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팁] 허접하게 써보는 엘드레인의 야생지 드래프트 팁 3부 - 짬통덱

ㅇㅇ(211.219) 2023.10.19 00:38:51
조회 754 추천 13 댓글 8
														

1부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tg&no=468376


 


2부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tg&no=468399

 



마지막 3부입니다. 언제나 드래프트에는 좋은 색 / 나쁜 색이 있습니다. 좋은 색은 겹쳐잡다보니 주요 카드를 집기 힘들고, 나쁜 색은 낮은 픽에 좋은 카드를 잡을 수 있지만 해당 색 자체가 약하기 때문에 집어도 결과가 신통치 않습니다.


제가 실버-골드 정도에 있을 때에 그렇게 드래프트 망한 적이 많았습니다. 17랜드나 언탭지지, 각종 드래프트 순위 사이트 보고 점수 높은거 1픽하고 적당히 둘러보면서 해당 색 또는 색조합에 필요한 카드를 점수 높은 순으로 주워담았죠. 그래서 운좋게 덱이 잘 빠지면 7승하지만 덱이 망해버리면 걍 짤없이 0~2승했습니다.


드래프트 실력이 느는건 판수를 박아야 느는가? 아닙니다. "잘 하는 사람의 드래프트를 봐야" 늡니다. 그래서 제일 좋은건 트위치에서 매직 드래프트 악귀들 소위 말하는 젬 수거단 방송을 보는 것입니다.


그러면 그 사람들이 집는 카드가 있고, 안집는 카드가 있습니다. 집는 카드는 계속 보이니까 외워지게 되고 안집는 카드는 집을만 한데도 절대 안집죠. 2부 공략때 카드 하나하나에 대한 설명을 쓰지 않고 "주요 카드풀"을 적어둔 것이 그것때문입니다.


드래프트는 완성덱이 아닙니다. 짜임새있게 짜야 강한 것이 아닙니다. "강한 카드를 넣어야" 강해집니다. 운이 좋게 색이 맞는 강한 카드로 덱을 꾸리면 좋겠지만, 그게 안되면 다른 색들의 강한 카드를 이용해야합니다.


트위치에서 유명한 매악귀중 하나인 DEATHSIE의 픽짤을 올려보겠습니다. (해당 드래프트는 엘드레인 알케미 드랩이라 약간 우선순위가 다르지만 분위기를 이야기하기 위함입니다)




0490f719b58b6df520a8d3b706f11a3983ee62c76a8b25bac3

슈퍼 폭탄중 하나인 Specter of Mortallity를 집고 시작합니다.



0490f719b58b6df220a8d3b706f11a397b571cd7e14b265d3d

하지만 그 후로 1팩에 쓸만한 B카드가 오지 않았습니다. 어그로에 쓰기 좋은 카드가 아니라서 골가리를 가야하는데 그러려면 G카드가 잘 와줘야 하는데 오는 B/G카드가 시원찮아 W/G 인챈트먼트로 선회합니다.



0490f719b58b6df320a8d3b706f11a3916cf36583841aa54ba

어차피 WG만으로는 덱파워가 안나오기 때문에 U, R카드중에 좋은건 일단 집어줍니다.



0490f719b58b6df020a8d3b706f11a393de9585be8ce03f888

결국 이렇게 집고 WG 메인으로 가게 됩니다. 그러면 1팩 1픽은 버리느냐?




0490f719b58b6dff20a8d3b706f11a39507765942edf4c2b9c

마나 뽑는 수단을 잔뜩 주운 뒤 노양심 4색으로 갑니다. 이 덱으로 아마 6-2였나 7-2였나 했을겁니다.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



주력 조합이 아니어도 잘 집으면 강한 조합이 있습니다. 2부에서 1.5티어나 비주류라고 했던 UR 이젯, RG 그룰, WB 오르조브, UG 시믹, UW 아조리우스입니다.


이중 색 섞기 유리한 R, G가 없는 조합인 WB, UW가 그래서 가장 비주류 색이 됩니다. 특히 UW는 정말 잘 집으면 꽤 센데 말 그대로 "필요한 카드를 다 집어야" 강해집니다.


색을 섞는다는 것은 주력 조합에 +@형식으로 (쥐덱에 이모데인 섞기 등) 더 강해지기 위해서 하는 목적도 있지만,


비주류 조합에 용병을 들여서 약점을 보완하는 형식으로 더 많이 쓰입니다. 따라서 비주류 조합이 어떤 것들이 있고, 그걸 보조하기 위해서 뭐가 필요한지 알고 가야겠죠. 비주류 조합 설명입니다.



1. UW 탭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0a114c2d1971e9eabf581a198b07d2028104e489519459aa90c7e0e501353bf6764c0d4f4ecdad8


제대로 터지면 상대가 농락당하기 싫어서 그냥 나가버릴 정도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이 언커먼-레어고 이중 하나라도 빠지면 다른 덱에게 샌드백 수준으로 처맞습니다. 그래서 색을 섞어야 하는데 마법물체 / 땅만으로 섞어야 하기 때문에 그냥 안가는 색입니다. 진짜 다 집고 해본 적 있는데 그래도 6승밖에 못했네요.


부족한 것은 다른 색이 아닙니다. 엑조디아 수준의 필요 카드입니다. 그래서 색 섞기에도 부적합하고 그냥 기피 1호대상입니다.



2. WB 오르조브 부여마법


오르조브는 가능성이 있지만 한 장의 힘이 너무 셉니다.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1a114c2d1971e9ef33176c7a1b29cc5e9525b7b83edd40efb52abbf317ea223230f93c8a9792f1cdcb62c

바로 이 카드입니다. 오르조브의 약점을 상당수 커버해줍니다. 상대 생물이 탭되어서 나오기 때문에 어그로들도 한풀 꺾이고, 상대 생물은 나온 턴에 방어도 못합니다. Extort (착취)로 꾸준히 1점씩 쪽쪽 빨아먹을 수 있고, "아티팩트와 생물" 이라서 보물 토큰이나 음식 토큰도 나오자마자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게 있으면 오르조브로 갈만하죠. 주요 카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0a114c2d1971e9eabf581a198b07d2029104b43951d479afce67826a4efa5243b9ad1b6b43a4dd5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0a114c2d1971e9eabf581a198b07d2029104b439518409a5e3540f40c566f6c11b54be153a668ab


오르조브의 장점은 Shrouded Shepherd로 모든 생물 -1/-1처리를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쥐덱의 천적이라고 볼 수 있죠. 1/1 2/1 가리지 않고 다 쓸려나갑니다.


또한 손털기 부여마법을 돌려먹으면서 상대 손을 다 아작낼 수 있죠. 평소에는 잘 안쓰는 Ashiok's Reaper도 여기에선 주력 드로우 머신이 됩니다. 문제는 너무 정직해요. 잘 터지면 강한데 상대가 속도로 밀어부치거나 힘싸움 들어가면 거기에 대응하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부여마법 특성상 붙는 생물이 죽으면 힘이 빠지는데 3/2나 2/2가 너무 많아요. 2색 언커먼 생물도 2/2입니다. 제압기는 B쪽으로 확보하면 좋은데 W쪽으로 확보하면 굉장히 수동적이 됩니다. 그래서 필요한 것은 제압기 또는 보호하기입니다. R이나 G를 섞기가 쉽죠.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0a114c2d1971e9eabf581a198b07d2029104a43951e439a4908c865abfdded320b6a1fc89159026

이런 친구들을 섞어주면 약점이 보완되죠. 다른 것도 섞을 것은 많지만 그냥 생각나는 대로 찍어봤습니다.


상기 두 조합은 색을 섞기 어렵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다른 조합에 +@형태가 됩니다. WG + U 라거나 GB + W 같이요.


아래 조합들은 메인으로 쓰기 좋습니다.


3. UR 이젯 스펠


최근 매악귀들이 종종 사용하는 색깔입니다. U쪽이 자주 돌다보니 막픽까지 집기도 쉽고, 주요 카드가 다른 색에서 안집는 카드다보니 진짜 말 그대로 "짬통"으로 강한 위력을 낼 수 있습니다.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0a114c2d1971e9eabf581a198b07d2029104a47951e439ac12ab1a06cd714b27ef53c7b704587f3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0a114c2d1971e9eabf581a198b07d2029104a48951c469a8d581784b42d37675d249c53ce01397b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0a114c2d1971e9eabf581a198b07d2029104a49951d4c9a33150d27edb682ec43b5db318cb0a9b9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0a114c2d1971e9eabf581a198b07d2029104943951f479aab1c02f997f530d762a915bef3881d1c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0a114c2d1971e9eabf581a198b07d2029104945951f439aa6e93a1f704bfb1b9e983a146a42fa6b




기본적으로 R의 강한 생물진과 이용합니다. 특히 보물 토큰 뽑는 고블린, 거인을 많이 사용하고 각종 드로우 수단을 이용해서 핸드를 가득 채웁니다.


0/4 벽에 호기심을 붙여서 때리면 상대가 겁나 짜증냅니다. 재미도 있고 꽤 강해서 1.5티어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조합의 진짜 장점은 R에서 나오는 보물 토큰입니다. 유색 1개짜리 몸에 좋은 폭탄들을 전부 가져다 쓸 수 있습니다. 이젯에게 가장 부족한 것은 "시간"입니다. 카드도 있고 뭐 다 있는데 초반에 버틸 시간이 없습니다. 그래서 주로 초반 제압기들을 가져다 씁니다. 초반 생물은 잘 안씁니다. 왜냐하면 초반 생물은 2~3턴 이내에 나와야 의미가 있는데 그 시간에 해당 색깔의 마나가 뽑히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습니다. 그래서 덱이 말리게 되고 이 덱에 없는게 뭐라고 했죠? 시간이라고 했죠. 시간을 벌려다가 명치가 오목하게 두들겨맞게 됩니다. 이젯으로 가기 쉬운 신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0a114c2d1971e9eabf581a198b07d2029104841951f479a24461dfcb6b35f37ff5882c947c6761f

2/2 패밀리어가 정말 강합니다. R 1점 딱총이라 모험 주문으로 상대 짤짤이 끊어내기도 좋고 커지기 시작하면 감당안됩니다.


요한은 2/5 생물이기 때문에 초반에 극강 방어를 보여주고 서고를 손처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모험 인스턴트가 달린 각종 생물들을 다 꺼내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젯을 굴릴때는 업킵 단계 페이즈 체크를 자주 합니다. 언탭하고, 업킵때 드로우 받기 전에 서고 맨 위의 인스턴트를 써버리면 다음 장을 드로우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0a114c2d1971e9eabf581a198b07d202910484695184d9a928b2cfeb8b56d8b8e36c063b9c2b879

섞어쓰기 좋은 친구들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플레이어들이 1팩 1픽에서 레어 언커먼 집을거 없으면 Candy Grapple이나 Torch the Tower을 집는게 그래서입니다. 둘 다 Bargain이 있죠.


Hatching Plan은 정말 좋은 카드지만 Bargain을 쓰지 못하면 그냥 꽝입니다. 그래서 바겐 카드가 몇 장인지가 중요하죠. 평소 잘 안쓰던 Diminisher Witch도 써먹습니다. 보통 13픽정도로 오죠



이제 남은 3개 조합인 WG, RG, UG은 구분하기가 좀 어려울 정도입니다. 결국 G가 메인에 몸에 좋은 카드들 전부 섞어 쓰는 쪽이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WG는 따로 아키타입이 있지만 남은 두 조합은 사실상 섞는게 기본이 되다보니 RUG 나 BGU 같이 3색이 메인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4. WG 셀레스냐 Aura


단독으로 파워만 놓고 보면 주류 덱에 비빌만한 파워지만 역시 너무 정직하고, 주력 카드가 레어라서 운이 좀 필요합니다. 어찌보면 페어리와 비슷한데 페어리는 날아서 때리기 때문에 상대의 방어를 쉽게 무력화시키지만 셀레스냐는 결국 땅개들이라서 상대의 떡대와 거인들에게 막혀서 답답해하는 꼴을 자주 봅니다. 그룰처럼요. 그래서 페어리는 완성시키기는 어렵지만 완성되면 색터치 없이 강하죠. 다른 색은 색터치로 완성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0a114c2d1971e9eabf581a198b07d2029104f4695184c9a48520eda6d6d00993ee0ea30a5431cbb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0a114c2d1971e9eabf581a198b07d2029104f479518449aa5e499080930bc4122568eea44d13b10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0a114c2d1971e9eabf581a198b07d2029104f48951e449a3566a8964fdcc98e78aff4f817e3e14d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0a114c2d1971e9eabf581a198b07d2029104f49951f459ab4d5698878ad53444b422517ab61f222


기본적으로 2색 레어 생물 Yenna에게 의존합니다. 셀레스냐 덱에서 예나는 제때 처리 못하면 게임이 바로 터져버립니다. 그래서 버프나 제압기도 부여마법을 선호하게 되죠.


셀레스냐를 가게 되는 신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0a114c2d1971e9eabf581a198b07d2029104e41951c4c9ab94ed00b3074392ce86f33cea10877d8

보시면 알겠지만 Spellbook Vendor (책장수)는 W의 GOAT입니다. 그래서 W를 가려면 적어도 책장수 정도는 집어야 갈 수 있는 것입니다. 아무 덱에나 다 들어가고 나온 턴에 바로 못찍으면 게임할맛 안나게 만듭니다.


Cooped Up은 그냥도 매우 좋은 제압기지만 Yenna와 조합되면 상대 생물 하나를 추가로 바보만들고 스크라이까지 하며 예나는 다시 언탭됩니다.


거기에 Tanglespan Lookout은 다른 덱에서는 따로 놀지만 여기서는 무지막지한 위력을 발휘합니다. 따로 드로우 엔진을 돌리지 않아도 그냥 손이 넘쳐납니다.


Tanglespan Lookout 있는 상태에서 Ferocious Werewolf 모험 붙이면 깝깝하다는게 무슨 말인지 알 수 있죠. 그걸 또 예나로 돌려먹는 거죠. 엔진이 돌아가면 답안나옵니다.


단점은 뭘까요. 엔진이 돌기 시작하면 강한데 서순이 중요합니다. 엔진이 순서대로 나와야지 거꾸로 나온다거나, 각개격파로 찍히거나 하면 답없습니다. 그 때 복구하기 쉬운 것은 B나 U지요.


무덤에서 생물을 꺼내오거나, 드로우를 해줍니다. 생각보다 제압기가 많아서 R은 안넣어도 될 때가 많습니다. Cut in은 역할 토큰을 붙여서 쓸모있긴 한데 제압기 많이 먹으면 그것도 필요없습니다.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1a114c2d1971e9ef33176c7a1b29cc5e9525b7b83e9d70edeedfcd608f652e3f0e0dd11eafe4ed76e87cd

당연히 좋은 색깔의 좋은 카드를 넣는게 최고지만 이런 카드들이 보이면 살짝 넣어서 써보세요, 특히 Fell Horseman은 떡대들 많이 쓰는 덱에서 상위로 픽합니다.


디스카드 2장 시키는 주문은 어차피 내가 망하면 너도 같이 망하라는 식으로 쓰고 타격감도 좋습니다.


Fanusbane Troll은 모든 덱이 어떻게든 색을 섞어서 쓰려고 하는 카드입니다만 이 조합 (WG+B)에서 가장 위력이 강합니다. 상대 생물과 박치기하고 역할 토큰 올리고 또 박치기하고...



5. RG 그룰 + @


RG는 따로 테마가 없습니다. 그냥 힘세고 강한 형들 깔고 때립니다. 그래서 잘 집으면 그냥 손목 비틀듯 이기지만 질때는 정말 한없이 비참하게 집니다.


보통 기존 드래프트에서 RG가 자주 갖는 테마는 Ramp입니다. 램프의 뜻은 마나를 불려서 남들보다 더 빠른 타이밍에 큰 형님들을 꺼내는 것이죠.


하지만 이번 블럭은 큰 형님들이 별로 없습니다. 그래서 Ramp해봐야 많은 마나로 4/3이나 깔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고 나면 RG의 고질병인 패 수급 부족으로 벌레처럼 죽게 되는거죠


그렇다면 답은 둘 중 하나입니다. 중반에 굉장히 빠른 속도로 때려서 압살하거나, 아니면 패 보충 수단을 마련하거나 입니다.


RG 그룰을 가기 위해 필요한 카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5fd29cba114c2d1971e9ecb6e7071c5e675d3a4f1b04600723b20d989425162e955c15afdd41932ed0459b158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5fd29cba114c2d1971e9ecb6e7071c5e675d3a4f1b04600733b24ae6c196cde78f4c017f9cad905c510c2d9d1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5fd29cba114c2d1971e9ecb6e7071c5e675d3a4f1b046007e3b261175158f600fd81efede122e20655ae6119a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5fd29cba114c2d1971e9ecb6e7071c5e675d3a4f1b046007f3b248e697f6ea8c2d47b2cd618d0fa4b75d8e349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5fd29cba114c2d1971e9ecb6e7071c5e675d3a4f1b046007f3b21da9cc8e000570604e609189faa6b5d0e1bee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5fd29cba114c2d1971e9ecb6e7071c5e675d3a4f1b04601763b24284c1e5e2babce2c89f04a20c4c05d4d30cd

해당 카드들로 채울 수 있으면 좋고, 더 채우려면 다음 카드들을 이용합니다.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5fd29cba114c2d1971e9ecb6e7071c5e675d3a4f1b04601773b26803edf660bf1ed380f3cc59c12b57700c76b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5fd29cba114c2d1971e9ecb6e7071c5e675d3a4f1b04601743b2792bafdabb3d827b844770ca2b664cd6883cc


빠른 공격은 초반에 상대가 약간의 방어진을 갖출 때, 그것을 무시하고 강한 돌진 생물과 야수 역할로 뚫어버리는 것입니다.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5fd29cba114c2d1971e9ecb6e7071c5e675d3a4f1b04605733b27cceaea2f39377fe055cab98d6ce4fd504d8c

이 카드들이 주력 딜러가 됩니다. 이정도면 괜찮겠지? 하는 타이밍에 순식간에 10점 맞고 죽고는 하죠. 이 타이밍에 가장 위험한 것은 주력 생물이 짤려서 사망하는 것입니다. 그룰이 가장 힘들 때가 4/3이나 2/3 생물에 역할 토큰 붙일 때 제압기 맞는 것입니다. 그 순간 거의 승부가 갈리곤 하죠.


또한, 야수 역할이 무서운 것이 상대가 4/2 생물을 1/1로 막고 때우려고 하는 상황이 있습니다. 그 때 야수 역할 부여하고 Double Strike를 줘버리면 그냥 게임이 거의 끝나버리죠. 상대가 예상할 수 없는 피해가 들어오게 됩니다.


그래서 내 생물을 상대 생물과의 몸싸움 또는 상대의 주문으로부터 지킬 수 있는 가벼운 주문인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5fd29cba114c2d1971e9ecb6e7071c5e675d3a4f1b8581e76253b7fb78e2032de7e5ee3e8bd540b35e57d415c99

위의 1마나 또는 그에 준하는 주문이 무척 중요합니다. 단 1마나 만으로도 판을 뒤집어놓을 수 있는데, 저 판을 뒤집는 플레이 한 방에 게임이 서로 터지기 때문입니다. 그룰을 굴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내 중견 생물을 살려서 그 생물로 상대 생물을 제압한다" 입니다. 딱 한 번만 지키면 보통 이깁니다. 그래서 Royal Treatment가 그룰 어그로의 구세주가 됩니다.


다른 스타일로는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5fd29cba114c2d1971e9ecb6e7071c5e675d3a4f1b04605703b27bbbd0afdd5db3df6a74865de6ec1d8e69c87


카드를 계속 뽑아서 큰 형님들을 많이 깔아 이기는 방법이 있습니다.


Season of Growth, Garruk's Upspring 과 역할 토큰, 그리고 Tanglespan Lookout의 조합은 상대가 화날 정도로 카드를 뽑아댑니다. 게다가 개럭은 돌진도 주죠.


따라서 공격력 4짜리 생물들이 좀 더 중요해지게 됩니다. 그래서 이 모든것에 부합하는 Felicious Werefox가 그룰의 핵심 생물이 되는 것이죠.


또한 해당 스타일은 마나를 많이 뽑으면 더 유용하기 때문에 마나 뽑는 형태의 카드 (보물이나 1/3 엘프) 를 차용하게 되고, 그러면 RG의 약점을 +@ 해서 다른 색 섞기로 보강할 수 있습니다. 주로 제압기나 카드 뽑기, 또는 다른 색의 아주 강한 카드를 한두 장 섞게 되죠.


여러가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룰을 추천하지 않는 이유는 "너무 인기있는 두 색"이라서 그렇습니다. UB 페어리는 U가 비주류라서 주요 카드들을 몰아받을 수 있지만, RG의 핵심인 제압기 / 덩치큰 생물 이 둘을 남들이 가져가기 때문에 덱이 완성되기 정말 힘들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견제를 덜 받는 생물이 있다면 Howling Galefang 정도입니다. 또한, 잘 집어도 손패와 끝없이 싸워야 합니다. 분명히 강하지만 비주류에 놓은 이유는 이때문입니다. 확실히 그룰을 가게 해주는 카드는 Gruff Triplets 속칭 삼형제입니다. 그룰의 모든 단점을 혼자 다 커버해주죠. 



6. 잡탕 굿 스터프 덱


위애서 말한대로 RG는 따로 테마가 없습니다. 그룰의 적은 상대가 아니라 내 손입니다. 내 손패가 구리면 그냥 허무하게 지게 되죠.


UG는 약한게 테마입니다. 손을 그득하게 채우지만 어쨌든 이유없이 약합니다. 그래서 이 둘을 적절하게 배합해서 섞어주면 강력해집니다.


색깔을 잘 섞는 R/G가 만났죠? 5색도 굴립니다. RG를 베이스로 해서 끔찍한 카드들만 하나씩 가져다 쓰는 거죠.


당연한 이야기지만 다른 색들끼리도 섞으면 강해집니다. 하지만 색이 말리기 쉽죠. 그래서 색말림을 풀어주는 카드들을 좋은 카드보다 우선 집어야 할 때가 있고, 그 카드들이 R/G에 많이 있기 때문에 R이나 G중 하나가 베이스가 됩니다. 거기에 여러 강한 카드들을 주워다가 쓰는거죠.


즉, 이 색깔을 잘 굴리려면 "강한 카드"가 뭔지를 확실히 알고 있어야 가져다 쓸 수 있습니다.


아무리 강한 카드라도 2BB를 섞으면 땅이 안나와서 말리게 되죠. 그래서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1a114c2d1971e9ef33176c7a1b29cc5e9525b7b83e8d70e059313aa44d35aa424038499f9a50f764b0541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1a114c2d1971e9ef33176c7a1b29cc5e9525b7b83e8d50ed56a82de055b8c3327ecbc39bf8e126db4908d

이 조합은 처음부터 가게 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골가리 가려고 G 집다가 B가 멸종했다거나, R가려고 집는데 디나이얼 하나도 안오거나, 좋은거 없는 똥팩이거나 이런 식일 때 많이 갑니다.


특히 Collector's Vault는 꽤 느려서 어그로한테 맞아죽을거 같으니 많이 안집을 거 같은데 대치상태에서 이게 나와서 돌아가기 시작하면 답없습니다. 그래서 어그로가 아닌 덱은 대부분 집고 한장씩 씁니다.


1팩에서 자신이 U,R,G를 안가는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10픽 이후에 저런 카드들이 혹시라도 돌면 바로 집어주세요. 2팩 , 3팩때 감사하고 쓰게 됩니다.


그리고 "버티는 생물색"을 확실히 정해주세요. 이게 헷갈리면 99% 맞아죽습니다.


예를들어 2마나 생물을 채운다고 1R, 1G, 1U, 2G 이렇게 집으면 망하게 됩니다. 보통 메인이 R이나 G가 될 것입니다. 그러면 그에 맞춰서 설령 다른 좋은 레어가 있다 하더라도 2~3마나 초반 생물군을 꼭 먼저 집어주세요.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1a114c2d1971e9ef33176c7a1b29cc5e9525b7b83ebd70e4ee70f355bd09ffc7367dcb0d05f9f46abe5e0

이런 카드들은 후반에도 보입니다. 좋은 생물들이 다 짤려서 안보이면 이친구들이라도 집어주세요. 우리는 어그로덱이 아니니까 너무 많이 집지는 않아도 됩니다. 4턴까지 아무것도 안하는 최악의 상황만 피하면 됩니다.


초반을 버텨낼 생물과 마나 수단, 적당한 제압기들을 모아서 힘을 비축했으면 손에 있는 크고 아름다운 친구들을 꺼내서 때려주면 됩니다.


RG+@의 스타일이 아니어도 픽이 말리면 3색 이상으로 가기 쉬워집니다. 그럴 때 다음 카드들을 이용해서 3~4색 덱을 짜줍니다. 3~4색 덱으로 갈 때에는 반드시 마나 필터링 수단을 유틸리티 카드보다 우선해서 집어주세요! 색말림을 해소할 수 있기만 하면 좋은 카드는 어떻게든 집을 수 있습니다. 1팩에서 집던 색깔에만 시선이 고정되어 다른 색의 꿀같은 카드가 옆으로 술술 넘어가고 나는 별로 좋지 않은 카드들을 상위픽에 집다보면 덱의 힘이 약해서 지기 쉽습니다. 기억하세요 강한 카드가 게임을 이기게 해주고, 말리지 않으면 어떻게든 게임은 진행할 수 있습니다.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1a114c2d1971e9ef33176c7a1b29cc5e9525b7b83ebd40e0ad03986e3f746397ef3f31835d985accfd620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1a114c2d1971e9ef33176c7a1b29cc5e9525b7b83ebd30e797b5f1263696bed8d3c24cb475091f13b6a38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1a114c2d1971e9ef33176c7a1b29cc5e9525b7b83ebd20eddc0637baee90ca83124bd9d31d96827079704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1a114c2d1971e9ef33176c7a1b29cc5e9525b7b83ebd00e947a4ecbdf10b3ad36758a15f35c556ddabba3


이렇게 힘세고 강한 친구들을 꺼내서 때려주면 됩니다.


마나 조합은 "주요 색깔들"을 우선 배정합니다. 해당 색이 말리면 무조건 죽는 색이 있죠? 그 색부터 먼저 채워줍니다.


다음으로 터치하는 색깔을 봐줍니다. 반드시 초반에 나와야 하는 카드는 해당 마나를 뽑는 수단 5개, 나중에 나와도 되면 4개 정도면 됩니다.


예를 들어 B가 들어가는 카드 한 장을 터치했습니다. 그러면 기본 대지 늪 한 장과 Rootrider Faun 1장, Prophetic Prism 1장, Goblin Thief 1장 이렇게 4장 정도면 된다는 것입니다.


BB면 6장 정도 확보해줘야 합니다. 그래서 유색 2장이 정말 섞기 어려운 것이죠.


개인적으로 섞기 좋은 카드 몇 장을 골라보라면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1a114c2d1971e9ef33176c7a1b29cc5e9525b7b83ead30e8e70d71425cba33937b146d39c7a445b5d5902

저는 이 카드들을 추천하겠습니다. 언제 나와도 좋고, 초반부터 후반까지 모두 활약할 수 있으며, 컨셉을 가리지 않고, 유색 1개씩이라 꺼내기 부담없으며 위력은 게임을 폭파할 정도의 카드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친구들은 선픽으로 뽑아놓고 나중에 다른 색으로 선회해도 섞어쓰기 아주 좋기 때문에 일단 보이면 집어놓고 보면 좋습니다.


긴 공략글이 끝났네요. 저는 비록 미식 666등 따리지만 빡고수들의 영상을 수없이 보고 직접 플레이하면서 느낀 점 위주로 적었습니다.


이번 블럭 드래프트 정말 재밌습니다. 쉽고 빠르고 강해요. 그런데 집는 법을 모르고 집으면 덱이 따로 놀다가 망하게 됩니다.


최대한 좋은 카드들 위주로 집는다는 것은 이 블럭이 아닌 모든 블럭의 드래프트에 통용된다는 것을 기억해주시고, 여기 안나온 카드들도 물론 쓰긴 합니다. 용도에 맞으면 써요...


다들 드랩 재밌게 즐기십쇼



추신 : 가끔 나오는 상황 중에 알아둘 것이 몇 개 있습니다. (프로들이 실수하는 장면도 봤습니다)


1) 변신대지를 생물로 만들어서 달리면 특수기능이 발동됩니다.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1a114c2d1971e9ef33176c7a1b29cc5e9525b7b83ecd00ec85e6321361c4d2bc225d988bf3317d7de2380

5종류의 2색대지들은 공격할 때 특수효과가 발동됩니다. 그래서 변신하고 달려야 하는데 Brave the Wild로 생물로 만들어주면 그냥 공격하기만 해도 특수효과가 발동됩니다.


2) 변신대지는 본인 변신하는데 탭을 쓰지 않습니다.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1a114c2d1971e9ef33176c7a1b29cc5e9525b679de9c9100f8f32906474d985301671b02d6ed8b146a5


두 서사시는 각각 3,2단계에 생물이 하나 필요합니다. 그런데 생물은 없지만 변신대지만 있을 때가 있어요.


예를들어 Restless Cottage (BG 변신대지)가 있는데 B마나가 다른 곳에서 나오지 않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변신대지로 업킵때 B마나를 뽑은 뒤 다른 곳에서 2G를 보충해서 4마나로 변신해주면 생물이 되어 서사시의 3,2효과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무덤에 갈 때 효과가 나는 부여마법이나 생물들은 제거시키면 효과를 무시할 수 있습니다.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1a114c2d1971e9ef33176c7a1b29cc5e9525b679decc912b5a873aa1e9ed55759d6d0bc7be3b439d1a3

Ouphe를 많이 쓰는 이유가 이래서입니다. 특히 Hatching Plans은 상대가 Bargain 밥으로 던져줄 때 카운터쳐도 막을 수 없습니다. 발동비용으로 희생하는거라서요. 그래서 Ouphe로 제거해주면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4) 역할 토큰은 손으로 올라가면 무덤을 거치지 않습니다.



18b3c42ff1de3da220a8d3b706f11a39f29cd6467faaade54a

상대 체력이 1이 남은 상황에서 쥐 토큰에 마녀 토큰이 붙어있었고, 토큰은 손으로 올라가면 사라지기 때문에 Stockpilling Celebrant로 "마녀 역할 토큰"을 손으로 올렸습니다.


그러면 해당 토큰은 무덤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게 됩니다.


1점을 때리고 싶으면 "쥐 토큰"을 손으로 올려야 합니다. 그래야 붙어있던 마녀 토큰이 주인을 잃게 되고 무덤을 거쳐서 토큰별로 사라지며 1점을 때립니다.



5) Fight 후 Bargain은 조심하세요.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1a114c2d1971e9ef33176c7a1b29cc5e9525b679fe9c913c88d5489cb422d46eda7725e48fa26b5d3d1

복잡한 룰은 아닌데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실수하고 게임 터트리는걸 보고 씁니다.


4/4에 역할 토큰을 붙여서 5/5로 만든 후 상대의 4/2와 Fight를 시켜서 제거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Bargain으로 역할 토큰을 먹어버리면 바로 공방이 내려가면서 죽어버립니다.



6) 모험 주문은 대상이 사라지면 카운터됩니다. 엘드레인의 왕좌때부터 있던 팁입니다.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1a114c2d1971e9ef33176c7a1b29cc5e9525e679deec914d56908f2dce79dc107863ed807a7094e303f


나의 Mintstrosity 3/1 생물에게 상대가 Frolicking Famaliar의 모험 주문인 Blow Off 1점 딱총을 쐈습니다.


이 때 나는 거기에 대응해서 내 3/1 생물에게 Rat out을 찍어버립니다. 그러면 쥐가 한 마리 나오고, 상대의 모험 주문은 피즐되어 무덤으로 가고 생물도 꺼낼 수 없게 됩니다.


그것이 Goblin Bombardment가 슈퍼 폭탄인 이유입니다. 쥐떼들을 꺼내서 전부 딱총으로 쏠 수 있는 것도 그 이유중 하나지만, "내 생물을 목표로 하는 상대의 모든 모험 주문 다른 쪽"을 쓸모없게 만들어 버리는 효과가 상대에게 압박을 심하게 주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희생자들을 고블린 봄바드먼트 옆에 배치해두었습니다. 또한, 상대 생물을 훔쳐와서 마나 소모 없이 그냥 쏴버릴 수 있기 때문에 이래저래 무조건 집어야 할 카드입니다.


7) 이번 블럭은 청색의 페어리 말고는 비행생물을 잘 안쓰다보니까 비행 생물에 대한 대비를 잘 안하게 됩니다. 그래서 대공(Reach) 능력이 있는 생물을 서로 까먹을 때가 있습니다.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1a114c2d1971e9ef33176c7a1b29cc5e9525e679cedc9120594cc0b15b47427d19306fea619f58f3424


Grabby Giant는 4/3 주제에 대공이라서 수많은 페어리들이 눈물을 흘리는 카드중 하나입니다.



8) 알케미 전용 : 거북이를 뺏기면 곤란해집니다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32d4fa4fd28c1a114c2d1971e9ef33176c7a1b29cc5e9525b679feac912b94188851f898f864b899561dea0feb2f766


거북이는 제거되어있을 때 본인 생물로 공격하면 공격력 방어력이 계속 올라갑니다. 상대 생물이 공격하는 것과는 상관이 없죠.


하지만 Decadent Dragon을 상대가 모험으로 써서 서고에 있던 내 거북이를 뺏어갔습니다.


이 상태에서 You는 상대가 아닌 나를 의미하기 때문에 내 생물이 달리면 거북이가 커집니다. 상대 생물이 달리면 안커집니다 ㅎ





알케미도 써보고 싶은데 너무 글을 많이 써서 진이 빠짐 ㅠㅠ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13

고정닉 4

0

원본 첨부파일 50본문 이미지 다운로드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65 AD 호요버스 신작 <젠레스 존 제로> 7월 4일 오픈! 운영자 24/06/05 - -
470420 📰소식 수요일 0~2시에 익살란 업데이트되면 모든 퀘스트 초기화 [7] 에어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9 971 5
470656 일반 커맨더용 이탈리아판 카드들 직구한거 [11] 우엉이야옹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3 587 9
470632 후기 [후기] 역곡 매장예선 진출권 획득 후기 [10] ineulb(223.38) 23.11.13 531 14
470614 일반 매직 DP 모으기 진행 중 [5] 원주율은3.1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3 510 6
470609 🗃덱 익살란 Tetzin (마법물체&밀) 커맨더 소개 [6] ㅇㅇ(116.37) 23.11.12 726 11
470602 일반 실시간 매붕이 족됐다 [15] 남고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2 752 10
470595 일반 공포의 쥬라기 월드 [3] 니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2 710 8
470582 일반 [건대 킨들샵] 11월 3째주 평일 무료 이벤트 안내 [1] 건대킨들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2 290 7
470525 🗃덱 파우퍼 덱 소개 - 골가리 터보 포그 [1] 니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1 347 5
470465 🗃덱 파우퍼 덱 소개 - 술타이 포이즌 스톰 [4] 니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0 478 7
470385 🗃덱 [히스토릭 Bo1덱 소개] Vesuvan - Reality [11] ㅇㅇ(211.219) 23.11.09 568 6
470375 일반 익살란 감동투어 [8] 퍼펙션블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9 943 23
470366 🗃덱 파우퍼 덱 소개 - 디미르 스티커 독덱 [6] 니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8 529 7
470225 일반 The Lost Caverns of Ixalan 프리릴리즈 이벤트 안내 [4] 건대킨들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6 462 7
470181 일반 절대로 절대로 절대로 절대로 질수 없는 핸드의 완성이다 [13] ㅂㅂ(125.186) 23.11.05 988 9
470120 일반 아니 씹 이 게임 처음 함??? [7] 무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4 1194 8
470100 카평 파우퍼 수준의 LCI 감상 - 2 [1] 니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4 361 6
470099 카평 파우퍼 수준의 LCI 감상 - 1 [2] 니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4 409 5
470040 일반 사상자 8 ㅇㅈㄹㅋㅋㅋㅋㅋㅋㅋ [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3 1062 11
470029 번역 히스노밴이라면서 도로 밴을 한 이유 칼럼 [13] ㅂㅈㅍㄱ(175.209) 23.11.03 882 6
469977 스탠 솔저 보딩 가이드 [12] 마노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3 1022 16
469914 일반 한편 파우퍼에서는.... [11] 니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2 610 7
469807 번역 마로에게 듣는 익살란 비전 디자인 망한 이야기 [13] ㅂㅈㅍㄱ(175.209) 23.11.01 975 18
469623 스포 [LCI] Molten Collapse [26] 비터스윗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30 941 11
469604 포니 아바타 공짜로 훔치는 방법 [18] 에어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30 1219 16
469558 후기 바나나오픈 오프라인 우승 후기 [7] ㅇㅇ(211.117) 23.10.29 594 10
469556 후기 제1회 바나나오픈 오프라인 스탠다드 후기 [6] 퍼펙션블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9 426 9
469534 후기 제1회 <BANANA OPEN OFFLINE>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2] 바나나스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9 352 14
469525 후기 카드냥 바나나스탠 후기 [5] ㅇㅇ(211.234) 23.10.29 350 7
468800 대회 [역삼 카드냥] 10월 29일 BANANAOPEN OFFLINE 안내 [14] 바나나스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3 996 11
469498 일반 야심한 밤에 올리는 백만골 기념. [11] ㅇㅇ(121.137) 23.10.29 622 5
469427 일반 아니 이런 버그는 또 첨이네 씨발 ㅋㅋㅋㅋ [10] toa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8 687 9
469386 후기 롤다 10/27 레가시 후기 [11] 페르마_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7 349 6
469290 스포 [익살란2]백섁 레어 디나이얼 [23] 북두의사나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7 988 9
469226 스포 [LCI] 전설적 마법물체 [21] 적분호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6 867 6
469221 스토리 닥터후 스포있음-오스굿 카드 이야기 [6] 배불러(125.191) 23.10.26 641 9
469168 일반 뉴비가 물어보면 답변 받기 어려운 덱 추천해주세요 질문들 [10] 비터스윗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6 750 5
468843 🗃덱 레가시 덱 소개 - 미시시피 리버 [11] 니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3 717 5
468810 후기 23년 10월 플레이랩 The Last modern 이벤트 커버리지 [7] ㅇㅇ(59.31) 23.10.23 491 21
468784 아레나에 돈 쓰는 의미 [8] Crossi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3 2036 13
468774 드래프트(드랩) 브론즈~플래를 위한 팁 1편 - 덱 짜기 기초 [3] ㅇㅇ(110.76) 23.10.22 740 7
468711 파우퍼 덱 구매 관련 이것저것 [5] 니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2 475 5
468653 일반 테마 덱을 찾지 마시오 [12] 비터스윗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1 1190 11
468641 일반 이 작가 콜라보나 더 내면 좋겠다 [2] 에어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1 598 6
468640 일반 이것이 매직 더 개더링이다!!! [11] 에어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1 1325 12
468434 번역 번역) 드래프트 부스터, 여기에 잠들다... [16] 둡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9 955 16
허접하게 써보는 엘드레인의 야생지 드래프트 팁 3부 - 짬통덱 [8] ㅇㅇ(211.219) 23.10.19 754 13
468406 미세팁) 온라인 뉴비한테 이악물고 아레나 하라는 이유 [10] 페르마_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8 1631 6
468399 허접하게 써보는 엘드레인의 야생지 드래프트 팁 2부 - 주요 컬러 [10] ㅇㅇ(211.219) 23.10.18 702 13
468376 허접하게 써보는 엘드레인의 야생지 (WOE) 드래프트 팁 1부 [12] ㅇㅇ(211.219) 23.10.18 777 1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