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SKY급 경영대 나오면 바로 이것 "컨설팅 펌"

dd(123.109) 2009.03.13 11:33:24
조회 59551 추천 12 댓글 16

[[외국계]] [컨설팅펌] 비지니스 컨설턴트에 대한 중요한 정보들.





경영전략 컨설턴트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길래, 주옥같은 글을 남기고 간다.


1. 소개

저는 현재 연세대학교 경영학과에 재학중이자, 세계에서 손가락 안에 꼽히며 국내 최대 마켓쉐어를 가진

모 컨설팅펌의 RA로 일하고 있는 연경ICE 입니다.


2. 컨설팅펌은 무엇인가


쉽게 말해, 기업이 법무에 관련하여 얻고 싶은 정보가 있을 때에 로펌의 변호사들을 이용한다면 기업이

새로운 경영전략을 짜내어 장기적인 비전마련을 하고싶을 때에 컨설턴트들을 이용합니다.

법조계의 변호사, 기업계의 컨설턴트라고 보면 되겠지요.



3. 어떤 일을 하는가

주로 하는 일은 기업의 중장기전략을 짜주는 "전략 컨설팅", 기업내 불필요 인력을 제거하고 인건비 감축과

동시에 같은 인원으로 더 큰 효율성을 내기 위한 "매니지먼트 컨설팅", 마케팅 전략을 짜주는 "마케팅컨설팅"

생산성을 높여주는 "오퍼레이션 컨설팅", IT 시스템 구축을 위한 "IT컨설팅" 등이 있습니다.



4. 얼마를 버는가


학부출신으로 바로 들어가는 경우에는 Big 5 기준으로 초봉 5천만원~6천만원 사이를 받으며 성과가 매우

좋을 경우에는 7천이 넘어가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3년~4년차 즈음에는 시니어 컨설턴트가 되는 데

이 때 연봉이 7천~8천 사이이고, 5년차에 프로젝트 부팀장급이 되면 국내 컨설팅업체의 경우 T-Plus 같은

곳은 1억을 주고, 외국계의 경우는 8~9천만원을 줍니다. 7년차가 되면 보통 팀장을 맡게 되는데 이 경우

프로젝트 팀장의 연봉은 1억5천에서 2억 사이입니다.

입사 10년차 즈음에는 파트너가 되는데 이때부터는 성과에 따라 보통 8억에서 많게는 20억까지 받습니다.

파트너급 이상이 되면, 기업 총수들을 찾아다니며 영업도 해야하기 때문에 그 성과급이 많이 된다고 보면 됩니다.


즉, 27살에 외국계 컨설팅펌에 들어가서 7년 후 34살에 프로젝트 팀장이 된다면 월급이 1500만원 꼴이 됩니다.

저와 같이 일하는 연대경영 출신의 팀장님(34살) 연봉이 1억 8천이고, 상무님의 연봉이 10억 정도 됩니다.



5. 어떻게 일하는가

보통은 5명에서 8명사이가 한팀으로 구성됩니다.

최고 책임자는 이사-상무-부사장 급의 파트너가 감독관역할이고

실무 책임자는 팀장

그 아래에 각각 부팀장급의 수석컨설턴트, 시니어, 주니어가 한명에서 두명씩 붙고

RA가 한명에서 두명정도 붙습니다.


본사에서 일하지는 않고 컨설팅을 의뢰한 클라이언트사에서 오피스를 제공해주고 그 회사에서 일하게 됩니다.




6. 업무강도는 어떤가


매우 힘들다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하루에 14시간 정도 근무하며 9시 30분 정도 출근에 11시~1시에 퇴근합니다.

매일 그런 일과가 일요일 하루정도 쉬고 계속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기시간은 거의 없고, 친구만날 시간도 없다고 보시면 되시고 일을 즐기지 않으면 됩니다.



7. 실제 사례를 들자면 어떤 일들이 있습니까.

컨설팅의 최근 경향은

"기업내부에서 직접 하기에는 너무 많은 돈이 소요되는 단기 프로젝트" 나,

"직원들의 성과를 평가하는 지표를 제 3자가 설정해주는 프로젝트"나

"기술혁신을 추구하고 싶으나, 사내의 정치적 개인적 이해관계로 인하여 불가능한 경우나"

"기업문화를 변화하고 싶거나"

"직원을 자르고 싶은데 사내 반발이 심할것 같은 경우나"

"경쟁 회사를 꼭 이겨내고 싶은 전략이 필요하거나."

.

.

등등 보시면 아시겠지만, 기업내부에서 스스로 변화하기 매우 힘든 부분들입니다.

이러한 경우에 컨설팅을 이용합니다. 컨설팅이 망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




8. 기업이 내는 컨설팅 비용은 얼마나 합니까

기업이 컨설팅에 내는 비용은 전적으로 컨설턴트의 숫자로 결정됩니다.

가령 상무의 경우 하루 일당이 3000만원, 수석컨설턴트의 경우 하루 700만원, 시니어의 경우 500만원, 주니어 300만원, RA 70만원 정도가 산출됩니다. (물론 이중 10% 정도만 컨설턴트에게 몸값으로 돌아갑니다.)

다만 파트너의 경우 너무 비싸기 때문에 두세개의 프로젝트를 동시에 맡고는 합니다.

때문에 하루 컨설팅 비용은 상무+수석컨설턴트+시니어+주니어+RA = 약 2천~3천만원 정도 되며

한 프로젝트당 적게는 5억 많게는 수십억에 계약되곤 합니다.



9. 어떤 능력이 중요합니까

컨설팅의 특성상 고객사(클라이언트)를 합당한 수준에서 설득시켜야 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능력은

커뮤니케이션 스킬(설득력), 합리적 조직적 사고(organizing thinking), 창의성(creativity) 세개 정도로

뽑을 수 있겠습니다.



10. 컨설턴트가 되고싶다면 어느정도 학교를 나와야 합니까

학부출신 컨설턴트를 BA(베인의 경우 AC)라고 합니다. 대한민국 대학을 졸업하고 빽없이 BA 컨설턴트가 될 수 있는

학교는 오로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 카이스트, 포항공대 입니다. 즉, 사회적인 혜택이 주어지는 소위

"명문대" 라고 불리는 곳을 나와야 하지요. (간혹 서강대나 그 이하 학교에 리크루팅이 가는 경우가 있는데 안타깝게도

그건 컨설턴트 모집이 아닌 백오피스(업무지원)일반직을 뽑는 회사설명회 입니다.)

Bain & Company 가 작년부터 서강대, 성균관대 리크루팅을 갔다고 하는데, AC(컨설턴트)가 아닌 EA(백오피스) 였더군요.

컨설턴트와 백오피스의 차이는, 로펌의 변호사와 로펌의 변호사가 아닌 일반 직원의 차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맥킨지, Mercer 같은 회사들은 BA 컨설턴트중에 유능한 인재를 미국 MBA 에 보내주는 지원프로그램도 있습니다.

이것이 컨설팅이 가진 최대 장점 중에 하나이죠.


석사, 박사 출신의 경우 학부가 크게 중요치 않아서 서강대 출신 컨설턴트도 자주 있고, 한양대나 성균관대도

종종 있는 편입니다. 다만 석,박사는 무조건 미국(+INSEAD, 옥스포드, 캠브리지) 정도를 나와야만 한다고 보면 됩니다.

실제로 현업에서 종사하는 외국계 컨설턴트는 서울대 50%, 외국 명문대 20%, 연세대 15%, 고려대 5% 기타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연세대는 BCG, ATK 등에 많아서 이쪽분야에는 상대적인 우위를 갖습니다.)

지금 제가 일하고 있는 사무실에도 서울대 3명, 연세대 2명 컬럼비아 1명 이 있군요.





11. 어떻게 준비합니까

컨설턴트가 되려면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야아 합니다. 서울대 경영학과 수석 졸업에 수능 만점을 받아도

컨설턴트는 되지 못합니다.

일단, 공모전 경력과 인턴 경력을 다양한 분야에서 최대한 다양하게 쌓아두십시요.

영어는 모든 컨설팅 업무의 기본 data base 가 되기 때문에 유창하게 말할 수 있는 수준은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4학년이 되기 전 컨설팅펌에서 인턴은 무조건 해야한다고 보면 됩니다.


지금 저의 스펙을 간단히 소개하자면


연세대 경영학과 3학년

학점 3.9/4.5

벤처기업 인턴 1회

대기업 인턴 1회

공기업 인턴 1회

지역구 강사 1회

백분토론 학생패널 출연 1회



영어 준 native 수준

통역사 아르바이트 경력 다수

현재 컨설팅펌 인턴 근무중

마케팅 공모전 우승 1회

금융 공모전 입상 1회



정도가 되면, 컨설팅펌에서 서류 스크리닝이 되기 시작합니다.




12. 컨설팅펌을 소개해주십시요.

글로벌 컨설팅펌의 3대 : Mckinsey & company, Boston Consulting Group, Bain & Company

글로벌 컨설팅펌의 5대 : 위의 3개 + Monitor group, AT Kearney

국내 컨설팅펌의 3대 마켓쉐어 : AT Kearney, Mckinsey, Bain & Company

특화 IT컨설팅 : IBM, Accenture



전략컨설팅펌은 크게 세가지로 나뉩니다.

A. 순수 외국계 컨설팅펌의 서울 사무소

B. 외국계 컨설팅펌의 한국법인 유한회사

C. 순수 로컬(국내)회사


A. 순수 외국계 컨설팅펌의 서울사무소 (맥킨지, Mercer, Accenture)

이것은 뉴욕에 있는 HQ의 서울파견사무소라고 보시면 됩니다. 매우 조금 뽑고, 대우도 가장 좋은 편입니다.

특히 MBA를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이 있어서 인기가 높습니다.

B. 외국계 컨설팅펌의 합자 한국법인 유한회사 (BCG, Bain, AT kearney)

이것은 컨설팅펌의 지식체계를 이용하며 한국 자본으로 합자형태 혹은 유한회사 형태로 설립된 개별법인입니다.

규모가 크고 컨설턴트의 수도 많으며, 가장 장사가 잘되는 컨설팅펌의 형태입니다.

C. 순수 로컬(국내)회사

대표적으로 T-Plus 같은 회사를 들 수 있습니다. 이것도 로컬이지만 상기 외국계 컨설팅펌 출신의 전문 컨설턴트들이

설립한 컨설팅펌으로서 대우가 상대적으로 매우 우수한 편입니다.


13. 이런 분들에게 권하고 싶습니다.

1-하루에 최소 14시간씩을 매일매일 일주일에 6~7일 일할 자신 있으신 분

2-젊은 나이에 외제차 굴려보고 싶으신 분

3-MBA에 가려고 하시는 분

4-창의적이고 인간관계가 탁월하신 분

5-삶의 행복을 일을 통해 얻으실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




단연코 말하지만 컨설팅은 힘듭니다. 몸이 힘들고 마음이 힘들며, 들어가기도 매우 힘듭니다.

서울대 연세대 경영 같은 문과 최상위권, 그중에서도 가장 스펙좋고 똑똑한 학생들이 컨설팅펌과 투자은행을 준비합니다.

준비하려면 매우 어려운 길들을 걸어와야하며, 대학생활이 경력의 연장선이 되어야 합니다.


-----------------------------

길지만 읽어보는게 도움이 많이 될 거다. 존나 개간지나니까.

결론 :

입사 10년차 즈음에는 파트너가 되는데 이때부터는 성과에 따라 보통 8억에서 많게는 20억까지 받습니다.
파트너급 이상이 되면, 기업 총수들을 찾아다니며 영업도 해야하기 때문에 그 성과급이 많이 된다고 보면 됩니다.
즉, 27살에 외국계 컨설팅펌에 들어가서 7년 후 34살에 프로젝트 팀장이 된다면 월급이 1500만원 꼴이 됩니다.
저와 같이 일하는 연대경영 출신의 팀장님(34살) 연봉이 1억 8천이고, 상무님의 연봉이 10억 정도 됩니다.

서울대 의대생이 막 월급 200만원씩 받으면서 새벽잠 설칠 때,
연경 학생은 1억 8천 받고
시간 좀 흘러 서울대 학생이 의대교수 임용되고 연봉 1억~2억 정도 받을 때
연경 학생은 일 열심히 하면 20억씩 받는다는 말.

 물론 존나 열심히 해야지 ㅋ

추천 비추천

12

고정닉 0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공지 갤러리 댓글 기능 개선(멘션 기능) 안내 운영자 25/05/08 - -
AD 해커스로스쿨전국모의고사 5/10(토) 온·오프 동시시행 운영자 25/04/10 - -
AD 선착순 300명! 메가로스쿨 온라인 모의고사 무료 제공 운영자 25/05/01 - -
공지 4년제 대학 갤러리 이용 안내 [441] 운영자 07.06.12 153105 62
5775691 << 경북대 부산대 인천대 >> 70%커트 누백 입결 4갤러(223.38) 13:55 0 0
5775690 좀만 더 놀게 냅둬 [3] La_Vals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5 34 0
5775689 사탐문돌이들 열등감 심하긴하노ㅋㅋㅋ 4갤러(163.152) 13:44 17 1
5775688 모든 분쟁과 논란의 주범 4갤러(106.101) 13:43 20 0
5775687 평일 1시에 여기서 이지랄 하고있는 것도 대단하네 [1] ㅇㅇ(118.235) 13:43 21 1
5775686 연고잡 문제들 보면 딱 학교 수준이 보임 [5] La_Vals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3 33 0
5775685 ‘떼쓰면 받아주는 평가’에 교육부도 대학도, 상처만 남았다 4갤러(211.202) 13:41 7 0
5775684 오토마타 드립 게이야ㅋㅋ 오토마타 함 풀어봐라 [4] 4갤러(163.152) 13:40 27 0
5775683 국립대 2025 순위 4갤러(106.102) 13:39 17 1
5775682 서울대 컴공 기말고사 수준...jpg [7] La_Vals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8 53 0
5775681 중대까지는 인정한다~~~ [3] 4갤러(116.84) 13:37 29 1
5775680 ???:공대가 어쩌고 학벌이 어쩌고 [1] 4갤러(61.79) 13:34 34 1
5775679 8개월 공무원시험 준비 합격후기 4갤러(175.112) 13:34 22 0
5775678 의대생들도 사학과 전공문제 못풀테니까 의대<사학임?ㅋㅋㅋ 4갤러(163.152) 13:33 13 1
5775677 수준낮아서 대화 못하겠네 [2] La_Vals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1 44 0
5775676 확실히 문돌이 열등감이 심한듯 4갤러(163.152) 13:30 18 1
5775675 지 과목 가져와서 풀어봐 ㅇㅈㄹㅋㅋ [6] 4갤러(163.152) 13:28 55 1
5775674 문과누백 이거 맞음? 4갤러(118.235) 13:24 37 2
5775673 공대생들 이거 풀 수 있냐? [3] La_Vals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4 56 0
5775672 어차피 2028 이후에는 사/과탐 의미 없다 [2] 4갤러(223.38) 13:17 30 0
5775670 즐거운 금요일이구나 아망아좆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3 40 1
5775669 그래서 여기서 잘난 척 하는 꽁따이들 [21] La_Vals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3 59 1
5775668 쟤 선대 오토마타 ㅇㅈㄹ하는거보면 열등감 심한듯 [20] 4갤러(106.101) 13:06 58 0
5775667 [2025년 진정한 대학 순위] 존댓말(211.234) 13:01 54 1
5775665 인도처럼 IIT 같은 과기원이 위상이 더 높아야 함 [2] 4갤러(223.38) 12:56 46 0
5775664 현실에서 강원대 정도만 다녀도 [2] 4갤러(118.235) 12:53 50 2
5775663 과탐 vs 사탐 논란 종결 [18] 4갤러(211.235) 12:48 112 3
5775662 경제 vs 공대 [13] 4갤러(165.132) 12:46 99 2
5775661 공대 다니는 애들이 존나 가소로움 [34] La_Vals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1 197 3
5775660 떨려오는 별빛 반짝이는데 ON-1_H1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1 14 0
5775659 내란기념 서열 연성고설. 앞으로 서열임 4갤러(211.60) 12:35 34 5
5775658 홈트 끝나고 샤워하고 4갤 왔다 ON-1_H1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5 28 0
5775657 아이폰이 롤리팝을 이긴 것처럼 4갤러(211.210) 12:32 20 0
5775656 화교의 속마음 4갤러(211.210) 12:32 19 0
5775655 서울대가 개좃밥인이유 [1] 4갤러(211.60) 12:29 51 4
5775654 2025 가장 정확한 최신 대학순위 확정판 [15] 4갤러(211.235) 12:28 187 10
5775653 "무료 작곡 해준다"며 금전 편취…유재환, 결국 불구속 4갤러(211.202) 12:25 23 0
5775652 외고 가는새키들 왜 징징대는거임? [6] 4갤러(221.141) 12:22 44 0
5775651 서울대 수시 일반전형 입결 4갤러(118.235) 12:19 52 0
5775650 2025 국립대 순위 [2] 4갤러(106.102) 12:16 58 4
5775649 수시로 서울대 간애가 금수저일 확률높냐 정시로 서울대간애가 금수저냐? [8] 4갤러(221.141) 12:14 59 0
5775648 4갤 잡대새끼들아 와봐 [1] La_Vals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6 76 0
5775647 이재명이 서울잡대 죽이고 지거국 몰빵하면 굳아님? 4갤러(121.167) 12:05 31 1
5775646 문돌이들은 메타인지좀해라ㅋㅋ 4갤러(163.152) 11:58 29 0
5775645 70컷은 영어고자들이 유리한거 아니냐? [4] 4갤러(106.101) 11:55 35 1
5775644 인서울이 9급까는 건 신포도질 맞지? [3] ㅇㅇ(211.36) 11:39 70 0
5775643 25년 70컷 문과근황: 광운행정 10.4 // 아주행정 10.8 4갤러(118.235) 11:37 47 2
5775642 선대 이정도면 난이도 ㅁㅌㅊ냐 [21] La_Vals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2 127 0
5775641 홈트 힘들어서 죽을거같다 ON-1_H1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2 21 0
뉴스 이정현, 복덩이 둘째 딸 최초 공개…”벌써 100일” (‘편스토랑’)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