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관리방침 2021.02.09

Erudi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2.09 23:16:13
조회 2314 추천 5 댓글 3
														

이 관리방침은 경제학이론 마이너갤러리를 관리하는 기준이 되는 방침입니다.
부갤주님(들)은 상식적 범주 내에서 이 기준의 적용에 대한 재량권이 있습니다.

이 관리방침 이전에 적용되던 관리방침은 다음과 같습니다(2020.05.11버전, 폐기/대체됨):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eyclass&no=12992

이전 관리방침에서 변경된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글 업로드 도중 에러로 인해 ???등으로 잘못 표기된 부분 수정.(대괄호를 소괄호로 수정하여 오류 해결)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eyclass&no=16408 글에서 예고한 대로 2.2.1. 인종차별, 학벌차별, 성차별 등 부당한 차별을 조장하는 글 삭제 항목에 구체적 예시 추가.
기존 3번 항목에 나열되어 있던 위반사례들을 다른 게시글로 분리하여 게재함.
인용글 목록에서 일부 줄바꿈 수정.


-----
목차

1. 서론.

2. 관리기준.

2.1. 갤러리 소개.
2.1.1. 정견 표현 제한.

2.2. 기본 예의 준수.
2.2.1. 인종차별, 학벌차별, 성차별 등 부당한 차별을 조장하는 글 삭제.
2.2.2. 욕설 및 비하 발언 금지.
2.2.3. 질문 관련 매너.

2.3. 사실이 바탕되지 않는 주장 내지는 우기는 글 금지.
2.3.1. 증명의 책임.
2.3.2. 적절한 논리 및 근거.
2.3.3. 유사과학, 병적과학, 쓰레기과학 등 금지.

2.4. 법률 및 사회상규 준수.
2.4.1. 저작권법.
2.4.2. 도배 금지.
2.4.3. 학업 윤리 준수.

3. 사례 예시.

4. 참고한 글.

-----

1. 서론

이 글(관리방침)은 경제학이론 마이너갤러리를 관리하는 기준입니다.

글 삭제, IP 차단 등의 제제조치는 본 기준에 기반하여 이루어집니다.
제제조치와 관련하여 커뮤니티의 이익에 필요하다 판단되는 경우 왜 제제했는가에 대한 설명문을 올릴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일종의 판례(?)로서 제제대상 글을 삭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제대상 글을 삭제하더라도 아카이브, 캡쳐 및 기타 형태로 삭제된 원본글 또는 댓글들을 보관할 수 있습니다.

부갤주님(들)은 상식적 범주 내에서 이 기준의 적용에 대한 재량권이 있습니다.

현재 관리방침에서 다루지 않는 문제 발생시 가능한 합리적이고 경제학적인 판단으로 조치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불만, 이의, 건의 등이 있으시면 갤주/부갤주 등 관리자에게 상세히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관리기준.
현 시점부터 다음번 관리방침 변경까지 적용할 관리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2.1. 갤러리 소개.
여기는 경제학이론 마이너갤러리입니다.
"경제학 이론 및 현실경제와 금융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곳입니다. 경제학과생의 취업 또는 학부/대학원 생활에 대해서도 이야기합니다."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 내용은 다른 갤러리나 커뮤니티를 이용해주셨으면 합니다.

2.1.1. 정견 표현 제한.
정치적인 의견은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물론 경제를 정치적 상황과 완전히 분리해서 볼 수는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1]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인 커뮤니티라면 그냥 정치글 무조건 금지하면 되지만 여기서는 그게 어렵습니다.
그러나 경제학은 주인 이름을 새긴 명패를 목에 걸고서 자기 주인이 더 대단하다고 논쟁하는 노예들을 위한 학문이 아닙니다.

경제학은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을 찾는 학문입니다.
그 목표의 특성상 경제학은 실사구시적입니다.
또한 그렇기에 현대 경제학은 경제를 도덕철학이 아닌 사회과학의 측면에서 바라봅니다.
실제로 현대 경제학의 연구 프로그램은 규범경제학이 아닌 실증경제학에 방점을 찍고 있습니다.
밀턴 프리드먼의 유명한 에세이에서도 그러한 실증분석을 중시하는 흐름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2]

규범적인, 정치적인, 자신의 믿음에 근거한 발언은 자제하는 것을 권유하나 아예 금지하지는 않겠습니다.
단 아래와 같은 제한을 둡니다.

1) 이러한 발언들은 충분한 실증적 근거를 가져야만 합니다.
2) 서로 다른 규범적 해석 및 정책 처방이 가능한 경우에는 이런 다른 해석들을 무시하지 말아야 합니다.

현재 경제갤러리가 똥통이 된 이유 중 하나는 이러한 정견에 관련된 문제를 잘 대처하지 못한 것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본 마이너 갤러리가 같은 전철을 밟지 않도록 다 같이 노력했으면 좋겠습니다.

2.2. 기본 예의 준수.
모니터 뒤에 사람 있습니다. 최소한의 예의를 지키고, 서로의 인격권을 존중해주시기 바랍니다.
상대가 나를 존중하지 않더라도 나까지 인성을 쓰레기통에 가져다 버리지는 않았으면 합니다.

2.2.1. 인종차별, 학벌차별, 성차별 등 부당한 차별을 조장하는 글 삭제.
학벌을 예로 들어볼까요. 많은 경우 학벌이 시그널이 될 수 있다는 점은 다들 아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그 시그널이 모든 곳에 적용될 수 있는 시그널은 아니란 점 또한 알아야 합니다.
이를 무시하고 인종, 학벌, 성별, 문과/이과, 전공분야 등으로 부당한 일반화 및 차별을 하는 행위를 자제해주셨으면 합니다.

2.2.2. 욕설 및 비하 발언 금지.
본 마이너갤러리 이용시 욕설 및 비하 표현을 사용하지 말아주시기 바랍니다.
그런 표현을 대체하기 어려워서 해당 표현이 꼭 필요한 경우가 어쩌면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런 경우는 그리 흔하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욕설 및 비하 표현들은 불필요한 악감정을 낳을 수 있으므로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여기에서는 금지어 목록을 통해 이런 욕설/비하표현들을 차단하고 있습니다.
합당한 경우를 제외하고 차단 단어를 우회하는 것은 적극성 및 고의성이 있다는 것이므로 좀 더 강력한 제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합당한 경우의 예: 2018년 평창올림픽에 대해 이야기할 때 '18년'때문에 차단되는 것을 우회하는 경우.)

2.2.3. 질문 관련 매너.
질문하는 방법에는 좋은 질문 방법과 나쁜 질문 방법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수많은 글들이 있습니다.[3][4][5]

본 마이너갤러리에서는 질문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권장합니다.
-질문하기 전 검색 기능을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어디서 나오는 문제인지 간략하게라도 밝히고 질문해주시기 바랍니다.
(예: 맨큐 7판, 행정고시 28회차 재정학, MIT 거시경제학 08년 여름 기말, ...)
-질문시에는 자신이 어떤 것을 시도해봤으며 어디가 이해되지 않는지를 구체적으로 적시하여 질문해주기 바랍니다.
(예: 주어진 조건 하에서의 효용극대화,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한 모수 추정 등)
-답변을 받은 질문글은 향후 비슷한 질문을 하는 사람들이 검색해볼 수 있도록 삭제하지 않고 놔둬주시기 바랍니다.
-질문에 좋은 답변을 받았을 경우 답변자에게 감사의 댓글을 남겨주셨으면 합니다.

2.3. 사실이 바탕되지 않는 주장 내지는 우기는 글 제제.
경제학은 사회과학입니다.
주장을 하려면 정확히 논리를 전개하셔야 합니다.
실증자료가 필요한 내용이라면 적합한 실증자료를 제시하셔야 합니다.
근거로서 참고하는 자료가 있다면 출처를 제시하셔야 합니다.
사회과학도로서 가져야 할 상식입니다. 선동가는 환영하지 않습니다.

2.3.1. 증명의 책임.
기본적으로 어떤 주장을 하는 사람은 자신의 주장에 대해 충분히 설득력 있는, 적절한 근거를 제시할 의무가 있습니다.
즉, 자신의 주장을 증명할 자료와 논리의 제시는 자신이 해야 하며, 남에게 떠넘겨서는 안 됩니다.
이는 연구자가 대립가설의 설정과 귀무가설의 반박에 대한 책임이 있는 것과 같습니다.

다만 경제학부생 수준에서 충분히 알 법한, 혹은 알아둬야 하는 수준의 내용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예외를 둡니다.
'경제학이론 마이너갤러리'이니 그 정도 예외는 괜찮을 거라 봅니다.

2.3.2. 적절한 논리 및 근거.
어떤 사안에 대하여 경제학적인 주장을 할 때에는 적절한 논리와 근거를 필요로 합니다.

적절한 논리는 논리적 오류로부터 충분히 자유로워야 합니다.
논리적 오류로 인하여 주장하는 결론의 사실 여부가 유의미하게 변화할 수 있다면 이는 논리적 오류에서 충분히 자유롭지 못한 것입니다.
논리적 오류의 일부 예시: 문맥을 무시한 인용,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감성에 호소하는 오류, 흑백사고의 오류 등.

근거의 적절성 판단에는 도버트 기준을(Daubert standard) 참고합니다. [6]
제시된 근거자료는 주어진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어야 하며, 믿을만한 토대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근거자료가 적절한가를 판단하기 위하여 경제학계 내 합의의 수준, 피어 리뷰의 수준, 논리/계량적 검증의 수준, 오류의 심각성 수준, 정치경제적 인센티브에 대한 독립성 수준 등을 참고합니다.

2.3.3. 유사과학, 병적과학, 쓰레기과학 등 금지.
'과학인 척 하지만 과학적 방법론을 따르지 않는 행위'인 유사과학 혹은 사이비 과학(Pseudoscience), 처음에는 과학적 방법론을 준수하려 했지만 자신의 편견 및 편향으로 인해 원하는 방향으로 결론을 유도하는 병적과학(Pathological science), 특정 이념, 사상, 또는 이익관계 등을 위해 고의적으로 그 연구 결과를 왜곡하고 대중들을 호도하려는 쓰레기 과학(Junk science) 등은 사양하고 있으며 제제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7][8][9](10)

2.4. 법률 및 사회상규 준수.
여러분 중 대다수가 법률전문가가 아닌 것은 저도 알고 여러분도 아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사회상규라는 것이 애매모호한 개념인 경우가 많은 것 또한 누구나 압니다. 하지만 상식선에서 판단합시다. 무슨 게슈타포처럼 이것저것 전부 꼬투리잡을 필요도 없지만 그렇다고 아예 이런걸 무시하고 제멋대로 하는 것은 안 될 일입니다.

2.4.1. 저작권법.
특히 저작권법과 관련하여, 신문기사 등을 인용시에는 기사 전문이나 문단 전체를 올리지 말아주세요. 저작권법 위반이 됩니다.
제목, 링크, 2~3문장 정도 되는 기사 주요내용 요약, 이렇게 3가지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2.4.2. 도배 금지.
게시판의 1페이지는 경합성과 비배제성을 갖는 공유재(common pool resource, CPR)입니다.
지나치게 많은 글을 올리는 소위 '도배'는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이므로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도배 행위로 판단될 경우 삭제, 그리고 그 정도가 지나칠 경우 차단 등의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적용하여 도배 여부를 판단합니다. 아래 기준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할 경우 도배로 간주합니다.
-연달아 올리는 글: 3개 초과
-하루에 올리는 글: 6개 초과
-한 페이지(40개 게시글) 내에 올리는 글: 9개 초과
통신사 IP 등 불특정 다수가 한 IP를 공유하는 경우 올라온 글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동일인 여부를 판단할 것입니다.
위 기준이 되는 수치는 추후 갤러리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다른 관리자분들은 저와는 다른 기준으로 도배 여부를 판단하실 수 있습니다.

2.4.3. 학업 윤리 준수.
경제학도로서 기본적인 학업 윤리(academic integrity)를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대표적인 학업 윤리 위반 사례는 표절, 변조, 위조, 과제물 구매 및 양도, 중복제출 등이 있습니다.
학업윤리에 대해 더 궁금하신 점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올라온 '연구윤리 및 학습윤리'[11] 및 MIT의 Academic Integrity at MIT: A Handbook for Students[12]를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학업윤리에 대하여 본 마이너갤러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둡니다.
-외부인의 도움이 금지되는 시험/과제/퀴즈 등에 대한 질문 금지.
-대리시험/대리과제 및 실질적으로 이와 같은 결과가 유도되는 행위 금지.


3. 사례 예시.

제제조치 및 기타 관리활동과 관련된 사례 모음입니다. 내용이 점점 길어져 따로 분리하였습니다.

제제 관련 사례 모음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eyclass&no=16505


4. 참고한 글.

[1] Economics versus Politics: Pitfalls of Policy Advice (Acemoglu and Robinson, 2013)

[2] Milton Friedman. "The Methodology of Positive Economics" In Essays In Positive Economics (Chicago: Univ. of Chicago Press, 1966), pp. 3-16, 30-43.

[3] '개발자 질문하는 방법 !!' 2020년 5월 11일 확인. https://www.dsun.kr/11

[4] 한아. '[일반] 좋은 질문 하는 방법'. 2017년 11월 6일 작성. 2020년 5월 11일 확인. https://ppt21.com/pb/pb.php?id=freedom&no=74476

[5] Eric Steven Raymond and Rick Moen. 'How To Ask Questions The Smart Way' 2014년 5월 21일 작성. 2020년 5월 11일 확인. http://www.catb.org/~esr/faqs/smart-questions.html

[6] Daubert Standard. 2019년 3월 11일 확인. https://www.law.cornell.edu/wex/daubert_standard

[7] 유사과학의 정의는 한두 문장으로 요약하기에는 좀 내용이 깁니다. 무엇이 과학인가 내지는 과학의 범위가 어떻게 되는가에 대한 등의 문제는 과학철학과 연관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추천되는 과학철학 입문서로는 Alan F. Chalmers의 "What is this thing called Science?" 등이 있습니다.

[8] Langmuir's talk on Pathological Science (December 18, 1953) https://www.cs.princeton.edu/~ken/Langmuir/langmuir.htm

[9] Junk science. 2019년 3월 19일 확인. https://en.wikipedia.org/wiki/Junk_science

(10) 나무위키, '쓰레기 과학'. (2019-02-15 18:44:51 r42수정) https://namu.wiki/w/%EC%93%B0%EB%A0%88%EA%B8%B0%20%EA%B3%BC%ED%95%99

[11]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연구윤리와 표절예방(Turnitin): 연구윤리 & 학습윤리. 2020년 5월 11일 확인. https://skku.libguides.com/c.php?g=614295&p=4284757

[12] MIT. Academy Integrity at MIT. 2020년 5월 11일 확인. https://integrity.mit.edu/

-----

여기까지입니다. 필요한 경우 향후 수정, 가필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0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4624 공지 경제학이론 마이너갤러리 학습참고자료 v0.01-20230628 [4] Erudi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6.28 2886 2
공지 관리방침 2021.02.09 [3] Erudi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9 2314 5
16397 공지 호출용 공지 [7] Utilit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3 862 1
14943 공지 호출용 공지 [78] Erudi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0.06 1339 0
8730 공지 부갤주 모집합니다. [2] Erudi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1.24 1031 5
27086 경제이 쿤터커 도와주세요 경갤러(163.239) 15:08 5 0
27085 일반 여긴 다들 석박사 이상이신가요? [2] ㅇㅇ(115.89) 04:48 105 0
27084 일반 이 갤에서 지금 현재 새고전과 새케인지언이 통합돼있다는 글 본거같아요. [3] qwe(124.56) 03:34 97 0
27083 일반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어요 [11] ㅇㅇ(115.89) 06.05 142 1
27081 일반 goolsbee 미시 괜찮음? 경갤러(172.226) 06.05 72 0
27080 일반 학부 막바지에 미국에서 박사하고 싶어졌는데 [2] 경갤러(61.255) 06.05 174 0
27078 일반 한국 일본 gdp 추월에 대한 반박 댓글 이거 진짜임? [7] ㅇㅇ(211.235) 06.05 216 1
27077 일반 경제학원론 뉴비 질문) '불변'의 의미에 대해 [3] 박자자율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97 0
27076 일반 베르뜨랑모형에서 선도기업이 손해보는게 정상?? [3] 브이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09 1
27075 일반 편입한 거 꼭 다 말하고 다녀야 한다고 생각하냐 [12] 경갤러(118.235) 06.04 185 2
27074 일반 거시 교과서 추천해줄수 있으실까요? [6] ㅇㅇ(223.39) 06.04 126 0
27073 현실경 K디스카운트_밸류업 (한국경제학회) [4] 경갤러(218.53) 06.04 120 0
27072 일반 거시경제학 관련해서 [2] 욜로욜로요로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26 0
27070 일반 이영환 미시경제학 [5] 경갤러(172.226) 06.04 109 0
27068 경제이 안녕하세요 [3] 익명질문(223.38) 06.04 93 0
27067 현실경 이런 연구가 없을리가 없다고 생각하긴 했지 [17] 건전여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304 1
27066 일반 AI가 없앤 야구계 '마태효과' [2] 경갤러(61.99) 06.03 142 10
27065 일반 한계효용 문제 질문좀 받아주셈 [1] ㅇㅇ(112.140) 06.03 64 0
27060 일반 서울대 대학원 생활비 어느정도 나옴? [2] ㅇㅇ(211.104) 06.02 229 0
27059 일반 선대 어느 단원이 통계학(회귀분석) 이랑 연관있음? [4] ㅇㅇ(106.254) 06.02 168 0
27058 일반 솔로 모형 수학인데 알려줄 사람 [11] ㅇㅇ(211.247) 06.02 282 0
27057 일반 화금론 배우면 보통 뭐 배우나요 [15] 경갤러(175.118) 06.02 326 0
27056 일반 올해는 진짜 무조건 유학나간다... [31] 건전여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540 8
27055 일반 도지 페페 시바이누 유동성 경갤러(170.64) 06.01 75 0
27053 일반 학부생 수학이랑 통계학 공부 [2] Protagoni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177 0
27051 일반 물가와 임금이 서로를 올리는 나선효과 질문점 [3] ㅇㅇ(211.105) 06.01 153 0
27047 일반 잡마켓이랑 학계가 유망한 거랑은 많이 다른 거 아니냐? [2] 경갤러(211.51) 05.31 260 2
27046 일반 햄들 경제수학 이 책 어떤가요? [1] 경갤러(222.232) 05.31 203 0
27042 일반 이거 알려주시면 안될가요? ㅠㅠ [17] ㅇㅇ(211.109) 05.30 301 0
27041 일반 계량은 대학원 가려면 어디까지 공부해야됨? [12] 경갤러(115.21) 05.30 402 0
27040 일반 이거 교수 누군지 아는사람 [2] 경갤러(172.226) 05.30 278 0
27039 일반 한번만 더 도와주세요 [2] 경갤러(223.62) 05.29 149 0
27038 일반 비음인 해만을 구함 이란게 무슨소리에요 [7] 경갤러(223.62) 05.29 172 0
27037 일반 한은 공개입행 솔로우문제 [1] ㅇㅇ(211.104) 05.28 297 0
27034 일반 불확실성이 어렵긴해도 재밌는데 [1] 경갤러(58.142) 05.28 222 0
27032 일반 실질 금리 이게 맞을까 [3] 경갤러(119.173) 05.27 218 11
27031 일반 거시 전공은 전망이 안좋다는데 혹시 왜 그런가요? [7] 경갤러(118.44) 05.27 408 0
27030 일반 라그랑지안 질문 있습니다.. 비용극소화,.. [2] 경갤러(121.136) 05.27 155 0
27029 일반 과학 유튜버는 많은데 [9] 경갤러(172.226) 05.27 283 0
27028 일반 FED 의장들 보면 죄다 비범한 양반들인 듯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231 0
27027 일반 궁금한게, 2008금융위기 근본 메커니즘이 뭐임? [3] 승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164 1
27025 일반 미국,유럽 금리 올렸는데 이러다가 망하는거 아니냐? [47] 경갤러(110.9) 05.26 476 12
27024 일반 경제학 초보 질문 있습니다.. [11] ㅇㅇ(110.9) 05.26 256 0
27022 일반 아래 글에 대한 답? [1] 경갤러(223.39) 05.26 148 0
27021 일반 통계관련 가벼운?질문 드립니다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183 0
27020 일반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3] ㅇㅇ(1.242) 05.25 256 9
27019 일반 한국은행 입행시험에 동거시 아닌 거시는 얼마나 나오나요? [7] ㅇㅇ(118.235) 05.24 329 0
27017 일반 나심 탈레브 안티프레질 이해하기위해 먼저 볼 책 추천 좀 [10] ㅇㅇ(211.235) 05.24 207 0
27015 일반 석사로 거시쪽 학위만 따면 [2] 석당인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305 0
27014 일반 PPF(PPC) 형태 관련해서 질문좀요 [2] ㅇㅇ(223.39) 05.23 13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