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스압)이동진이 보는 한국영화 위기론

조나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6.10 10:20:02
조회 40532 추천 497 댓글 750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47a4c3a57e3384e56ea13c5323fc75ef7dd9cd849c63b274c4367678486e9



(해당 영상 촬영은 범도3 개봉 하루전 시점임을 참고)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57a4f3a57e3384e56ea13c39039d233a0b3a127320a1f3c3076cfc72a273b



올해 한국 영화들 성적이 매우 좋지 못했다


가장 흥행한게 교섭인데


교섭조차 200만을 넘지 못했다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57a4c3057e3384e56ea135564de60810fe82cefea130afdb583fcca1b87e8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47a4b3a57e3384e56ea13a776423b8f5f15fe202bbcfbdd56a25bfc0e553f

하지만 아직 여름 성수기때 개봉할 텐트폴 영화들이 남아있다.


한국영화가 정말 망했냐를 보려면 8월까지는 기다려야한다고 본다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57a4b3957e3384e56ea1309121f8029c8ddb3330900e4cdd272db7a6fd76a



Q. 범도3가 대박이 난다면 한국 영화 위기론 잠재울 수 있지 않을까?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57a4b3e57e3384e56ea130666ebb521b793ff9d283520283e95d995d1172d


그렇지 않다고 본다


작년에 범도2가 천만이 넘었는데도 한국 영화는 상황이 좋지 않았다


그냥 범도 시리즈가 잘 되는거지 한국 영화가 잘 된게 아니다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77a4d3857e3384e56ea1351907ef610702293c5d2986cb88b4c6749ae320f


극장 티켓 가격이 한국 영화를 죽였는가에 대해서는 반반이라고 생각한다


국제적으로 봤을때 한국 영화 티켓은 비싼편은 아니고


공급자 입장에선 코로나로 인해서 가격 인상은 불가피했을것이다


하지만 그건 공급자들의 입장이지 소비자는 아니다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17a4b2904f3295956e10e6855aae69bd66633de31f12111f1efaf6e27e0


애당초 영화는 삶의 필수가 아니기에 소비자 입장에선 가격 변동에 민감할 수 밖에 없다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17a4f3957e3384e56ea13316ca0f8b29885ebcf77f8beb26f2154aa5bd95d


Q. 미국처럼 가격을 이원화하면 어떨까? 블록버스터는 비싸게 독립영화는 싸게 티켓값을 정하는 방식으로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17a4c3157e3384e56ea136c2823d34c03feea41dd9be9bcc66d9a2bd17255


얼핏 생각하면 좋은 생각같지만 


단지 제작비 차이로 인해 티켓값을 차등하는 것은 영화의 가치가 제작비로 결정될 수도 있다


어떤 영화는 만이천원, 어떤 영화는 8천원짜리 영화가 될 것이다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37a4b2904f3295956e10ebfee1ff4e910347975bdf17a58ed65759c9022

Q. 작은 영화들은 굳이 극장에서 보지않아도 되기에 한국 영화가 힘든 것인가?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37a4b3957e3384e56ea1324ac565344e0d25aabc25bc55202a22fa168c836


오히려 작은 영화들을 극장에서 봐야한다고 생각한다


블록버스터 영화같은 경우 잠시 멈췄다 다시 틀어도 내용이 거의 비슷비슷하지만


작은 영화들의 경우 중간에 끊어 보거나 몰입하기 힘든 환경일 수록 집중이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건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 것이다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c7a4c3957e3384e56ea138b816aff2b504d40362f7e282a87e4bb1fd7ac4a


Q. OTT로 인해 한국 극장 영화가 위기인것인가?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c7a4a3b57e3384e56ea13d920b09cf98be49093eb75bf48864d3dcff7c357


현재 많은 영화인들이 다양한 플랫폼에서 의미있는 성과를 내고있다


극장 영화만이 잘 되야 한다는건 공급자들의 입장이지 소비자에겐 아니다


영화를 즐기는 형태도 달라질 수도 있다


미디어 관람 환경에 따라 영화의 형태나 제작 기술이 변화하는 것이 영화 예술의 퇴보라고 말할 순 없다



창고 영화가 100편 정도 쌓여있기에 현재 제작되는 영화들은 10편도 안되는 정도이다


이런 상황에서 '직업'으로 본다면 OTT로 가는건 당연한 일이다


오히려 일자리 창출 효과를 볼 수 있다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567533c42b0285f41ea18e1cb6d73ed1d4fee28c599d0bedc71906b4f1e177a



Q. 한국 영화들이 개봉이 늦춰지면서 트렌드를 놓쳐 흥행이 부진한건가?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566533057e3384e56ea135906de1194ed9d279a03b0393cf98be6144cef85


트렌드의 문제라기 보단 퀄리티의 문제다


지금 한국 영화의 위기인가? 아니면 극장 영화의 위기인가?


지금 상반기에 흥행한 영화들을 보면 1위가 스즈메고 2위가 슬덩이다


둘이 합치면 천만이 넘는다

 

덕후 관객이 있다고 해도 굉장히 한정적인 사람들이다


덕후만으로는 천만을 뚫긴 힘든 수치다


그럼 일본 애니만 흥행했는가?


그렇지도 않다


가오갤3과 존윅4는 한국에서 시리즈 최고 흥행을 했다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565533a47b0285f41ea18cbcfad67327c58d9f24dfcc5029d2c3d8e8807fa11



코시국 이전과 비교했때 올해는 코시국 대비 약 93%정도 였다


거진 큰 차이가 없다 


그럼 외국 영화는 어느정도 회복했는데 한국 영화만 점유율이 떨어지는 사태가 벌어졌는가?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564533b44b0285f41ea1859669743d6b1b2d89a7195479f427b6336a1077174



Q. 최근엔 흥행 공식에만 입각해서 영화를 만들다 보니 관객들이 신선하지 않게 느끼는 건가?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563533b57e3384e56ea137d61958dd448d93aa1c1c28cd97c86b16c6a0fa4


동의한다


한국영화가 20년간 질적이든 양적이든 굉장히 가파르게 성장해왔다


그 과정에서 한국영화는 많은 위기를 겪었다


예를들어 해외 영화들의 직배사, 일본 영화 개방, 스크린쿼터제 등등이 있다 


즉, 구조적/정책적 측면의 위기였다


하지만 지금의 위기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소비자들이 한국 영화를 선택하지 않는 '수요자' 중심의 위기이다


관객들이 한국 영화 제작 공식에 싫증을 느낀 것이다


기존의 수동적인 태도에서 주도적으로 바뀌었다


과거의 위기는 투쟁으로 잘못된 정책을 고치거나 영화사에서 자본을 투자하면 되는 문제였다


하지만 지금의 위기는 한국 영화 창의성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지금 영화판은 창의적인 사람들이 출현하기 힘든 환경이다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560533c45b0285f41ea18cc28fc537640bc56597c8c5ebdb6d1b9b4fc608993


한국 영화는 스타 의존성이 약하다고 생각한다


올해 상반기에 개봉한 드림이 그 예시이다


Iu, 박서준에 천만 관객을 돌파했던 극한직업 감독이 뭉쳤지만


완벽에 가깝도록 외면받았다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56e533d46b0285f41ea18c1bb7b158418f76f9b7197a6dab002e3f92c047320


관객들의 태도가 가장 많이 바뀌었다


과거와 같은 국민 예능, 국민 드라마가 더이상 나오지 않는 미디어 환경이 되었다


사람들의 취향이 획일화에서 다양화로 바뀌고 있다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667533c40b0285f41ea1889820ab5ea843eb18dbb4e55bbe320ea55bdc114c9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66653384fb0285f41ea18adcb27b480dfbd5d3570efcfe2f77de91e2c01c329


앞으로는 천만영화가 나오기 힘든 상황이 되었기에 


헌트나 올빼미 같은 중소규모의 웰메이드 영화들이 필요한 시대라고 본다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663533841b0285f41ea18e6b30dd812161a1178360098346f943f1e9976fe92

또한 영화외의 문화 활동 선택지가 넓어진 것도 한국 영화 위기에 한몫했다고 본다


한국 영화 시장은 대부분의 매출이 극장에서만 나올정도로 기형적으로 몰려있다


다른 나라들은 IPTV나 VOD 시장에서 부수적인 수입을 얻지만


한국의 경우에는 아무리 잘나간 영화라 할지라도 2차 시장이 매우 열악한 환경이다


지금까지 한국은 극장을 단순 영화만 보러간게 아닌


타인과의 교류, 여가를 보내러 가는곳이 었다


과거 영화비가 저렴했을땐 극장이 최고의 가성비 데이트 코스였다


하지만 이제는 영화라는 선택지 외에도 다른 문화활동의 선택지가 많이 생긴 상황이기에


한국 영화가 위기를 맞이했다라고도 본다





a66f24aa2636b3498a333d49565cd9f85329437f48d5802f80fa3bb33c57be8bde098ff8148b7f56397128a0f32da4ace0c27126db4e18de3e9b87bfb0411e94f78b7a1317c66e533d43b0285f41ea18edac6e46634953f7ebbb0b02d6a14aa46de30fbdbd

하지만 한국 영화의 미래가 없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우수한 영화인들은 많고 양질의 프로덕션 능력을 가진 한국이라면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날아오를 수 있을 것이다




출처: 상업영화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497

고정닉 102

80

원본 첨부파일 25본문 이미지 다운로드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공지 갤러리 댓글 기능 개선(멘션 기능) 안내 운영자 25/05/08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3174/2] 운영자 21.11.18 12051267 542
32901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야구선수별 악성 DM 대처법
[1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0 1572 10
329017
썸네일
[이갤] 김문수, 단일화 포기
[10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55 2297 49
329015
썸네일
[주갤] 외도한 아내와 이혼 후 자유를 찾았다는 블라남
[36]
관심종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50 2100 31
329014
썸네일
[의갤] 중국에서 나온 에어론 공식하고 타오바오 비교 영상 정리
[36]
ㅇㅇ(129.254) 13:45 2178 15
329012
썸네일
[로갤] 최근 진행된 스마일게이트 1인 시위
[10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0 11274 172
32901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편순이와 망상.manwha
[60]
타원형플라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5 15879 68
329009
썸네일
[위갤] 위보리)보데가 티오페페
[4]
위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0 623 3
329008
썸네일
[더갤] 이준석 “아이 셋 낳으면 차에 ‘분홍 번호판’, 전용 주차장“
[365]
고닉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5 8876 56
329007
썸네일
[중갤] [MBC] 민심 못 움직인 "대법선고"...李 여전히 "독주"
[263]
여자친구컴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1 4538 26
329003
썸네일
[아갤] 아니 키나 활동중단 이유가 이거엿네
[78]
와따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0 7799 55
329002
썸네일
[갤갤] [스압]S25 엣지 홍보 이미지, 케이스 렌더링, AR필름 렌더링 유출
[85]
ㅇㅇ(211.187) 13:05 5655 34
329000
썸네일
[잡갤] 분노분노… 스벅 개편에 개빡쳐버린 뿜거지…ㄹㅇ
[170]
갈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0 10445 33
328999
썸네일
[조갤] 어청도 1편) 미모 TOP3
[26]
완전평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5 3439 34
32899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민초에 세뇌조교당한 페도만화
[74]
하이바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0 6231 71
328996
썸네일
[이갤] 경비원3명이 환경미화 여성 강간한 사건
[186]
ㅇㅇ(84.17) 12:45 12361 38
328994
썸네일
[새갤] 미국-영국 무역협상 타결.. 중국 협상 가능성 시사
[69]
미카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0 4935 27
328993
썸네일
[주갤] 페미니즘이 패배한 요즘 여초 근황
[699]
관심종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5 20935 249
328991
썸네일
[중갤] (캡.쳐) 신기한 한덕수측 홍보실장의 사무실
[8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0 11511 165
32899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지잡대 에타로 놀기.jpg
[9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5 13414 62
328987
썸네일
[백갤] 백종원 대표 기자 간담회, 「청탁금지법」 위반 소지로 긴급 신고
[155]
민주시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5 14752 395
328985
썸네일
[등갤] 중국 옥룡설산, 호도협 트레킹
[50]
여행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0 2797 14
32898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본에서 청춘물이 많이 나오는 이유
[3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5 15030 189
328982
썸네일
[미갤] 빌 게이츠, 남은 재산 99%(150조) 기부
[459]
윤통♡트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0 15810 141
328981
썸네일
[새갤] 민주당 지도부 "의원 1명당 1천명 전화 돌려라" 당부
[13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5 6965 13
328979
썸네일
[김갤] 이진호야 김새론이 너 모른다며 ㅋㅋㅋㅋㅋㅋㅋ
[122]
ㅇㅇ(211.235) 11:50 16770 340
328978
썸네일
[8갤] 김문수 심상정한테 도움요청 미친ㅋㅋㅋ
[330]
자료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5 12337 77
328976
썸네일
[해갤] 토트넘 유로파 결승 진출 vs 보되 골 모음...gif
[95]
메호대전종결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0 12321 251
32897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싱갤 n년차 디시 거대 정치갤러리 분석
[2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5 16327 150
328973
썸네일
[중갤] 경찰, 한덕수 자택만 ‘24시간 경비 인력 투입’
[15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0 11452 134
328971
썸네일
[백갤] 백종원, 농약통 분무기 논란에 억울함 호소 "쓰던게 아닌 새 것 사용"
[501]
백갤러(106.101) 11:20 25114 648
32896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SKT가 국회에 제출한 문서..jpg
[343]
싱고벙닉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5 27098 261
328968
썸네일
[러갤] 싱글벙글 오사카 엑스포 대비 정보
[84]
Chec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7230 28
328967
썸네일
[미갤] 미국 파키스탄 영사관 폐쇄 및 대피
[2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20333 104
328965
썸네일
[필갤] 홍콩 2일차 마카오 - 500T
[16]
11h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0 2460 12
32896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오늘 톰크루즈에 레전드 질문하는 mbc 기자
[529]
ㅇㅇ(118.33) 10:55 26476 362
328963
썸네일
[미갤] 독일 전역, 국가 비상사태 선포
[416]
음악세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0 40164 615
328961
썸네일
[이갤] 롱패딩부터 코트까지…한국인은 왜 검은색을 선호할까
[303]
노인복지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5 13454 13
328960
썸네일
[중갤] 김문수 일정 전면취소 비상대기
[550]
ㅇㅇ154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0 21003 134
328959
썸네일
[퓨갤] 창원시 "정밀검사 6개월 걸림" 국토부 "ㅈㄹ ㄴㄴ"
[10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5 11945 57
32895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저번달 트위터에서 벌어진 중일전쟁...jpg
[13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5 13012 70
328955
썸네일
[조갤] 어청도 탐조 봄섬봄섬봄섬
[30]
누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0 2758 47
328953
썸네일
[한화] 오승환 와이프
[260]
ㅇㅇ(118.235) 10:15 38504 476
328952
썸네일
[이갤] “SK텔레콤 과징금, LG U+와 비교 어려울 정도로 클 것”
[24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0 13224 58
328951
썸네일
[잡갤] 노동과 일자리, 패러다임의 전환
[64]
중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5 6859 14
328949
썸네일
[싱갤] 실시간 교황 선출됨
[299]
코드치기귀찮아서만든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0 27772 160
328948
썸네일
[기갤] 나의 키보드 (사진) 성장기
[124]
쏴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0 7645 83
328946
썸네일
[스갤] 민주 '여성전진대회' 이번에 안 열린다...jpg
[255]
어깨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40 10148 54
328944
썸네일
[버갤] 요즘 말이 많은 산불과 소나무에 관해.
[357]
ourlastnigh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9478 173
328942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친구가 죽자 단식하는 킹댕이
[17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27138 322
뉴스 MBC, 쿠플 예능 ‘슈팅스타’ 편성…14일 첫 방송 디시트렌드 05.0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