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갑옷] 조선이나 명나라 갑옷이 일본갑옷보다 우월한 이유 (1)

갑갤러(91.89) 2023.08.04 09:01:17
조회 265 추천 2 댓글 0
														

글자제한때문에 나눠서 올림.


당시 명나라나 조선이나 갑옷은 사실상 거기서 거기였음.


입는거 보면 찰갑,그리고 두정갑. 둘 중 하나 입었음.


쇄자갑이라고 사슬갑옷이나 거기에 철판 좀 덧붙인 경번갑이라고 있긴 하지만


병사던 장군이던 대부분은 찰갑 아니면 두정갑을 입었음. 대량생산이 용이했고 유지보수가 쉬웠기 때문에.


그리고 유지보수측면에서 두정갑이 월등히 우월해서 시간이 지날수록 두정갑의 생산이 더 많아지고 동북아 대부분 나라의 주력이 됨. 찰갑보다 방어력도 우수하고 갑옷의 철편도 찰갑의 연철이 아닌 강철에 대형화된 철편이라 담금질이 가능해 더 튼튼했으니까.

거기다 겉감 및 안감 사이에 철편을 박아넣은 구조상 철조각이 충격량을 흡수하는 찰갑과 비교했을시 다층구조 및 투사체에 겉감이 휘감기며 위력을 반감시키는 효과도 있었기에 더욱더 생존성이 높았기에 자연스럽게 다 두정갑 입고다녔음.

용광로에 적용한 중국의 수력 풀무 ( 출처 왕정농서 )


그리고 조선과 명의 제철기술은 사실상 당대 세계 최고였음. 기계를 이용하여 풀무질을 하여 고른 열을 가하여 일정한 품질의 철을 생산하였으며


주철 및 강철,연철 등을 구분하여 각기 다른 방식으로 취급하며 생산하게

강철(强鐵), 정철(正鐵), 정철(丁鐵), 빈철(鑌鐵)


등으로 구분하여 불렀으며 유럽은 17세기에서야 주철 및 강철 생산이 시작됨.

viewimage.php?no=24b0d769e1d32ca73fec86fa11d02831f774ca47ac4dd7dcba669417d0fdc45e0418cebbd365e8cc7298073af084fa1b713067e8edcc9d4e151c23029d0f33ffca8b5e76c7ea58446be6e17e6b143ab4da79e9f9cc91d3bf53dc0c86c0053798c47267043108e44a3c0357958154d0317a


거기다 유럽에서 17세기 후반에서야 코크스를 써서 강철을 생산했는데.

이건 아시아에선 송나라때 즉 700년 앞서서 이미 하고있었음. 또한 기구나 기계장치로 열처리를 하니 품질이 타 국가와 비교했을때 고르고 안정적이였음. 비교 대상조차 안됨. 




https://books.google.de/books?id=WF9QEAAAQBAJ&pg=PA287&lpg=PA287&dq=%EA%B0%95%EC%B2%A0+%EC%A0%95%EC%B2%A0+%EB%B9%88%EC%B2%A0&source=bl&ots=mA1VXZBTtF&sig=ACfU3U2CuY0VtET2SFH3m5I-ifO7fdCzuQ&hl=de&sa=X&ved=2ahUKEwiU8deZ_Mj_AhUHOewKHSrlAREQ6AF6BAgKEAM#v=onepage&q=%EA%B0%95%EC%B2%A0%20%EC%A0%95%EC%B2%A0%20%EB%B9%88%EC%B2%A0&f=false




출처는 한국 금속 문명사.




한국과 중국에서는 강철을 생산해냈는데.


이는 우수한 품질의 철광산을 보유했기 때문임. 


조선의 철 생산량은 실록 기록에 따르면


https://sillok.history.go.kr/id/kda_11001028_005


5개의 철장에서 12만근이며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C%B2%A0%EC%9E%A5(%E9%90%B5%E5%8C%A0)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C%B2%A0%EC%9E%A5(%E9%90%B5%E5%8C%A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C%B2%A0%EC%9E%A5(%E9%90%B5%E5%8C%A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C%B2%A0%EC%9E%A5(%E9%90%B5%E5%8C%A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C%B2%A0%EC%9E%A5(%E9%90%B5%E5%8C%A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C%B2%A0%EC%9E%A5(%E9%90%B5%E5%8C%A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철장(鐵匠) - sillokwiki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C%B2%A0%EC%9E%A5(%E9%90%B5%E5%8C%A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C%B2%A0%EC%9E%A5(%E9%90%B5%E5%8C%A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철장(鐵匠) - sillokwiki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C%B2%A0%EC%9E%A5(%E9%90%B5%E5%8C%A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C%B2%A0%EC%9E%A5(%E9%90%B5%E5%8C%A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dh.aks.ac.kr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C%B2%A0%EC%9E%A5(%E9%90%B5%E5%8C%A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C%B2%A0%EC%9E%A5(%E9%90%B5%E5%8C%A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



에 따르면 전국의 철장은 36개소이다.


다만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24_0040_0010_0020_0020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24_0040_0010_0020_002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24_0040_0010_0020_002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24_0040_0010_0020_002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24_0040_0010_0020_002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24_0040_0010_0020_002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24_0040_0010_0020_002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24_0040_0010_0020_002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24_0040_0010_0020_002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24_0040_0010_0020_002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contents.history.go.kr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24_0040_0010_0020_002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24_0040_0010_0020_0020" style="color:rgb(51,122,183);text-decoration:inherit;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baseline;background-color:inherit;font-family:inherit;font-weight:inherit;">


의 자료를 따르면 아래의 표를 보듯이 67개소이다.


도·읍명토공 및 토산철산지·철장소재지명 및 貢鐵量
<경기도>
永 平 縣

土産:水鐵

産縣北金洞山 鍊沙成鐵
<충청도>
忠 州 牧
淸 風 郡
懷 仁 縣
恩 津 縣
懷 德 縣
石 城 縣
瑞 山 郡

土産   
土産:沙鐵
土産:石鐵
土産:沙鐵
土産:石鐵
土産:沙鐵
土産   

鐵場在州南末訖金(中品)
産縣西三十里許㫆吾之
産縣南老聖山
産縣南七里鵲旨·熊田·吐串等處皆品下
産縣北二十里稷洞(下品)
産縣南三山里(下品)
鐵場在郡西都飛山南
<경상도>
慶 州 府
密陽都護府
蔚 山 郡

彦 陽 縣
安東大都護府

醴 泉 郡
盈 德 縣

尙 州 牧
陜 川 郡
龍 宮 縣

金海都護府
昌原都護府
山 陰 縣
三 嘉 縣

土産:沙鐵
土産:石鐵
土産   

土産:沙鐵
土産:沙鐵

土産:沙鐵
土産:沙鐵

土産:沙鐵
土産:沙鐵
土産:沙鐵

土産:沙鐵
土産:沙鐵
土産:沙鐵
土産:沙鐵

産府東感恩浦(有鐵場歲貢正鐵 6,533斤)
産府東松谷山
鐵場在郡北達川里, 産白銅鐵·水鐵·生鐵(歲貢山鐵
12,500斤)
産縣西石南洞
産臨河縣北沙等羅里·本谷里等處(有鐵場歲貢正鐵
9,950斤)
産多仁縣東大谷灘(鍊正鐵以貢)
産縣南烏浦項及南驛浦河等處(有鐵場歲貢正鐵
1,724斤)
産州北松羅灘
産冶爐縣南心妙里(有鐵場歲貢正鐵 9,500斤)
産縣南無訖灘·鵲灘·修正灘·明柳(有鐵場歲貢正鐵
8,878斤)
産府東甘勿村
産府南岳山里夫乙無山
産縣北馬淵洞山(歲貢正鐵 7,794斤)
産三岐縣北毛台亦里檻頂山
<전라도>
咸 平 縣
務 安 縣

茂 朱 縣

昌 平 郡
和 順 縣
同 福 縣

土産:沙鐵
土産   

土産   

土産   
土産   
土産   


鐵場二, 一在縣東南柴口洞 一在縣南炭洞(品皆上)
(鍊鐵 1,586斤 納于軍器監)
鐵場在縣東十里蓬村(鐵場 2,200斤 納于繕工監
914斤 納于全州)
鐵場在縣南深谷里洞
鐵場在縣北水冷川里(品中)
鐵場在縣西靈神寺洞(品中)
<황해도>
遂 安 郡
新 恩 縣
海 州 牧
載 寧 郡

牛 峯 縣
文 化 縣
松 禾 縣
殷 栗 縣
長 淵 縣

土貢:正鐵
土貢:正鐵
土産:正鐵
土貢   

土貢   
土貢:正鐵
土貢:正鐵
土貢   
土貢   


石鐵産縣南二十五里草田里(下品)
産州北五十五里靑山里(下品)
石鐵産郡東五里大棗毛老(鍊正鐵以貢又貢生鐵)
石鐵産郡北十五里泥洞
石鐵産縣西十里仇時山及十三里觀音岾(鍊正鐵以貢)


石鐵産縣北十九里金山里(中品)(鍊正鐵以貢)
石鐵産縣西道道里剛(下品)(鍊正鐵以貢)
<강원도>
江陵大都護府
襄陽都護府
旌 善 郡
原 州 牧
寧 越 郡
橫 城 郡
洪 川 郡
淮陽都護府
金 城 縣
金 化 縣
平 康 縣
伊 川 縣
三陟都護府
蔚 珍 縣
春川都護府
狼 川 縣
楊 口 縣
麟 蹄 縣
枰 城 郡
高 城 郡
通 川 郡
歙 谷 縣

土貢:正鐵
土貢:正鐵
土貢:正鐵
土貢:正鐵
土貢:正鐵
土貢:正鐵
土貢:正鐵
土貢:正鐵
土貢:正鐵
土貢:正鐵
土貢:正鐵
土貢:正鐵
土貢:正鐵
土貢:鐵 
土貢:鐵 
土貢:鐵 
土貢:正鐵
土貢:正鐵
土貢:正鐵
土貢:正鐵
土貢:正鐵
土貢:正鐵


石鐵産府西十里鐵掘山
石鐵産郡南五十里許能箭山東





石鐵産岐城東四十五里釜嵓也音浦小川
石鐵産縣東二十里方洞川


沙鐵産府東六里浦汀








 
<평안도>
順 安 縣
价 川 郡
雲 山 郡

土貢   
土貢   
土貢   

鐵冶在縣北公田里
鐵場在郡東卯結山腰(品好, 又産水鐵)
水鐵場在郡東和斤岩
<함길도>
北靑都護府
文 川 郡
吉 州 牧
端 川 郡
鏡 城 郡

土産:石鐵
土産:沙鐵
土産:沙鐵
土産:石鐵
土産:沙鐵

産府東六十里多甫和西山
産郡西十五里豆衣山(下品)
産州東南四十里多信浦項海汀
産郡西六十里龍林峴西大山
産處二, 一在郡東五村里 一在郡南朱乙溫里
산철지 계 67개 읍


즉 1,608,000 근 정도의 최대 철 생산량을 산출해 낼 수 있다.


이걸 톤으로 환산하면 약 1608톤으로 추산이 가능하다.



다만 이 계산은 1근을 600그램으로 한것이고 1근을 500그램으로 하였을 시는 모르겠다 누가 계산좀 시발 조선시대 근은 500그램이 맞다는데 시발 지금 근변환기는 600그램만 계산하니 빡침.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5042 갑옷 조선에도 대갑주검법이 있었을까? [5] ㅇㅇ(115.140) 23.08.19 321 2
5041 갑옷 300 BC ~ AD 1000 유럽의 사슬갑옷 유물 특성 [4] 그냥인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9 486 17
5040 갑옷 (그림) 경번갑 입은 고려군 [11] 한수1898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9 684 14
5039 일반 요즘 드라마 소품 퀄리티 꽤나 올라간듯 [2] 갑갤러(61.84) 23.08.18 202 2
5038 갑옷 D3O로 갑옷 만들면 괜찮을 것 같지 않음? [1] 갑갤러(125.183) 23.08.18 136 1
5037 일반 갑붕이들은 어떤 커뮤이용함? [3] 한수1898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8 166 2
5036 갑옷 어 이거 같은거 아님? [2] 갑갤러(1.227) 23.08.18 136 1
5035 갑옷 결국 갑옷은 돌고돌아 이거임 [6] 갑갤러(124.50) 23.08.18 493 5
5034 갑옷 목재 갑옷은 남아있는게 없는거겠지? [10] 갑갤러(1.227) 23.08.17 228 1
5033 갑옷 삼국시대 전사의 장비 화살통과 화살, 그리고 갑옷의 재현과 실험 ㅇㅇ(211.208) 23.08.16 334 7
5032 일반 궁금한점 [2] 왕관지킴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5 156 1
5031 일반 이거 어디 무인상임? [2] ㅇㅇ(175.199) 23.08.15 277 1
5029 갑옷 관통된 판갑 [5] 그냥인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5 349 3
5028 갑옷 위나라 벽화인데 뭔가 뭔가임 [9] 어디안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5 377 1
5027 일반 넥슨/민트로켓 신규 시네마틱 영상 속 한국 갑옷 [9] ㅇㅇ(175.199) 23.08.13 730 12
5026 일반 영상업계 답답한거 ㅇㅇ(223.62) 23.08.13 172 4
5025 일반 고일권 그는 도대체 [1] 갑찰(210.97) 23.08.13 523 11
5024 일반 심심할떼 외국 경매사이트 가서 예전경매 찾아보면 신기한거 있음 Polarpanda200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3 103 0
5023 일반 건틀릿이 멋있어보여서 하나 구매하려는데용 갑갤러(175.198) 23.08.13 106 0
5022 갑옷 국립 나주박물관 갑주 재현품 [1] ㅇㅇ(211.208) 23.08.13 454 9
5021 갑옷 체인메일 만들기 기본적인 스킬 [1] 사슬장인(49.171) 23.08.12 514 12
5020 갑옷 체인메일용 링에 대하여 [9] 사슬장인(49.171) 23.08.11 634 12
5018 갑옷 이쁜그림 [1] 씨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1 166 3
5017 갑옷 원나라 두정갑은 조선 두정갑이랑 외형면에서 많이 달랐음? [2] asdf(118.235) 23.08.11 229 2
5016 갑옷 중3 갑붕이 투구삼 [11] 왕관지킴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1 489 14
5015 갑옷 로마 갑주짤 [3] ㅇㅇ(175.199) 23.08.10 376 7
5014 일반 중국애들이 갑옷관해선 좀 부럽네 [5] ㅇㅇ(118.235) 23.08.10 734 7
5012 일반 조선 간주투구랑 비슷한 명말기 간주투구 [4] ㅇㅇ(121.176) 23.08.09 525 8
5010 갑옷 은근히 선녀였던 불멸의 이순신 갑옷 소품들.jpg [4] 궯덟멟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9 755 14
5009 갑옷 일본갑옷 그림 [5] Grandadd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8 554 15
5008 갑옷 전에 올라온 드라마 소품 사진보고 생각난건데 [4] ㅇㅇ(I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8 266 1
5007 갑옷 (그림) 고려 갑옷 채색전 수정할거 알려줭 [9] 한수1898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8 464 10
5006 갑옷 황동두정갑 뇌피셜 [5] Polarpanda200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8 338 6
5005 갑옷 이거 보니까 폴리카보네이트로 갑옷 만들어도 꽤 쓸만하겠네 [6] 갑갤러(112.163) 23.08.08 168 3
5004 갑옷 리벳 체인메일 테스트 [1] 크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8 133 3
5003 일반 그냥 두정갑 파는사이트 없냐? [7] 갑갤러(182.231) 23.08.06 259 3
5002 갑옷 유연한 갑옷에 대한 설명.YOUTUBE 갑갤러(112.163) 23.08.06 133 4
5001 일반 만약 로마 시대 때 브리건딘과 스플린트 아머를 봤다면? [3] 갑갤러(112.163) 23.08.06 285 2
5000 갑옷 두정갑 입어봄 [11] ㅇㅇ(121.176) 23.08.06 636 16
4999 갑옷 일드 보다보면 신선조가 이런흉갑 입고있는데? [3] ㅇㅇ(49.166) 23.08.06 339 3
4998 갑옷 역대급 갑옷 소품으로 눈정화하셈 [11] 한수1898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5 669 14
4997 갑옷 근데 김한민 이순신 장군 영화들 투구는 다 왜 이러냐? [6] 궯덟멟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5 717 14
4995 갑옷 두정갑 두꼐로 싸우길래 [2] Polarpanda200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5 218 3
4994 일반 캐틀 햇 좋아하면 개추ㅋㅋ [11] 90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5 420 18
4991 갑옷 armstreet 에서 궁금한점 있습니다 [8] 보미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5 139 1
4990 갑옷 갑옷만들기 철사노가다까지 필요없었네 [2] Water_Bea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5 259 3
4986 일반 안에 갑찰 들어간 고위무관 두정갑들 [1] ㅇㅇ(121.176) 23.08.04 488 8
4985 갑옷 임진왜란 당시 조선 주력갑옷은 두정갑 [6] 갑갤러(91.89) 23.08.04 541 10
4984 갑옷 대충 두정갑 내부임 [3] ㅇㅇ(121.176) 23.08.04 558 12
4983 갑옷 갑옷방호력은 방호재와 설계에 달려있음 [4] ㅇㅇ(1.222) 23.08.04 400 1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