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조선의 제철기술

ㅁㅁ(49.172) 2017.09.27 00:42:40
조회 3517 추천 52 댓글 23
														

viewimage.php?id=3abcc2&no=29bcc427bd8177a16fb3dab004c86b6f9d6f040c019103ca15b321431e25f1775a3bd3cd96c3b3102ed7911fc4ed613d17d22646627c6da9




이새끼 이딴 소리 싸질러서 설명해봐라고 했더니 이틀이 지난 지금까지 대답을 못하고있어서 내가 대신 쓰는글




=========================================


제철이라고 뭉뚱그려 부르는건 크게 제철과 제강으로 나뉜다. 제철이란 철 산화물의 형태로 자연 속에 존재하는 철광석에서 산소를 제거하고 금속 철을 만들어내는 과정이고, 제강이란 앞서 제철과정에서 만들어진 중간결과물을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강으로 만드는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과정에서 생성된 철은 너무 무르거나 너무 깨지기 쉬운 상태이고 불순물이 많으며 매우 불균일한 상태이기 때문에 탄소의 함량을 조절하고 외부물질을 제거하며 불균일한 구성을 균일하게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다.


제련은 철광석과 목탄을 섞어 불을 지피고 풀무를 이용해서 공기를 불어넣어 온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그렇게 해서 생산되는 철은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다. 괴련철은 제련로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물고 나면 밑바닥에서 발견되는 철덩어리로 스펀지처럼 빈 공간이 많은 성긴 구조를 가지는데, 대개 이 빈 공간 안에는 철광석의 다른 성분들이나 노 내벽에서 나온 성분들이 고온에 액체상태로 녹아서 만들어진 슬래그가 들어가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들을 제거하고 구멍을 메우기 위해 괴련철을 가열해 불순물을 액체 상태로 녹이고, 이를 망치로 두들겨 슬래그가 빠져나오도록 하고 조직을 치밀하게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렇게 만들어진 괴련강은 이제 다시 망치로 두들기는 단조 과정을 거쳐 원하는 모양을 가공해 철제 물건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한때는 괴련강이 탄소가 거의 없는 연철이라는것이 정설이었지만, 연구 결과 그렇지 않다는것이 밝혀졌다. 실제 제련로를 복원해 실험한 결과나 과거 철제유물의 조성을 분석한 결과 제련로에서 산출되던 괴련강은 탄소가 거의 없는 연철에서부터 탄소가 적당량 함유된 중저탄소강, 탄소가 많이 함유된 고탄소강 등등 거의 모든 종류의 철이 나오는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두 번째 종류의 철은 액체 상태로 나오는 선철이다. 본래 철은 녹는점이 높아 과거의 기술로는 액체 상태의 철을 생산할 수 없지만, 철에 탄소가 함유되면 녹는점이 낮아져 고대의 기술로도 액체로 만들 수 있다. 그리고 탄소는 제련로 내에 충분하게 있기 때문에 경험과 기술이 있다면 쉽게 철을 녹일 수 있다. 이렇게 녹아서 제련로 바닥의 구멍으로 흘러나오는 선철은 불순물을 제거한 뒤 주형에 부어 굳혀 주조하면 철물을 만들 수 있다.


탄소가 어째서 중요한가? 철에 탄소가 많이 함유될수록 강도는 강해지지만, 대신 탄소가 너무 많이 함유된 철은 충격에 너무 쉽게 깨져버리기 때문이다. 솥과 같은 철물은 굳이 충격에 강할 필요가 없어 주조로 만들어도 큰 문제가 없지만, 이런 철로 칼을 만든다면 적의 갑옷에 내리치자마자 두동강나버리고 말 것이다. 따라서 충격에 강할 필요가 없는 물건은 탄소가 많은 선철으로 주조하여 생산하고, 충격에 강해야 하는 물건은 탄소가 비교적 적게 함유된 강철 혹은 연철로 생산하는게 기본적인 법칙이다.




이제 이를 염두에 두고 조선의 철을 살펴보자. 『금위영사례』(禁衛營事例)를 보면 아래와 같은 철의 분류가 나온다.



viewimage.php?id=3abcc2&no=29bcc427bd8177a16fb3dab004c86b6f9d6f040c019103ca15b321431e25be21dd76022cb29a5ce0fde0019bdad9b0f411c23181

薪鐵打造斫鐵[每斤劣六兩六戔六分六里炭三升]

斫鐵打造正鐵[每斤劣四兩一戔一分五里炭九升六合四夕]

正鐵打造麁造[每斤劣四兩炭一斗]

麁造打造精造[每斤劣四兩八戔炭一斗五合]

精造打造精精造[每斤劣一雨炭一斗二升]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철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6가지이다.


- 신철(薪鐵)

- 작철(斫鐵)

- 정철(正鐵)

- 추조(麁造)

- 정조(精造)

- 정정조(精精造)


각각의 철은 앞선 철을 두들겨 쳐서 만들며, 각각의 과정에서 1근을 투입하면 얼마가 손실되는지와 거기에 필요한 숯의 양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알 수 있는건 1) 가장 처음 시작하는 철은 신철이다 2) 다른 철을 만드는데는 두들기는 작업이 필요하다 3) 각각의 작업에는 숯이 사용되며 철은 손실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정철의 경우 문헌상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조선왕조실록에서도 공납으로 정철을 받았다는 기록을 쉽게 찾아볼 수 있고, 『탁지준절』(度支準折)에 기록된 대부분의 철물이 정철 혹은 수철(水鐵, 선철과 같음)으로 만들어진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신철과 작철이 아닌 정철부터가 실제 철물을 만들 수 있는 철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추조, 정조, 정정조 등은 정철의 세부 분류였을수도 있고, 아니면 별개의 철이지만 정철으로 뭉뚱그려 부르기도 했던것으로 보인다. 신철의 경우엔 그 정체가 불확실한데, 이는 나중에 이야기하겠다.


주목해야 할 점은 두들겨 쳐서 만든다는 것이다. 보통 철을 달궈 두들기는 과정에서는 탄소가 산화되어 빠져나오게 된다. 다시말해 신철로부터 시작되어 작철, 정철 등으로 이어지는 이 공정은 철에 함유된 탄소가 제거되는 공정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는 곧 처음에 탄소함유량이 높은 철을 생산한 다음 여기서 탄소를 제거해 정철을 만든다는 의미이다.


이를 확실히 하기 위해 일제시기 쇠부리업을 직접 경영한 이백주옹의 증언을 보자.



viewimage.php?id=3abcc2&no=29bcc427bd8177a16fb3dab004c86b6f9d6f040c019103ca15b321431e25f1775a3bd3cd96c3b3102ed7911f96b8673a672d6d136fe744ea



또한 현대에 조선 전통방식을 재현하고있는 이은철 도검장은 전통 야철기술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viewimage.php?id=3abcc2&no=29bcc427bd8177a16fb3dab004c86b6f9d6f040c019103ca15b321431e25f1775a3bd3cd96c3b3102ed7911f9deb606a92e111d8a669ec06


viewimage.php?id=3abcc2&no=29bcc427bd8177a16fb3dab004c86b6f9d6f040c019103ca15b321431e25f1775a3bd3cd96c3b3102ed7911f92ed3a6da963f8f995bf1107


이를 미루어볼때 잡쇠란 쇠부리가마에서 철광석을 제련하여 나오는 첫 산출물으로, 생철(=선철)이 굳어진 것 또는 탄소함유량이 많은 괴련철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강엿쇠둑에 투입해 과다한 탄소를 제거하고, 판장쇠둑에서 다시 한번 가공해 정철을 생산하는것이다. 판장쇠에 대한 두 증언이 엇갈리는데, 이는 아마도 판장쇠가 그 성분과는 상관없이 최종 철물을 생산하기 위해 특정 크기와 모양으로 만든 중간재료를 의미하기 때문일것이다.

다시 정리해보자. 조선의 제철과정은 기본적으로 제련로에서 탄소함유량이 많은 철을 생산해낸 뒤, 여기서 탄소를 제거하는 공정을 거쳐 실제 사용 가능한 정철을 만든다는것을 확인했다. 이는 유럽에서 대략 15세기쯤에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finery forge와 비슷한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먼저 용광로에서 생산된 선철을 굳혀 pig iron을 만들고, 이를 분쇄해 목탄과 함께 finery forge에 넣고 불을 때워 탄소를 제거하는 방식이다. 그렇게 하면 반죽같은 형태의 뜨거운 철덩어리가 생성되는데, 이는 강엿쇠둑에서 만들어지는 '눅진눅진'한 강엿쇠와 유사하다.

이렇게해서 과다하게 들어있던 탄소가 제거되어 연철 혹은 강철 상태가 된 강엿쇠를 생산하여도, 여전히 이를 바로 사용할수는 없다. 아직 외부물질이 들어있고 불순물의 함량이 불균일한 상태기 때문에, 이를 다시 망치로 수없이 두드려 펼쳐 슬래그를 제거하고 조성이 섞여 균질해지도록 가공해야한다. 이런 작업을 하는 것이 판장쇠로이다.

불행히도 잡쇠-강엿쇠-판장쇠로 이어지는 공정 서술과 신철-작철-정철로 이어지는 공정 설명이 각각 어떻게 대응되는지는 불확실하다. 19세기 중반 『연철변증설』(鍊鐵辨證說)에서는 신철이 숙철(熟鐵)의 초출품(初出品)이라고 하고 있으며 숙철은 불에 구운 쇠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잡쇠가 곧 신철인 것으로 보이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viewimage.php?id=3abcc2&no=29bcc427bd8177a16fb3dab004c86b6f9d6f040c019103ca15b321431e25f1775a3bd3cd96c3b3102ed7911fc6ea3a3d8f055f84e6dc9084


그렇다면 이제 정철에서 추가 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추추조, 추조, 정조, 정정조가 어떤것인지 살펴보자. 조선 후기 사료로 추정되는 『철식』(鐵式)에는 추조, 정조, 정정조, 극정조(極精造) 등이 기록되어 있으며 각 분류별로 어떤 철물을 만드는데 사용되는지 기록되어있다. 추조는 물몽둥이, 큰 못 등에 사용되며, 정조는 도끼나 중간 정도의 못을 만드는데 사용되고, 정정조는 작은 못이나 기둥띠철, 지네띠철, 국화쇠 같은 각종 건축용 철물, 각종 연장 등을 생산하는데 사용된다. 극정조의 경우엔 조총이나 불랑기포와 같은 총포류, 환도나 창에 사용되는 날붙이 등을 만드는데 사용되었다.


앞서 말했듯 단조 가공을 할수록 탄소가 제거되기 때문에, 정정조나 극정조는 탄소가 상당히 적게 함유된 상태일 것이다. 이런 철을 총포용 철과 도검용 철으로 동시에 사용한건 특이한 일인데, 보통 총포에는 탄소가 적어 충격에 강한 연철을 사용하고 도검에는 탄소가 어느 정도 함유되어 강도와 경도가 높은 탄소강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어쩌면 똑같이 정정조로 분류되는 철이라도 탄소함유량이 제각각이라 도검용에 적합한것과 총포용에 적합한것이 섞여있던건지도 모르겠다. 사실 전근대 기술로는 똑같은 곳에서 똑같은 방식으로 철 제품을 생산해도 그 성분과 성능이 제각각이었던 경우가 흔했기 때문.




viewimage.php?id=3abcc2&no=29bcc427bd8177a16fb3dab004c86b6f9d6f040c019103ca15b321431e25f1775a3bd3cd96c3b3102ed7911f92be376da36ef7597d6ad068


그렇다면 아마도 추추조, 추조, 정조, 정정조, 극정조와 같은 구분은 그 조성이나 성능에 따른 구분이 아니라 가공에 필요한 자재와 노동을 기준으로 한 구분일 것이다. 조선왕조의궤를 보면 추추조, 추조, 정조, 정정조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철과 숯의 양을 규정지어놓은 부분을 쉽게 찾을 수 있는데, 이는 아마 작업에 사용되는 각종 철물의 분류에 따라 생산에 필요한 자재의 양을 정하는 기준으로서 작용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개당 몇근짜리 추조 못 몇개와 개당 몇근짜리 정조 못 몇개를 노야소(爐冶所)에서 생산하려면 신철과 숯을 얼마나 내어줘야 하는지 등을 결정하는데 사용되었을 것이다. 혹은 화성성역의궤에서 볼 수 있듯이 철물을 조달하는데 있어 추조, 정조 등의 분류에 따라 서로 다른 단가를 적용하여 값을 치르는 기준이 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추추조, 추조, 정조, 정정조의 구분이 고도화된 규범으로서 존재했다는 점은 행정적으로는 높이 살 수 있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조선이 철의 성능이나 품질에 대한 규격화를 이뤘다고 보기는 힘들다. 애초에 19세기 유럽에서 철강기술이 급격히 발달하기 전까지 인류는 2000여년이 넘는 시간동안 경험과 감에 의지하여 철을 다뤄왔고, 따라서 조선이라고 해서 특별히 다를 이유도 없다. 조선과 일본에서 각각 만든 철제 제품의 평균적인 차이보다 조선(아니면 일본)의 대장간 한 곳에서 생산된 똑같은 종류의 철 제품 두개의 차이가 더 클 가능성이 훨씬 높다. 그러니깐 기술적으로 환도가 낫네 일본도가 낫네 할 시간에 유럽제 대포를 빠는게 훨씬 낫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52

고정닉 21

9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10059 일반 폴란드볼 - 트럭의 광기 레벨 [6] 4321(175.121) 18.02.06 1778 32
210055 일반 역사고증으로 말들이 많으니 아예 고증자체를 없앤 '그 영화' [11] ㅇㅇ(119.70) 18.02.06 1654 42
209922 일반 안시성, 적벽 비교 [6] ㅇㅇ(218.153) 18.02.06 1562 25
209915 일반 제다이보단 시스가 되야하는 이유.jpg [7] ㅇㅇ(119.70) 18.02.06 1466 48
209900 일반 킹한민국 국군.jpg [9] 웰치스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6 2091 36
209860 일반 스팸의 력사.jpg [5] ㅇㅇ(119.70) 18.02.06 1825 63
209847 일반 20년대 한국독립군이 인원은 적어도 ㅅㅌㅊ했던 이유 [4] ㅇㅇ(118.221) 18.02.06 415 10
209641 일반 어...개념글에 삐삐삐삐가 마케도니아 가지고 좆지랄 해놨는데 [13] ㅇㅇ(183.109) 18.02.06 1408 23
209640 일반 ABM 실험사실을 인정했네영 [15] ㅇㄷ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6 1335 18
209608 일반 마케도니아 문제에 대해 왜 그리스가 빡쳐하는가? [9] братишк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6 1661 38
209602 일반 (재방송)대일본제국 황국신민 [11] 시마시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6 1432 51
209566 일반 J-20 측면무장창 [12] 바닐라스카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6 1623 15
209446 일반 과기통신부가 제3차 우주계획을 발표했다고함. [14] LittleIceAg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6 587 12
209281 일반 밑에 일본군사잡지 말하는 군붕이를 보니까 이게 생각나는구랴... [15] 후추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1761 44
209264 일반 일본 헬기 조달 사업이 폭망하게된 근본적인 원인을 지적하는 기자 [10] 갈아만든공돌이쥬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2153 30
209258 일반 일본 아파치가 추락하는 동영상 [6] 4321(1.237) 18.02.05 973 11
209231 일반 일본 헬기 도입사업 개 빵터지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7] 갈아만든공돌이쥬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2918 71
209194 일반 양키가 쓴 대만 방어 전략 보고서 요약의 요약본jpg [33] 4321(1.237) 18.02.05 2383 65
209169 일반 이란 공군은 현 정부 싫어할만도 하지 [4] 냉동고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1649 30
209168 일반 2018년의 J-20 [23] ㅇㄷ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5724 41
209144 일반 러시아/시리아군의 병원 폭격 통계 [6] grani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338 8
209130 일반 이란은 이런 특이한 권력구조 때문에 [7] phytoplankt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1457 33
209094 일반 불란서 원잠 르두타블급 짤방jpg [13] 4321(175.121) 18.02.05 1472 33
209086 일반 중국 디자인계의 세계를 향한 도전 [15] ㅇㅇ(121.155) 18.02.05 2723 34
209055 일반 국방부 트위터 ㅋㅋㅋ [14] ㅇㅇ(223.62) 18.02.05 2426 43
209017 일반 국방과학연구소 AESA SAR [4] Sheld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1395 19
208988 일반 이번 Su-25SM 격추로 사망한 러시아군 파일럿에 대해서는 [5] khm(210.124) 18.02.05 1188 29
208982 일반 념글 그레이백급 관련 오류. [4] 워스파이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896 15
208979 일반 씨발 섬짱개새끼들 ㅋㅋㅋ [4] 01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1941 31
208934 일반 일본 AH-64D 민가에 추락 [14] 수류탄이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1635 24
208918 일반 핫산)NHK AH-64 추락 기사 전문 [14] Anelac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1518 25
208754 일반 딴데가 기억하는 2014년 갑갤 분위기 [6] ㅁㅁㅁ(175.223) 18.02.05 510 10
208751 일반 록히드 마틴에서 밀고있는 블랙호크 무장헬기 버전 [16] khm(210.107) 18.02.05 1677 18
208742 일반 이 표 볼때마다 김일성이가 대단한 새끼구나 싶다 [9] 01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508 9
208714 일반 재업) 미 해군 최초의 미사일 탑재 잠수함 USS Grayback [2] 에이렌(211.36) 18.02.05 718 16
208681 일반 러시아 공군 조종사가 영웅이라니 [48] ㅁㅁ(49.172) 18.02.05 2138 47
208671 일반 미국 이 미친놈들은 핵보고서에 이거나 수정해라 [25] GRU(115.160) 18.02.05 1740 51
208647 일반 아, 파일럿에 관련된 추가 내용 [15] GRU(115.160) 18.02.05 1326 31
208592 일반 택티컬은 뭐 거창한게 아니다. [11] 22nd(110.70) 18.02.05 1530 41
208546 일반 밀리터리 리뷰랑 합의함 [25] Sheld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1595 37
208520 일반 소련군함이 미해군 이지스함에 충각전술 시도한 사건 [7] 그저궁금한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1719 27
208515 일반 독일군 현황.jpg [19] ㅇㅇ(1.229) 18.02.05 2976 52
208505 일반 평창 올림픽에 탈영사고 발생 [10] 어나니머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1749 42
208501 일반 무탄피 소총이 다시 등장. FDM L5 [33] SnowDaem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2457 24
208354 일반 국방과학연구소 전열화학포/레일건 계보 [10] Sheld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1539 33
208342 일반 연평도 전진기지 그 유배지를 아십니까?-7 [8] ㅇㅇ(1.240) 18.02.05 1319 23
208287 일반 연평도 전진기지 그 유배지를 아십니까?-6 [9] ㅇㅇ(175.223) 18.02.05 836 24
208268 일반 2함대 pkm 근무했던 222 이야기 [10] 다이나믹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1143 30
208266 일반 PMC라니까 생각나는 건데 [14] 양철나무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05 1728 38
208249 일반 파일럿의 마지막 순간 [12] GRU(115.160) 18.02.05 1758 2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