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김선욱 브람스 기대된다앱에서 작성

ㅇㅇ(110.70) 2017.07.03 16:43:33
조회 204 추천 0 댓글 1

브람스가 편하고 쉽댄다
씹덕후 인상



일주일에 139년 오가는 피아니스트 김선욱 본문듣기 설정
기사입력2017.07.03 오후 3:05
최종수정2017.07.03 오후 3:13

진은숙의 피아노 협주곡을 무대 연습하고 있는 피아니스트 김선욱. 난해하기로 유명한 작품이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피아니스트 김선욱은 일주일 새에 139년을 오간다. 1일 작곡가 진은숙의 피아노 협주곡을 연주했다. 8일엔 브람스 협주곡 1번을 연주한다. 각각 1997년, 1858년에 완성된 음악이라 139년 차이다.

피아니스트가 다양한 작품을 연주하는 게 특이한 일은 아니다. 하지만 두 곡을 연달아 들어보면 세상이 얼마나 많이 바뀌었는지를 깨닫게 된다. 그만큼 다른 곡이다. 139년 뛰어넘기가 피아니스트에게 어떤 경험인지 김선욱에게 물었다.

우선 진은숙의 협주곡. 30일 오후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김선욱은 서울시립교향악단과 함께 리허설을 하고 있었다. 피아노가 6개 음을 칠 때 오케스트라는 4개 음을 연주해야 하는, 그러니까 피아노 음 1.5개당 오케스트라가 1개 음을 연주해야 하는 까다로운 수학이 음악 위에서 벌어지고 있었다. 게다가 그 정도는 곡 전체로 봤을 때 쉬운 산수쯤 일 만큼 음악은 복잡했다.

어렵기로 유명한 진은숙의 피아노 협주곡. 김선욱, 정명훈, 서울시향의 협연 녹음

진은숙의 피아노 협주곡은 다른 무엇보다 난해함으로 유명하다. 진은숙도 30일 서울 풍월당에서 청중을 만나 “피아노 뿐 아니라 오케스트라 부분이 너무 어려워서 이 곡을 프로그램에 넣었던 오케스트라가 일주일 전에 연주 곡목에서 빼버린 경우도 여러 번 있었다”고 말했을 정도다.

서울시향과 리허설을 마친 김선욱은 악보를 펼쳐 보였다. “피아노가 쉬는 부분이 1초도 없다. 처음 악보를 보고는 도저히 못 할 것 같았다.” 악보는 음표로 빼곡했다. 손가락을 빠르고 쉴새 없이 놀려야 하고 불협화음들은 정확히 연주하기 쉽지 않은 음끼리 모여있었다. “연주자를 극한으로 밀어붙여서 연습을 엄청 많이 하게 만드는 곡”이라고 했다.

“그런데 짜릿하다.” 김선욱이 이 어려운 곡을 2015년 녹음하고 그 후에도 수차례 연주한 데에는 이유가 있다. “어려움의 극한으로 밀어붙여졌을 때의 쾌감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작곡가가 살아있다는 점이다. 그는 “작곡가와 이야기하면서 만들어가는 게 즐겁다”고 했다. 실제로 리허설에서 김선욱은 진은숙과 대화를 해가며 곡의 연주 스타일을 잡아갔다.

그에 비하면 브람스는 편하고 쉽다. 김선욱은 2006년 리즈 국제 콩쿠르의 최종 결선곡으로 브람스 협주곡 1번을 연주하고 최연소 우승(18세)을 했다. “모든 작곡가의 모든 작품 중에 내가 제일 잘 하는 곡이다. 브람스의 음악 언어가 나에게 편하고 잘 통한다.” 이 곡을 연주할 때면 무대 뒤에서 떨리지도 않고 언제나 신이 난다고 했다. 김선욱은 브람스가 쓴 음악적 논리, 브람스가 원하는 좋은 소리를 태생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피아니스트다. 그는 “노력해서도, 특별히 연구를 많이 해서도 아닌데 브람스를 연주하고 나면 평이 좋더라”고 했다. 그만큼 브람스는 그에게 잘 맞는 작곡가다.

2006년 리즈 국제 콩쿠르 우승할 때 김선욱이 연주한 브람스 협주곡 1번

진은숙과 브람스를 하루에 치는 일은 불가능하다. 김선욱은 “하루에 두 곡을 연습하지 못한다. 시간이 필요하다”며 “진은숙을 치다 브람스를 연주하면 소리가 사나워지고, 음의 효과만 생각하게 돼서 브람스를 제대로 연주할 수 없다”고 했다. 그가 볼 때 19세기와 20세기 음악의 가장 큰 차이는 소리를 만드는 방법에 있다. “브람스는 소리 자체의 질, 진은숙은 소리의 효과가 중요하다. 때문에 이 곡을 치다 다른 곡으로 갑자기 넘어갈 수가 없다.” 그래서 김선욱은 연습 날짜를 정해놓고 진은숙과 브람스를 배분해 연습하고 있었다.

지금껏 알려진 김선욱의 주특기는 진은숙보다는 브람스다. 그는 18~19세기 독일권 작곡가의 음악 해석에 능하다. 무겁고 진지하며 논리가 잘 짜여진 음악들이 그에게 자연스럽게 맞는다. 하지만 2008년부터 영국 런던에 거주하며 유럽을 중심으로 연주 활동을 하는 동안 그는 20세기 이후 작품의 연주 횟수 또한 늘려가고 있다. “현대음악을 가능한만큼 듣고 보고 연주할 계획”이라고 했다.

원본보기
피아니스트 김선욱은 작곡가와 협의하며 음악을 만들어가는 현대음악에 대해 "짜릿하다"고 표현한다. 권혁새 사진전문기자
무엇보다 진은숙의 협주곡은 유럽 오케스트라들이 연주 계획을 잡으면 김선욱을 1순위로 섭외할 수밖에 없는 작품이다. 한번도 연주해보지 않은 피아니스트에게 ‘난해함’이라는 진입 장벽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진은숙 피아노 협주곡은 브람스 협주곡 1번에 이어 김선욱의 두번째 ‘18번’이 돼고 있다. 같은 날 연습할 수도 없는 동떨어진 작품이지만 김선욱이 보기엔 공통점이 있다. “진은숙 협주곡은 50~100년 지나면 분명히 고전이 될거다. 브람스 협주곡도 아마 처음 연주됐을 땐 아주 괴상한 작품으로 여겨졌을 법하다. 근데 지금은 아무도 그렇게 생각 안 하잖나.”

김선욱의 브람스 협주곡 1번은 8일 오후 8시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들을 수 있다. 김선욱이 이 작품을 한국에서 연주하는 건 2007년 이후 10년 만이다. 독일의 드레스덴 필하모닉, 지휘자 미하일 잔데를링이 함께 무대에 선다.

김선욱 브람스 협주곡 1번 공연정보 보기

김호정 기자 wisehj@joongang.co.kr

김호정 기자 wisehj@joongang.co.kr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03094 음란마귀들...... [2] ♡잭플러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108 1
203093 그냥 단아하고 를 단아한 이라고 썼으먄 [6] 뜨-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99 0
203092 운동끝 입에서 [3] ㅇㅇ(223.33) 17.07.03 94 0
203089 올해 메시앙 -아기 예수를 바라보는 20개의 시선 없음? [2] 슈베르티아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323 0
203088 유동아 10살차이면 뭔상관이냐 [3] 뜨-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104 0
203087 친구랑 내기 했는데 봐줘 [24] 연희전문학교(223.39) 17.07.03 228 0
203084 내일 샘이랑 공연 같이 보는데 [16] ㅇㅇ(124.195) 17.07.03 179 0
203083 일단기본적으로다같은사람인데말이지 피아재(14.33) 17.07.03 79 0
203081 난 박진영같이 생긴 사람이 좋더라 [6] 뜨-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107 2
203080 쇼팽왈츠 2번도꽤좋은거같음 [2] 쇼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89 0
203078 리히테르가 라흐 피협 3번 안친 이유 [4] 진돌(1.227) 17.07.03 217 1
203077 그니까 나처럼 40대 원장쌤을 만나... [2] ㅇㅇ(59.187) 17.07.03 139 0
203076 스크리아빈 이분 연주도 아주 좋음 [4] Had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127 1
203075 손 작은 사람들은 약간 치기 힘든 곡 [3] Atri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126 0
203074 동생들 나 진지하다 밑에 배나오고 머리벗겨진 아재야 [16] ㅇㅇ(110.12) 17.07.03 246 0
203073 얘들아 나 도서관 다녀왔어 ^^ [2] ㅇㅇ(106.102) 17.07.03 70 0
203071 2세트 남았다 ㅅㅂ ㅇㅇ(223.33) 17.07.03 34 0
203069 누나들... 2-5-1 연습 보통 어떻게 하나요? [1] 김피아노(124.111) 17.07.03 74 0
203068 성인 피아노 학원 40대 아재도 가능하니? [10] ㅇㅇ(110.12) 17.07.03 347 1
203067 리히터는 왜 14 21 안침? [5] 으으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206 1
203066 베피소6 리히터,브렌델 슈베르티아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54 0
203064 후후 막창에 쏘주머금 [9] 껄루기아님진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65 0
203060 저탄수 식단서 피해야 할 것 [1] 김호치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85 0
203059 14.37아 [11] 뜨-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76 0
203058 라흐마니노프 본좌는? [7] 진돌(1.227) 17.07.03 167 0
203056 이력서 넣기는 한데 [2] 김호치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48 0
203055 베토벤 3대 스페셜리스트가 누구임? [11] 으으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253 0
203054 나는 살 못빼는 이유가 있음 [7] 뜨-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106 0
203053 강철멘탈 되는 법좀 [10] ㅇㅇ(211.204) 17.07.03 121 0
203052 저탄수 식사 권장. [3] ♡잭플러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75 0
203051 급수셤 있다니깐 [3] E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114 1
203049 피갤러들은 피아노 몇 급이냐 [1] ㅇㅇ(211.204) 17.07.03 75 0
203048 저탄수식사 해봐 [7] 김호치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92 0
203047 아몬드가 뼈에 가장 직접적으로 들어가는 영양식품. [1] ♡잭플러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80 0
203044 악기도 자격증같은거 있으면 좋겠다. [17] ㅇㅇ(211.204) 17.07.03 127 0
203043 아몬드 살 많이 찐다는거 ㄹㅇ이냐? [15] 뜨-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106 0
203042 도흐나니 에튀드 장기하와벡터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83 1
203041 스크랴빈에튀드 [1] 장기하와벡터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88 0
203040 얘들아 나 도서관다녀올게 ^^ [3] ㅇㅇ(106.102) 17.07.03 68 0
203036 살 단숨에 찌우는 음식 [3] 장기하와벡터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85 0
203034 오늘 마지막 연습 썸머 [8/5] 김호치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74 0
203032 10-1은 여기까지. [6/2] ♡잭플러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105 0
203031 건반 안쪽도 눌러야 하는구나.. [2] ㅇㅇ(211.246) 17.07.03 107 0
203027 아 하루하루가 스펙타클하규나 [6] ㅇㅇ(106.102) 17.07.03 69 0
203026 월광소나타 칠려면 개인 레슨으로 몇개월 봐아야해요?? [3] (116.42) 17.07.03 189 0
203025 피자먹으면 살쪄 얘들아 ^^ [4] ㅇㅇ(106.102) 17.07.03 68 0
203024 피자도 당기네 [1] 김호치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30 0
203021 배고픈데 지금 밥먹어도됨? [7] ㅇㅇ(106.102) 17.07.03 60 0
203020 난 식은 피자도 좋아해서 [2] 장기하와벡터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58 0
203016 펭귄 장기하와벡터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03 5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