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 이게 현재 태권도의 현실이다.

-_-(125.178) 2008.08.24 04:42:59
조회 831 추천 0 댓글 6

개인적으로 한겨레신문 그다지 좋아하진 않지만 태권도 집중적으로 파헤치는거 이거 하난 좋더라.


02100300012007051727_1.jpg
[한겨레] 비리와 국수주의 논란에 휩싸인 국기원 대신 자체 단증 발급 선언한 외국 태권도 연맹들

▣ 글 최은주 기자 flowerpig@hani.co.kr

▣ 사진 윤운식 기자 yws@hani.co.kr

한국인들에게 태권도는 스포츠 그 이상의 무엇이다. 박정희 정권 시절 몰아친 민족주의 열풍 속에서 태권도는 민족의 국기(國技)로 가파른 성장을 거듭했다. 도올 김용옥이 1990년 ‘태권도 철학의 구성원리’라는 논문에서 “지금의 태권도의 모체가 되는 관(도장)은 거개가 다 일본 유학생들에 의해 주도됐으며… 1955년 4월11일 이전에는 태권도라는 말이 인류 역사상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실증했지만, 그의 주장은 곧 잊혀졌다.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국기원판’ 태권도의 역사가 사실이든 ‘동원된 역사’이든 이제 태권도가 우리 민족 고유의 무술이 됐음을 의심하는 사람을 찾긴 힘들다.

해외 단증, 심사하지 않고 발급

태권도의 가장 큰 성장 동력은 한국의 민족주의였다는 사실을 부정할 순 없다. 해방 이후 근대 태권도 발전사를 관찰해보면, 세종대왕, 국기에 대한 맹세, 국민교육헌장, 초등학교 운동장의 이순신·이승복 동상에서 드러나는 것과 비슷한 70년대식 민족주의 코드가 읽힌다. 그 열풍에 김운용이라는 촉매제가 더해지면서(그는 1971년 7대 대한태권도협회장으로 취임하면서 태권도계에 입문했다), 태권도는 전세계 182개국 7천만 명의 사람들이 즐기는 국제적인 대중 스포츠로 발전했다. 태권도의 드라마틱한 성공을 상징하는 사건은 아마도 1994년 9월5일 파리에서 열린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 이뤄진 올림픽 정식 종목 채택 결정일 것이다.

환호는 끝났고, ‘태권도의 아버지’ 김운용은 몰락했다. 2007년 봄 태권도계의 최대 화두는 다시 한 번 ‘태권도의 위기’다. 2001년 태권도 개혁세력의 등장으로 표면화된 ‘태권도 위기설’은 2005년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117차 IOC 총회에서 “런던올림픽 퇴출 종목 명단에 태권도가 간신히 빠져나왔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본격화됐다. 최근 이 흐름에 기름을 붓는 사건이 터졌다. 세계태권도연맹(이하 세계연맹) 산하 유럽태권도연맹(이하 유럽연맹) 등이 “자체 단증을 만들겠다”고 선언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단증 발급 업무는 세계 태권도의 중앙도장이라 불리는 국기원이 누려온 배타적인 권리였다. 이경명 전 동아대 태권도학과 초빙교수는 “세계 태권도인들은 국기원 단증을 토대로 하나로 묶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외국 태권도인들이 국기원 단증을 거부하고 나섰다는 것은 국기원과 한국 태권도에 대한 외국인들의 불신이 극에 달했음을 뜻한다.

태권도는 어디로 가는가. <한겨레21>은 한국의 태권도를 바라보는 외국 태권도 관계자들과 심층적인 인터뷰를 시도했다. 그들은 “한국이 태권도 종주국으로서 권위를 잃었다”고 말했고 “더 이상 국기원 단증을 믿기 힘들다”는 거친 말도 쏟아냈다.

“국기원은 일방적으로 명령만 한다”

스틱 크라머(42) 노르웨이 국가대표 코치가 어렵게 입을 열었다. 그는 “국기원의 단증이 권위를 잃었다”고 말했다. “국기원이 직접 단증을 심사하지도 않는 상황에서 돈만 많이 주면 누구나 단증을 살 수 있다.” 국기원의 해외 단증 지급 과정을 살펴보면 의문이 풀린다. 해외에서 단증을 따려는 사람들의 70% 정도는 그 나라의 한국인 사범들을 통해 개인적으로, 나머지 30%는 각 국가협회를 통해 단증 신청을 한다. 국기원은 해외에서 단증을 따려는 사람들의 품세를 직접 심사하지 않는다. 국기원이 살펴보는 것은 한국인 사범이 보내오는 서류뿐이다. 그러면서 매년 수십억원의 단증 발급 수수료를 챙긴다. 문제는 이에 대한 국기원 쪽의 반성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이근창 국기원 기조실장은 “해외 사범들이 보내오는 서류를 믿을 수밖에 없다”며 ”우리 단증이 많아지면 좋은 것 아니냐”고 말했다. 크라머 코치는 “25년 전 태권도 1단을 땄을 때 매우 자랑스럽고 기뻤다”며 웃었다. “그땐 그만큼 국기원 단증의 권위가 있었어요. 그렇지만 아는 사람은 다 알잖아요. 국기원 단증에는 부정 단증도 많고…, 의미가 사라진 게 사실이니까.”

가장 큰 문제는 한국인 사범을 통한 개인 발급 신청이다. 데이비드 애스키나스 미국 태권도협회장도 “국기원의 단증 발급 제도에 문제가 많다”며 비판했다. 그는 “국가협회를 통해 단증을 신청한 사범들에게만 국기원 단증을 발급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국기원 쪽에 그런 요구를 했지만 소용이 없어요.” 유도는 태권도처럼 개별적으로 단증을 신청하지 못한다. 개인이 국가협회를 통해 단증을 신청하면 세계유도연맹의 심사를 거쳐 단증이 발급된다. 유도에는 물론 단증 발급 업무를 도맡고 있는 국기원 같은 기구가 없다.

해외연맹의 주장에는 경제적인 고려도 섞여 있다. 단증을 국가협회를 통해 신청할 경우 단증 심사 수수료(1품·단시 70달러) 가운데 40%(28달러)를 국기원이 국가협회에 지원금으로 준다. 개인이 국기원에 직접 단증을 신청하면 그 수수료를 챙길 수 없다. 유럽 쪽에서도 그런 사정을 인정하는 편이다. 박선재 유럽연맹 명예회장은 “조정원 세계연맹 회장이 회장 선거 공약으로 대륙연맹에 5만달러를 지원하기로 했지만, 유럽연맹은 지원금을 전혀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가난한 대륙연맹은 단증비만 챙겨가고 그 돈을 어떻게 쓰는지 알려주지도 도와주지도 않는 세계연맹과 국기원에 대해 불신이 쌓여가는 중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서유럽의 국가협회장은 “우리가 내는 단증 심사비가 많은데 그 돈이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알 수가 없다”며 “국기원은 투명성이 없어서 믿지 못하겠다”고 말했다. “유럽은 투명성이 있고, 우리가 내는 돈이 유럽 국가협회와 유럽연맹에 도움이 될 거라는 인식이 있어요. 그게 문제죠.”

수직적이고 비민주적인 한국 문화에 대한 비판도 봇물처럼 쏟아졌다. 북유럽의 한 국가협회장은 “세계연맹과 국기원, 대륙연맹의 관계는 수평적이지 않고 수직적”이라며 “종주국이라는 이유로 일방적으로 명령하고, 자신들이 세운 규칙을 따르라는 발상은 비민주적이고 우리와 잘 맞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런 불만과 불신이 쌓여 각 대륙연맹에선 “세계기구도 아닌 민간 태권도 단체인 국기원이 왜 단증을 발급하냐”는 근본적인 문제 제기를 하고 있다.

유럽인들과 한국인들의 가운데에 위치한 박선재 유럽연맹 명예회장은 “솔직히 한국 사람들이 잘못을 많이 했다”고 말했다. “세계 스포츠에서는 국기원 같은 조직이 없죠. 서양 사람들 논리로는 세계기구도 아니고 그렇다고 세계 태권도의 발전을 위해 이렇다 할 역할도 하지 않는 국기원이 왜 단증을 발급하냐는 생각이 가능한 거죠.”

도복 입어본 적도 없는데 2단?

02100300012007051728_1.jpg

어쩌다 이 지경까지 된 것일까. 지금까지 드러난 국기원의 부정 단증 발급 과정은 차라리 코미디에 가깝다. <한겨레21>은 5월3일 김봉기 전 국기원장 비서실장의 며느리 김아무개(29)씨를 만나 국기원 단증 비리 실태를 들을 수 있었다. 김 전 비서실장은 엄운규 현 국기원장의 최측근으로, 국기원에서 10년 이상 간부로 재직하다가 2001년 정년퇴직하고도 지난해까지 국기원장 비서실장으로 일했다. 김씨는 2002년 김 전 비서실장의 아들(30)과 결혼했다가 지난해 이혼했다. 김씨는 “시아버지가 승단 자격이 없는 많은 사람들에게 부정 단증을 발급했다”고 말했다. 김씨는 태권도의 앞차기는커녕 도복을 입어본 적도 없지만 2단 단증을, 태권도라고는 대학교 때 한 학기 수업을 들은 게 전부인 전 남편은 5단 단증을 각각 손에 쥐었다. 남편의 최종 승단 일자 2002년 3월16일은 김씨 부부가 신혼여행차 캐나다에 머물렀던 기간(2002년 1월30일~5월3일)과 겹친다. 그는 또 “캐나다에 머물 당시 알게 된 태권도 관장의 동생에게도 시아버지가 단증을 만들어줘서, 그 사람 역시 캐나다에서 태권도장을 차렸다”며 “물론 태권도를 전혀 모르는 사람”이라고 밝혔다. 김씨의 말은 이어진다. “시아버지 집에는 돈다발이 들어 있는 우편물뿐만 아니라 산삼, 도자기, 갈비 세트, 고급 중국차 등 특산물로 넘쳐났다. 어디서 난 것일까.”

국기원의 단증 발급 비리는 검찰 수사로까지 확대돼 있다. 이 사건을 담당하는 서울지검 고형곤 특수 2부 검사는 “주범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의 소재가 파악이 안 돼 수사가 지연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태권도 개혁을 요구하는 쪽에서는 “그동안 담당 검사가 네 번이나 바뀌는 등 검찰이 나라의 위신을 고려해 수사할 의지가 없는 것 같다”는 의혹을 제기한다. 어느 쪽이 사실인지는 알 수 없다.

분명한 것은 국기원이 자체적으로 조사한 부정 단증 발급 건수만 해도 124건(1997~2002년)에 달한다는 점이다. 태권도계 안팎에서는 실제 부정 단증 발급 건수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쓰인 수법은 국기원 내부 직원과 짜고 이름이 비슷한 다른 고단자의 이름에 자신의 전산 기록을 덧씌우는 방법과 합격자 명단에 서류만 집어넣어 합격한 것처럼 국기원에 신고해 품·단증을 교부받는 방법 두 가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부정이 가능했던 이유는 뭘까. 범태권도개혁위원회 오용진 상임대표는 “인적 쇄신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2001년에 국가대표 선발전 승부 조작 사건으로 김운용씨가 사임한 뒤 공금횡령과 배임수재 혐의로 2004년에 구속됐지만, 그의 측근인 엄운규씨가 2004년 3월 국기원장으로 취임함에 따라 다시 김운용씨의 측근들이 국기원 임직원으로 임명됐다.

현재 국기원의 핵심 권력이라 할 수 있는 이사회 이사 19명 가운데는 태권도와 관련된 비리 혐의로 금고 이상의 형을 받은 사람이 7명이나 된다. 도덕성이 결여된 인물들이 국기원 이사가 되어 방만한 경영을 하고 규정에 어긋나는 행위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국기원은 민간 재단법인이라서 국가의 위신을 짊어지는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사회적 감시의 무풍지대에 있다.

해결책은 뭘까. 정세균 열린우리당 의원이 2005년 10월에 발의한 ‘태권도 진흥 및 태권도공원 조성 등에 관한 법률안’을 보면, 국기원을 법정 법인화할 수 있는 내용이 들어 있다. 정 의원실 쪽의 강귀섭 보좌관은 “태권도 종주국을 상징하는 국기원을 법정 법인화해 정부가 지휘·감독한다면 예산 집행, 사업 등에서 국기원의 방만한 경영이나 주먹구구식 경영을 제대로 잡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기원의 법정 법인화, 인적 쇄신하라

태권도 개혁세력 쪽에서는 “태권도에 깃든 민족주의를 걷어내는 게 근본적 대책”이라고 주장한다. 구효송 영산대 교수는 이런 주장을 하는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국기원의 단증 발급권을 세계연맹에 넘겨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결책은 간단하다. 국기원이 태권도의 발전을 위해 기득권을 포기해야 한다.” 이경명 전 동아대 태권도학과 초빙교수도 “국기원이 단증 발급이라는 단순 업무에서 벗어나 교육, 홍보 등 새로운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태권도가 우리 것이라는 국수주의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세계인의 것이라는 마음으로 봉사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태권도의 개혁을 열망하는 세계인들의 마음도 마찬가지다. 데이비드 애스키나스 미국태권도협회장도 “세계 태권도의 진정한 발전을 위해서는 한국 태권도인들만의 ‘올드 보이’ 네트워크를 버리고 다문화적이고 열린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꼬집었다. 국기원은 자신을 버림으로써 세계 태권도의 중앙도장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7천만 세계 태권도인들이 존경과 애정을 담아 국기원에 전하는 마지막 당부다. “그렇지 않으면 태권도는 망한다.” 이름을 밝히지 말아줄 것을 요구한 한 태권도계 원로가 말했다.

“돈만 주면 국기원 단증 산다”

유럽연맹 게리트 아이싱크 사무총장…총회에서 자체 단증 세부 규정 정할 것

<한겨레21>은 자체 단증 발급 계획을 확정한 유럽태권도연맹(이하 유럽연맹)의 게리트 아이싱크 사무총장에게 4월30일 이메일 인터뷰 질문서를 보내 5월6일 회신을 받았다. 이어 전화 인터뷰도 했다.

유럽연맹이 자체 단증 발급을 결정했나?

=유럽연맹은 2년 전에 회원들을 위한 단증을 발전시켜 나가기로 결의했다. 그렇다고 국기원 단증을 거부하는 것은 아니다.

유럽연맹 단증은 언제부터 발급되나?

=오는 10월 아제르바이잔에서 유럽연맹 총회가 열린다. 이번 총회에서 유럽연맹 규칙과 조례, 그리고 단증을 어떻게 운영해나갈지를 결정할 것이다. 유럽연맹 총회를 한 뒤부터 유럽연맹 단증을 발급할 것이다.

02100300012007051730_1.jpg

다른 대륙연맹에도 비슷한 움직임이 있나?

=몇 달 전에 미주연맹 회장을 만났다. 미주연맹도 자체 단증을 추진할 거라고 말했다.

승단 심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유럽연맹 자체적으로 할 것이다.

왜 그런 결정을 내리게 됐나?

=모든 태권도 수련자들이 국기원 단증을 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재정적인 문제도 있다.

재정 문제가 뭔지 구체적으로 말해달라.

=세계연맹이 5개 대륙연맹에 4년 동안 5만달러를 지원하기로 약속을 했다. 1년에 1만2500달러이다. 유럽이 한 달 쓸 수 있는 돈은 고작 1천달러이다. 이 작은 돈 마저도 아직 안 주고 있다. 유럽선수권 대회, 유럽청소년 선수권 대회 등 유럽연맹이 주최하는 여러 대회가 있는데 이런 대회를 유지하고, 홍보하고 선수들을 교육하는 데 돈이 필요한데 재원이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국기원 단증을 믿을 수 없다는 말이 있다.

=사실이다. 돈만 주면 단증을 살 수 있고, 부정 단증이 많이 발급되고 있다. 또 국기원이 단증을 신청할 때 국가협회를 통해서 받지 않고 개별적으로 받는다. 이것도 문제다.

부정 단증이 많은데, 국기원 단증을 신뢰할 수 있나?

=이미 내가 할 수 있는 말은 다 했다고 생각한다. 더 이상 할 말이 없다.


국기원 2005년 단증 발급 수입 62억여원

태권도 종주국의 상징으로 세계연맹과 대태협 등 후원

현재 세계 태권도 인구는 182개국 7천만 명(수련생 포함)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 중 유단자(국기원 단증) 수는 2007년 2월 현재 659만8034명이다. 태권도 종주국인 한국 태권도계는 국기원과 세계태권도연맹(이하 세계연맹), 대한태권도협회(이하 대태협) 세 단체가 이끌고 있다. 국기원은 태권도 종주국의 상징으로 단증 발급과 태권도 기술 연구, 지도자 연수 등을 맡고 있다.

세계연맹 산하에는 아시아태권도연맹(ATU·41개국), 유럽태권도연맹(ETU·48개국), 미주태권도연맹(PATU·42개국), 아프리카태권도연맹(AFTU·40개국), 오세아니아태권도연맹(OTU·11개국) 등 5개의 대륙연맹과 연맹 소속 각국 태권도협회의 상위 단체가 있어 올림픽을 비롯한 태권도 국제경기를 주관한다.

대태협은 국내 경기를 총괄하는 단체로 승단 심사를 관장한다. 이 세 단체 중에서 국기원은 단증 발급을 통해 얻은 수입으로 세계연맹과 대태협 등을 후원하고 있다. 국기원의 2005년 결산서를 보면, 수입 총액이 78억7787만원이고, ‘품증과 단증 교부’ 수수료로 벌어들인 수입은 62억3696만원이다.


ⓒ 한겨레(http://www.hani.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이게 작년기사다. 아마 지금은 더 심각하면 심각했지 나아진건 없을걸?

더 웃긴게 뭐냐하면 위에 기사가 작년 5월 기사인데 올해 3월에.. 이런기사가 떴다.



[집중] 국기원, 해외서도 \'태권도 단증 장사\'



<8뉴스>

<앵커>

2년 전 태권도 단증 부정발급 파문으로 사회가 떠들썩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국기원이 해외 태권도인들에게도 단증을 부정발급한 사실이 SBS 취재결과 확인됐습니다.

한정원 기자의 집중취재입니다.

<기자>

현직 경찰관 김 모 씨는 지난 2005년 태권도 7단을 땄습니다.

스페인에 살고 있었다며 현지 태권도협회의 추천을 받는 방법이었습니다.

<CG1></CG1>외국에 살고 있는 사람은 현지에서 6개월 이상 수련했으면, 필기와 실기 심사 없이 현지 협회의 추천서류만으로 국기원 승단 심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김 모 씨 : 초등학교 때 부터 운동을 해서 저 스페인이라는 나라도 갔다 오고...]

하지만, 확인 결과 김 씨는 외국에 한 번도 나간 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심사조차 거치지 않고 단증을 받았습니다.

[전 국기원 임원 : 실력이 하나도 없는데도 (현지 사범이) \'너 (승단 심사 신청)해\' 하고, 돈(수수료) 가져 와서 추천 하면 우리가 해준다구요.]

외국인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CG2></CG2>승단은 기본적으로 한 번에 1단씩, 승급할 때마다 대기기간도 1년씩 늘어나는데, 단이 전혀 없던 55명이 4단을 받았습니다.

31명은 5단으로, 2명은 6단으로 뛰었습니다.

국기원 본원 심사나 현지 출장 심사를 거쳐야 하지만, 아무런 심사 없이 두단 이상 뛰어오른 외국인은 국기원 자체 조사에서 확인된 것만 백60여 명입니다.

최근까지 승단심사를 맡았던 한 위원은, 해외 태권도협회 인맥을 관리하려는 국기원 고위 관계자들의 요구 때문에 규정을 무시하고 처리해 왔다고 털어놨습니다.

[박구철/전 국기원 해외승단 심의위원 : \'아무개가 이번에 심의에 들어왔는데 이번에 한번 챙겨봐라\' 식이죠. 한 번에 많이 할 때는 5,6천 명 합니다.]

이런 사정을 알게 된 외국의 태권도 단체들은 국기원 심사 무용론까지 폅니다.

[\'우리가 국기원 단증을 받아 야 되느냐. 내 이름으로 단증 발행하면 안되겠느냐...\' ]

국기원측은 마구잡이 발급은 인정하면서도 "태권도 보급을 위한 정책적 선택"이었을 뿐 부정발급은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국기원 관계자 :  (그걸 부정발급이라 하면) 백 건도 넘고 몇천 건도 될 수가 있습니다.]

경찰은 단증 부정발급 등의 혐의로 국기원 고위관계자들을 상대로 수사에 나섰습니다.




그외에 심각한 기사가 몇개 더 있는데 그거까지 퍼오면 너무 길어지고 URL링크만 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6&aid=0000014841
<자체 단증 발급? 돈 때문이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6&aid=0000014840
<국기원 단증 세계연맹에 넘겨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6&aid=0000015207
<전자호구 싸움은 누가 말리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36&aid=0000015610
<전자호구는 독점계약이었다>



하여간, 뭐 우리나라 국기니까 안좋아도 비판이고 나발이고 하지 말자는 인간들은 정말 할 말이 없다.
돈에만 정신이 팔려서 해외에 전파만 시키는데 연연하고.. 뭐 제대로 정확하게 전파나 시켰나 몰라.
기본적인 구조조차 이 꼬라진데 룰이고 판정 방법이고 뭐 제대로 됬을리가 있나.
정말 안에서 새는 바가지 밖에서도 샌다고 어찌 정치판이랑 이리도 다른게 없냐.

포털댓글 보면 세계적으로 이만큼 많이 퍼진 스포츠도 없는데 왜 비판하냐고 하는 인간들도 많더라.
그런데 세계적으로 퍼진 그건 태권도 그 자체적으로만 국한된거고.
솔직히 나같으면 아무리 태권도가 좋아도 올림픽 한번 참가하고 나면 더이상 태권도 하고 싶은 마음이 안들거 같에.
그 차동민 선수 상대 그리스선수 경기 끝나고 판정에 불만있다고 하던데.
그래도 정말 고맙더라. 2004년에 이어서 또 참가해줘서.

태권도 이건 정말 판정이 애매해서 그런가 룰이 애매해서 그런가 실력자도 뜬금없는 신예선수한테 그냥 깨진다.
것도 정말 현격한 실력차나 그런걸로 깨진거면 모르겠는데 1,2점차 애매한 차이로 깨지지.
이번 올림픽 참가자만 봐도 유도나 레슬링 같은 다른 종목들은 못해도 세계선수권 중위권 정도 선수들이상만
거의 참가하던데 태권도는 거진 1/3은 세계대회 경험조차 없는 선수들(더 될지도?).
뭐 그 이유 중엔 대회 한번 참가해보고 태권도가 싫어져서 더이상 하지 않는 선수도 있어서 그러지 않을까 싶다.
이번에 심판폭행사건, 판정번복사건 있었지만 이건 양반이다 싶을정도로 과거엔 더 했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932 여러분 태뽕맞을 시간이에요 [1] 추부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24 65 0
2931 태권도가 살아날 방법 [2] ㅇㅇ(124.111) 08.08.24 102 0
2929 유도 vs 태권도 [2] 구유동닉(218.239) 08.08.24 474 0
2928 태권도가 살길 저만 믿으시져ㅇㅋ [1] 윤멍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24 80 0
2927 ITF 태권도 도입하면 확실히 나아질듯. [2] 유동닉(222.236) 08.08.24 142 0
2925 여기가 본격 정전겔이라는 태겔인가요? [1] 윤멍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24 49 0
2924 왜 태권도 갤러리는 [4] 이상한태겔(61.75) 08.08.24 124 0
2923 아 시발 태권도연맹 병신들인가;; 비디오판독제라니 도라이들이네;; ㅇㅇㅇ(61.98) 08.08.24 65 0
2922 죶나 재미없는 퉷권도는 쫄쫄이 잆고하시져 [1] 윤멍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24 56 0
2921 사인웨이브가 뭔가연 [4] sine(121.151) 08.08.24 89 0
2920 그래도 태권도 도장은 있어야한다! [2] 배용배(58.235) 08.08.24 101 0
2918 솔직히 어제 야구 봤지만... [3] 태권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24 114 0
2917 남자 태권도 국대선수 손태진갤 신청 도와주세효~ [3] 김디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24 125 0
2915 세계대회 4연패 정국현이 본 이종격투기대회 [5] 지십인(58.9) 08.08.24 491 0
2914 태권도 초창기에도 가드가 없었나요? [3] ㅛㄱ(222.107) 08.08.24 136 0
2913 경기식 유도에 대한 나의 부정적 인식의 발원 [10] 전날의 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24 185 0
2912 유도는?->전날의 섬 [1] 전날의 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24 83 0
2911 태권도가 가야할 길.... (꾸준글로 밀어봄) [6] 가카(121.140) 08.08.24 159 0
2910 무영각!! [1] 구유동닉(218.239) 08.08.24 128 0
2909 유도는??? 유도는!!!!!!!! [11] 구유동닉(218.239) 08.08.24 276 0
2908 그냥 올림픽에서 태권도 겨루기 빼자 [3] 윤멍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24 163 0
2907 복싱이나 무에타이가 점수제라니 그건 무슨 개솔.. [1] ㅇㅇ(121.151) 08.08.24 82 0
2906 위기에 몰린 태빠의 if놀이-애초에 itf와 극진이 합해졌다면? [1] 유도는?(121.165) 08.08.24 111 0
2905 발차기는 이렇게 하는거야!! [1] 백수대마왕(59.0) 08.08.24 117 0
2904 태권도가 실정성 없다구? 이거나 보구말해 [2] 태권맨(203.128) 08.08.24 238 0
2903 태권도가 무도면? 슈발 [1] 윤멍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24 92 0
2902 심판 잘 처맞았따 [1] 태상노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24 98 0
2901 무술의 존엄성은 [4] 동버(172.162) 08.08.24 116 0
2900 검도나 펜싱이 안까이는건 [2] 사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24 224 0
2899 일단 점수따고 우왕ㅋ세러머니부터 못하게하자 [1] 윤멍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24 53 0
2898 태권도- 이게 무술시합이야 닭싸움이야? [2] 닭똥집(218.54) 08.08.24 148 0
2897 규칙을 이렇게 바꾸면 어떨까? [3] (60.234) 08.08.24 90 0
2896 태권도 이럴때 보면 짱좋을듯 [1] 윤멍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24 111 0
2895 태권도 룰개정 안할꺼면 빼라 [1] 돌아온알파76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24 49 0
2894 쿠바선수 사진보니 발이 다쳤네? [2] (60.234) 08.08.24 142 0
2893 몇번 언급했지만 현 태권도가 까이는것이 가슴이 아프면서도... [3] 좌3우3우왕국(58.124) 08.08.24 159 0
2892 태권도는 여자종목으로 바꿔야한다. [4] ㅋㅋ(59.15) 08.08.24 185 0
2891 태권도가 좀더 박진감있게 하려면 [3] (60.234) 08.08.24 86 0
2890 솔직히 슈발 태권도 좀 재미없지 않냐? [1] 윤멍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24 62 0
2888 남자 태권디스트들은 이 여자한테도 처맞어 [7] ㅇㅇ(59.15) 08.08.24 451 0
2887 아테네 올림픽 영상 중 최고다! [1] (119.65) 08.08.24 176 0
2886 이름은 까먹었는데 유도는?(121.165) 08.08.24 50 0
2885 쿠바 심판폭행 용자는 역시 태권디스트다. [2] 유도는?(121.165) 08.08.24 224 0
2884 왜 태권도가 선수보호를 생각해야 되는지 모르겠다는 거냐? [4] 유도는?(121.165) 08.08.24 188 0
2883 구유동닉이란 새키 존나 웃기네 ㅋㅋㅋㅋ [4] ㅋㅋㅋ(210.217) 08.08.24 187 0
2882 솔까말 올림픽 태권도가 재미없긴하다; [3] 김좀있음고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24 146 0
2881 근데 솔직히 태권도가 무개념갤러들에게 까인다 뭐다 해도 [3] 좌3우3우왕국(58.124) 08.08.24 100 0
2880 걍 점수제 말고 복싱이나 무에타이처럼 KO제로 하는것도 방법이 될수도 [3] 좌3우3우왕국(58.124) 08.08.24 139 0
2879 태권도 없애자... 그게 진리다. [2] 뱅구화이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24 92 0
2877 전자호구가 효과가 있을려나 [3] 후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24 9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