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LIG넥스원 L-Band 디지털 송수신모듈 개발앱에서 작성

Sheld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8.12.15 17:35:57
조회 1367 추천 8 댓글 6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cee87fa11d02831d3049d5484b72b456f01af270ee320e3e5d667c84e0d7ea0d0cf4c93220e247f2c4eb9b6c9a2bad876ff12b044348dc0b1572deda8bfa8f2b130d8a6f86ee5dc125202dda3236a59adc2fa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cee87fa11d02831d3049d5484b72b456f01af270ee320e3e5d6678d125b19a4d1c246942f68237e48048d9770b9f07a69cc4f779d758245b1a533729563ced5c337dcc770018af957617e05c909eddd4b146a92835dcd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cee87fa11d02831d3049d5484b72b456f01af270ee320e3e5d667c84e0d7ea0d0cf4c93220e2977e0c532f3ffc8f664588bbb3363711cb2d414040dc741c254c8496e477ecf564da5e78f1720275c5481ecb8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cee87fa11d02831d3049d5484b72b456f01af270ee320e3e5d667c84e0d7ea0d0cf4c93220e707b832cf7fe6b936140cf2b452f1f7381b2eccb4c39a6de4334dfed6f848fb5631827c8ff809bd9a323a08956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cee87fa11d02831d3049d5484b72b456f01af270ee320e3e5d667c84e0d7ea0d0cf4c93220e292dfc34e4e2c8812b0e47e28dc81b61a9dd22a9513b66f969baef9951f4c2da2e9f50729885883a175f9901b3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cee87fa11d02831d3049d5484b72b456f01af270ee320e3e5d6678d125b19a4d1c246942f68237e4804ddc77fedfe763a984f779d7582452102044b31667dd5230c92fcf35431283f1cbe4836d15d5b39d33764dcfeb8


디지털형 위상배열이란 능동위상배열의 궁극적인 형태로, 각 배열소자마다 ADC(Analog-Digital Converter)가 수신경로에 배치되어 있어 배열소자 개별로 수신신호가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처리되는 형태를 말한다...라고 함.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위상배열 레이다에서는 RF단에서 수신신호를 결합하거나 부배열(일정한 구역을 나누어 처리하도록 하는 것) 빔을 형성했는데, 디지털 위상배열 레이다는 각 소자별로 수신신호를 디지털로 변환시켜서 처리할 수 있음. 쉽게 말하자면...스마트폰을 사용하는데 펜촉이 두꺼운 터치펜을 사용하다가, 갤럭시 노트로 바꾸면서 펜촉이 얇은 S펜으로 반응속도도 빠르고, 정확하게 터치하고 조작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임.

기존에는 하드웨어적인 한계로 인해 실제로 구현하기 어려웠는데, 각 배열소자마다 ADC를 수행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들어갔고, 물리적으로 소자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고,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고 처리하는 하드웨어의 처리능력이 한계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고 함. 그렇지만 지금은 기술의 발전으로 가능해졌다고.

이 논문에서는 L밴드 디지털 송수신모듈을 구현했는데, ADC 기능이 집적화된 송수신 단일칩을 적용해서 RF 송수신 경로를 간소화시켰고, 대용량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광신호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기술을 적용했음. GaN 고출력증폭소자(HPA)를 적용했고, 공랭방식으로 개발했음. 기존의 T/R 모듈과 달리 송신파형과 수신디지털데이터를 생성한다고 함. 이 송수신기를 4개 결합해서 쿼드팩 구조의 디지털 송수신모듈을 구현함. 출력은 380W 이상.

국과연 주관 과제로 LIG넥스원이랑 저피탐 표적 탐지용 고출력 L-Band AESA 레이다 기술 개발중인걸로 아는데 이것도 그 일환인 듯 싶음.

ps. 현재 디지털 배열 레이다로 개발중인게 L-SAM이랑 FFX B3 레이다. KDDX는 그보다 뒤에 나오니까 아마 맞을텐데, KFX는 아닐 가능성이 높음.

- dc official App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8

고정닉 3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게시물은 1만 개 단위로 검색됩니다.

갤러리 내부 검색
글쓴이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