즈를 위해 움직이는 시스템인 것이다. 우리가 스타 시스템이라고 얘기할 때는 그런 걸 말하는 거다. 한국에 그런 스타 시스템이 있나 싶다.
개인적으로 가장 안타까운 배우는 신하균이다. 상당히 힘이 있는 배우다. 출연영화 면면을 봐도 괜찮은 게 꽤 있는데 절충점을 잘 못 찾고 있단 느낌이다. 신하균의 재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영화가 없다. 그럴 만한 시나리오나 감독이 없단 느낌이다. 김영진(영화평론가)

 

톱스타가 딱히 누구라고 말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수애는 여전히 재능 있고 가능성이 많은 배우지만 흥행이 잘 되진 못했다. 아마도 감독 위주로 영화 제작이 방향을 선회한 게 아닌가 싶다. 굳이 한 명을 선택하자면 송강호. 아직도 티켓 파워가 있는 것 같고 연기력은 물론이고 인지도와 호감도가 크다. 다른 배우는 연기력이나 스타성 등 한쪽이 치우쳐 있는데 반해 송강호는 톱배우로서 갖춰야 할 여러가지 조건을 골고루 갖췄다. 배우가 영화를 선택하는 건 다 이유가 있다고 본다. 인간 관계 때문에 선택했을 수도 있고 변신이나 기타 다른 이유로 선택했을 수도 있다. 비록 실패하더라도 도전 그 자체는 비판할 문제는 아니다. 영화 한 편으로 배우의 가치를 판단하는 건 충무로의 고질적인 문제다. 차승원의 경우 <국경의 남쪽>이 흥행은 잘 안 됐지만 연기는 잘했다. 다만, 흥행이 안 됐을 뿐이다. 그가 못한 건 아니다. 정승혜(영화사 ‘아침’ 대표)

 

장동건, 설경구, 황정민. 톱배우의 기준은 두 가지라고 생각하는데, 하나는 스타로서 갖는 시장에서의 대중적인 포지션이고 두 번째는 작품의 기대치다. 배우로서 스타성은 결국 이 두 가지 의미다. 대중적으로 시장에서 얼마나 큰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가 하는 것과 그 배우가 연기했을 때 카리스마나 아우라가 얼마나 크냐 하는 거다. 설경구나 황정민은 후자가 두드러지고 장동건은 전자가 더 강한 것 같다. 배우에 대한 기대는 종종 작품에 대한 기대로 이어진다. 물론 경험적으로 봤을 때 그게 직접적으로 연결되진 않는다. 요즘 흥행 기준은 200만이기 때문에 배우가 할 수 있는 건 주말 관객 정도다. 즉, 배우가 흥행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30만을 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초기에 입소문이 나는 건 배우의 몫이 크지만 그 다음은 작품의 힘으로 가는 거다. 장동건은 티켓 파워가 있고 출연한 작품에 대한 신뢰는 설경구와 황정민이 좀 더 큰 것 같다. 하지만 장동건의 <무극>이 잘못된 선택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외국 감독이기 때문에 작품을 결정할 때 판단하기 쉽지 않았겠지만 자기 성장을 위해 전략적으로 택한 거다. 배우에 대한 신뢰(작품성), 대중적인 포지션(스타성), 카리스마, 연기력, 이 모든 걸 다 갖춘 배우는 찾기 힘들다. 기대주는 하정우다. 지금까지의 작품들에 비춰 볼 때 황정민, 설경구와 같은 대배우가 될 가능성이 있다. 연기력과 카리스마를 골고루 갖춘 배우다. 이승재(LJ필름 대표)

 

송강호, 황정민, 전도연. 세 배우는 연기력과 대중적 신뢰를 함께 갖췄으며 다음 영화가 궁금한 배우들이다. 지금 가장 신뢰할 만한 배우는 송강호다. 그간 출연작으로 봐도 영화에 대한 열정에서도 ‘포스’가 느껴진다. 톱배우의 출연은 흥행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영향이 없다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그 많은 돈을 배우에게 줄 리가 없다. 물론 무조건 어떤 배우만 나오면 흥행한다, 는 식은 아니다. 영화와 배우가 제대로 만났을 때 놀라운 시너지 효과를 내게 마련이다. <미녀는 괴로워>도 그런 예다. 아무리 연기를 잘하는 배우라 하더라도 김아중 외의 다른 여배우의 <미녀는 괴로워>는 이만한 흥행을 할 수 없었을 거다. 거꾸로 고소영의 <언니가 간다>는 영화의 완성도가 낮으면 관객이 외면한다는 걸 보여준 사례다. 지금 가능성이 많은 배우를 꼽으라면 남자는 강동원, 여자는 임수정이다. 두 배우는 자질도 좋지만 영화를 잘 고르고 있는 것 같다. 남동철(<씨네21> 편집장)

 

임수정. 내가 선정한 기준은 과거의 행보와 앞으로의 가능성 둘 다다. 아직 좀 더 시간이 필요할 것 같기도 하지만 지금까지의 과정을 지켜보면 작품마다 자기가 해야 할 역할을 잘 알고 그만큼 해낸다. 신인부터 지금까지 항상 나아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영화가 조금 부족하더라도 그녀는 잘 해낸다. 앞으로의 시간이 더 기다려지는 배우다. 특히, 허진호 감독과 함께 하는 <행복>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스타성이나 티켓 파워, 연기력 등 모든 면에서 골고루 자질을 갖춘 것 같다. 난 영화가 스타 하나의 힘에 의존해서 가는 것에 반대한다. 시나리오나 영화의 힘으로 가야지, 배우에 너무 의존하는 건 바람직하지 못하다. 영화 흥행이 배우 한 명 때문에 가능하다고 말하긴 힘들고, 배우가 어떤 이야기를 만나느냐에 따라 스타성과 티켓 파워가 결정되는 것 같다. 어떤 배우는 멜로 영화에 나올 때 티켓 파워가 생기기도 하고 어떤 배우는 형사로 나왔을 때 스타성이 생기기도 하는 것처럼 말이다. 지금 가장 관심이 가는 기대주는 정유미다. 사석에서 보면 너무 평범하고 조용한 친구인데, 스크린에서 연기할 때는 눈이 빛나더라. 임수정 처음 나왔을 때 가졌던 기대감 그대로다. 꼭 같이 일해보고 싶다. 김무령(‘반짝반짝영화사’ 대표, <살인의 추억> PD)

 

황정민과 류승범. 박중훈이나 송강호처럼 배우 자신의 아우라가 강해 무슨 역할을 맡아도 캐릭터를 압도하는 유형이 있다. 그리고 그 반대의 유형이 있는데 나는 그 반대 유형을 좋아한다. 일반적으로 배우 혹은 연기에 대해 얘기할 때 그 개념에 가장 적합한 유형이 아닌가 싶다. 그런 유형으로는 가장 먼저 떠오르는 배우가 황정민이다. 어떤 캐릭터를 맡아도 자기 몸에 완벽하게 맞춰 구현해낸다. 연기 스펙트럼이 넓고 앞으로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더 기대되는 배우다. 류승범은 아우라가 세니까 사실 어떻게 보면 전자의 유형에 가깝다. 그런데 황정민은 노력해서 터득한 배우인 반면 자라온 배경이나 성장 환경을 보면 류승범은 직관적으로 연기감을 습득한 배우가 아닌가 싶다. 조승우, 조인성, 박해일 등 또래 배우들 중에서 배우로서의 천성이 가장 타고났다고 생각하며 감수성도 가장 뛰어나다. 앞으로의 전망을 봤을 때도 가장 기대되는 배우다. 안타까운 배우는 이정재와 김승우. 사실 김승우는 저평가된 배우라는 생각이 늘 든다. <불어라 봄바람>이나 <연애, 그 참을 수 없는 가벼움> <해변의 여인>을 보면 분명 작품을 잘 만났을 때 자기 것을 잘 보여주고 좋은 캐릭터를 만들어낼 줄 아는 배우다. 지금까지 100프로를 다 못 보여준 것 같다. 이정재의 경우는 작품을 잘 못 고르는 것 같다. 배우는 연기력도 중요하지만 스타성이나 아우라, 육체적 조건 역시 중요하다. 이정재는 그런 면에서 좋은 조건을 타고났다. 어떻게 보면 둘의 공통점이 연기할 때 끝까지 안 가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건 배우로서 치명적인 결함일 수도 있다. 설경구, 최민식, 송강호 등 우리가 당대 최고의 배우라고 했던 배우는 연기할 때 감정의 끝까지 갔으며 그런 영화가 대표작으로 남았다. 설경구만 해도 <박하사탕> <역도산> 등이 다 그랬고 매력적인 캐릭터를 많이 만들어냈다. 이정재와 김승우는 자기 한계를 뛰어넘는 근성이 부족한 게 아닌가 싶다. 그럼에도 캐릭터를 잘 만나면 자기 매력을 발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정기영(<프리미어> 편집장)

 

송강호, 손예진, 조승우. 배우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연기력이다. 훌륭한 연기력을 갖춘 배우들이 많지만 송강호, 손예진, 조승우는 어떤 역을 주어도 소화해 낼 수 있는 스펙트럼이 넓은 연기자다. 연기의 패턴이 보이거나, 배우 특유의 색깔 때문에 한정된 캐릭터 범주 안에서만 연기를 잘하는 것이 아닌, 어떠한 장르와 캐릭터라도 믿고 맡길 수 있는 배우가 되기는 쉽지 않다. 티켓 파워가 가장 크다고 생각되는 배우는 송강호, 손예진, 강동원이다. 물론 요즘 관객들의 눈높이는 정보에 밀접하기 때문에 영화의 완성도가 가장 중요하다. 톱배우가 나온다고 해도 영화의 완성도가 받쳐주지 않으면 외면당한 사례들이 종종 있기 때문에 톱배우가 예전만큼 흥행의 변수를 좌우하지는 않는다고 본다. 그러나 영화에 대한 대중의 호감도를 총 10이라고 기준했을 때, 어떠한 배우가 출연하느냐에 따라 이미 5 정도를 확보하고 시작하는 게 된다. 인기와 연기력이 검증된 배우는 기본 스코어를 보장해 주는 편이어서 흥행에 대한 부담이 덜한 건 사실이다. 곧 톱으로 올라설 것 같은 배우는 조인성, 박해일이다. 최용배(청어람 대표)

 

설경구. 다른 배우들과 비교해봤을 때 겁내지 않고 배역을 계속 바꿔가면서 성실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를 선정한 기준은, 연기력과 모험심이다. 사람들을 휘어잡는 스타성은 다소 모자라지만 그가 맡는 캐릭터와 연기력으로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배우다. 스타성 측면에서 본다면 장동건이 톱배우라고 생각한다. 성공하기도 했고 실패하기도 했지만 변신하려고 노력한다. 배우에게는 잘생긴 것도 자산인데, 그는 단순히 잘생긴 게 아니라 타고난 것에 개발한 측면까지 있는 것 같다. 관객을 끌어들이는 힘이 있어 존재감이 상당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배우의 티켓 파워는 약해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90년대 한석규 같은 존재는 이제 없는 것 같다. 송강호가 한때 티켓 파워가 있었지만 <괴물>이 송강호 때문만으로 흥행된 것이라고 보긴 힘들다. <태극기 휘날리며>의 흥행 역시 장동건의 힘이라기보다 감독의 힘이 컸으며, 물량 공세에 대한 마케팅과 이야기의 소재에 기인한 측면이 크다. 큰 가능성이 보이는 사람은 아직 없는 것 같다. 박용우도 파워가 조금 약하지 않나 싶고, 김강우는 좋은 역을 잘 따내지 못하는 것 같다. 요즘 배우들이 다양한 배역을 맡아 연기력을 심화시키려는 경향은 조금 안타깝다. 신현준 같은 경우 기존의 이미지와 정반대되는 밥오 역할도 맡았다. 배우들이 새로운 역을 시도하는 걸 뭐라 할 순 없지만 과연 꼭 그런 변신을 해야 하는지 깊이 고려해봤으면 좋겠다. 홍성남(영화평론가)

 

 

 

 

 

 

 

 

 

 

 

 

 

 

파란줄은내가한거아님..

장동건팬블로그에서퍼온거라서.

아신하균횽아얘기조낸공감되네연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97739 무한 소스 [2] 문익점(203.240) 07.02.24 74 0
97738 보징어 자징어 [1] ㅇㄹㄴ(219.249) 07.02.24 93 0
97737 골든래즈베리는 누가탈까? [1] 샌들러(59.16) 07.02.24 77 0
97736 바벨 제일 말도안되는부분 [1] 시걸빠(61.81) 07.02.24 120 0
97735 투사부일체 설날에 봤는데..... [6] 나 사실(221.162) 07.02.24 131 0
97734 오늘 간만에 외대를 갔다 왔는데... 도식(125.188) 07.02.24 53 0
97733 데스페라도 안보고 원스어폰어타임인멕시코 보면 안되나여? 됐어패라도(222.118) 07.02.24 57 0
97732 영화제목 궁금하다 [1] 문익점(203.240) 07.02.24 63 0
97731 캐서린모리스 진짜 예쁘지 않냐? [6] 나영님(211.245) 07.02.24 191 0
97730 야 솔직히 인식좀 바꿔봐라 [4] 포커쓰리(221.161) 07.02.24 95 0
97729 던져라 던져 [6] 문익점(203.240) 07.02.24 110 0
97728 각진 턱 [5] ㅇㄹㄴ(219.249) 07.02.24 176 0
97727 난 집에서 남자는 머리가 적당히 큰게 좋다고해서. [4] (125.178) 07.02.24 150 0
97726 문근영욕하지마라 [1] 시걸빠(61.81) 07.02.24 92 0
97725 타짜 명장면 이거아님? [3] ~DOONA~(220.116) 07.02.24 242 0
97724 나이트 무브vs 원스<중략>멕시코 [1] 나 사실(221.162) 07.02.24 67 0
97723 주말영화보고 싶어도 늑뎁(124.49) 07.02.24 31 0
97722 고니 [4] 문익점(203.240) 07.02.24 118 0
97721 상상의 현실화 님하 [4] dma(121.141) 07.02.24 130 0
97720 브리트니 왜 삭발했음? [3] 시걸빠(61.81) 07.02.24 115 0
97719 고니 [2] 문익점(203.240) 07.02.24 86 0
97718 요즘 공중파에서 더빙할때 노래같은것도 더빙하는거야? [2] 루키아(222.118) 07.02.24 66 0
97717 난 **에서 근무하는데 [2] 도식(125.188) 07.02.24 82 0
97716 킬빌에 가장큰 영향을 준영화 2편을 보았다. [3] (211.218) 07.02.24 187 0
97715 레옹에 버금가는 영화 없나요 [4] 완소리타(61.73) 07.02.24 161 0
97714 디씨 이제 태그 안되나? [1] ㅇㄹㄴ(219.249) 07.02.24 66 0
97713 토요명화를 보고 잘꺼거든? [4] 나 사실(221.162) 07.02.24 139 0
97712 고아성 안귀엽냐? [9] 포커쓰리(221.161) 07.02.24 114 0
97711 이번 떡밥은 책이냐? 복근만(211.218) 07.02.24 42 0
97710 후루뚜루뚜 후루뚜루뚜 후루뚜루뚜 문익점(203.240) 07.02.24 40 0
97709 오늘은 무슨 재밌는 영화안하나 [2] 시걸빠(61.81) 07.02.24 68 0
97708 얼굴이 너무 작아도 안된다 [5] 1(220.70) 07.02.24 133 0
97707 내가 돈벌면 가장 사고싶은게 홈시어터 [1] 적전투원(218.148) 07.02.24 90 0
97705 오늘 영갤 정모 [2] 문익점(203.240) 07.02.24 89 0
97704 고아성 까나요 ? [2] 포커쓰리(221.161) 07.02.24 128 0
97703 괴물 개봉당시만해도 고아성 인기 좋지 않았냐?? [1] zzzㅋ(219.250) 07.02.24 86 0
97702 책은 지하철에서 읽는게 재맛. [3] ㅇㅇ(61.101) 07.02.24 92 0
97701 진짜 얼굴크면 무조건 암울이다 [5] ㅋㅋㅋ(124.111) 07.02.24 137 0
97700 백치미 [1] 문익점(203.240) 07.02.24 93 0
97699 요세 왜이리 일본영화가 땡기지 [6] 양치기법사(218.150) 07.02.24 204 0
97698 한달에 책값10만원 이상쓰는 사람 의외로 많다. [5] (211.218) 07.02.24 130 0
97697 오 이츠 핫 [2] 문익점(203.240) 07.02.24 64 0
97696 귀여니가 2년간 20억을 벌었다네... 해서 정성일 생각. [1] 999(58.140) 07.02.24 134 0
97695 상현이는 철저한 성악설이냐? 배리건(125.128) 07.02.24 50 0
97694 문근영욕하는놈 근영이직접봐봐 [3] (61.96) 07.02.24 114 0
97693 발정난흰개횽 뒷글에 리플달았어 [2] 김헬프(58.121) 07.02.24 53 0
97692 진정한 아역은 김유정이 본좌... [1] zzzㅋ(219.250) 07.02.24 93 0
97691 몸이 암만 간지고 키크면 뭐하냐? [1] ㅋㅋㅋ(124.111) 07.02.24 113 0
97690 닥치고 오늘 EBS에서 하는 나이트무브나 봐라 명땀정(125.188) 07.02.24 67 0
97688 근데 말야 책같은거 보통사람들 안읽지않냐? [6] 적전투원(218.148) 07.02.24 8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