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SM의 해외연습생 모델은 실패했다

ㄹㅇ(59.0) 2014.10.13 12:27:43
조회 246 추천 0 댓글 0

														

[김헌식의 문화비빔밥] SM의 해외 현지화 전략, 전면 재검토 해야 한다

2010년 연기대상 시상식 무대 이후, JYJ(김재중, 박유천, 김준수)의 모습은 국내 방송에서 사라졌다. 그뒤로 JYJ가 방송에 모습을 다시 비친 것은 올해 9월이 처음이었다. 무려 4년 여만이었다. 그러나 JYJ 방송출연은 방송사 정규 프로그램이 아니라 '2014 인천아시안 게임' 개막식 무대였고 단지 중계 방송되었을 뿐이었다. 애초에 이 무대도 허락되지 않아 논란이 일었다. JYJ가 아시안게임 홍보대사로 2년간 활동했는데도 말이다. 불공정 외압 논란이 일자, 조직위원회 측은 서둘러 그들의 개막식 출연을 결정했다. 하지만 애초의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JYJ는 개막식에 올랐지만, 그것은 반쪽 약속이행이었다. 폐회식 무대에는 오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런 일은 사실 JYJ에게 흔한 일이다. JYJ는 SM엔터테인먼트와의 전속계약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이후 비슷한 일이 계속 이어져 왔다. 특히 지상파 3사에서 JYJ라는 이름으로 출연하는 것은 '보이지 않는' 금기였다. SM 등 거대 연예기획사들이 주축인 한 연예산업협회는 공식적으로 각 방송사에 공문을 보내기도 했다. 이 때문에 애초 JYJ의 많은 방송출연스케줄은 취소되었다. 방송사만이 아니라 그들의 눈치를 보는 문화산업관련 단체들은 JYJ출신들을 꺼렸다.

119284_136435_3023_99_20141013104203.jpg
▲ EXO


2013년 5월에는 JYJ 멤버 박유천의 <유재석, 김원희의 놀러와> 출연이 전격 취소됐다. MBC 드라마 <리플리> 출연자들과 함께 하는 콘셉트였는데도 말이다. KBS2 TV <승승장구>에서는 녹화 하루 전에 출연이 취소되기도 했다. 제주 KBS의 <제주 7대 경관 기원 특집방송>은 방송 4일전에 출연취소가 통보됐다. 대한민국에서 그들은 자유롭지 않았다.

JYJ 2013년 7월, 공정거래위원회는 SM에 대해 사업활동 방해행위금지 시정명령을 내렸다. 하지만 법적인 공방이 끝났는데도 JYJ의 국내 방송활동은 쉽지 않았다. 방송출연만이 아니었다. 지난 2월에는 JYJ의 다큐멘터리 <더 데이>의 극장 상영이 갑자기 취소되었고, 케이블ㆍ위성TV 채널 방송 계획도 갑자기 편성이 취소되었다. 이미 예고편도 나간 상태였다. 아시안게임 개막식에는 올랐지만, JYJ의 국내 방송활동 재개는 쉽지 않아 보인다.

JYJ 사례는 특이한 경우였다. 거대 연예기획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기 때문이다. 쉽지 않은 소송행위였다. 거대 소속사에 밉보이게 되면 국내 활동이 어렵기 때문이다.

엑소M의 사례를 보자. 3년차 밖에 안 된 엑소의 멤버가 연이어 탈퇴했다. 크리스에 이어 루한까지 전속의 무효를 주장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해외 출신이기 때문에 부적응의 문제가 컸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지만, 근원적으로는 '인큐베이팅 시스템'의 모순이 거론된다. 한국만의 독특한 연예기획시스템으로 불리는 '연습생 인큐베이팅 시스템'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여되어야 한다. 또한 각 개인들에게 희생을 요구하는 면도 크다. 어떻게 보면 한국인들에게 잘 맞는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겠다.

119284_136436_3656_99_20141013104203.jpg
▲ 엑소 루한(왼쪽)과 크리스(오른쪽) ⓒ SM


엑소 루한(왼쪽)과 크리스(오른쪽) ⓒ SM 문제는 개인이 느끼는 부당함에 대해 기획사나 소속사가 어떻게 대응하는가이다. 대형 기획사 소속일수록 그 영향력 때문에 부당한 계약 상황에서 이를 파기하는 일은 쉽지 않다. SM정도의 연예기획사라면 더욱 그렇다. 하지만 해외 출신 멤버들은 이런 점과 별개일수 있다. 해외 출신이라고 해도 중화권 출신은 더욱 그렇다. 애초에 SM이 중화권 출신 멤버들을 연습생으로 선발한 것은 그쪽 시장이 매우 거대하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SM은 유럽이나 미국보다는 중화권을 겨냥해왔다. 중화권에서 커뮤니케이션이나 문화적 융화 등 한국 출신 아이돌 그룹 멤버들은 여러 한계를 노출시켜 왔기 때문에 다른 기획 매니지먼트 전략이 필요했다. SM이 선택한 것은 현지화 전략이었다. 현지화 전략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SM은 중화권 언어와 문화에 익숙한 지원자를 아이돌 그룹 멤버로 '인큐베이팅' 했다.

EXO 하지만 그들을 한국 방식으로 육성하거나 매니지먼트 하는 것이 적절할까. 애초의 계약 사항과 활동상의 불편부당함은 탈퇴의 좋은 명분이 되어 버렸다. 국내 멤버들은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음에도 이후 활동 제약을 당할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인내하는 경우가 많다. 아니면 아예 활동을 끝낼 생각으로 탈퇴를 결행한다. 하지만 해외출신들은 그러한 두려움을 가질 필요가 없다. 더구나 그들에게는 넓은 활동 영역이 있다. 중화권의 시장은 할리우드도 좌지우지 할 정도다. SM을 비롯한 대형연예기획사들이 아무리 영향력이 있다지만, 한국처럼 중화권을 '컨트롤'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음습한 곳에서 곰팡이가 피는 법이겠다. 처음부터 모순이 많은 한국의 연예기획사는 더 넓은 시장으로 가기 위한 중간 정거장에 불과했다. 이를 국가주의적 관점에서 대단히 높이 평가하고, 한류의 붐을 위한 방편으로 부화뇌동하는 일은 더 이상 곤란하다.

따라서 SM의 현지화 전략은 전면 재검토를 해야 한다. 한국의 연예매니지먼트 시스템은 한국의 비정상적인 상황 속에서 '케이팝 한류 현상'을 만들어냈다. 하지만 그것은 보편적 시스템으로 적용되기엔 한계가 너무나 뚜렷했다. 아니 이는 비단 해외출신들의 멤버에게만 해당되지 않는다. 크리스와 루한 소송전과는 별개로 한국의 연예기획 시스템의 모순을 개선하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 더 이상 한국 젊은이들의 고통스런 인내와 두려움을 기반으로 '케이 팝'의 한류를 지속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그것은 한때의 모순에 바탕을 둔 비정상적인 현상이었음을 인정해야 한다.

김헌식 대중문화평론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1519399 소시를 다 좋아하고 탱구를 더 좋아하는것 뿐.. [1] ㅇㅇ(110.70) 14.10.17 147 0
1519398 요새 써니 라디오 점점 선물이 넘친다 이럴때 사연보내라 [2] ㅋㄷㅋㄷ(121.147) 14.10.17 137 0
1519397 내가 웃는게 웃는게 아니야~ 또 내가 걷는게 걷는게 아니야~ zumma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44 0
1519396 미쏘는 왜 도대체 팬싸 안하는거냐 ㅇㅇ(111.118) 14.10.17 54 0
1519395 아 멜론 없네 ㅡㅡ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72 0
1519394 백현 피하려다가 김희철이라니 [4] ㅇㅇ(223.33) 14.10.17 883 0
1519393 미생 재밌따 [2] 물개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81 0
1519392 치즈케이크vs초코케이크 [9] ㅇㄷ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107 0
1519391 김탱구단발 웨에이브~vs쵸코송이 [4] 심장박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134 1
1519390 애기보고가라 [1] ㅇ동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82 0
1519389 라면 후레이크 같은건 따로 못사지? Aㅏ닝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64 0
1519388 고닉들 욕좀하지마 [1] ㅇㅇ(218.150) 14.10.17 117 0
1519387 태연 왜 김희철 품에서 우냐? [2] ㅇㅇ(110.70) 14.10.17 350 1
1519386 애기같옹 [3] 탱:Limead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159 0
1519385 나도 한땐 단체짤 뜨면 누구 빠졌나 아홉까지 셌는데 부질없다는걸 알아버렸 ㅇㅇ(175.223) 14.10.17 139 3
1519384 유동글 반고닉글 클릭금지 [4] ㅇㅇ(110.70) 14.10.17 129 0
1519383 탱구 찡긋하는것봐 ㅠㅠㅠㅠㅠㅠㅠㅠ.gif [2] ㅇㅇ(111.118) 14.10.17 282 1
1519381 여기가 여자있는지 왜 궁금하냐 [6] 파나틱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168 0
1519380 존나 기발한 아이디어 ㅇㅇ(110.70) 14.10.17 77 0
1519379 지금 병신 고닉 하나가 보이는데 나만 그런가, [4] ClaSsI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253 0
1519378 김탱구 오대오vs이대팔(?).. [4] 심장박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168 0
1519376 근데 개소문이 머냐 [5] ☀맥핑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281 0
1519373 탱갤에 진정한 여자는 없다 [2] 파인탱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124 0
1519372 아 배불배불 [2] ㅇ동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86 0
1519371 김탱구 진짜 씹덕돋네.jpg [1] ㅇㅇ(111.118) 14.10.17 266 1
1519370 태티서 활동 보면서 진짜 이젠 소녀가 아닌것 같다 ㅇㅇ(39.115) 14.10.17 112 0
1519369 이제 그만 지랄하라고 꼴리는대로올리는걸로 결정남 [2] ㅇㅇ(218.150) 14.10.17 114 1
1519368 만약 판교에 그현장에 소시왔으면 너네 올라갔을거같음?? [13] 92소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403 0
1519367 써니 라됴에서 받은 상품권으로 가디건 샀다 Aㅏ닝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71 0
1519366 여기 여자는 없냐 [3]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123 0
1519365 문제는 이거지 매번 같은걸로 지랄나도 고닉새끼들은 [6] ㅇㅇ(223.62) 14.10.17 250 8
1519364 탱구 몸매 ㄷㄷ.jpg dd(111.118) 14.10.17 276 0
1519363 짐 써니 라디오 들으세요 ㅋㅋㅋ개웃김 ㅋㅋㅋㅋㅋ 7077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78 0
1519362 연예인을 이정도로 좋아하는건 (°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83 1
1519361 공연하는사람들도 안전불감증 쩔어. 내가챙겨야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77 0
1519360 김희철은 본인이 탱구 옆에서 멀어지는게 보호라는걸 몰라 [2] ㅇㅇ(223.33) 14.10.17 201 2
1519359 Orrism 프리뷰 [4] ㅇㅇ(39.7) 14.10.17 555 0
1519358 김탱구흑발 앞머리 있vs없 [8] 심장박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259 1
1519356 지령은 무슨 다 한두놈이지 [13] Mr.돈가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237 0
1519355 징구 어빠랑 결혼하고 싶다 [1] ㅇㅇ(222.121) 14.10.17 124 0
1519354 이 사진 진짜 레전드중 하나 아니냐??.jpg [1] ㅇㅇ(111.118) 14.10.17 225 0
1519353 ㅅㅂ존나 더럽 [4] zumma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221 0
1519352 태연선배... [2] ㅇㅇ(14.47) 14.10.17 170 1
1519351 병먹금한다면서 병신글 댓글에 ㅂㅁㄱ이지랄하는거 노이해 [3] ㅇㅇ(119.207) 14.10.17 104 0
1519350 태연이랑 상관있는 얘기만하자 멤버들도 [1] ㅇㅇ(175.223) 14.10.17 155 3
1519349 애들 정규 5집 컴백 때 기합 넣는 파이팅 차원에서 [1] ClaSsI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17 124 0
1519348 뭔 김희철이 탱구를 좋아해 [2] ㅇㅇ(223.33) 14.10.17 297 5
1519347 근데 머글들은 흑발 앞머리 탱구 되게 좋아하더라 [3] dd(111.118) 14.10.17 238 0
1519346 태니말고 태희를 밀자 ㅋㅋㅋ ㅇㅇ(175.223) 14.10.17 169 0
1519345 내가 챙겨야지 너는 고닉들 까기 전에 [6] ㅇㅇ(119.201) 14.10.17 170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