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물갤 정화 글 - 양자역학에서 가장 유용한 산수

higgss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3.01.02 05:59:57
조회 1851 추천 17 댓글 3



237px-Bloch_sphere.svg.png

어그로 종자들(허세, ㅈㄹ, 관심병, 이렇게 세 분야의 거두가 한 분씩 활발하게 활동을 하심) 때문에 물갤이 어지러운 바, 이 몸이 물리와 조금이나마 관련이 있는 이야기를 해 보겠심.

양자역학 공부한 갤러들이라면 잘 알겠지만, 양자에는 2-state problem이 자주 등장한다. 왜냐? 우선, 우리가 closed form으로 답을 구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문제 중 하나이면서, 양자역학에서 배우는 여러 중요 개념들의 핵심을 이 간단한 문제를 통해 이해할 수 있기 때문. 대표적으로 energy gap이 어떻게 열리는지, 그리고 perturbation에 의해 고유값 및 고유벡터가 어떻게 바뀌는지 등이 있겠음. 구체적인 문제로는 자기장 내의 spin 1/2, BCS theory, unit cell 당 원자가 2개인 고체에서(ex: graphene) 원자 하나당 하나의 orbital만 고려할 때 tight-binding model, Brillouin zone boundary 근처에서 nearly free electron model 등이 정확히 2-state problem이 됨.

2-state problem에서 Hamiltonian은 물론 2x2 Hermitian matrix로 주어짐. 즉,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

gif.latex?H%20=%20\\left(\\begin{array}{cc}%20\\varepsilon_{1}%20&V^{\\ast}\\\\%20V&\\varepsilon_{2}%20\\end{array}%20\\right%20) ...............(1)

(gif.latex?\\small%20\\inline%20\\varepsilon_{1}과 gif.latex?\\small%20\\inline%20\\varepsilon_{2}는 실수)

gif.latex?\\small%20\\inline%20H를 대각화함으로써 문제를 푸는 것인데....  2x2 행렬을 대각화하는 게 뭐가 대수냐? Characteristic equation 세워서 근의 공식으로 풀면 되는데? 물론 맞는 말이지만, 2x2행렬의 요소가 숫자가 아니라 문자인 경우, 이 방식으로 고유값과 고유벡터를 구하는 것은 상당히 귀찮은 일이며, 이렇게 자주 나오는 문제는 매번 다시 푸는 것보다 그냥 답을 외워버리면 두고두고 편리하다. 답을 외운다고, 복잡한 식을 무작정 외우자는 것이 아니라, 왜 그런 결과가 나오는지에 대한 이해가 있으면 쉽게 머릿속에 들어옴. 따라서 그 중간 과정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음.

임의의 2x2 Hermitian matrix에는 네 개의 독립적인 실수 성분이 존재하는데, 위에서 정의한 gif.latex?\\small%20\\inline%20H를 기준으로  gif.latex?\\inline%20\\varepsilon_{1}gif.latex?\\inline%20\\varepsilon_{2}gif.latex?\\small%20\\inline%20\\varepsi\\textmd{Re}(V)gif.latex?\\small%20\\inline%20\\varepsi\\textmd{Im}(V)임. 그에 따라 gif.latex?\\small%20\\inline%20H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음.

gif.latex?\\\\%20H%20\\%20=%20\\%20\\frac{\\varepsilon_{1}+\\varepsilon_{2}}{2}%20\\left(\\begin{array}{cc}1&0\\\\0&1\\end{array}\\right)%20\\%20+%20\\%20\\frac{\\varepsilon_{1}-\\varepsilon_{2}}{2}%20\\left(\\begin{array}{cc}1&0\\\\0&-1\\end{array}\\right)%20\\\\%20\\\\\\indent\\indent+%20\\%20\\textmd{Re}(V)%20\\left(\\begin{array}{cc}0&1\\\\1&0\\end{array}\\right)%20\\%20+%20\\%20\\textmd{Im}(V)%20\\left(\\begin{array}{cc}0&-i\\\\i&0\\end{array}\\right)        .......................(2)


이 선형 결합에 등장하는 네 개의 Hermitian matrix들은 각각 고유의 이름이 있는데, 우선 다음과 같은 identity matrix.

gif.latex?I=\\left(\\begin{array}{cc}1&0\\\\0&1\\end{array}\\right)

나머지 셋은 Pauli matrix라고 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됨.

gif.latex?\\sigma_{x}%20=%20\\left(\\begin{array}{cc}0&1\\\\1&0\\end{array}\\right)          gif.latex?\\sigma_{y}%20=%20\\left(\\begin{array}{cc}0&-i\\\\i&0\\end{array}\\right)          gif.latex?\\sigma_{z}%20=%20\\left(\\begin{array}{cc}1&0\\\\0&-1\\end{array}\\right)

이들 Pauli matrices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짐을 보일 수 있음. (계산해 보면 간단히 나옴.)

gif.latex?\\sigma_{i}^{2}=I\\quad(i=x,y,z)

gif.latex?\\sigma_{x}\\sigma_{y}=i%20\\sigma_{z}gif.latex?\\sigma_{y}\\sigma_{x}=%20-i%20\\sigma_{z} (x->y->z->x로 cyclic permutation해도 성립. 여기서 i는 허수 i를 의미)

또한, 두 번째 성질에 의해 다음이 성립.

gif.latex?\\{%20\\sigma_{i},\\sigma_{j}\\}%20\\equiv\\sigma_{i}\\sigma_{j}%20+%20\\sigma_{j}\\sigma_{i}%20=%200\\quad%20(i\\neq%20j)


여기서 재미있는 성질을 이끌어낼 수 있는데, 바로 다음.

gif.latex?\\\\%20(\\vec{a}%20\\cdot%20\\vec{\\sigma})^{2}%20=%20a_{x}^{2}%20\\sigma_{x}^{2}%20+%20a_{y}^{2}%20\\sigma_{y}^{2}%20+%20a_{z}^{2}%20\\sigma_{z}^{2}%20+%20a_{x}a_{y}(\\sigma_{x}\\sigma_{y}+\\sigma_{y}\\sigma_{x})\\\\%20\\indent%20\\indent%20\\quad%20+%20a_{y}a_{z}(\\sigma_{y}\\sigma_{z}+\\sigma_{z}\\sigma_{y})%20+%20a_{z}a_{x}%20(\\sigma_{z}\\sigma_{x}+\\sigma_{x}\\sigma_{z})\\\\\\\\%20\\indent\\indent=(a_{x}^{2}+a_{y}^{2}+a_{z}^{2})\\,%20I\\\\\\\\%20\\indent\\indent=|\\vec{a}|^{2}%20\\,I

여기서 벡터 gif.latex?\\inline%20\\vec{a}=(a_{x},a_{y},a_{z})의 각 성분은 실수이며, 벡터 gif.latex?\\inline%20\\vec{\\sigma}=(\\sigma_{x},\\sigma_{y},\\sigma_{z})의 각 성분은 Pauli matrix임. 이때, 아래와 같이 고유값 방정식을 써 보면 gif.latex?\\inline%20(\\vec{a}\\cdot\\vec{\\sigma})^{2}=|\\vec{a}|^{2}%20\\,I라는 조건이 gif.latex?\\inline%20\\vec{a}\\cdot\\vec{\\sigma}의 고유값에 제약을 가함을 알 수 있음.

gif.latex?\\\\%20\\vec{a}\\cdot\\vec{\\sigma}%20|\\psi\\rangle%20=%20\\lambda%20|\\psi\\rangle%20\\quad\\rightarrow\\\\%20\\\\%20(\\vec{a}\\cdot\\vec{\\sigma})^{2}%20|\\psi\\rangle%20=%20\\lambda%20\\,\\vec{a}\\cdot\\vec{\\sigma}|\\psi\\rangle%20=%20\\lambda^{2}%20|\\psi\\rangle\\\\%20\\indent\\indent\\quad%20\\%20=%20|\\vec{a}|^{2}%20I|\\psi\\rangle%20=%20|\\vec{a}|^{2}%20|\\psi\\rangle%20\\\\%20\\\\%20\\rightarrow\\quad%20\\lambda^{2}%20=%20|\\vec{a}|^{2}

위의 제약조건에 따르면,  gif.latex?\\inline%20\\vec{a}\\cdot\\vec{\\sigma}가 가지는 두 고유값은 둘 다  gif.latex?\\small%20\\inline%20|\\vec{a}|이거나, 둘 다  gif.latex?\\small%20\\inline%20-|\\vec{a}|이거나, 또는 하나는 gif.latex?\\small%20\\inline%20|\\vec{a}|이고 다른 하나는 gif.latex?\\small%20\\inline%20-|\\vec{a}|이어야 함. 여기서 앞의 두 경우는 불가능. 왜냐하면, 두 고유값이 같다는 것은 gif.latex?\\inline%20\\vec{a}\\cdot\\vec{\\sigma}이  gif.latex?\\small%20\\inline%20I에 비례함을 의미하는데, gif.latex?\\small%20\\inline%20I의 trace(두 대각 성분의 합)는 0이 아닌 반면에, gif.latex?\\inline%20\\vec{a}\\cdot\\vec{\\sigma}는 trace는 0이기 때문. (Pauli matrix들은 trace가 모두 0임.)

따라서,  gif.latex?\\inline%20\\vec{a}\\cdot\\vec{\\sigma}의 고유값은 gif.latex?\\small%20\\inline%20\\pm%20|\\vec{a}| .

이제 식 (2)로 주어지는 gif.latex?\\small%20\\inline%20H의 표현식에서 gif.latex?\\small%20\\inline%20I에 비례하는 부분을 제외하면 다음과 같이 대응시킬 수 있음.

gif.latex?\\\\a_{x}%20=%20\\textmd{Re}(V),\\quad%20a_{y}%20=%20\\textmd{Im}(V),\\quad%20a_{z}%20=%20\\frac{\\varepsilon_{1}-\\varepsilon_{2}}{2}.............(3)

따라서 이 경우 gif.latex?\\inline%20\\vec{a}\\cdot\\vec{\\sigma}의 고유값은 다음과 같음.

gif.latex?\\pm\\sqrt{\\left(\\frac{\\varepsilon_{1}-\\varepsilon_{2}}{2}%20\\right%20)^{2}+|V|^{2}}

한편, 식 (2)에서 gif.latex?\\small%20\\inline%20I에 비례하는 부분이 고유값에 하는 일은 단지 gif.latex?\\small%20\\inline%20I 앞의 계수만큼을 더해 주는 것 뿐이므로, gif.latex?\\small%20\\inline%20H의 고유값은 다음과 같이 주어짐.


gif.latex?E_{\\pm}%20=%20\\frac{\\varepsilon_{1}+\\varepsilon_{2}}{2}\\pm\\sqrt{\\left(\\frac{\\varepsilon_{1}-\\varepsilon_{2}}{2}%20\\right%20)^{2}+|V|^{2}}   ....................(4)



그렇다면 고유벡터는 어떻게 될까? 어떤 행렬에 상수를 곱해도 그 고유벡터는 변하지 않으므로, 우리는 임의의 3차원 벡터 gif.latex?\\small%20\\inline%20\\vec{a} 대신, 임의의 3차원 단위 벡터 |\\vec{a}|를 고려하면 됨. 또한, identity에 비례하는 행렬을 더해도 고유벡터가 바뀌지 않으므로, 식 (2)에서 gif.latex?\\small%20\\inline%20I에 비례하는 항은 고유벡터에 영향을 주지 않음.

이제 임의의 3차원 단위 벡터를 다음과 같이 매개변수화하는 것이 가능.

gif.latex?\\hat{n}%20=%20(\\sin\\theta\\sin\\phi,\\sin\\theta\\cos\\phi,\\cos\\theta)

즉, 구면 좌표계를 사용한 것과 같음. (gif.latex?\\small%20\\inline%200\\le\\theta\\le\\pigif.latex?\\small%20\\inline%200\\le\\phi%3C2\\pi)  식 (3)과 같이 대응시킬 경우, |\\vec{a}|을 매개변수화한 위 식에 등장하는 두 각도 변수는 다음에 해당.

gif.latex?\\cos\\theta%20=\\frac{a_{z}}{\\sqrt{a_{x}^{2}+a_{y}^{2}+a_{z}^{2}}}%20=%20\\frac{\\displaystyle{\\frac{\\varepsilon_{1}-\\varepsilon_{2}}{2}}}{\\sqrt{\\displaystyle{\\left(\\frac{\\varepsilon_{1}-\\varepsilon_{2}}{2}\\right)}^{2}+|V|^{2}}}

gif.latex?\\phi%20=%20\\arg(a_{x}+ia_{y})=\\arg(V) 

이때, 

gif.latex?\\hat{n}\\cdot\\vec{\\sigma}%20=%20\\left(\\begin{array}{cc}\\cos\\theta&\\sin\\theta%20e^{-i\\phi}\\\\\\sin\\theta%20e^{i\\phi}&-\\cos\\theta\\end{array}\\right).

위 행렬의 고유값은 앞서의 결과로부터 gif.latex?\\small%20\\inline%20\\pm%20|\\hat{n}|=\\pm%201이 됨을 알 수 있고, 그 고유벡터를 구해 보겠음. 고유값 1에 대한 고유벡터 gif.latex?\\small%20\\inline%20\\left(\\begin{array}{c}x\\\\y\\end{array}%20\\right%20)는 다음을 만족.

gif.latex?\\\\%200=(\\hat{n}\\cdot\\vec{\\sigma}-I)\\left(\\begin{array}{c}x\\\\y\\end{array}%20\\right%20)%20\\quad\\rightarrow\\\\\\\\%20(\\cos\\theta%20-1)x%20+%20\\sin\\theta%20e^{-i\\phi}%20y%20=0%20\\quad\\rightarrow\\\\\\\\%20\\frac{y}{x}%20=%20\\frac{1-\\cos\\theta}{\\sin\\theta}%20e^{i\\phi}%20=%20\\frac{2\\sin^{2}\\frac{\\theta}{2}}{2\\sin\\frac{\\theta}{2}\\cos\\frac{\\theta}%20{2}}%20e^{i\\phi}%20=%20\\frac{\\sin\\frac{\\theta}{2}}{\\cos\\frac{\\theta}{2}}%20e^{i\\phi}

따라서 고유값 1에 대한 규격화된 고유벡터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음.

gif.latex?|\\psi_{+}\\rangle%20=%20\\left(\\begin{array}{c}\\displaystyle{\\cos\\frac{\\theta}{2}}\\\\%20\\\\\\displaystyle{\\sin\\frac{\\theta}{2}}e^{i\\phi}\\end{array}%20\\right%20)  ............(5-1)


비슷한 계산 과정을 고유값 -1에 대해 수행해 보겠음.

gif.latex?\\\\%200=(\\hat{n}\\cdot\\vec{\\sigma}+I)\\left(\\begin{array}{c}x\\\\y\\end{array}%20\\right%20)%20\\quad\\rightarrow\\\\\\\\%20(\\cos\\theta%20+1)x%20+%20\\sin\\theta%20e^{-i\\phi}%20y%20=0%20\\quad\\rightarrow\\\\\\\\%20\\frac{y}{x}%20=%20-\\frac{1+\\cos\\theta}{\\sin\\theta}%20e^{i\\phi}%20=%20-%20\\frac{2\\cos^{2}\\frac{\\theta}{2}}{2\\sin\\frac{\\theta}{2}\\cos\\frac{\\theta}%20{2}}%20e^{i\\phi}%20=%20-\\frac{\\cos\\frac{\\theta}{2}}{\\sin\\frac{\\theta}{2}}%20e^{i\\phi}

그에 따라 고유값 -1에 대한 규격화된 고유벡터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음.

gif.latex?|\\psi_{-}\\rangle%20=%20\\left(\\begin{array}{c}\\displaystyle{-\\sin\\frac{\\theta}{2}}\\\\%20\\\\\\displaystyle{\\cos\\frac{\\theta}{2}}e^{i\\phi}\\end{array}%20\\right%20) ..........(5-2)


이제까지의 결과를 종합하면, 일단 우리는 다음과 같은 2-state problem의 Hamiltonian에서 시작하였음.

gif.latex?H%20=%20\\left(\\begin{array}{cc}%20\\varepsilon_{1}%20&V^{\\ast}\\\\%20V&\\varepsilon_{2}%20\\end{array}%20\\right%20) ...............(1)

이것을 identity와 Pauli matrix들의 선형결합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음. 

gif.latex?H%20=%20\\left(\\frac{\\varepsilon_{1}+\\varepsilon_{2}}{2}\\right%20)%20I%20+%20\\left(%20\\frac{\\varepsilon_{1}-\\varepsilon_{2}}{2}%20\\right%20)\\sigma_{z}%20+%20\\%20\\textmd{Re}(V)%20\\,\\sigma_{x}+%20\\%20\\textmd{Im}(V)%20\\,\\sigma_{y}............. (2')

gif.latex?\\inline%20\\vec{a}\\cdot\\vec{\\sigma}의 고유값이 gif.latex?\\small%20\\inline%20\\pm%20|\\vec{a}| 라는 것으로부터 gif.latex?\\small%20\\inline%20H의 고유값이 다음과 같음을 유추할 수 있음.

gif.latex?E_{\\pm}%20=%20\\frac{\\varepsilon_{1}+\\varepsilon_{2}}{2}\\pm\\sqrt{\\left(\\frac{\\varepsilon_{1}-\\varepsilon_{2}}{2}%20\\right%20)^{2}+|V|^{2}}   ....................(4)

또한 이 두 고유값에 대응되는 규격화된 고유벡터들은 각각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음.

gif.latex?|\\psi_{+}\\rangle%20=%20\\left(\\begin{array}{c}\\displaystyle{\\cos\\frac{\\theta}{2}}\\\\%20\\\\\\displaystyle{\\sin\\frac{\\theta}{2}}e^{i\\phi}\\end{array}%20\\right%20),%20\\quad|\\psi_{-}\\rangle%20=%20\\left(\\begin{array}{c}\\displaystyle{-\\sin\\frac{\\theta}{2}}\\\\%20\\\\\\displaystyle{\\cos\\frac{\\theta}{2}}e^{i\\phi}\\end{array}%20\\right%20)   .................. (5-1), (5-2)

여기서 각도 변수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됨.

gif.latex?\\cos\\theta%20=\\frac{\\displaystyle{\\frac{\\varepsilon_{1}-\\varepsilon_{2}}{2}}}{\\sqrt{\\displaystyle{\\left(\\frac{\\varepsilon_{1}-\\varepsilon_{2}}{2}\\right)}^{2}+|V|^{2}}}

gif.latex?\\phi%20=\\arg(V).

간단히 말해 3차원 실수 벡터  gif.latex?\\small%20\\left(\\textmd{Re}(V),\\textmd{Im}(V),\\frac{\\varepsilon_{1}-\\varepsilon_{2}}{2}%20\\right%20) 를 구면좌표계에서 나타냈을 때의 gif.latex?\\small%20\\inline%20\\thetagif.latex?\\small%20\\inline%20\\phi에 해당.

마지막으로, gif.latex?\\small%20\\inline%20|\\psi_{\\pm}\\rangle에 나오는 gif.latex?\\inline%20\\cos\\frac{\\theta}{2}와 gif.latex?\\inline%20\\sin\\frac{\\theta}{2}을 굳이 gif.latex?\\inline%20\\varepsilon_{1}gif.latex?\\inline%20\\varepsilon_{2}gif.latex?\\inline%20V로 표현하려면, 다음 관계식을 이용하면 됨.

gif.latex?\\cos\\frac{\\theta}{2}%20=%20\\sqrt{\\frac{1+\\cos\\theta}{2}}

gif.latex?\\sin\\frac{\\theta}{2}%20=%20\\sqrt{\\frac{1-\\cos\\theta}{2}}

제곱근 앞의 부호가 (+)와 (-)가 둘 다 가능하지 않느냐고 물을 수 있겠으나, 이 경우는 gif.latex?\\small%20\\inline%200\\le\\theta\\le\\pi라는 조건 때문에 언제나 (+)로 정해짐.



추천 비추천

17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33515 아.. 노사모한테 고소당한듯 [7] 賢穆(112.163) 13.01.22 229 0
33506 아시팔개좆같네 [1] 설리는(175.223) 13.01.22 97 0
33505 pro 어쩌고 봐라 [3] 설리는(39.7) 13.01.22 134 0
33503 아이 세이 입 앤 유 세이 갤 [7] 치킨러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2 112 0
33502 아 큰일났네.. 이번학기 수업중에 교재가 원서인게 있네.. [2] ㅁㄴㅇㄹ(183.104) 13.01.22 167 0
33501 방사능연대측정 탄소14사용 이유 [2] 알려줘영(124.195) 13.01.22 197 0
33500 NPC 및 병신류 Ver 1.0 [1] ㅇㅇ(61.32) 13.01.22 145 3
33499 궁금하다 질문 [6] ㄱㄱ(121.130) 13.01.21 72 0
33498 소인국 백성들이 횡단보도 안보고 길건넜다가 [3] 賢穆(112.163) 13.01.21 111 1
33497 창재 씨1팔아 [4] 賢穆(112.163) 13.01.21 110 0
33496 믈리학자 vs 물리학자 고고학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1 42 0
33495 0/0 =0 (반박 불가능) 賢穆(112.163) 13.01.21 75 1
33494 서현옹이랑 물덕횽이 커버쳐주네 [30] Propaganda(211.234) 13.01.21 412 0
33493 물리과 취업안되는거 맞음 [15] 데클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1 1081 0
33492 챗방 ㅋㅋㅋ [1] ㅇㅇ(61.32) 13.01.21 74 0
33490 적우침주라는 말이 있는데 [36] 賢穆(112.163) 13.01.21 197 0
33489 오랜만에 왔다 SOS [2] 괴물리(112.170) 13.01.21 122 0
33488 마리온과 골드슈타인 수준차이 어느정도? [12] 주다크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1 382 0
33487 개 이름맞추기 퀴즈!!! [13] 賢穆(112.163) 13.01.21 162 0
33486 ☆★☆★☆★☆★☆★물갤 챗방☆★☆★☆★☆★☆★ [3] 모나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1 107 0
33483 물덕은 봄미다 [1] 서현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1 165 0
33482 씨팔 賢穆(112.163) 13.01.21 55 0
33480 오랜만에 와보는 물리학 갤러리 [5] 서현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1 2153 4
33478 랩퍼호킹.jpg [1] fff(58.146) 13.01.21 123 0
33476 왜 원숭이는 직립보행을 하지않나요? [4] ,.,.,.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1 119 0
33473 올해대학 합격자들 [6] ㄱㄱ(121.130) 13.01.21 251 0
33470 물갤형들..축구공이휘는 마그누스 효과 실험어떻게해..? ㅠㅠ [3] 고딩2학년(66.87) 13.01.21 952 0
33469 일반물리 공부 후 수리,전자기학,역학 등 공부 vs 그냥 쌩으로 공부 d(175.192) 13.01.21 107 0
33468 분자동역학이 뭔가요? ㅇㅇ(223.33) 13.01.21 41 0
33466 물리는어떻게받아들여야좋나요 [3] 칰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1 120 0
33462 니들이 지금까지 본 사람중에 [16] ㅇㅇ(61.32) 13.01.21 296 0
33461 가서 학점셔틀 될지 안될지.구분방법좀 [2] ㅇㅇ(110.70) 13.01.21 154 0
33460 propaganda형 글 논란에 대해서 조금만 이야기하자면... [11] 물덕(110.76) 13.01.21 347 0
33458 밑에 Propaganda 분이 쓴 "물리학과의현실" [5] 진싱굼긍(117.55) 13.01.21 526 0
33457 고물파는 보거라 [16] 집주인 하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0 167 0
33456 이게 다 주다크허 때문인거 아시죠? [2] 짹란다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0 111 0
33453 물리학 비비(1.245) 13.01.20 64 0
33452 부산대 물리학과 학생입니다 [8] 부대역2번출구(116.47) 13.01.20 1514 0
33449 물리학도 님들 부러워요 [1] 의대생(39.119) 13.01.20 282 2
33448 물리학과의 현실.txt [54] Propaganda(1.220) 13.01.20 53364 73
33446 아인슈타인은 업적에비해 명성이 많이 부풀려진사람 [1] 23(112.163) 13.01.20 319 0
33445 통일장이론 완성시키면 그 물리학자에 대한 후폭풍이 엄청난가요?? [5] IBM(180.182) 13.01.20 299 0
33444 김치년은 t초에 한번이다 23(112.163) 13.01.20 104 0
33443 물리학과에서 경영/경제 복전하면 괜춘나요?? [2] ㅎㅎ(180.182) 13.01.20 211 0
33441 쌍둥이역설에서 [2] Acm(211.246) 13.01.20 174 0
33440 중수마시면 든든하냐 [2] ㅁㅁ(112.163) 13.01.20 255 0
33439 에너지,운동량,상대론적효과까지 생각해보자 [1] 비비(1.245) 13.01.20 207 0
33436 아인슈타인의 착각은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나? [7] 賢穆(112.163) 13.01.20 263 0
33435 요즘은 물갤에 막 어그로가 없네 [5] 주다크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0 195 0
33434 답변좀요 [5] 포스텍가고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20 18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