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가격 제발 그만좀 올려라” 1,400만 원 비싸진 테슬라 모델 3 사면 지불해야하는 1년 유지비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4.02 18:51:39
조회 362 추천 1 댓글 0
														

1년 사이 1,400만원 정도 인상된 모델3
할부로 모델 3를 구입했을때
월 얼마를 내야 유지 가능할까?




테슬라는 다른 자동차 회사에 비하면 신생 회사지만 시작부터 전기차를 개발해 분야의 선두주자가 되었으며, 기업 가치도 매우 높아졌다. 국내에서도 테슬라가 꽤 많이 팔린다.

하지만 요즘 들어 테슬라가 가격을 꾸준히 인상하고 있다. 가장 저렴한 모델 3만 봐도 롱레인지 기준 작년에 5,990만 원에 팔았다가 지금은 7,429만 원에 팔고 있다. 과연 지금 시점에서 모델 3 롱레인지를 구매해 유지하려면 월 얼마를 내야 하는지 살펴보자.

글 이진웅 에디터






기본 가격 기준으로
월 할부금 살펴보기


이 포스트에서 계산하는 결과는 대략적인 만큼 참고 정도만 할 것을 미리 언급한다. 먼저 가장 중요한 차 값이다. 만약 일시불로 완납하는 사람이라면 이 항목을 넘어가면 된다. 먼저 할부금은 자신이 어떤 트림을 선택하는지, 어떤 옵션을 선택하는지에 따라 다르고, 보조금을 얼마나 받는지, 할부 기간과 선수금, 카드사, 금리가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모델 3 롱 레인지기본 7,429만 원부터 팔고 있다. 외장 색상과 인테리어 색상, 휠 인치업, 오토파일럿 추가 옵션이 있지만 이들 옵션이 매우 비싸다. 외장 색상과 인테리어 색상 변경하는데 100만 원 이상 추가되고 휠 인치업에 약 200만 원, 오토파일럿 추가 옵션은 무려 900만 원이다. 우선 여기서는 아무 옵션도 추가하지 않고 계산해 보았다.



전기차는 보조금으로 더 저렴하게 구매 가능하다. 국고보조금은 315만 원으로 책정되어 있다. 주행 거리는 길지만 차값이 5,500만 원을 넘기 때문에 절반으로 삭감되었다.

지방보조금은 지자체별로 다르다. 여기서는 지원금액은 가장 적지만 인구가 가장 많으면서 수요도 많고, 지원 대수도 가장 많은 서울 기준 100만 원으로 계산해 보았다. 원래 200만 원이지만 국고보조금과 마찬가지로 차값 때문에 절반으로 삭감되었다. 이렇게 되면 총 415만 원 지원받아 실 구매가는 7,014만 원이 된다.



할부를 하게 되면 개월수, 카드사나 신용도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여기서는 금리 4.5%, 36개월 할부 기준으로 계산해 보았다.

만약 선수금 없이 풀할부로 한다면 천 원단위에서 반올림해 월 207만 원, 선수금 1천만 원 납입시 월 179만 원, 2천만 원 납입시 월 149만 원, 3천만 원 납입시 월 119만 원, 4천만 원 납입시 월 87만 원, 5천만 원 납입시 월 60만 원, 6천만 원 납입 시 월 30만 원이다. 5천만 원을 넣어도 월 60만 원으로 꽤 부담된다. 자동차세는 구입 후 등록할 때 한 번에 납부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제외하겠다.


연 1만 5천 km 주행 기준
충전 요금 살펴보기


차를 샀으면 이제 운행하면 되는데, 운행하기 위해서는 배터리를 충전해야 한다. 자신이 연간 얼마나 주행하는지, 주로 이용하는 충전기의 사업자가 어디인지에 따라 다르지만 환경부 공용 충전기 기준 kWh 당 292.9원 기준으로 계산해 보았다. 참고로 아파트에서 충전할 경우 계절별로, 부하 시간대별로 요금이 다르지만 모두 공용 충전기보다 저렴하니 참고하자.

모델 3 롱레인지의 전비는 5.0km/kWh이다. 중간값인 총 3,000kWh를 소비했으며, 총 충전요금은 약 87만 원이 나온다. 한 달에 약 7만 원 조금 더 나온다. 아파트에서 봄철 중간부하 때 충전을 주로 한다면 월 5만 원이 조금 더 나온다.


운전자에 따라
다르게 나오는 보험료


만약의 사고를 대비해 보험을 가입하며, 1년마다 갱신이 필요하다. 보험료는 어느 보험사를 선택하는지, 운전자의 연령이 어느 정도 되는지, 운전자 범위가 어느 정도 되는지, 보험 경력이 어느 정도 되는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 부분은 직접 조회를 해보는 것이 좋다. 요즘에는 인터넷으로 간단하게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으니 참고해 보자. 조회한다고 해서 보험 가입 권유 전화도 안 온다.

30대 초반, 보험 경력 5년, 무사고 기준, 본인 1인 범위 기준 모델 3 보험료는 238만 원 정도 나온다. 5시리즈 165만 원보다 더 나온다. 수입차인데다가 전기차 수리비가 꽤 비싼 편이다 보니(특히 배터리) 꽤 비싸게 책정된 것으로 보인다. 월로 계산하면 약 20만 원 정도 나온다.


여기까지 모두 합했을 때
월 유지 비용


자동차세는 전기차는 어떤 차든 상관없이 연 13만원으로 책정되어 있으며, 월 1만원 수준이다. 차를 운행하다 보면 톨비나 주차요금 등 추가 비용이 나오지만 이는 운행 여건에 따라 달라지는 만큼 여기서는 제외했으며, 소모품은 매년 교체하는 것은 아니다 보니 아래에서 따로 언급하겠다.

5천만 원 선납금 납입 기준 월 할부금액 60만 원, 연 1만 5천 km 주행, 공용 충전기 사용 기준 월 충전요금 7만 원, 보험료 월 20만 원, 자동차세 월 1만 원을 더하면 월 88만 원이 나온다. 만약 선납금을 3천만 원으로 줄이고 36개월 할부했다면 무려 월 147만 원으로 증가한다. 위에서 언급했지만 어디까지나 참고용이며, 어떤 옵션을 선택하는지, 전비, 충전시설, 보험료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정기적으로 교체하는
소모품들


차를 운행하다 보면 주기적으로 소모품을 교체해야 한다. 다만 이들은 매년 교환하는 것들이 아니기 때문에 위에 언급한 유지비 계산에서는 제외했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차 대비 교환해야 할 소모품이 적다. 냉각수와 브레이크 오일, 브레이크 패드, 타이어, 에어컨 필터, 와이퍼 블레이드 정도만 교환하면 된다.

테슬라는 모델 3는 누수 등 이유로 권장 수준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한 교체할 필요가 없다고 한한다. 그리고 2년마다 브레이크액 상태를 점검해 필요하면 교체, 6년마다 에어컨 제습제 팩 교체, 2년마다 에어컨 필터 교체, 1년에 한번 와이퍼 블레이드, 그 외 타이어는 점검 후 상태에 따라 교환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다만 테슬라의 경우 와이퍼와 에어필터 외에 순정 소모품이 어떤 것인지 안내를 해주지 않고 있다. 물론 사제품으로 교환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테슬라 쪽에서는 추천하지 않는다고 않으며 특히 사제품 교환으로 인해 문제가 생기면 보증이 제한될 수 있다고 한다.

참고로 와이퍼도 워셔액 노즐이 포함되어 있다 보니 전용 제품을 써야 한다. 가격은 3만 1천 원이며, 에어컨 필터는 2만 3천 원이다. 타이어는 19인치를 사면 한짝당 20~30만 원대 정도이며 20인치는 국산 제품은 20만 원대에 포진해 있지만 수입 제품은 30만 원을 넘으며, 대체로 40만 원대에 포진해 있다. 그 외 소모품 교환 비용은 그렇게 비싼 편은 아니지만 대신 내부 디스플레이나 배터리 등 부품이 고장 나면 수리비에서 뒷목을 잡을 수 있다.

오토포스트 주요뉴스



▶ “이래서 현기차도 조용하구나” 요즘 인기라는 PHEV는 수입차가 압도적인 이유▶ “와 무슨 로봇처럼 생겼네” 아우디가 비밀리에 공개한 역대급 신차에 환호한 이유▶ “포르쉐 닮았다던 현대차” 디자인 점점 드러나는 아이오닉 P2 테스트카 살펴보니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1139 “소유하는 것도 불법이었죠” 천재 디자이너가 직접 개발한 비운의 슈퍼카 [2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9 7727 13
1138 “이렇게 나오면 망합니다” 그랜저 풀체인지 실내 유출되자 예비오너들 난리난 상황 [2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8 5752 2
1137 “팰리세이드까지 잡겠다” 쏘렌토 페이스리프트 디자인 예상도 공개됐습니다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8 825 1
1136 한국에서 폭망해도 웃던 르노코리아, 해외에서 충격적인 실적 내고 있었다 [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8 4137 10
1135 “제발 기회 좀 주세요” 진짜 정신 차리겠다는 쌍용차가 살려달라고 호소하는 이유 [9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8 5500 11
1134 트래버스랑은 비교 불가, 역대급 디자인이라는 팰리세이드 화이트 실물 느낌입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8 411 1
1133 마이바흐 짝퉁인가? BMW 신형 7시리즈 뼛속까지 파보니 놀라운 결과 드러났다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8 3307 4
1132 “하늘이 도왔다” 슈퍼카 26대 파손한 20대 빌런이 한층 더 내려갔다면 벌어질 일 [11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6 10804 28
1131 “쏘렌토 잡겠습니다” 쌍용이 마지막으로 기아 잡기위해 출시한다는 신차 디자인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6 716 1
1130 “나오면 쏘렌토 씹어먹겠다” 스파이샷 위장막부터 역대급 비주얼 자랑하는 신차 [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6 4234 1
1129 “누가 운전 이따구로 하랬냐” 운전자 99%가 도로에서 가장 만나기 싫어하는 이것 [2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6 4370 17
1128 “죄송합니다 인정하겠습니다” 일본 언론이 결국 아이오닉 5 손들어준 상황 [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5 874 1
1127 “소비자가 호구로 보이냐” 동호회 난리난 쏘렌토 엔진오일 논란 후속 대처나왔다 [1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5 2696 1
1126 “모태솔로도 여자친구 만들었죠” 90년대 모든 대학생들의 로망이었던 자동차 [2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5 3736 5
1125 디자이너들 월급을 안주나? 충격적인 코나 풀체인지 예상도 공개됐다 [4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5 3940 3
1124 “내 월급보다 빨리 오르네” 전기차 살 생각 있다면 지금 당장 사야하는 이유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5 465 1
1123 “문이 저렇게 열린다고?” 한국에 딱 1대 들어왔다는 레전드 슈퍼카 포착됐다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4 818 1
1122 “박상민 차 아닌가?” 국내에 딱 1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전설의 람보르기니 포착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4 755 1
1121 “제네시스는 맨날 욕먹었죠” 플래그십 세단에는 무조건 들어가야 한다는 이 옵션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4 465 1
1120 “팰리세이드는 비웃어야죠” 크기 하나로 버스까지 위압감 느끼게 하는 수입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4 457 1
1119 “한국 출시하면 바로 계약합니다” 포드가 미친척 결국 출시한다는 신차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4 571 1
1118 제네시스 쿠페 드디어 부활하나? 모두를 놀라게 만든 콘셉트카 공개됐습니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4 601 1
1117 “왜 한국만 무시하냐?” 생각 있으면 제발 국내 출시 좀 해줬으면 싶은 수입차 [4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3 10372 9
1116 “페라리도 안무서웠죠” 실제로 일본이 각성하고 만들었다는 평가 받는 차 [3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3 11498 35
1115 “무조건 끝까지 참교육 갑니다” 동탄에서 벌어지는 역대급 주차빌런 사건 [6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2 8818 19
1114 “그냥 내가 가져가면 안되나?” 400km 타고 전손처리된 현대기아 전기차 상태 살펴보니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2 990 1
1113 “지금은 살 이유가 없죠” 한국 GM이 무려 10년이나 우려먹은 차, 이제 단종됩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2 749 2
1112 “5년 지나면 돈 주고도 못 살걸요” 부자들 차고에 무조건 한대 추가될 신차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2 959 1
1111 “구매 후회합니다” 내연기관보다 경제적이라던 전기차의 충격적인 실체 [9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2 11146 25
1110 “조작질밖에 할 줄 모르나?” 반성없이 한국인들 호구로 보는 폭스바겐 충격적 행보 [3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2 4531 9
1109 한국에 딱 2대 들어왔다가 소리 소문 없이 사라진 레전드 슈퍼카 [2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1 5702 10
1108 “아반떼나 감사하며 타세요” 요즘 시국에 함부로 차 살 생각하면 안 되는 이유 [4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1 6301 11
1107 “한 달 그냥 타보세요” 기아가 중고차 시장 진출하면서 내세운 파격적인 조건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1 3335 8
1106 “제발 한번만 내주면 안되나?” 솔직히 이대로 다시 부활만 시켜도 대박날 쌍용차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1 659 1
1105 “그냥 니들 다 해쳐먹어라” 사회악이라는 현대차 노조 48%가 올해도 동의한 이것 [4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0 4309 36
1104 “나오면 쌍용 다 씹어먹겠다” 2천만 원대 르노 신형 픽업트럭 공개됐습니다 [2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0 2888 7
1103 “픽업이나 출시해라” 한국 철수설 도는 쉐보레가 아직도 정신 못 차렸단 말 듣는 이유 [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0 1929 3
1102 “까이는거 보니 대박나겠네” 신형 팰리세이드 디자인 확인한 네티즌들 반응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0 499 2
1101 “창원공장 큰일났네” 트랙스 후속이라던 그차, 알고보니 중국 모델이었습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0 561 1
1100 “현대차보다 별로네” 토요타가 야심차게 공개한 전기차 반응 심상치 않습니다 [3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0 2626 6
1099 “또 껍데기만 바꿨네” 신형 팰리세이드 도로에서 포착되자 국내 네티즌들 반응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9 750 2
1098 “현대차보다 장사는 잘해” BMW가 온라인 한정으로 판매하자 초대박 나버린 신차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9 2135 1
1097 “한국차에 감동했습니다” 포르쉐까지 성능으로 제쳐버린 역대급 기아 전기차의 정체 [3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9 2875 10
1096 “이게 진짜 가성비냐?” 신형 니로 전기차 출시하자마자 너무 비싸다며 난리난 이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9 432 1
1095 “현대는 이런거 못 만들지?” 정의선 회장 자존심 제대로 긁은 미국 픽업트럭 정체 [2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9 3067 4
1094 “포르쉐 따위 가볍게 제치죠” 작정하고 만든 미국 슈퍼카 수준은 이렇습니다 [2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8 3075 15
1093 “아우디 넘어섰다” 요즘 한국 아빠들이 전시장 줄서서 구매한다는 수입차 브랜드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8 723 1
1092 “아이오닉 5보다 낫네” 440km 주행 가능한 벤츠의 소형 전기차 공개됐습니다 [2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8 2298 1
1091 “메기랑은 비교도 하지 마세요” 한때 국내 최정상 찍었었던 레전드 자동차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8 618 1
1090 한국 출시하면 “무조건 산다”라며 난리났던 그차, 국내 도로에서 포착됐습니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8 499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