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인텔은 정말로 하닉에 낸드 중국 공장을 설거지한 것인가?모바일에서 작성

뿌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3.25 15:20:01
조회 26972 추천 139 댓글 146
24b0d121e09f69f420afd8b236ef203e5514e96562ad2a4e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66c7ce4c6faf5b25b2a2b886b0f28bb09cbd57288be8857a5cc66c4b415b680617c96c9350b7d939e5e1d48c3f76510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76d35570313f9159e891a21da2fb91a4787c924f3e76b7ecc55a463d193add5b7c4810d8dbfe14c49ab37a0760970b2



요새 보니 인터넷 커뮤니티에 칩스 법하고 묶어서 인텔이 낸드 사업부와 중국 공장을 하닉에 설거지했다고, 그래서 미국 개새끼들이라고 욕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 비하인드 스토리를 대충은 아는 사람 입장에서는 좀 억까라고 생각함. 왜 인텔이 낸드 사업부를 하닉에 매각했는지, 또 왜 하닉이 살 수밖에 없었는지 제대로 이해하려면 3D 낸드가 막 시작되던 2015년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함.

첨부 1이 그때 당시 낸드 산업 구도임. 보면 인텔과 마이크론은 지금의 키옥시아/WDC처럼 낸드 사업을 JV(Joint Venture)로 같이 운영하며 낸드 공정기술을 같이 개발하고, 비용도 같이 분담했음. 계속 말하지만 반도체 산업에서 선단공정 개발비용은 일종의 고정비임. 업계 1등이나 꼴등이나 그 비용은 거의 비슷함. 그런데 그 막대한 고정 비용을 인텔/마이크론, 키옥시아/WDC는 JV끼리 나눠서 부담하니 고정비 절감 효과가 컸음.

그런데 그렇다고 해도 인텔/마이크론과 키옥시아/WDC의 JV 구조가 완전히 똑같지는 않음. 첨부 1에도 나왔듯 키옥시아/WDC는 생산 시설도 공유하지만, 인텔/마이크론은 생산 시설이 서로 나눠져(인텔: 중국 대련, 마이크론: 싱가폴) 있었음. 이처럼 인텔과 마이크론은 제조 FAB이 달라서 동일한 공정기술인데도 제품 Spec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음. 예컨대 Die 사이즈나 이런 거?

여하튼 본론으로 다시 돌아가서 2015년에 3D 낸드 시장이 최초로 열리면서 낸드 업체들은 선택을 해야 했음.

1. 3D 낸드에 새로운 낸드 구조인 CTF(Charge Trap Flash)를 적용한다.
2. 기존 2D 낸드 구조인 FG(Floating Gate) 방식을 그대로 유지한다.

CTF 구조가 FG 구조 대비 내구성, 속도, 생산성, 칩 사이즈 모두 우위라서 다른 모든 업체들은 CTF 구조로 갈아탔지만, 인텔/마이크론만은 기존 FG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음.

이런 결정을 한 데는 크게 2가지 이유가 있음.

1. 인텔은 낸드를 자사 CPU와 번들로 묶어서 서버용 eSSD로 거의 대부분 판매하는데, eSSD는 그 무엇보다도 신뢰성이 중요함. FG 구조는 기존 2D 낸드 구조를 그대로 유지해서 CTF 대비 안정성과 신뢰성이 더 높았음.
2. 마이크론이 돈이 없었음. 그때 당시 마이크론은 공정 기술력이 크게 딸려서 14~15년 다운턴 때 대규모 적자를 냈었고, 회사가 망할 위기라서 그때 YMTC가 마이크론 인수를 시도하기까지 했었음. 이런 상황에서 FG에서 CTF 구조로 전환하려면 전환 투자비가 엄청나게 드는데, 마이크론은 그걸 감당할 수 있는 돈이 없었음.

그래서 인텔/마이크론은 3D 낸드에서 기존 FG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고, 64단까지는 이 구조를 유지했음.

그런데 64단 이후부터 인텔과 마이크론의 의견이 갈리기 시작했음. 왜냐하면 CTF 구조 낸드 양산 경험이 쌓이면서 FG 구조 낸드의 단점이 크게 부각되기 시작했거든.

1. CTF 낸드 공정기술이 안정화되면서 이제는 신뢰성과 안정성 역시 FG 구조에 못지 않아졌음.
2. 이런 상황에서 FG 구조는 CTF 대비 속도와 칩 사이즈가 열위라서 빠른 속도와 작은 사이즈가 특히 중요한 모바일향 낸드(eMMC, UFS)에 적합하지 않음. 그래서 마이크론의 모바일향 낸드 시장점유율이 크게 밀리기 시작했음.
3. 마이크론도 메모리 슈퍼 사이클을 지나면서 공정 기술력과 자금력 역시 엄청나게 개선되었고, 이 때문에 CTF 구조로의 전환 투자비용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게 되었음.

이에 비해 인텔은 어차피 서버향 eSSD만 만드니 모바일 시장에 별 관심도 없었고, 또 크르자니크의 개삽질로 본진 CPU 시장이 AMD와 엔비디아에 개같이 털리면서 CTF 전환에 막대한 돈을 투자할 여력이 전혀 없었음.

이로 인해 결국 2018년에 저 둘은 낸드 사업 JV를 중단하기로 결정했고, 마이크론은 다른 업체들과 동일하게 독자적으로 CTF 구조의 3D 낸드를 개발하게 됨.

이렇게 되니 인텔은 낸드 사업을 유지하기가 더는 힘들어졌음. 이제는 독자적으로 낸드 공정기술을 개발해야 하는데, 낸드 시장점유율이 꼴등(18년 기준 7%)이다 보니 고정비 부담이 너무 커졌음. 그렇다고 마이크론과 같이 CTF 구조로 넘어가기에는 그럴 돈도, 능력도 없음. 또 결정적으로 돈이 부족해서 치열한 낸드 시장 경쟁에서 독자 생존이 불가능해짐.

그래서 업계 타짜들은 인텔과 마이크론이 낸드 JV를 중단한 시점부터 조만간 인텔이 낸드 사업을 매각할 것이라고 예상했고, 첨부 2의 19년 5월 7일자 삼성증권 리포트에서도 나왔듯 이미 저때부터 인텔이 낸드 사업을 매각하려고 한다는 소문이 업계에 파다하게 돌았음. 그리고 하닉의 인텔 낸드 인수 뉴스가 20년 12월에 나왔지.

인텔이 낸드 사업 매각을 고려하기 시작한 시기(18년부터)와 낸드 사업을 매각할 수밖에 없었던 제반 사정을 고려하면 인텔이 미국의 중국 반도체 규제를 진작부터 미리 알고 하닉에 일부러 낸드 사업을 설거지했다고는 보기 어려운 것 같음. 뭐 미중 패권전쟁 리스크를 어느 정도 고려했을 수는 있지. 그런데 그게 전적인 매각 사유는 아니라는 것임. 아주 일부 사유일 것이라고 생각함. 솔직히 말해서 낸드 치킨게임에서 밀려서 퇴출당한 게 진실에 가장 가깝다고 생각함.

그리고 하닉도 미중 패권전쟁 리스크와 인텔 FG 낸드 구조의 한계도 미리 인지는 했었을 거라서 미국의 규제가 없었더라도 중국 대련 FAB에 대대적으로 투자하지는 않았을 것 같음. 또 하닉이 인텔 낸드를 인수한 주된 이유가 시장점유율과 eSSD 솔루션 기술력 확보, 그리고 연구개발비에서 규모의 경제 확립임. 공정기술이 목적이 아님. 특히 연구개발비에서 규모의 경제를 확립하려면 한 회사에서 다른 두 가지 공정기술(하닉: CTF, 인텔 낸드: FG)을 같이 개발할 이유가 전혀 없음. 비용이 두 배로 드는데? 그러면 한계가 명백한 FG 기술을 도태시키는 것이 당연함. 비슷한 사례로 마이크론도 엘피다를 인수한 후 자사 디램 공정기술을 구 엘피다 FAB에 횡전개했음. 즉, 양 사의 공정기술을 하나로 통합한 거지.

따라서 만약 미국의 중국 공장 규제가 없었다고 해도 하닉은 다음과 같이 낸드 사업을 운영했을 것이라고 생각함.

1. 장기적으로 FG 구조 낸드 공정기술 개발을 중단해서 연구개발비를 절약한다.
2. FG 구조 낸드를 생산하는 중국 대련 FAB은 지정학적 리스크도 있고, 또 CTF 구조로의 전환 투자비용도 너무 크니 현재 개발된 최선단 FG 공정기술 수준까지만 최대한 업그레이드 한다. 즉, 최소한의 미세공정 전환 투자만 한다.
3. 대련 FAB에서 발생하는 장비 감가상각의 보완 투자를 한국에 진행한다. 예컨대 대련 FAB의 장비 감가비가 연 2조 원이라면 현상유지를 하려면 저 2조 원을 계속 재투자해줘야 함. 그런데 저 2조 원을 한국의 CTF 낸드 양산 FAB에 대신 투자하는 것임. 그러면 대련 FAB의 생산량은 계속 감소하고, 대신 한국 FAB의 생산량은 그만큼 계속 증가함.

즉, 어차피 장기적으로 하닉은 대련 FAB을 레가시 FAB으로 도태시켰을 것이라는 말임. 미국의 규제가 있든 없든 말이지.

만약에 하닉이 인텔 낸드를 인수하지 않은 상황에서 키옥시아/WDC가 망해서 마이크론이 저 둘을 인수했다고 쳐 보자. 그러면 하닉의 낸드 시장점유율은 삼전과 마이크론 대비 압도적으로 밀리게 됨. 이런 상황에서는 하닉 자체의 힘만으로는 낸드 시장점유율을 늘릴 수 없고, 장기적으로 낸드 시장에서 압도적인 약체로 놓일 수밖에 없었을 것임. 첨부 3에서 말하는 M&A 없이 Organic Growth만으로는 메모리 반도체 산업에서 규모의 경제 확보(시장점유율 확대)에 한계가 있다는 게 이 뜻임.

그렇다고 해서 키옥시아를 일본 정부가 절대 한국에는 안 팔려고 할 테니(하닉이 17년에 키옥시아 지분 투자를 했을 때도 일본 정부가 하도 개지랄 떨어서 경영권과 기술 접근 권한을 하나도 얻지 못 했음), 하닉에게는 점유율을 늘릴려면 인텔 낸드 인수 말고는 선택지가 없었음. 또 이제 와서 인텔 낸드를 살려고 하지? 지금처럼 미중 패권전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여러 가지 제한들이 엄청 많았을걸? 하닉의 문제는 그때 인텔 낸드를 무조건 살 수밖에 없었는데, 그게 많이 비쌌다는 것이지. 그래서 난 하닉이 바가지 쓴 건 맞지만 반드시 필요한 인수합병이었다고 생각함.

여담으로 나는 이 때문에 마이크론이 키옥시아/WDC를 인수하는 것을 중국 정부에서 절대 허용하지 않을 확률이 높아서(미국 좋은 일 시키게?) 마이크론이 중국 정부 쌩까고 키옥시아/WDC를 인수하고, 그 보복으로 중국 시장에서 마이크론이 아예 퇴출당할수도 있다고 생각함.

여튼 이로 인해 지금 마이크론도 머리 깨나 아플 것이라고 생각함. 똑같은 이유로 낸드 3자 독과점화와 낸드에서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조건 키옥시아/WDC를 인수해야만 하는데 돈이 진짜 엄청 깨질걸? 인텔 낸드 가격이 90억 불이었으니 최소 250억 불 이상? 저거 인수하면 부채 부담으로 한참은 소화 불량에 걸릴 꺼라 마이크론도 고민이 많을 것임. 또 중국 정부가 인수를 허락 안해줄 확률이 매우 높은 것도 문제임. 다시 말해 독이 든 성배임. 이로 인해 저때 가서 마이크론이 인수합병 후유증으로 빌빌댈 때 삼전과 하닉이 공격적인 투자로 낸드 시장점유율을 많이 뺏어 와야지.


출처: 갤럭시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139

고정닉 28

69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3216/2] 운영자 21.11.18 12093975 542
32950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남혐 논란 여BJ 축가 유출로 결혼식 초대 거절 논란
[5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20 2849 26
329505
썸네일
[스갤] 오징어 게임 시즌3...예고편 공개 ㄹㅇ...
[49]
어깨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10 2576 52
329503
썸네일
[로갤] 스압) fly my wings 가사 맞춰서 만화 그려옴
[27]
타코야끼아이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0 5069 74
329501
썸네일
[야갤] AI와 대화 후 벌어진 비극...숨진 채 발견된 소년
[157]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50 6834 22
32949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트럼프가 말할 “지각 뒤흔들 발표” 뭔지 떴냐?
[150]
고정닉만체크된다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40 7198 42
329497
썸네일
[이갤] 647년만에 돌아왔던 고려 불상다시 일본으로
[255]
ㅇㅇ(61.97) 15:30 6132 26
32949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마약중독 영화
[9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0 12011 47
329491
썸네일
[중갤] 50년 공직으로 쌓은 이미지, 10일만에 무너진 한덕수
[30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0 13360 54
329489
썸네일
[M갤] 2025.05.05 리글리 (CHC vs. SFG) 방문 후기
[2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50 2225 24
329487
썸네일
[싱갤] 으악으악 이제는 검열 때문에 못보는 짱구 극장판 장면들
[228]
뎅뎅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40 14908 129
329486
썸네일
[기갤] 영화관 업계 2, 3위 손 잡았다, 롯네시네마+메가박스.jpg
[24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1 9604 57
329484
썸네일
[이갤] “세차합니다”···당근보고 연락했다가 차량 도난
[182]
깐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20 8557 38
329482
썸네일
[싱갤] 2030년 한국의 미래을 예언한 웹툰
[26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 17773 236
329481
썸네일
[디갤] 오산 에어쇼_프리셋 딸깍
[39]
거북이비행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0 4686 22
32947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예물시계 추천 대참사
[29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50 17394 42
329477
썸네일
[무갤] 63억 '영끌'해서 병원 앞 상가를 분양받은 자산가의 최후
[323]
조선인의안락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0 18212 170
329476
썸네일
[카연] 어릴때 본 귀아저씨 manhwa.
[115]
기주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0 11523 141
32947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순수 체급으로 승부하는 갤러리
[106]
관심종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0 18475 83
329471
썸네일
[이갤] 홍준표 "이재명·이준석 양자구도"…이준석 "내가 보수의 적장자"
[572]
처칠식마티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0 15537 212
32946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싱붕이 깜짝.. 03년생 일진누나의 첫차.jpg
[284]
이미지첨부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0 26656 76
329467
썸네일
[미갤] 황교안 <절대 도중에 중단하지 않겠습니다>
[161]
윤통♡트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0 10937 133
329466
썸네일
[일갤] 히로시마 2일차 - 세토다, 그 바
[22]
수염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0 4494 11
329464
썸네일
[해갤] 실시간 문수덕수 상봉 gif
[623]
ㅇㅇ(118.235) 12:20 23388 179
329462
썸네일
[무갤] 천안 결혼식장 천장붕괴 사고현장
[342]
Everlasti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0 22837 171
32946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 마디 광역기
[46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0 31016 351
329459
썸네일
[카연] 마법과 마나의 세계에 존재할리 없는 쿠노이치.4
[29]
YanBBBBBBB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0 8240 42
32945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각 종교 경전들의 마지막 문단
[359]
노무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0 29361 88
329456
썸네일
[미갤] 인도-파키스탄 휴전협정 파기
[307]
아르바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0 28785 91
329454
썸네일
[해갤] 김민재, 케인 우승 세리머니...gif
[371]
메호대전종결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29905 687
329452
썸네일
[무갤] 수학여행 방 배정 여초반응
[827]
ㅇㅇ(211.216) 11:10 35655 683
32944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교황 유력 후보군에 오르지조차 못했었다는 레오 14세
[217]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0 20018 156
329447
썸네일
[카연] 입학부터 선생님한테 찍히는.manhwa
[23]
폭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0 10629 35
329446
썸네일
[이갤] 조국당 성추행피해자들 “조국 친위대에 의원들도 눈치”
[244]
로그인을하라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4225 156
32944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본 오사카 엑스포 음식 가격과 퀄리티
[315]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0 19129 100
329442
썸네일
[디갤] 중국 황산 여행 (34장)
[65]
디붕이(221.163) 10:10 5446 27
329441
썸네일
[싱갤] 유치유치 유료 ai가 정한 포켓몬 세계관 TOP 7
[1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0 25864 79
329439
썸네일
[중갤] 스테이블코인 놓고 이재명·이준석 충돌…민주당 가세로 논쟁 격화
[392]
세티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0 15515 38
329437
썸네일
[미갤] 김문수 대선후보 복귀
[57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40 24588 140
32943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프리저의 소원촌
[120]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15590 138
329434
썸네일
[주갤] 제발 그놈의"노산! 노산!! 노산!!!"얘기좀 그만하자고 하는 노산블라녀
[985]
갓럭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0 33133 313
329432
썸네일
[이갤] 채널A) 지금까지나온 가처분 재판부 입장
[91]
ㅇㅇ(118.33) 09:10 13220 27
32943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히틀러의 연설
[282]
관심종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0 17763 150
329427
썸네일
[상갤] [4/30~5/4] '25년 나가노현 성지순례 일대기 (1)
[35]
교토대동방학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0 6202 17
329426
썸네일
[넷갤] 영화 "승부" 실존인물 비교....jpg
[252]
ㅇㅇ(175.119) 08:30 23408 139
32942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아시아 운동선수 연수입 순위
[17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0 17563 36
329422
썸네일
[이갤] 임신 중 운동 피하라? “살부터 빼세요” BMI ‘이 정도’가 안전
[19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21711 83
329420
썸네일
[디갤] 홍콩 2일차 고봉밥 (30장)
[20]
도비는무료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0 5882 23
329418
썸네일
[싱갤] 다그닥다그닥 몽골군 결전 병기의 정체
[324]
정조대보추애널피스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0 17352 185
329417
썸네일
[군갤] 스압) 항해불능 판옥선이
[139]
사비타는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41 15267 92
뉴스 ‘귀궁’ 육성재, 천년 만의 첫사랑 김지연에 고백…직진 시작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