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나치
아돌프 히틀러: 총통 겸 나치당수
헤르만 괴링: 공군장관 겸 총사령관
루돌프 헤스: 부총통 겸 나치당 부당수
하인리히 히믈러: SS친위대장 겸 게슈타포 총책임자
파울 요제프 괴벨스: 선전장관 겸 문화회의 의장
알프레드 로젠베르크: 나치당 외교부장
칼 마이스너: 국무장관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외무장관
폰 귀르트너: 법무장관
슈베린 폰 크로지크: 재무장관
에듀아르트 루스트: 과학 및 교육장관
발터 풍크: 라이히스방크총재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체코총독(보헤미아-모라비아 보호관)
콘라트 헨라인: 주데텐란트총독
아르투르 자이스 잉크발트: 오스트리아 나치당수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SD보안경찰 총책임자
2.파시스트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왕세자 움베르토
베니토 무솔리니: 수상 겸 파시스트당수
디노 그란디: 외무장관, 법무장관, 주영대사 등 역임
주제페 보타이: 국민교육장관
갈레아조 치아노: 외무장관
세자르 마리아 데베키: 로마진군의 사천왕, 바티칸주재대사 역임
에밀리오 데보노: 로마진군의 사천왕, 에티오피아 침략의 총사령관
로돌포 그라치아니: 에티오피아 침략군 총사령관, 리비아주둔 원정군 총사령관
피에트로 바돌리오: 육군총사령관 겸 참모총장, 전쟁에 소극적
3.군국주의 일본(1941년 12월 8일 기준)
국왕 히로히토
왕세자 아키히토
왕족 지치부 노미야
왕족 다카마츠 노미야
왕족 히가시구니 노미야
토죠 히데키: 내각총리대신 겸 육군대신
시마다 치케타로: 해군대신
호시노 나오키: 국무대신 겸 내각서기관장
시게미쓰 마모루: 외무대신(윤봉길에게 폭탄 맞은 그 시게미쓰)
가야 오키노리: 대장대신
기시 노부스케: 상공대신
우에다: 농상대신
히로타 고키: 내각참의관(전임 외무대신, 수상)
미나미 지로: 조선총독
아라키 사다오: 전임 육군대장-문부대신
하다 슌로쿠: 전임 육군대신, 당시 중지나파견군 총사령관
고이소 구니아케: 전임 조선주둔 일본군 사령관-척무대신
스즈키 사다이치: 기획원 총재
시라토리 도시오: 외무성 고문
오가와 슈메이: 침략주의의 함양, 네오콘 윌리엄 크리스톨과 비슷한 역할
기무라 헤이타로: 육군대장, 육군성 부대신
스기야마 하지메: 육군대장, 육군참모총장
무토 아키라: 육군중장, 육군성 군무국장
이타카키 세이시로: 육군중장, 조선주둔 일본군 사령관. 만주사변의 기획자
우메즈 요시히로: 육군중장, 관동군 사령관
도이하라 겐지: 육군항공총감. 특무기관장으로 일본 첩보활동의 1인자
나가노 오사미: 해군대장, 해군군령부총장
야마모토 이소로쿠: 해군대장, 연합함대 사령장관
나구모 다다이시: 해군중장, 연합함대 소속 제1기동함대 사령관
4.폴란드(1939년 9월 1일 기준)
이그나시 모시치츠키: 대통령. 루마니아, 스위스로 망명했다 타계
베크: 외무장관
카스프르지키: 국방장관
스미그리 리츠: 육군총사령관
스타키비치: 육군참모총장
야크린치: 육군참모차장
시콜스키: 1939년 9월 22일 이후 전권을 부여받아 파리에 폴란드 망명정부 수립
5.체코슬로바키아(1938년 9월 기준)
에듀아르트 베네슈: 대통령. 주데텐란트가 넘어가자 사임
실로비: 국방장관. 베네슈 사임 후 수상에 취임
허카: 대법원장. 베네슈 사임 후 대통령 취임
쿠바르코프스키: 베네슈 사임 후 외무장관 취임
얀 마사리크: 주영대사. 베네슈 망명정부의 외무장관
6.덴마크(1940년 4월 9일 기준)
국왕 크리스티안 10세
스타우닝 수상: 나치군의 침공에 항복 주장
뭉크 외무장관: 항복 주장
프리올 육군총사령관: 나치군이 코펜하겐을 점령하고 왕궁 포위한 상황에서 저항 주장
7.노르웨이(1940년 4월 9일 기준)
국왕 하콘 7세: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10세의 동생
코트 외무장관
칼 함브로 국회의장: 노르웨이 저항파의 지도자
팔 베르크 대법원장: 히틀러에 의해 노르웨이 임시정부 수반에 임명되었으나 후에 레지스탕스에 합류
비드쿰 크비슬링: 전임 국방장관, 노르웨이 파시스트당수. 히틀러에 협력하여 비행장과 항구를 넘겨줌
8.프랑스(1939년 9월 1일)
알베르트 르브룅: 대통령
에두아르 달라디에: 총리
에두아르 에리오: 하원의장 겸 급진사회당수,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
레온 블룸: 1872년생, 사회당 당수, 전임 총리
마르셀 카섕: 1869년생, 하원의원 겸 공산당 지도자
폴 레노: 1978년생, 재무장관
프랑소와 퐁세: 전임 주독대사
쿨론드르: 주독대사
레옹 노엘: 주폴란드대사
프랜시스 가믈랭: 1872년생, 육군참모총장
막심 웨이강: 1867년생, 레반트 주둔 프랑스군사령관. 1940년 5월 프랑스육군참모총장에 임명
장 루이스 다를랑: 1881년생, 해군사령관. 비시정부의 부총리와 3군총사령관 역임
헨리 페탱: 1855년생, 전임 국방장관 및 육군원수. 당시 스페인주재대사
샤를르 루이 마리 드골: 1890년생, 육군대령
10.영국(1939년 9월 1일)
국왕 조지 6세
네빌 체임벌린: 1869년생, 수상 겸 보수당 당수. 1940년 5월 사임하여 11월 9일 타계
에드워드 할리팩스: 외무장관
호레이쇼 윌슨, 알렉산더 카도간, 스트랑: 외무성관료
윈스턴 레너드 스펜서 처칠: 1874년생, 전임 재무장관, 10년째 재야인물
리처드 클레먼트 애틀리: 1883년생, 하원의원 겸 노동당 당수
헨더슨: 주독대사
케너드: 주폴란드대사
로시안: 주미대사
데이비드 켈리: 주스위스대사
윌리엄 시즈:주소련대사
11.소련(1941년 6월 22일)
요제프 스탈린: 1879년생, 소련공산당 중앙위 총서기 겸 인민위원회의장(수상)
미하일 이바노비치 칼리닌: 1875년생, 연방최고회의 간부회 의장
미하일로비치 몰로토프: 1890년생, 외무인민위원
클레멘트 보로실로프: 1881년생, 국방인민위원 겸 원수
라브렌티 베리야: 1899년생, 공산당 정치국원 겸 내무인민위원(1953년 스탈린 사후 총살당함)
니키타 흐루시초프: 1894년생, 공산당 정치국원 겸 우크라이나공산당 중앙위 제1서기
라자르 카가노비치: 1893년생, 공산당 정치국원 겸 중공업-석유공업담당인민위원
게오르기 말렌코프: 1902년생, 공산당 중앙위원 겸 중앙서기국원
막심 리트비노프: 1876년생, 주미대사
솔로몬 로조프스키: 1878년생, 코민테른 집행위원, 극동관계담당 외무인민위원대리 겸임(1949년 추방)
니콜라이 불가닌: 1895년생, 러시아공화국 인민위원회 의장
니콜라이 보즈네센스키: 1903년생, 인민회의 의장대리(1949년 숙청, 1950년 총살, 흐루시초프 시절에 복권)
안드레이 즈다노프: 레닌그라드시장 겸 공산당 제1서기. 1948년 의문사
블라디미르 데카노조프: 베를린주재 소련대사. 1953년 베리야 파로서 베리야와 함께총살
세미욘 티모셴코: 소련육군 참모총장
코페츠: 소련공군 사령관. 개전 당일에 스탈린의 문책을 두려워해 권총자살
콘스탄틴 로코소프스키: 사형수, 감옥에서 나와 기계화군단장에 부임. 1953년 스탈린 사후 복권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