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인플레이션과 리세션의 거의 모든것 : 노동시장과 베버리지 곡선앱에서 작성

낭만숏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6.01 16:50:02
조회 11272 추천 82 댓글 104

23bcc322e4c375aa61b8d9f801d92d29eee0127860da25fa8d70a08cb42c58

(재업로드)

0ba5d42acefd15916d9ef3901ae91b738ad02beddb4155d8ceb686887c4916

오늘 JOLTs는 다시 10M을 돌파했다

7cef8076fd9f69ee37f698bf06d60403da8fa06985c286701e

알바가 이유없이 지웠던 지난글에서 나는 최근 은행문제는 잠잠해졌고 부채한도 혼란도 마무리 단계에 와있으니까 다시 회복되는 금융여건에 따라 JOLTs가 다시 상승할수 있다고 했었는데 이게 현실화된거다

0baac30edc862f9e7d9ef79644c12c731c2843357da215c28da21a13e3d5b5

현재의 긴축적 통화정책이 과거에 비해 그다지 유효해지지 않은건 IMF도 지적했다시피 가계나 기업이 고정금리 상품을 중심으로 많은 계약을 해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근 발견된 약간 식었지만 여전히 뜨거운 노동시장은 금융여건에 의해 좌우됐을 가능성이 크다

예를들어 부채한도 혼란에 있어서 디폴트 확률이 1% 증가할 경우 은행의 리스크가 0.41bp 증가하게 되는데, 4월에 이 공식을 대입해보면 현재 명목 연방기금금리보다 18bp 더 긴축돼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할수 있었기 때문이다

04908301ddf41a903b89fd9e3afc0f1e3c96590e625815ec2573fdeb642197e96ce2ca2dda85b6a50f9896

지난 19일자 파월과 버냉키 간의 대화에서 옐런의 발언인 '대형은행은 더많은 합병 준비 필요'로 시장의 시선이 옮겨갔을때 나는 계속해서 연설에 집중했었다

7ce4d425a8c237b16bb3daf810c52735913157749ff1eb32f5b58251f531c234790f6d60a06fd3d4a9c0bdda

둘의 대화에서 중요한건 '데이터 의존적인' 판단을 한다고 했던 파월이 현재 데이터만 가지고 금리동결을 시사했다는점보다는 노동시장에 대한 현재의 해석이 훨씬 중요했기 때문이었다

39b5d56be7d72ea37cb6d2b2139c2728ba0d06a12102c12bdb6e9e36b473c67e4287146b340c42

파월과 버냉키가 노동시장에 대해 얘기하기 몇달전에 나는 베버리지 곡선이라는 지표를 공유했던 적이 있다

구인률과 구직률(≈실업률)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곡선인데, 대개 우하향 모습을 나타내는 동시에 위기를 거칠때마다 바깥쪽으로 나오는 양상을 나타낸다

그러니까 다시말해 노동시장의 효율성 달성(수급 매치)을 위해 필요한 노동수요가 위기를 거칠때마다 점점 높아진다는거다

그래서 파월은 당시 구인률 : 구직률 비율이 팬데믹 이전에는 1 : 1이었다가 최근에는 2 : 1 정도가 됐다고 말했었는데 이게 그 베버리지 곡선의 변화를 시사하는 표현이었다

0fb1df21ccdf39a16b80f4b000d43634e6498ecd640f0b1853c931320512c15118e9a12c3cb11350f9fdcfcec958404154a194

베버리지 곡선에서 실제로 위기 이후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보기위해 다른 곡선들을 지워보면 이런 변화를 느낄수 있다

실제로 대침체로 불리는 2008년 금융위기 전후로 베버리지 곡선이 외곽으로 나왔음을 알수있다

0fb1df21ccdf39a16b80f4b000d43634e6498ecd640f0b1853c931320612c15111485a93783496a871e0063d5e0d550429e93a

팬데믹 기간에 한정해보면 변화는 이렇다

첫번째 단계(2020년 4월부터 9월까지) : 의무화된 주택명령 종료, 팬데믹 관련 지식 향상 등에 따라 노동자들이 직장에 복귀했고 이에 따라 실업률이 크게 감소했다 구인률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0babe81eece83b91579ef78735cb2373ee390f1b471547d702c6b1bc8899ec

실제로 팬데믹 이후 급증한 실업률은 다시 급격하게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두번째 단계(2020년 10월부터 다음해 6월까지) : 구직활동은 노동수요의 공백을 메꾸기 위한 구인활동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고 그에 따라 기업들은 노동자에게 더많은 임금과 복지수준을 보장할 필요가 있었다 '대퇴직'이라고 불리는 일이 이때 있었다(2021년 2월)

0babe81ee8fd339e619ef7971edb157382255e6ca41a0136372f7ba7820d24

이 기간동안 임금상승률은 빠르게 증가했음을 확인할수 있다

세번째 단계(2021년 7월 이후) : 베버리지 곡선이 다시 평평해졌다 이제 빈 자리는 상당히 늘었지만 수급이 일정부분 균형을 되찾았다 이는 향상된 주정부 실업보험 혜택철회, 증가된 자산가격 등의 영향에서 기인한다

다시 말해 팬데믹 당시 막대한 재정정책 패키지와 급등한 집값, 주가가 노동시장에서 나오도록 만들었다는 말이다 이는 미국 상공회의소의 분석과도 일치한다

7fed8071b48769f73aec87e25bd32133cc0b6f817f8ae73b3ddf625cb9680f93287ba31bad04f9a7452fe31a69e9049e0e2544

Bernanke와

22b1d930ecd72aeb6cb3d7bb15d9252f3fa210907a6cd8c90128321feb2066805c64048e

Blanchard는 이러한 뜨거운 노동시장이 향후 인플레이션을 좌우할거라 말한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76d33560613f91c9b891c22da29b5074f894c5eaabf3a61a2c267007a60c521d69389a96a2972368dbd9b

지난해 상반기 인플레이션에서 큰 비중을 차지했던건 공급망 충격이었다 공급망 충격이 식품, 에너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상품 인플레이션을 촉진시켰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들어 상품 인플레이션은 크게 둔화됐고 공급망 역시 정상궤도에 이르기 시작했다

실제로 약한 공급망 충격은 일정시간이 지나면 영향력이 사라진다 차질이 생겼던 흑해 곡물협정이 다시 체결된 이후 농산품 가격이 하락한것도 이런 영향이다 하지만 기후위기 같은 강한 공급망 충격은 충격 이후에도 인플레이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데 대략 0.34%p 정도의 충격을 지속해서 준다는걸 보여준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76d33560613f91c9b8c1b2ada29b5074f890f846fdc8e31ec1ed0b064fb0d8d55daf2a3eafb3d8e5860dd79

반대로 뜨거운 노동시장은 충격의 강도와 관계없이 인플레이션에 누적된 영향을 미친다 약한 충격도 인플레이션에 누적되는 효과를 나타낸다는 뜻이다

러셀 갤러리에 올렸던 1970년대와 현재를 비교했던 스태그플레이션 글에서도 말했다시피 1970년대와 현재 가장 큰 차이점은 공급망 충격이 예상보다 크지않았다는점이고 가장 비슷한 공통점은 높은 임금상승률에 따라 인플레이션에 지속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었다

따라서 노동시장을 얼마나 빠르게 식힐수 있냐가 향후 인플레이션 문제를 좌우하게 된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76d33560613f91c9b801c27da29b5074f8930c9bd15bf789ad3f0636673cc36e9a950c111b00cb18abcd12c

동시에 노동시장의 열기는 연착륙이냐 경착륙이냐를 가를 리세션 문제도 결정하게 된다 v/u, 구인률과 구직률 간의 비율이 낮아질수록 인플레이션 둔화속도는 빨라지고 반대의 경우 높아지게 되는데​

0ab8c432fcfb35a769bac5f847857c6a52504abfa125b09ec97c3e286afb137a68a9216a0b4de6638fc252bf435c0643c703525c7a503bdc09e6b0477374a6b94ba51d07eb9085

파월이 FOMC에서 노동시장에 대한 질의를 받을때마다 말했던 1인당 직장 1.3개와 저자들이 논문에서 현재 정책조합을 장기간 유지할 경우 도달할거라 판단하는 1.2는

잠재실업률을 3.6%로, 높아지더라도 상단을 4.3% 정도로 보여줘 연착륙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오늘 지표는 여전히 뜨겁지만 그래도 식고있던 노동시장의 열기가 되살아났음을 보여준다 다시말해 오늘 데이터는 리세션과 인플레이션을 결정하는 노동시장과 베버리지 곡선이 연착륙에 대한 기대를 흐리기 충분하다는 사실을 보여줬다는걸 의미한다


출처: 나스닥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82

고정닉 21

1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아이돌 그룹 보다 솔로 활동 후 더 잘 풀린 스타는? 운영자 23/09/25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1425/2] 운영자 21.11.18 2412950 334
171599 [위갤] 바닷가에서 흡입한 옥돔의 맛! 옥토모어7.3 그림리뷰 [164] 이탄들린모코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55 3225 32
171597 [카연] 창쾌한 지경씨 28~30 [25] 셋하나둘은둘셋하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45 2790 62
171595 [싱갤] 싱글벙글 개웃긴 레드넥 UFC파이터 [99] 노리유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5 12340 131
171593 [야갤] 천조국 버거형님들의 소울푸드...jpg [108] 야갤러(219.241) 01:25 11279 46
171589 [판갤] 냉혹한 중학교 칼부림...칼 가지고만 있었는데 와서 스스로 베였다의 세계 [135] 인터네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5 12323 104
171587 [주갤] 키티)은해끝나고 계곡 떠나는 중+밀어내기+에이스 프로필 안 내려줌 [44] 실시간기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5 6397 39
171585 [싱갤] 싱글벙글 아무거나충이랑 음식메뉴 정하는 짤 [11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5 12242 39
171583 [니갤] (임시, 피드백 부탁)2023년 9월호 [37] 주린이의비망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5 2346 5
171581 [4갤] "국가장학금 덕에 학업 무사히 마쳤다"…11억 기부한 20대 [458] 4갤러(162.255) 00:25 16743 183
171579 [러갤] SS갈라치아 나치, 캐나다 의회 연설 초대 논란 [124] ㅇㅇ(112.166) 00:15 4870 80
171577 [싱갤] 고전) 싱글벙글 걸어다니는 오나홀 [163] 채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5 42966 442
171575 [코갤] 지구최강의 알파메일.jpg [302] ㅇㅇ(223.38) 09.26 30085 835
171573 [야갤] ‘나는 자연인이다‘에 나온 자연인들이 빡치는 이유 [100] 야갤러(45.92) 09.26 19571 267
171571 [주갤] 여시)처벌받게 하려고 오빠 아이디 살인 예고글 50개 작성 여시반응 [175] 실시간기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14274 192
171567 [싱갤] 싱글벙글 카이지 맥주짤의 진?실 [219] 유미고양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31595 398
171565 [중갤] 싸펑 개발진이 열심히 돌려봤다는 한국 스트리머 영상... [121] 시마시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24365 125
171563 [나갤] 애정촌 짝에 출연했던 연예인들 [114] 나갤러1(180.70) 09.26 24257 69
171561 [야갤] 국뽕 행복사...김치샌드위치를 환장하고 먹는 천조국 형님들...jpg [274] 야갤러(219.241) 09.26 18791 107
171559 [싱갤] 싱글벙글 매우 관리 잘된 과거 슈퍼모델 근황 [349] Rathbur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40599 438
171557 [디갤] 빌딩숲 사이의 일몰 [45] ㅇU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9513 50
171555 [판갤] 냉혹한 도박사이트 운영 범죄조직...초임 검사의 세계...JPG [264] 인터네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20896 417
171553 [싱갤] 싱글벙글 공주대 졸작 표절 논란사건 정리.jpg [552] ㅇㅇ(220.80) 09.26 36754 568
171551 [야갤] 경쟁에서 승리한 주갤러 [353]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25256 512
171549 [주갤] 블라)나 만난 동안 다른 썸남과 자고 1년 소개팅100번 아내 용서가능? [170] 실시간기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22874 68
171547 [빌갤] 아리아나 그란데 불륜 논란 총정리 [308] ㅇㅇ(106.101) 09.26 35643 182
171543 [카연] 여고생이 잘자는 만화 1화 [83] 조예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12680 171
171541 [싱갤] 졸릴 때 잠깨는 꿀팁 6가지 [319] 뉴블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29320 46
171539 [기갤] 카톡 맞춤법 때문에 썸남 손절한 썰.jpg [286] 긷갤러(31.13) 09.26 25945 50
171537 [야갤] 대륙의 일상 시리즈.. [300] ㅇㅇ(211.55) 09.26 22294 266
171535 [야갤] 노산이 가스라이팅이라는 블라녀 ...JPG [548] ㅇㅇ(77.111) 09.26 29720 750
171533 [대갤] 어떤 암행어사의 생존법 [344] ㅇㅇ(118.235) 09.26 25250 577
171531 [헌갤] "피가 부족해" 고교생에 SOS…수입 늘어난 美혈장도 품귀 [825] ㅇㅇ(14.47) 09.26 23462 236
171529 [싱갤] 애니에서 자주 나오는 현실 격투기 기술 GIF [286] ㅇㅇ(118.235) 09.26 29245 99
171527 [리갤] 롤 역사상 최대 난제 ㄹㅇ...JPG [912] ㅇㅇ(175.223) 09.26 48671 2583
171525 [국갤] 정청래 권성동 케미 [138] 행복의나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16801 287
171521 [로갤] 서일본일주) 4~5일차 큐슈로 빼꼼하러 가는 길 [56] 맥아티장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3981 32
171519 [싱갤] 싱글벙글 성공한 사람들 특징.jpg [783] 딸근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62235 906
171517 [U갤] 존 아닉 : “마카체프가 다게스탄으로 가져가는 그 벨트 !” 다시 보자 [50] 핏빛유혹하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8998 53
171515 [판갤] 냉혹한 정유정...아버지와의 통화 기록 공개의 세계.jpg [484] 인터네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28367 390
171514 [싱갤] 싱글벙글 25대째 일본도를 만드는 장인 [894] 노리유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38388 474
171512 [야갤] XX 중에도 잠자는 체력 저질 남편의 직업.jpg [307] 야갤러(91.207) 09.26 41275 324
171511 [나갤] 나는 솔로 16기 광수 피소ㅋㅋㅋㅋ [108] ㅇㅇ(1.251) 09.26 34931 285
171510 [기갤] '흑인 소녀' 메달 건너뛴 체조대회 [467] 긷갤러(185.239) 09.26 23160 208
171508 [현갤] 88만 과학 유튜버가 말하는 금딸 [50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53896 169
171507 [중갤] [단독] 이재명 경기도 직원을 통해 이화영 회유 정황 [230] ㅇㅇ(110.8) 09.26 16494 485
171505 [싱갤] 싱글벙글 도라에몽 영민이가 이슬이를 거절한 이유 [1272] ㅇㅇ(124.48) 09.26 44736 425
171501 [싱갤] 독일의 성실한 소년 이야기 [207] ㅇㅇ(121.135) 09.26 27712 286
171499 [중갤] 2023년 추석 떡값 근황 [430] 중갤러(103.216) 09.26 36590 140
171497 [최갤] 인생에서 와이프가 가장소중하다는 이대호 [288] ㅇㅇ(118.235) 09.26 22026 24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

힛(HIT)NEW

그때 그 힛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