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아 반갑노
요즘도 그렇고 곧 수능 끝나거나 또 방학시즌 되면 베이스 해보려고 질문글이 많이 올라올텐데 주 질문이 악기 기종 관련 질문인 만큼 각 베이스 브랜드와 악기별 특징에 따라 자세하게 써볼까 함. 물론 베정자들 참고용인 만큼 100넘어가는 베이스나 하이엔드는 다루지 않을 생각임 (내가 하이엔드 한번도 안써봐서 그런건 아님)
관련 직종에서 일하는것도 아니고 악기도 많이 안써본 만큼 베갤에서 올라오는 정보나, 뮬 등등에서 참고한 정보가 많으니 틀린게 있다면 댓글로 지적 부탁함
그럼 시작하겠음
1. 베이스의 종류와 소리
입문해보려고 마음을 먹고 네이버 쇼핑몰을 뒤적거렸다면 이런 상품들을 볼 수 있을것임.
스윙 재즈 베이스, 스콰이어 어피니티 프레시전 베이스.....
쉽게 보자면 재즈니 프레시전이니 하는것은 픽업 차이에 인한 소리의 차이라고 할 수 있음
그냥 둥둥거리는 저음 악기인데 뭔 소리차이가 나냐고 물을 수도 있지만
실제로 소리 차이가 존재함
그럼 이제부터 각 베이스의 특성을 알아보겠음 ㄱㄱ
재즈베이스
(사진은 fender사의 american professional ll)
베이스! 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디자인을 지닌 베이스이며 2개의 픽업과 3개의 노브를 가지고 있다
베갤애서 꽤 많이 본 질문이 이거임
“ 재즈베이스면 무조건 재즈에만 쓰이나요? “
물론 절대 아니다. ‘재즈’라고 이름이 붙은데에는 재즈베이스를 처음으로 만든 Leo Fender라는 아재가 후술할 프레시전 베이스보다 디자인이나 소리에서 재즈 베이스가 재즈 연주자들을 만족시킬거라 생각해서 그렇게 지었다 함
무튼 이 재즈베이스는 꽤 높은 범용성을 자랑하는 베이스라고 할 수 있음. 각 픽업이 다른 성격의 사운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락, 펑크, 발라드, 소울, R&B 심지어 메탈까지 거의 모든 장르를 커버 가능하다
( 드림씨어터의 존명 선생님도 그 유명한 2집을 재즈베이스로 녹음하셨음...)
본인이 소리고 뭐고 모르겠고 그냥 제일 무난한게 좋으면 재즈베이스로 가는것도 좋은 선택임
프레시전 베이스
(사진은 fender사의 player bass)
한개의 픽업과 노브 2개로 꽤 단순한 구조를 가진 베이스이다.
최초로 개발된 (엄밀히 따지면 아니긴 한데...) 베이스이며 바디 정중앙에 픽업이 있기 때문에 특유의 무게감이 돋보임
소리의 다양성이 그렇게 높지는 않아서 여러 소리보단 특유의 톤으로 승부를 보는 악기임 합주할때는 굉장히 잘 묻어가는 특징이 있다.
소리의 다양성이 떨어진다고는 하던데 범용성은 좋은편이라 재즈와 엇비슷한 빈도로 쓰이며, 피크를 사용하면 차갑고 날카로운 소리를 내줘서 락 장르에 특히 많이 쓰인다.
간혹 이렇게 생긴 프레시전 베이스도 볼 수 있는데 (텔레캐스터 기타랑 닮아서 텔레베이스 라고도 하더라) 이건 1957년 전에 생산된 프레시전 베이스를 카피한 모델임. 픽업이 한개라 노이즈가 좀 있다는 후기도 있고 어지간히 올드한 노래 좋아하는거 아니면 그냥 일반 프레시전 삽시다....
스팅레이 베이스
(Musicman 사의 스팅레이)
주로 패시브인 쟂 & 프레시전과 다르게 ‘프리앰프’가 내장되어있는 액티브 악기인 경우가 많고, 1개나 2개정도의 험버커 픽업을 사용함
힘있고 단단한 소리가 나오며 이때문에 락이나 펑크 같은곳에 자주 사용되다 보니 락베이스라는 이미지가 있지만 이외 장르에서도 좋은 성능을 발휘함 (다만 재즈나 발라드에는 비추하는편)
밴드 합주시에는 1픽업 구성이라 잘 묻어가는 편이나 톤 특유의 아이덴티티를 지우긴 어렵다. 하지만 오히려 이것을 통해 밴드 내 베이스의 존재감을 드러낼 수도 있음
PJ 베이스
(spector 사의 pj )
넥 픽업은 프레시전, 브릿지 픽업은 재즈의 리어픽업이 달려있는 베이스이다.
pj가 프레시전과 재즈를 합쳐놓았다고 만능이라 생각할수도 있지만 짜장면에 비유하자면 pj는 짬짜면이 아니라 한 그릇에 나누지 않고 짜장면과 짬뽕을 담아놓았다고 할수 있다.
넥 픽업만 킨다면 프레시전의 소리를 들을 수 있지만 브릿지 픽업 사운드를 추가한다면 흔히 생각하는 재즈의 소리가 아닌 pj만의 결이 다른 소리가 난다. 근데 좋아하는 사람들은 pj만 쓰더라
번외)
5현? 6현?
< 6현을 쓰는 대표적인 아티스트 존 명 >
사실 5현이나 그 이상의 베이스를 사용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현을 더 추가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는 사운드의 폭이 넓어지고 특히 jpop이나 메탈은 더 낮은음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장르의 필요성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다만 단점이 있는데, 줄값이 많이 들고 넥이 넓어져서 빠른 속주나 테크닉을 구사하기 힘들다. (연습하면 안될거 없긴 한데 우리는 입문자니까....)
그래도 좋아하는 밴드의 노래가 다현으로 커버해야 하거나 등등의 이유로 5,6현이 필요하다면 사는게 답이다.
2. 입문용 브랜드
위에서 설명한 종류 말고도 베린이들의 골치를 아프게 하는것이 있으니 바로 악기 ‘브랜드’이다.
스@뮤직만 뒤져봐도 몇십개가 나오는데 그냥 때려치우고 코네임이나 살까 하는 생각도 들것이다.
하지만 밑에 브랜드별로 정리 해 두었으니 참고하길 바람.
콜트
가격: 20~120
돈없는 급식이나 학식을 위한 20만원대 액션베이스 모델이 있으며 24프렛에 성능도 괜찮은 쓸만한 최저가 베이스이다. 싱글컷이나, 모던, 엘릭 등 중급기도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헥스
가격: 20~30
저가형임에도 스뎅 프렛이 적용되었으며 동가격대 꽤 무난한 퀄리티를 자랑함 가방도 튼튼해서 따로 살 필요가 없음 단점은 누가 한입한 헤드랑 유튜버들의 과한 바이럴 때문에 이미지가 안좋아서 괜찮냐고 물어보면 다들 후술할 스윙꺼 사라고 한다
스윙
가격: 30~50
국내 베이스 입문 베스트셀러.
재즈킹, 프레시전킹, fv-1 많은 모델과 컬러도 다양하고 소리도 준수해서 입문용으로 꽤 많이 팔리는 베이스. 처음부터 고가입문 아니면 이걸로 하라고 할 정도로 좋은 베이스. 다만 단점이 있다면 창같이 생긴 저 헤드하고 소케가 부실해서 다른거 사야한다는 정도. 재즈킹이나 G-1을 추천함. 중급기도 만드는거 같은데 스윙 클라이맥스 넘으면 그돈씨임
31만원보다 더 싸게 사고싶으면 여기서 싸게 올라오는거 구매 ㄱㄱ
스피어
가격: 35~50
저가형에선 보기 어려운 색들과 싱글컷, pj베이스, 플렉스툴 등 혁신적인 시도가 돋보이는 베이스. 가격도 적당한편. 필자는 개인적으로 스윙보다 여기 더 좋아함
야마하
가격: 3,40~400이상
낮은 가격대는 마감이나 소리나 거의 비슷해서 이쁜거 사라고 하지만 저가형에서 제일 좋은걸 묻자면 야마하를 말하겠다. 동가격대 최고의 성능과 마감을 자랑하며 전 기종이 추천대상이다( 주로 trbx 시리즈나 bb시리즈) 유일한 단점이라면 단종이 빠르다는것 정도
중상급 모델이나 시그니처 모델도 굉장히 훌륭하다.
아이바네즈
가격: 25~ 300이상
브랜드 특유의 어두운 소리와 바디쉐잎이 특징인 베이스. 인도네시아 생산이라 (심지어 상위 라인도!) 그런지 마감이슈가 종종 터지며 그다지 추천은 안하는 편이다. 헤드리스인 ehb와 btb 라인업도 괜찮은편
사이어
가격:50~120이상
v시리즈, p시리즈, M시리즈 등 준수한 마감과 슬랩 핑거링 모두 잘 잡힌 사운드를 내줌. 돈이 좀 들긴 하지만, 가성비가 상당히 뛰어난편. 다만 v7이 최근 가격이 많이 올라 그돈씨로 전락함.
(U5는 사지 마라 숏스케일이라 개별로임)
스콰이어
가격: 50~100
펜더 공식 카피품이라는 의의가 있지만 최근 가격이 심하게 올라 그돈씨 취급을 받고 있다. 어피니티 이상부터 쓸만하며(어피니티가 그렇게 안좋은건 아님) 클래식 바이브 시리즈나 40주년 시리즈를 구하고 싶다면 디ㅈ마트나 토ㅁ을 이용해 더 싸게 구매하길 바람. 소리는 무난하게 펜더 카피품 소리를 내줌
정 국내에서 사고싶다면 여기서 싸게 올라오는거 줍줍 ㄱㄱ
스털링 바이 뮤직맨 (스털링 라인업과는 다름)
가격: 50~150
가격이 3~400으로 미쳐 날뛰는 뮤직맨 스팅레이를 간접 체험할수 있는 베이스이다. 준수한 스팅레이 소리가 나며 플리나 락을 좋아한다면 사볼만한 베이스이다.
이제 100~200 정도 넘어가면 악기 각각의 차이가 꽤 커지니 펜더같은거 궁금할때는 질문 올리면 부자 베붕이들 많으니까 친절하게 알려줄거임
여기서 언급 안한 바커스, 데임, 등등도 꽤 괜찮은 입문기이니 적당한 모델 찾아서 질문하면 갤럼들이 답변해줄거임
설명이 주관적인것도 있고 어떤 브랜드는 부정적이게만 적어놓았다던가 한 부분도 있어서 참고용으로만 써주길 비람
긴 글 읽어줘서 고맙고 다들 좋은 입문 되길 바람 ㅂㅂ
한줄요약: 사고싶은거 사자
.
.
.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