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음악의 핵심 - 긴장과 해결

암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4.18 22:41:12
조회 2055 추천 22 댓글 27
														


중3 지망생 읽으라고 쓴 글 - 작곡 갤러리 (dcinside.com)


피아노를 열심히 쳐도 작곡 실력이 제자리 걸음이라면? - 작곡 갤러리 (dcinside.com)


도미넌트 레졸루션을 위한 진행들 - 작곡 갤러리 (dcinside.com)


릴레이티브 llm코드 feat.화성기호 - 작곡 갤러리 (dcinside.com)



1



이제까지는 도미넌트 레졸루션을 위한 진행들에 대해 설명했어.


하지만 음악에는 도미넌트 레졸루션만 있는 게 아니지...


IV가 나와야 할 자리에 어째서인지 IVm이 나오기도 해 



이제부터는 어째서 이런 것들이 나오는지도 설명해야 하지만...


이쯤되면 그 기반이 되는 기초지식들도 설명하지 않을 수가 없어.



그래서 오늘은 음악의 기본이 되는 지식들을 설명할 거야.


좀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잘 따라와주길 바래



만약 오늘 설명하는 내용들이 어렵게 느껴지지 않는다면? 



25 : 그건 네가 똑똑한 사람인 거예요




목차


1. 긴장-해결구조

2. 해석의 차이

3. 아서파...?

4. 배음에 의한 협화와 불협

5. 모호함으로 인한 긴장

6. 실제 적용

7. 마무리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4b0d769e1d32ca73feb81fa11d0283124a00b15f7fe94afc8159b99193d14001f1c46fe18b25c252ae1bb41af6c84861dc3586e302d9d8b0e4372e5e7f325f04df4


윗짤은 아이유의 드라마의 악보 중 일부를 발췌한 거야.



파란 원 보여?


이상하지 않아?


C키의 다이아토닉은 Em인데 


무슨 맥락에서 E코드가 등장한 걸까?




왈랄 : 사실 아무 맥락도 없어요


24


깡 : 악!


부들: 정말이라구요!!



진짜로 아무 맥락도 없어.


Em코드를 쓰면 뻔하니까 E를 쓴 거야



15 : 그럴거면 Edim을 쓰지? 아니면 Cdim이라던가? 아무거나 나오지는 못하잖아.


5 : 맞아요. 되는 게 있고 안되는 게 있죠.



그걸 가르는 기준이 뭘까??


바로 긴장-해결 구조야





1. 긴장-해결구조


C-E-Am-Em에서


E코드의 G#로 생긴 긴장감은


Am의 근음인 A음이 해소해주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시각이야.



만약 근음인 A가 아니라 3음인 C로 반음 접근하는 경우라면 어떻까?


더 불안정한 느낌이 낫겠지?



18 : 아예 틀린 게 아니고요?


41 : 틀렸다, 긴장감이 있다... 둘은 같은 말이에요




애초에 긴장감이란 뭘까?


아래 짤을 보자.



a1682cad093276ac7eb8f68b12d21a1d0b61cf7364



어때? 스트레스가 막 올라오지 않아?


이러한 스트레스를 피하기 위해, 우리는 머리속으로 여러 궁리를 해



1. 그랩을 맞으면 짜증난다


2. 그러니까 피해야 한다. 그런데 어떻게 피하지? 이렇게 해보자.


3. 피했다! 내 생각이 맞았어!



긴장 -> 기대 -> 안도와 성취



24 : 도미넌트 레졸루션이 떠오르지 않나요!?



맞아. 도미넌트 레졸루션도 같은 구조를 갖고 있어.


II에서 V로 4도 상행하므로서, 그 다음 코드도 4도 상행일 거란 기대감을 준 다음 


실제로 4도 상행한 I로 해결하여 성취감을 주고.



트라이톤이라는 스트레스를 준 다음, I화음으로 해결하므로서 안도감을 주고 있지.



사람은 어째서 이런 긴장과 기대, 안도와 성취 구조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걸까?


그렇게 진화했기 때문이겠지.


한 마디로, 학습하지 못하면 도태됐기 때문이라는 거야.


호랑이는 사람을 죽일 수 있다는 걸  배우지 못한 사람은?


조선시대에 다 물려 죽지 않았겠어?



인간이 음악을 통해 즐거움을 느끼는 건 


적자생존의 부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 거지.



40 : 한 마디로, 음악은 뇌의 허점을 악이용한 치트이자 나라에서 유일하게 허락한 마약...



음악을 뇌과학적 시각에서 다룬 연구 결과는 내가 알기로 아직 없지만


긴장과 해결 구조가 중요하다는 것까지는 모든 유파들이 같은 시각을 공유해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4b0d769e1d32ca73feb81fa11d0283124a00b15f7fe94afc8159b99193d14001f1c46fe18b25c252ae1bb41af6c84861dc3586e302d9d8b0e4372e5e7f325f04df4


그리고 E 정도면 소리의 울림에도 큰 문제가 없지



15 : 소리의 울림에 문제가 없다고? 그건 누가 결정하는데?


11 : 거기서부터는 해석의 차이가 있어요...






2. 해석의 차이



48 : 텐션 코드는 사도에요.


15 : 무슨 소리야? 텐션코드는 듣기 좋아. 단, 코드톤과 반음 거리에 있는 텐션음은 윗음이 아랫음을 먹으니까 피해야겠지. (어보이드)


ㅋ : 응 어쩔티비~ 둘 다 틀렸어. 멜로망스의 선물을 들어봐... C#m11(b5)로 어보이드 규칙을 어기고 있는데도 듣기 좋잖아?




위에서부터 아래로 고전파, 재즈파, 현대파라고 보면 돼



고전파는 메이저-마이너의 경계를 엄격히 다루기 때문에 텐션코드는 잘 사용하지 않아.


곡에 재미를 가미할 수단이 적었던 시기니까


메이저에서 마이너로 바뀌는 과정에서 나오는 명암대비의 맛을 포기할 수 없었던 거겠지



반면 재즈 적은 수의 연주자가 참여하는 음악이다보니


소리가 명확하게 들림 -> 더 지저분한 화음을 써도 됨


이런 논리로 텐션코드를 많이 써 형성된 거지.



현대에는 음악가의 자유가 폭넓게 보장되고 있다보니


'듣기에 좋으면 아무래도 좋아' 식이 되어버렸지




33 : 뭐가 뭔지 모르겠어요...


41 : 유파마다 해석의 차이가 있다는 것만 기억두면 돼요.


2 : 잠깐... 그럼 선생님은 어느 유파인가요?






3. 아서파...?


혹시라도 내 글들을 자신의 음악적 뿌리로 삼는 사람이 있을까봐 <--아마 없을 거라고 생각하는데


간략하게나마 나에 대해 설명하려고 해



40 : 자신의 음악적 뿌리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할 테니 말이죠.



나는 중고등학교 다닐 동안 더블베이스와 타악기 주자로 클래식을 했어.


중학교가 음악 명문이었어서 전국대회 상도 몇 번 탔지


이때 상 탄 게 아까워서 클래식 화성학과 재즈피아노를 보강해서 실음과에 들어갔어


그러다 집안이 망해서 중간에 자퇴했지.



클래식 -> 재즈 -> 팝


역사의 흐름대로 배운 셈이야.


우리나라에서는 이레귤러로 취급되는 테크를 탄 셈이지.



왜 이레귤러냐고?


우리나라는 음악할 곳이 교회나 학교 외에는 없다보니


CCM -> 밴드 -> 가요

피아노 -> 클래식


이런 식으로 배우는 경우가 많거든.


다양한 유파를 배워본 사람은 잘 없어



1 : 많이 배웠다니 대단하네요! 훌륭해요!

 


딱히 그렇지도 않아.


배울 때마다 혼란의 연속이었거든



7 : 클래식을 5년이나 했는데 이 수준이라고?


놀람투 : 음악을 7년이나 했는데 이걸 몰라?



이런 취급 당하면서 진짜 ㄹㅇ로 개빡쳤기 때문에


대학을 자퇴한 이후로도 끊임 없이 연구했지.


그 과정에서 각 유파들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인지하게 됐어



내가 전달하고 있는 지식들은 그 과정에서 얻은 것들이야



10 : 그게 개백수 방구석 좆문가랑 뭐가 다른가요?


30 : 우리 그런 슬픈 말은 하지 않기로 해요...



가능하면 모든 유파에서도 통용되는 내용만 쓰고 있고


그렇지 않은 내용은 어느 유파 의견인지 밝혀가면서 쓸테니 구분해서 읽길 바래



고전파, 재즈파, 현대파 (대중음악파)로 나눠서 쓸 거고


나만의 독자연구, 독자견해는 아서파로 쓸 거야



15 : 아서파...?


6 : 암석파라고 쓰면 지진파 같으니깐...






4. 배음에 의한 협화와 불협



사람들은 어째서 C와 D를 같이 치는 것보다


C와 E를 같이 치는 걸 더 좋아하는 걸까?


06f08275b49c28a8699fe8b115ef046c043395b1


그건 배음과 깊은 관련이 있어


위 짤은 C음을 쳤을 때 같이 들리는 음들이야


C음으로 조율된 현을 튕겼을 때, 저 음들이 다 같이 소리가 난다는 거지



저 중에서 사람이 의식적으로 들을 수 있는 건 G까지만이라고 해.


E부터는 어렴풋한 소리인 거지.



만약 C와 E를 같이 치면 어떨까?



C의 배음과 E의 배음들이 상당히 겹치겠지?


그렇기 때문에 C와 E는 듣기 괜찮은 거야.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패턴이라 적당한 긴장감을 주니까 <-- 아서파의 추측



하지만 C와 D는 어떨까? 상당히 안 겹치는 소리를 내지 않을까?


9 : 그래서 Cadd2는 C보다 복잡한 소리를 내는 건가요!?


25 : 맞아요!






5. 모호함으로 인한 긴장 



그렇다면 D가 아니라 Db을 한 Cadd-2는 어떨까?


39 : 이상해요... 마치 디미니쉬 같은...



맞아. 마치 아랫짤을 볼 때와 비슷한 불쾌감을 느끼게 되지



a15e39ad220b76b660b8f68b12d21a1dce4b95e809



적녹 색약인 사람은 더더욱 불쾌할 거야.


뭐가 뭔지 알아볼 수 없기 때문이지



C#의 배음과 C의 배음은 서로 협화를 일으키지 않고 완벽하게 같이 움직이기 때문에


서로 완벽히 부딛혀.


인간의 뇌 구조상 비슷한 두 음이 동시에 들리면 윗음이 더 잘들리기 때문에


C#가 C를 먹어버리고 말지



그렇기 때문에 Cadd-2는


C#dim에 가까운 소리로 들려



18 : 그럼 C△7은 뭔가요? B와 C가 반음 간격이잖아요!


24 : 좋은 질문이에요!



C는 루트음이라서 C가 B를 먹어도 코드의 정체성이 흔들리지 않아서 괜찮아


C#을 넣는 게 별로인 건 C코드가 아니라 C#dim에 가까워지기 때문인 거야



그렇기 때문에 Cadd-2란 코드는 쓰지 않는 거지.


이런 모호함이 갑자기 등장하면 


이제까지 학습한 패턴들이 다 틀린 게 되어서 강한 스트레스를 주거든


판정범위가 2배로 늘어난 그랩을 맞는 느낌이랄까?



재즈파에서는 텐션 코드를 넣을 때 코드톤과 반음 간격이면


좋지 않다고 하면서 어보이드(회피)하라고 권고하는데


그것도 이런 이유야 <-- 아서파의 추측





장 : 진짜 시발 이딴 걸 다 알아야 한다고?? 구라까지마 십년아


3 : 자, 잠깐... 금방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6. 실제 적용


이러한 지식들을 실제로는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


C의 배음은 E랑 G지...



24 : 그렇다면 C,E,G를 같이 치면 좋지 않을까???


13 : 장난해? 평범한 C코드잖아.



맞아. 평범한 C코드야.


하지만 C코드 등장 이후 무려 200년이 지난 뒤에서야


장 필립 라모가 화성론을 통해 C코드가 듣기 좋은 이유를 설명했지.



200년.


어떤 천재가 C키에서는 C, E, G를 같이 치는 게


안정적이면서도 듣기 좋다는 것을 발견한 후


그걸 이론적으로 설명하는데 무려 200년이나 걸린 거야.



그렇다면 변화의 속도가 빛처럼 빠른 오늘날에는 어떨까?


음악이론이 현실을 전혀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야.



멜로망스만 해도 그래.


선물에 쓰인 C#halfdim11 코드는 긴장과 해결, 배음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해석해?



33



나도 몰라.



아마 멜로망스 본인들도 모를걸?



생각해봐. C#, E, F, G, B음의 배음을 다 찾아서


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고? 그게 되겠어?



그러니까 그냥...


......


그냥...




11 : 그냥 코드랑 진행 단위로 외우는 편이 낫습니다...


펀치 : 이 십년아 그거 말하려고 5000자를 갈겨 쓴 거냐!?


8 : 현실이 그런 걸 어쩌란 말입니까!!




기술의 핵심은 디테일에 있어.


bVll코드는 어떤 느낌을 가졌는지, Vlm의 긴장감은 어떤 식으로 해결해야 좋은지...


이런 지식들이 모여 한 음악가의 음악세계를 이루 거야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것도 그래서지.


좋아하는 진행, 좋아하는 소리들을 하나하나 씩 모으는 게


다른 어떤 이론을 배우는 것보다 중요하니까.



2 : 아무리 그래도 분석부터 시작하는 건 너무 막막해요.


14 : 맞아. 그래서 기반이 될 만한 음악세계를 전달해주려고 하는 거야.



학습 곡선을 부드럽게 휘어주기 위해서 말이지.


전달 받는 걸로 끝나는 게 아니라


자기 취향대로 고쳐나가는 게 중요해






7. 마무리



길고, 어렵고, 별 쓸모도 없는 귀찮은 설명들이라고 생각할지도 몰라.


사실 잊어도 상관 없는 내용들이긴 해.



15 : 그럼 왜 5000자나 쓴 건가요?



전달하고 싶은 메세지가 있기 때문이지.



42 : 엎드려 살지 마라! 일어서서 죽는 거다!



누가 네 음악에 대해 뭐라고 하든, 절대 쫄지 말라는 의미에서 한 거야



허~접 : 누가 그렇게 가르치디? 이 허접~ 바보~


38 : 좆도 모르는 새끼가...



누가 뭐라고 지랄하든 웃어넘기며 네가 좋아하는 소리들로 곡을 구성할 수 있는 패기.


음악가에게는 그런 패기가 필요해



뭔가 궁금한 게 생겼을 때도, '내 질문이 헛소리로 들리면 어쩌지?'


이런 식의 걱정을 하는 대신 당당하게 질문했으면 좋겠어.






2




추천 비추천

22

고정닉 2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공지 [작곡갤] 2012 배틀 컴필레'잉'션 [66] Holro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6.21 35317 34
공지 작곡 갤러리 이용 안내 [77] 운영자 11.04.13 32852 20
292425 남이 일궈낸 성과를 무시한 사람들은 성공 못하는가? [6] ㅇㅇ(216.171) 06.03 305 6
292408 발도잡 애미 애비 할매 할배 [6] 작갤러(104.28) 06.03 168 13
292282 작곡 개꿀팁 너네한테만 알려준다 [5] ㅇㅇ(175.209) 06.01 623 22
292210 ai음원이 귀 따가운 이유-after [4] 작갤러(221.167) 05.31 642 16
292173 ai음원이 귀 따가운 이유 [9] 작갤러(14.37) 05.31 511 9
292049 ㄱㅅㅅㅇㄷ에 대한거 중 아는것만 얘기함 [17] 작가지망이(211.208) 05.29 540 8
292046 국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범죄 1위가 사기. 음악판보면 모르냐 [4] ㅇㅇ(185.145) 05.29 286 8
291929 작곡가 돈 못버냐? [3] ㅇㅇ(223.39) 05.27 326 5
291926 민식이 넌 좆댔다.. [10] 작가지망이(211.208) 05.27 419 9
291912 잘모르는사람 등처먹는게 언제부터 마케팅이 됐나 [2] 작갤러(49.167) 05.27 299 10
291801 작곡 하지마라 진짜 [8] ㅇㅇ(175.223) 05.25 657 8
291680 시발 작곡가 인생 못해먹겠다 [13] 작갤러(59.14) 05.24 1035 16
291671 피아노 왼손 옥타브는 나쁜 것이 아니다 [10] 작갤러(220.120) 05.23 705 18
291623 시발 작곡가 인생 못해먹겠다 [18] ㅇㅇ(106.251) 05.23 930 11
291618 심장사운드의 최대실수 [2] ㅇㅇ(222.97) 05.23 493 9
291559 저작권료로 인생 바꾸는 꿈 버려야함 [5] 작갤러(112.145) 05.22 787 12
291535 저작권 월 1000버는 형이다. [5] 작갤러(223.62) 05.22 716 10
291505 자작 피아노 곡 [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275 6
291420 비가청주파수 안들린다고 짜르면 안되는 이유 [8] 작갤러(119.67) 05.20 384 5
291408 작곡가 얼굴 중요하다는거 서기로그 봤을땐 코웃음 쳤는데 [6] ㅇㅇ(59.187) 05.20 844 11
291285 여러분께 지혜를 구합니다.(감성사운드 고발관련) [1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7 941 17
291060 미친감성 무슨 문제있냐? [7] ㅇㅇ(221.144) 05.13 1025 7
291034 남들은 신나게 까면서 지 까면 신고하는 사람이 있다? [4] 작갤러(192.99) 05.13 420 6
290968 미감 말은 잘한다는 사람들 있던데 진짜 이해안되네 [2] ㅇㅇ(49.167) 05.12 496 10
290957 작곡 인생 최고 최대 작업물 가져왔다 [10] .(223.62) 05.12 1427 26
290940 위선자 사기꾼은 진짜 겉에 꾸며진 이미지만 보고는 모른다 [1] 작갤러(103.164) 05.11 339 8
290890 SBS 궁금한 이야기 Y에서는 작곡가 유재환 씨에 대한 제보를 받습니다. [7] 궁그미소식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1 610 6
290872 싱글벙글 요즘 100억 벌었다는 사람이 많은 이유 [1] 작갤러(173.209) 05.10 285 6
290815 아직도 감옥 안갔니? [2] 작갤러(112.148) 05.09 285 8
290748 근데 프로작곡가인데 감성 어쩌고 생각할수록 [2] ㅇㅇ(118.235) 05.08 919 25
290692 한국음악업계에 미국경제사범 3위 규모 사기꾼이 있다? [2] 작갤러(194.135) 05.06 521 10
290623 사운드에 너무 목메는애들있는데 정도를 알아야지 [12] 작갤러(118.235) 05.05 1112 15
290592 무기징역급 사기친 사기꾼작곡가가 있다는게 사실이냐? [2] ㅇㅇ(118.235) 05.04 558 11
290566 미국 770억,베트남은 8억 사기쳐서 무기징역인데 한국사기꾼들은 [2] 작갤러(121.166) 05.03 624 13
290536 감성사운드 법칙 작곡갤 주옥같은 후기모음-"당연한걸 과대포장..." [7] 작갤러(185.113) 05.03 1190 13
290487 멜로디의 법칙 5,6의 법칙 너무 뻔한 내용인데 [5] 작갤러(103.97) 05.01 1046 14
290466 실험적인 노래 하나 써왔는데 어떨까요 [10] ㅇㅇ(222.97) 05.01 507 7
290462 AI 작곡에 팩폭하나 날린다. [3] 작갤러(211.179) 05.01 1399 20
290372 프로 작곡가로서 요즘 현타오는 점 [59] ㅇㅇ(117.111) 04.30 1152 13
290296 "돈버는 법 알려주겠다.내가 니들 강의료로 돈버는 법 말이야"-성공팔이 [1] 작갤러(179.49) 04.29 364 8
290070 K-pop 현직 작곡가다. 작곡하지마라 [54] ㅇㅇ(58.233) 04.25 2477 24
290015 혐) 방금 민식이가 올렸다 삭제한 본인 얼굴 사진 [5] 작갤러(211.107) 04.23 1188 15
289998 감성사운드 유튜브댓글부대 중 무료수강권받은 증거 구합니다 [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087 19
289955 하도 도둑질을 많이해 여러업체들에게 극심한 원망을 받는 작곡가가 있다? [2] ㅇㅇ(118.235) 04.22 489 8
289937 업계에서 오래전부터 유명한 사기꾼이 있다고?? [2] 작갤러(112.148) 04.21 415 9
289887 업계 최고 저작권 도둑 작곡가는 대체 언제 잡히는 거냐? [2] 작갤러(173.209) 04.20 687 12
289676 성공팔이들 음악으로 최저임금은 버냐? 강의 수익 갖다 자랑하지 [2] 작갤러(195.154) 04.16 872 10
289559 ai가 작곡판 따잇하는거 동의못함 [7] ㅇㅇ(119.203) 04.14 1120 1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