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두 점 바둑에 한 집을 지다… 전고(典故)의 이해

오청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7.17 02:19:22
조회 126 추천 3 댓글 0

바둑 역사상 최고의 기사는 누구일까. 도사쿠(道策ㆍ1645~1702)와 우칭위안(吳淸源ㆍ1914~2014)이다. 두 기사 모두 패러다임 혁명을 한 번 이뤄 반상의 지평을 크게 넓혔다. 우칭위안이 더 많이 알려져 있지만 업적은 도사쿠가 크면 크지 못하지 않다. 하지만 그건 이 글의 초점이 아니다. 오늘은 '명국의 기준'이 주제다.

#1=도사쿠가 자신의 명국으로 꼽는 게 하나 있다. 1683년 어성기(御城碁ㆍ쇼군將軍 앞에서 두던 공식 대국)에서 야스이 춘찌(安井春知ㆍ?~?)와의 두 점 대국으로 한 집을 진 바둑이다. 도사쿠는 “춘찌는 뛰어난 기사”라고 치켜세우면서 “그도 나도 역량을 다해 조금도 후회 없이 두었다”고 뒷날 돌아봤다. 기보를 보면 상변 백3에 이은 백5 세칸협공이 놀라운 발상이다. 일본 바둑 300년을 정초(定礎)한 수로, 전개와 협공을 겸했다. 전개와 협공을 겸한 수는 고대 중국엔 없었다.

#2=조와(丈和ㆍ1787~1847) 명인은 자신의 명국으로 내기꾼 시미야 요네조(四宮米藏ㆍ1769~1835)와 1821년에 둔 두 점 바둑을 꼽았다. 승부는 빅(무승부)이었다. 빅이 아니라 한 집을 졌다면 더욱 유쾌했을지도 모르겠다.

#3=1913년 슈사이(秀哉ㆍ1874~1940) 명인은 노자와 치쿠조(野澤竹朝ㆍ1881~1931) 5단과의 두 점 대국을 명국으로 꼽았다. 백으로 한 집을 이겼다. 객관적으로도 명국이었다. 흑도 잘 두었지만 백의 안목과 수읽기, 판단의 신랄함이 당대의 명인임을 유감없이 드러냈다.

#4=하나만 더 하자. ‘패국(敗局)의 묘수’로 알려진 대국이다.

걸물 이노우에 인세키(井上因碩ㆍ1798-1859)가 나가사키(大阪)에 머물던 1852년. 11월 17~23일 조와 명인의 문인 가쯔다 에이슈케(勝田榮輔ㆍ?~?) 2단과 대국했다. 19일 흑이 묘수를 던져 중반의 우세를 점하자 인세키는 봉수(封手ㆍ대국을 중단하는 것)했다. “내일 두자.” 그날 밤 찾아온 손님에게 자만을 섞어 말했다. “내 묘수를 당해 질 바둑이나, 상대의 실력을 요량해 본즉 내가 한 집은 이길 것이라…. ” 말을 맞추느라 그랬는지 바둑은 인세키가 한 집을 이기고, 가쯔다는 돈이 다 털렸다. 가쯔다가 돌아가면서 한 마디 했다. “내 그래도 묘수는 남겼다! ” 인세키의 “한 집 이길 것이라” 운운은 도사쿠가 한 집 진 것을 염두에 둔 말이다.

두 점은 무엇이고 한 집은 또 무엇인가

실제 두 점 바둑에서 명국이 많이 등장할 수 있는 걸까. 아니면, 우연히 도사쿠가 그리 말했기에, 그 다음부터 두 점에서 한 집 정도 차이가 나오는 바둑이 있다면 도사쿠를 따라하고 싶은 걸까. 가만 보면 이런 현상이 일본에는 많았다. 하지만 그것은 20세기 초까지다. 한국과 중국에는 그런 현상이 없다. 문화적 이유일까. 아니면 바둑의 본질 때문일까. 고금에 묘한 현상의 하나다.

생각해 보자. 한 집 진 것, 또는 한 집 이긴 것이 초점인가. 아니면 두 점이 초점인가. 두 점을 먼저 생각하자. 바둑에서 두 점 바둑이란 말 그대로 흑이 돌 두 개를 반상에 먼저 깔고 대국을 시작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맞바둑과 달리 백이 먼저 둔다. 그러면 반상은 귀가 4개고 서로가 착수교대를 하기에 이리 된다. 두 점이라면 귀의 점거 비율이 1대3이 된다. 백 하나에 흑 세 개. 하지만 선(先ㆍ맞바둑이되 흑이 먼저 두는 것)이면 점거 비율이 2대2가 된다.

1대3과 2대2니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겠다. 하지만 과연 어떤 차이인가. 두 점이면 차이는 있지만 하수의 실력이 상수에 꽤 쫓아왔다는 것을 의미하는 걸까. 아니면 차이가 현격하다는 걸까. 참고로 20세기 이전엔 명인과 초단과의 실력 차이는 석 점이었다. 프로 수준이 아니라면 그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다.

바둑 외적인 비유를 찾아볼까. 시인 서정주(1915~2000)의 호는 미당(未堂)이다. 호는 어디에서 왔을까.

논어에 말씀이 있다. 門人 不敬子路 子曰由也 升堂矣 未入於室也. 升堂入室 喩入道之次第. (문인들이 자로에게 불경했다. 공자 말씀하시기를, “유(由ㆍ자로의 호)는 아직 방에는 들어가지 못했지. 하지만 당에는 오른 인물이야.” 승당입실이라 하면 도의 순서를 비유함이다.) 방(室)에 들어가려면 순서가 있다. 당(마루)에 오른 다음에야 실(室)에 들어갈 수 있다. 당에는 오른 인물이라 했으니 자격이 있다 하겠고 문인들이 함부로 대할 그런 낮은 수준은 아니라는 말씀이다. 이리도 이해된다. 당에 오르지 못하면 실 여부는 왈가왈부할 바 못 된다. 먼저 당에 오르라. 그다음에 실을 논하라. 고약한 이야기도 하나 하자. 예전엔 정실(正室) 자식이 아니면 부친 제사에서도 마루에 오르지 못한 적이 있었다. 마당에 서 있었다.

그 뛰어난 서정주지만 겸손했음도 알겠고 자부심도 알겠다. 자신은 아직 당에도 오르지 못했다 했다.

바둑을 견주면 대략 이리 말할 수 있다. 석 점은 미당(未堂)에 해당되고 두 점은 ‘승당이되 미실(未室)’이며, 선(先)이면 입실이되 아직은 점검을 받아야 하는 처지다. 그렇기에 이렇다. 두 점으로 한 집 승부를 낸다는 것은, 겨우 당에는 올랐는지 모르지만, 실에는 아직 못 들어간다. 그런 이야기다.

두 점 하수를 이기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아무리 도사쿠라 해도 상대가 춘찌와 같은 실력자라면. 아무리 슈사이라 해도 상대가 노자와 5단과 같은 고단자라면. 그런데 이기든 지든 요점은 불과 한 집 차이라는 것이다! 두 집은 아니다. 고금 역사에서도 두 집 이긴 것을 자랑한 예는 본 바가 없다.

초점은 한 집은 ‘극적인 사건’이라는 점이다. 최선을 다하면 극미한 차이까지도 알 수 있다는 의미다. 실력이 미진한 상대를 입실시킬 수는 없다. 불가(佛家)에 비유하면 깨달았다 큰소리치는 상대를 철두철미 검증해야만 한다. 그것이 역사에서 마조(馬祖ㆍ709~788, 당나라의 승려로 깨달음이 컸다)와 같은 선지식이 한 일이었다.

그러니 두 점으로 한 집을 이긴다든가 진다든가 하면 아직은 상대를 입실시키지 않겠다는 자부가 있다는 것으로 들린다. 그러면 어찌 되는가. 타인의 평가가 필요 없다. 명인들은 스스로 진짜 명인임을 자부할 수 있다. 명인의 입장에서 보면 두 점 하수는 거의 등 뒤까지 쫓아온 기사. 상대가 강한 만큼 져도 한 집을 져서 최대한 버텼다면 자부심을 안겨주는 존재가 두 점이다.

반상의 전고(典故)는 문학에서의 전고와 같다

역사를 대변하는 인물 없이는 전고(典故ㆍ앞선 범례)는 없다. 자부는 역사 속 자신의 위치를 알 때 비로소 오는 것. 그러기에 자부와 전고는 함께 한다.

40년은 된 듯한데 한국 제1세대 정치학자 서임수씨 수필이 생각난다. 하루는 집으로 막 돌아오니, 현관까지 베토벤의 크로이체르 소나타가 들려오더라는 것이다. 그래서 “아, 톨스토이!” 하고 한 마디 던졌는데, 방에서 아버지의 말을 듣고 있던 어린 아들이 크게 웃더라는 이야기. 그래서 자신도 크게 웃었다는 이야기.

빙그레 웃음 짓는 분이 계실 듯하다. “아~ 톨스토이!” 하고 미소 지을지도 모르겠고, “아~ 크로이체르!” 탄식하실 분도 있을 듯하다. 톨스토이의 단편 소설 중에 “크로이체르 소나타”가 있다. 도덕적으로 엄격했던 톨스토이가 세간의 사랑을 그린 것이다. 그래, 좌우간 이런 게 전고의 활용이다.

문학에서 전고는 자주 활용되는 수사학적 기법이다. 쓰는 자는 읽는 자를 겨냥해서, 그것도 고급스런 독자만 겨냥해서 사용하는 기법이다. 권위가 실린 긴 이야기를 축약하는 것도 속성 중 하나. 이야기가 축약되면 상징이 되고 신화가 된다.

도사쿠는 논어를 읽었을까. 알 수 없다. 하지만 일본 중세 막부시대 혼인보(本因坊ㆍ승려 출신 바둑가문) 등 바둑 가문은 공부도 했다. 남겨진 서찰을 보면 그들의 공부가 만만찮았음을 알 수 있다. 도사쿠는 자신도 모르게 승당입실(升堂入室)을 주관하는 자의 자부를 드러냈다. 그 이후엔 후대의 기사들이 도사쿠를 전고로 삼았다. 바둑만 보면 도사쿠는 성인의 자리에 있다. 기성(棋聖)이라 불렸고 실력 13단이라 했다. 성인은 세상에 의미를 주는 자리다. 그러니 바둑에서 후대 명인들은 적어도 한 번은 두 점으로 한 집을 다퉈 도사쿠와 같은 반열에 서고 싶어 했다. 어느덧 “두 점에 한 집”은 신화가 됐다.

시간이 지나 전통은 사라졌다

1966년 세고에 겐사쿠(瀨越憲作ㆍ1889~1972) 9단이 바둑문화에 기여한 공로로 자색(紫色) 훈장을 받을 때 기념식장에서 우칭위안 9단과 조훈현 초단이 기념대국을 했다. 우칭위안과 조훈현은 둘 다 세고에의 제자다. 막 입단한 조훈현이 두 점을 놓았는데 우 9단이 한 집을 이겼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 우 9단은 아무런 말을 남기지 않았다.

대국장이 화기애애해서 그런 걸까. 그렇겠다. 하지만 이미 그런 시대가 지난 때문인 것도 사실이다. 전통은 시간이 지나면 사라진다. 전통은 관습과 달리 의도적으로 만들어지는 제도인 까닭이다.

실력마저 변했다. 명인이 프로 초단을 두 점 접는 것은 이제 불가능하다. 실력의 편차는 현저하게 좁혀졌다. 요즘 명인들은 두 점 바둑 둘 기회가 아예 없다. 굳이 두 점에 한 집이 아니어도 당대 최정상급의 누군가가 “이것이 나의 명국이다”라고 한 마디 한다면, 그리고 그 이유를 하나 든다면, 그 다음부터 좀 더 쉽게 “이것도 나의 명국이다”고 한 마디 할 수 있을 것인가. 새로운 전통이 이어질 것인가.

추천 비추천

3

고정닉 1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공지 [공지] 입문자 및 바둑뉴비들을 위한 바둑의 룰과 규칙 [125] Godzne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2.01 204385 655
공지 바둑 갤러리 이용 안내 [107] 운영자 05.07.29 81393 42
946687 원래 못생길수록 공부 존나 열심히 하잖아 ㅇㅇ(39.7) 15:32 14 0
946686 난차라리 오유진이나 조승아가 1인자였으면좋겠음 바갤러(112.186) 15:31 23 3
946685 허서현, 이슬주 모두 끝내기에서 패배 바갤러(59.28) 15:27 35 0
946684 충격! 국대 1위 3위가 비국대 출신에게 전멸 [6] ㅇㅇ(175.223) 15:22 91 3
946683 근데 오유진과 조승아 쌍둥이냐? [5] ㅇㅇ(220.65) 15:16 98 3
946682 바둑 잘 두는 게 오히려 부끄러운 거다 ㅇㅇ(39.7) 15:15 32 0
946681 근데 구쯔하오는 김은지한테 어케 진거냐? [2] ㅇㅇ(118.235) 15:14 69 0
946680 우리 스미레가 결승 진출했다 [4] ㅇㅇ(110.8) 15:14 67 3
946679 춘향배 비공식 기전이라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8 105 1
946677 오유진 스미레 갓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6 117 2
946675 정상인은 바둑을 8단 이상 안 찍지 [2] ㅇㅇ(39.7) 15:04 50 2
946674 32살인데 바둑 배워볼만함? [4] ㅇㅇ(118.235) 15:04 40 0
946673 춘향이라는 타이틀이 여심을 자극하나? 바갤러(121.162) 14:59 39 0
946672 오 스미레 한국 첫 결승인가 ㅇㅇ(121.125) 14:51 53 1
946670 바잘알 형들 이거 어느쪽이 정배임? [4] 바갤러(118.235) 14:47 67 4
946669 당가문이 자꾸 선동하는거 보니 리샤오시는 ㅇㅇㅇ(58.234) 14:45 41 3
946664 바둑 아마고수정도되면 일색바둑 할수있음? [1] ㅇㅇ(118.235) 14:40 26 2
946663 못생긴년 와카 30개챙겨준곳임 [1] 바갤러(118.235) 14:39 68 3
946662 그냥 양궁처럼 실력순이 낫지않음? ㅇㅇ(118.235) 14:38 23 1
946660 결론 허서현 선수의 시드는 절차상 문제가 없음 [4] 갓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3 117 1
946658 국대 = 고등학교 특별반 아님? [2] ㅇㅇ(125.198) 14:32 38 0
946657 39.7 통피형님 왜 글삭튀 하셨나요? [2] 바갤러(121.141) 14:30 47 0
946656 국대시드는 불만은 가지는 사람이 있겠지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29 63 0
946655 국가대표 시드를 수능이랑 비교한 병딱은 뭐냐 바갤러(218.148) 14:29 24 0
946654 국가대표 시드가 문제가 아니라 바둑 국가대표의 한계지 바갤러(218.148) 14:28 27 0
946653 복기맨 중계 진짜 개좆도 재미없네 ㅇㅇ(125.198) 14:24 42 2
946652 신진서는 바둑 안가르쳐주고 뭐했나. 바갤러(121.136) 14:23 42 1
946651 애들아 정지우랑 정연우 둘다 진짜 자매야? [3] 바갤러(39.7) 14:20 94 2
946649 8월에 만약 여자바둑 삼국지가 열린다면 갓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8 65 0
946647 근데 왜 선발전 안하냐고 하는데 [3] 바갤러(118.235) 14:11 88 5
946646 은지팬들은 국대 핑계대지 말고 솔직하게 얘기하자 [1] ㅇㅇ(118.235) 14:09 52 1
946645 국대 시스템 자체의 문제인듯 [2] 바친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 103 3
946644 팩트) 걍 오김조가 국대 참여 안하는거임 [2] 바갤러(121.141) 13:58 93 1
946643 이 방식은 사례도 있고 ㅇㅇ(121.125) 13:57 38 0
946642 최정은 얼굴하나로 모든게 설명가능 [3] ㅇㅇ(118.235) 13:48 89 3
946639 허서현 스미레 갓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2 106 0
946637 애들아 정지우랑 정연우랑 둘다 비슷하게 생기지 않았냐 [5] 바갤러(39.7) 13:37 90 2
946635 이슬주, 오유진을 넘을까? 바갤러(59.28) 13:34 43 0
946634 스미레 한국이 좋아서 온게아니라 실력좋은 선수가 많아서 온건데 [2] 바갤러(211.210) 13:34 83 0
946633 스미레 응원한다 ㅇㅇ(220.65) 13:28 45 1
946631 안조영 김다영 김경은 이 셋은 너무 아쉽겠는데 [6] ㅇㅇ(59.16) 13:24 130 1
946630 19년 당시 이번 황룡사랑 똑같은 방식이었음 ㅋㅋㅋ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2 79 7
946628 국대현실은 선발전에 상위랭커 아무도안나옴 바갤러(211.234) 13:19 83 3
946626 그 다음 19년은 3명을 뽑았는데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5 58 0
946624 예전 19년도 황룡사배 단체전 시드는 [4] 갓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0 95 0
946623 국대훈련을 열심히 하니 시드가 당연한거다라... [3] 바갤러(211.234) 13:09 71 0
946622 예전에는 2명 참가하는 대회 다 랭킹이었네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6 86 2
946621 외모는 오직 규리원탑 [2] 바갤러(223.38) 13:01 6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