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스압)항공사고 직전 촬영된 비행기들의 사진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3.10 21:05:01
조회 38558 추천 96 댓글 105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108686
작년에 썼던 글인데 잘못된 내용 수정하고 추가해서 다시 써봤음.


계정 다른 이유는 원래 거 까먹음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43494f629fb664952d7e368212f3e67b4f90a2b327110a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43494f629fb664952d7e36821fc0e186c453f528b6e3b0

1977년 3월 27일, 로스 로데오 공항에 주기되어 있는 팬암 1736편(보잉 747-121, N736PA)와 KLM 4805편(보잉 747-206, PH-BUF).



촬영 30분 후 KLM기 기장의 허가 없는 이륙으로 활주로 상에서 서로 충돌해 KLM기 탑승자 248명 전원, 팬암기 탑승자 396명 중 335명 총 583명 사망. 지금까지 역사상 최악의 항공사고로 불림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ed4f5e472e4d639ddf3ac1792f588e1f5bb92fbeff8f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ed4f5e472e4d639ddf64c02f7f5a87182503af9af91d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ed4f5e472e4d639ddf3e947e295085480c8922754260

1985년 8월 12일,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에 이륙하는 일본항공 123편(보잉 747SR-46, JA8119).


이륙 후 상승 중 꼬리가 파괴되어 30여분간 표류하다 산에 추락하여 탑승자 524명 중 520명 사망. 위의 테네리페 참사의 뒤를 이어 사망자 수 2위이자 단일 항공기가 일으킨 사고 중 사망자 수 1위.

세번째 사진은 사고 당일 다른 비행에 탑승했던 승객이 촬영한 사진.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ed4f5e472e4d639ddf6fc62a750ad718d2aacf92a7ac

2001년 9월 11일, 워싱턴 덜레스 공항에 주기 중인 아메리칸 항공 77편(보잉 757-223, N644AA).


이륙 30분 후 개슬람 테러리스트들에게 납치되었고, 납치 47분 후 펜타곤에 충돌해 탑승자 59명 전원 및 펜타곤 상주자 125명 총 184명 사망.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ed4f5e472e4d639ddf38c27d7e5d8f1334bd824518ad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ed4f5e472e4d639ddf6bc77c785bd348021f1c862d73

2001년 9월 11일, 화이트호스 국제공항에 착륙하는 대한항공 085편(보잉 747-4B5, HL7404).

911 테러로 난리가 난 뉴욕으로 오고 있던 085편에게 앵커리지의 관제사가 "비상 시에" 식별번호를 7500(비행기 납치시 쓰는 식별번호)로 바꾸라고 말했는데 조종사들이 잘못 알아듣고 진짜로 바꿈.

이걸 본 미국 정부기관들과 알래스카 인근은 비상이 걸렸으나, "정말로 납치되었나?"라는 항공당국의 질문에 조종사들은 뭔 개소리냐고 답했고, 결국 테러로 인한 영공봉쇄와 납치 여부 확인을 위해 미 공군 F-15기들이 강제착륙시킴. 당연하게도 탑승자 216명 전원 생존.




두번째 사진에서 085편 뒤에 있는 대한항공 281편(보잉 747-4B5F, HL7462)도 영공봉쇄로 같이 착륙당한 친구임.




2011년 7월 27일, 로스엔젤레스 국제공항에 주기된 아시아나항공 991편(보잉 747-48EF, HL7604).

다음 날인 7월 28일 인천을 출발해 상하이로 가던 중, 화물로 실린 리튬이온 배터리가 발화하면서 근처의 인화성 물질과 폭발해 제주도 인근 해상에서 공중분해되어 추락. 탑승자 2명 전원 사망.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43494f629fb664952d7e36871b117f1f5feeab1b4b5eeb

2013년 7월 6일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에서 이동 중인 아시아나항공 214편(보잉 777-28E/ER, HL7742)

다음 날인 7월 7일 샌프란시스코에 착륙 중 추락. 탑승객 307명 중 3명 사망. 근데 셋 다 짱깨라서 실질적인 인명피해는 없다.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2e254f6098b86d962c120d844e556eae79ea0f6e739f

2014년 3월 7일,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 착륙하는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보잉 777-2H6/ER, 9M-MRO).


다음 날인 3월 8일 쿠알라룸푸르에서 베이징으로 가던 중 탑승객 239명과 함께 실종되어 현재까지 못찾고 있다. 가설들 중 제일 유력한 원인은 기장의 자살비행.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2e254f6098b86d962c125bd31a3f226294494da960dc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2e254f6098b86d962c120a841ed162c91db3b75400e0

370편 사건으로부터 4개월 후인 7월 17일,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에서 이륙하는 말레이시아 항공 17편(보잉 777-2H6/ER, 9M-MRD).

이륙 4시간 후 우크라이나 반군의 지대공 미사일에 격추당해 탑승자 298명 전원 사망(항공사고 사망자 수 7위).




아래 사진은 당시 네덜란드인 희생자가 탑승하기 직전에 찍은 사진인데 그가 페이스북에 이 사진을 올리면서 덧붙인 말은 위의 370편 사고를 의식한 "Mocht hij verdwijnen, zo ziet hij d'r uit.(만약 내가 사라지면 그 비행기는 이렇게 생겼어.)"였다.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ed4f5e472e4d639ddf6c9d2b790fd51dd9b5d4d0e3

1966년 3월 5일,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에서 이륙하는 영국해외항공 911편(보잉 707-436, G-APFE)

이륙 17분 후 후지산 상공을 통과하던 중 난기류로 공중분해되어 추락해 탑승자 124명 전원 사망.





앞에 있는 고철더미들은 전날 추락한 캐나다퍼시픽항공 402편(맥도넬 더글라스 DC-8-43, CF-CPK)의 잔해이다.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2e254f6098b86d962c1251d31aa8043bc3e2a375b885

1979년 5월 25일, 1번 엔진이 떨어져 나가 왼쪽으로 기울며 추락하는 아메리칸 항공 191편(맥도넬 더글라스 DC-10-10, N110AA).

이 사진이 촬영된 직후 추락해 탑승객 271명 전원, 지상에서 2명 총 273명 사망(항공사고 사망자 수 10위).





엔진이 떨어져나간 이유는 정비할 때 나사풀어서 떼기 귀찮다고 지게차로 집어뜯은 게 균열을 일으킴.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ed4f5e472e4d639ddf3e957e7851d418b4d2cae50d32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2e254f6098b86d962c125a841dafe1dbe32965c2d78b

1989년 7월 19일, 2번 엔진 및 유압계통 고장으로 비상사태 선언 후 수시티 공항에 접근하는 유나이티드 항공 232편(맥도넬 더글라스 DC-10-10, N1819U).

촬영 직후 착륙을 시도했으나 고속으로 착륙하면서 오른쪽 엔진이 지면과 접촉함과 동시에 폭발해 통제력을 잃었고, 결국 동체가 4등분으로 쪼개지며 활주로 이탈. 탑승자 296명 중 111명 사망.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43494f629fb664952d7e36d21cc38be640a84e581b65b2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43494f629fb664952d7e368648612b1df338e2678c71b4




2000년 7월 25일, 파리 샤를 드골 국제공항에서 이륙하는 에어 프랑스 4590편(아에로스파시알-BAC 콩코드, F-BTSC).

타이어가 폭발하면서 나온 잔해가 연료탱크를 가격하여 화재가 발생했고, 그로 인해 날개와 엔진이 녹아 조종불능 상태에 빠져 이륙 2분 만에 추락. 탑승자 109명 전원, 지상 4명 총 113명 사망. 타이어가 터진 원인은 앞서 이륙한 컨티넨탈 항공의 DC-10이 흘린 엔진 부속품이었다.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43494f629fb664952d7e36d54ee918c0685af7bc75680b

2005년 8월 2일,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에 접근하는 에어 프랑스 358편(에어버스 A340-313X, F-GLZQ).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43494f629fb664952d7e368f485ee5e31f68c32d7ef769




촬영 직후 착륙하긴 했으나 제동 실패로 활주로 이탈 및 전소. 탑승객 309명 전원 생존.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2e254f6098b86d962c120a86184562805ba8c8d390d0

2009년 5월 31일, 파리 샤를 드골 국제공항에 착륙하는 에어 프랑스 447편(에어버스 A330-203, F-GZCP).

다음날인 6월 1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파리로 돌아오던 중 조종사들의 조종실수로 대서양에 추락해 탑승자 228명 전원 사망.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43494f629fb664952d7e36811b430e230f47a263df3de1

1979년 11월 28일, 남극 에레부스 산에 추락해 탑승자 257명 전원이 사망한 에어 뉴질랜드 901편(맥도넬 더글라스 DC-10-30, ZK-NZP)의 희생자가 촬영한 당시 기내영상과 추락시점에 촬영된 사진. 충돌로 새어나온 항공유가 창문에 튄 것이 보인다.






2006년 8월 22일, 아나파 국제공항에서 촬영된 풀코보 항공 612편(투폴레프 Tu-154M, RA-85185)의 탑승 현장.


영상 촬영시점으로부터 40분 후, 난기류 전선을 통과하면서 혼란에 빠진 조종사들이 고도를 계속 올리다가 실속해 추락. 탑승자 170명 전원 사망.




영상에 나오는 남자와 여자는 옆 비행기 타서 살았다고 함.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185068b7195783b596351911529bbb969d7480850ee3ced5ab35f960436a73340e22bd2e976836090




2010년 4월 8일, 프라하에 착륙하는 폴란드 공군 1호기(투폴레프 Tu-154M, 101).

이틀 후 스몰렌스크에 접근하던 중, 레흐 카친스키 당시 폴란드 대통령 내외를 비롯한 정부 인사들이 탑승한 것에 압박을 받은 조종사들이 억지로 착륙을 시도하다가 나무와 충돌 후 통제불능에 빠져 추락. 탑승자 96명 전원 사망. 폴란드에선 이 사고가 러시아의 암살 테러라고 여긴다.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2e254f6098b86d962c1258d0120c0997150a649fcb07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2e254f6098b86d962c1258814e6be950108bff3cbd20

2012년 12월 29일, 폴란드 상공과 파르두비체 공항에서 촬영된 레드윙스 항공 9268편(투폴레프 Tu-204-100B, RA-64047).

파르두비체를 이륙해 브누코보에 착륙 중 제동장치 고장으로 활주로 이탈 후 고속도로 교량과 충돌. 탑승자 8명 중 5명 사망.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43494f629fb664952d7e36d44fbf2a483940c3270c3efd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43494f629fb664952d7e36d718f132bf0d08f2b24bc9f0

2020년 5월 22일, 카라치 진나 국제공항에 동체착륙 후 복행하는 파키스탄 국제항공 8303편(에어버스 A320-214, AP-BLD).

위 사진이 찍히고 3분 후 활주로에 긁힌 엔진이 고장나면서 동력을 잃고 주택가에 추락해 탑승자 99명 중 97명, 지상 1명 총 98명 사망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43494f629fb664952d7e368f4859e1b04b6e922d64e969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43494f629fb664952d7e36854c2215f1bafb4365c8acdf

2013년 4월 29일, 이라크 바그람 공군 기지에서 이륙 도중 추락하는 내셔널 항공 102편(보잉 747-428BCF, N949CA).

5대의 장갑차를 싣고 이륙하던 중 고박이 풀린 장갑차들이 꼬리날개 시스템을 파괴 + 무게중심이 뒤로 쏠리면서 실속해 이륙 1분만에 추락. 탑승자 7명 전원 사망.




두번째 사진은 사고 당일 문제의 장갑차들 중 한대가 기내에 실리는 모습을 촬영한 것.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2e254f6098b86d962c125c80486e65b5f7fc265f98b1

2008년 11월 27일, 페르피냥 리브살트 공항에서 테스트 비행 대기 중인 XL에어웨이즈 888T편(에어버스 A320-232, D-AXLA).


에어 뉴질랜드에게 기체를 반환하기 위한 테스트 비행의 일부인 저속 테스트를 실시하던 중 일어난 실속을 회복하지 못해 지중해에 추락, 탑승자 7명 전원 사망.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ed4f5e472e4d639ddf64c22c2e0d8549a99dc8aabe38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43494f629fb664952d7e36841b0c1cc9a0362e9d54d76b

2015년 2월 4일, 쑹산 공항 인근 건물 CCTV에 촬영된 트랜스아시아 235편(ATR 72-600, B-22816)

이륙 직후 2번 엔진이 고장났는데 기장이 멀쩡한 1번 엔진을 꺼서 동력 잃고 택시와 교량과 충돌 후 추락. 탑승자 58명 중 43명 사망.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ed4f5e472e4d639ddf6ac22b7a0a8f1a7d9630950bf2



2005년 8월 14일, 아테네 상공을 비행하는 헬리오스 항공 522편(보잉 737-31S, 5B-DBY)와 522편을 추적하는 그리스 공군의 F-16.




정비사가 여압장치를 점검 후 원복하지 않아 승무원 1명을 제외한 탑승객 전원이 저산소증으로 실신. 마지막으로 남은 승무원은 산소마스크와 산소탱크로 버텼고 조종간도 잡았지만 결국 연료고갈로 추락. 탑승자 121명 전원 사망.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43494f629fb664952d7e368249dc91d9d98f818a634adc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43494f629fb664952d7e368e1340742d721221d4625d62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43494f629fb664952d7e36d01efc975e3df3ba9ea3c524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43494f629fb664952d7e36814b367335dc450c387db34f

1999년 7월 23일, 하치오지시 상공에서 강하 후 상승하는 전일본공수 61편(보잉 747-481D, JA8966).

납치범이 기장을 살해하고 조종권을 탈취하면서 지상 1000피트(약 300M)까지 하강했으나, 부기장과 일부 승객들이 조종실 문을 뚫고 납치범을 제압하고 다시 상승시켜 하네다로 회항함. 탑승자 517명 중 기장 제외한 516명 전원 생존.









2001년 11월 12일, 뉴욕 존 F. 케네디 국제공항을 이륙하는 아메리칸 항공 587편(에어버스 A300-605R, N14053).

이륙한지 1분이 조금 지난 시점에 부기장이 난기류를 탈출하려고 수직꼬리날개를 좌우로 조작하면서 발생한 공기저항이 꼬리날개를 부러뜨리면서 통제불능에 빠져 주택가에 추락. 탑승자 260명 전원 및 지상 5명 총 265명 사망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ed4f5e472e4d639ddf69917a740d861f0e0a24dee42e




2009년 3월 22일, 도쿄 나리타 국제공항에서 이륙하는 페덱스 익스프레스 80편(맥도넬 더글라스 MD-11F, N526FE).

다음날 나리타에 착륙 도중 측풍을 맞고 왼쪽으로 전복되면서 전소. 탑승자 2명 전원 사망.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ed4f5e472e4d639ddf6a977a2f0f864efcc29e62435f




2024년 1월 2일,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에서 이륙하는 일본항공 516편(에어버스 A350-941 REGIONAL, JA13XJ).

3시간 후 하네다에 착륙하던 중 지상에 있던 해상보안청의 항공기(드 해빌랜드 DHC-8-300Q, JA722A)와 충돌해 전소, 516편 탑승자 379명 전원 생존, 해상보안청기 탑승자 6명 중 5명 사망.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ed4f5e472e4d639ddf3896297c0b8e1e28729d846b83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ed4f5e472e4d639ddf3d917a2f0cd719a4d3ae613633




1978년 9월 25일, 샌디에이고 상공에서 촬영된 퍼시픽 사우스웨스트 항공 182편(보잉 727-214, N533PS).

샌디에이고 국제공항에 접근하던 중 800M 상공에서 세스나 172(N7711G)와 충돌 후 추락. 182편 탑승자 135명 전원, 세스나기 탑승자 2명 전원, 지상 7명 총 144명 사망.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43494f629fb664952d7e368419cba275295da304619fb6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43494f629fb664952d7e36811acca203fcf9840ef957cb

2016년 11월 29일, 라미아 항공 2933편(Avro RJ-85, CP-2933) 앞에서 코파 수다메리카나(남미의 2부 국제 클럽 대항전) 결승 진출 기념촬영을 하는 샤페코엔시 선수단과 기내에 탑승한 모습.

라미아항공의 사장이기도 했던 기장이 비상연료를 가라치고(사실 가라도 아니고 아예 안 넣음) 중간 경유지도 안 들리며 꾸역꾸역 목적지까지 가다가 연료고갈로 추락해 탑승자 77명 중 71명 사망.

23명의 선수단 중 4명을 제외한 전원이 사망함에 따라 경기 출전이 불가능해진 샤페코엔시를 위해 결승전 상대였던 아틀레티코 나시오날은 기권을 선언하여 2016년 코파 수다메리카나의 우승팀은 샤페코엔시가 됨.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ed4f5e472e4d639ddf6e967e785b8e1a21ccfc639fbb

2022년 10월 22일, 인천국제공항에 착륙하는 대한항공 631편(에어버스 A330-323, HL7525).

8시간 후인 24일 자정에 세부에 착륙하던 중 활주로 이탈. 탑승자 173명 전원 생존.




viewimage.php?id=3eb4de21e9d73ab360b8dab04785736f&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085069174241c58e7400083b7463bb6fc15c4a9190d2e254f6098b86d962c120dd449b73e408fdcf0e50330

그리고 어제인 2024년 3월 8일,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서 이륙하면서 바퀴 한 짝 흘리는 유나이티드 항공 35편(보잉 777-222ER, N226UA).

바퀴 탈락 직후 로스엔젤레스로 회항했으며 운지한 바퀴는 주차장에 떨어져 차 한대 박살냈다. 당연히 탑승자 249명 전원 생존.







비행기라는 물건이 사고율은 낮다고 해도 일단 사고가 일어나면 큰 인명피해가 일어나니 싱붕이들도 비행기 탈 때 안전수칙 잘 지키면서 타자.




출처: 싱글벙글 지구촌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96

고정닉 33

5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30141
썸네일
[디갤] z50.8 기추 기념 서울구경 다녀옴
[20]
디붕이(223.62) 05.10 5210 17
230139
썸네일
[미갤] 기안84의 노가다 데뷔조 썰.jpg
[13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31364 394
230135
썸네일
[빌갤] CBS 단월드실체폭로 퀸
[154]
ㅇㅇ(118.45) 05.10 22357 275
230133
썸네일
[카연] 모험가 용역 장씨 - 4
[25]
엠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0337 68
230131
썸네일
[부갤] 8살에 34평 아파트 샀다던 순풍산부인과 미달이.JPG
[246]
부갤러(146.70) 05.10 28376 313
230129
썸네일
[A갤] 와들와들...2ch 설립자 히로유키 아내의 충격적 고백...
[162]
이즈리얼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27077 121
23012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현실적인 배트맨
[11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26432 227
230125
썸네일
[자갤] 만취DJ "피해자가 깜빡이 켰으면 사고 피했다"
[220]
ㅇㅇ(194.99) 05.10 21432 133
230123
썸네일
[싱갤] 한국 성형외과에서 일본인 폭행당했다고 선동중인 일본 렉카
[145]
ㅇㅇ(138.199) 05.10 25129 187
230121
썸네일
[일갤] 내 바이크로 일본여행 - 5편 (드디어 도쿄 입성!)
[20]
하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7696 24
230119
썸네일
[누갤] 요즘 필모미친 남성배우
[187]
ㅇㅇ(175.119) 05.10 31774 181
230117
썸네일
[자갤] 왕초보 차량 인도로 돌진...jpg
[207]
차갤러(211.234) 05.10 23737 89
230113
썸네일
[이갤] 미제사건을 직접해결한 대통령...jpg
[363]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27535 525
230111
썸네일
[멍갤] 탄천 공영 주차장에 버려진 강아지
[197]
ㅇㅇ(91.207) 05.10 19098 127
230109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라인' 지분 매각 수순…"잘 파는 일만 남아"
[86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30482 144
230107
썸네일
[메갤] 일본 경제는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
[497]
ㅇㅇ(121.146) 05.10 20994 264
230105
썸네일
[기갤] 알바생이 아이 화장실도 같이 가야하나요?
[261]
긷갤러(146.70) 05.10 23765 140
23010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진돗개는 늑대다
[320]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23934 100
230101
썸네일
[3갤] RC 탱크 완성함ㅋㅋ
[63]
dd(118.43) 05.10 13434 57
230099
썸네일
[미갤] 나는 돈 안 쓰려고 이런짓까지 해봤다 질문에 인증하는 김종국과 출연진들
[16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23051 27
230097
썸네일
[야갤] 어떻게 이런 자세가 가능할까...몸 뒤로 접은 채 ‘찰싹’
[86]
야갤러(223.39) 05.10 32608 33
23009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인종차별 논란으로 황급히 삭제
[37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36357 289
230091
썸네일
[해갤] 손흥민 수비잘하는 공격수 1위 진짜네 ㄷㄷ
[254]
ㅇㅇ(185.83) 05.10 28123 474
230089
썸네일
[오갤] 모주의 시계 칼럼 #6- 그돈씨? 가성비? 태그와 튜론, JLC와 롤렉스
[49]
모주에서부곡하와이한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7821 28
230087
썸네일
[카연] 실화)체육복 빌려가던 여자애.manhwa
[179]
크루키드보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24025 319
230085
썸네일
[야갤] 이동진 평론가 "푸바오에 슬퍼하는 사람들을 함부로 폄하해서는 안된다"
[1201]
야갤러(211.234) 05.10 33599 214
230083
썸네일
[싱갤] 동산동산 요즘 부동산 상황
[349]
ㅇㅇ(211.105) 05.10 28901 290
230081
썸네일
[해갤] 약물이 근육에만 작용하는게 아님
[253]
ㅇㅇ(121.131) 05.10 29075 206
230079
썸네일
[한갤] 대통령, 한동훈 만날 생각 없고 직접 전화해 쌍욕 한걸로 전해져
[31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25595 419
230077
썸네일
[미갤] 기후 변화로 물 관리 중요성을 깨달은 나라들.jpg
[18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20583 73
230075
썸네일
[대갤] 日 이토 히로부미 후손이 네이버 라인 강탈 주도해 논란
[790]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21416 500
230071
썸네일
[야갤] "신발 신고 올라오면 계단 청소비 청구"…역대급 배달 요청
[232]
야갤러(45.67) 05.10 23032 145
230069
썸네일
[A갤] 악수회대비 호신술을 배우러간 하륵병 . webp
[67]
히토미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9051 26
230068
썸네일
[A갤] 해피일본뉴스 123 (한국 금융 & 경제계는 일뽕이다)
[69]
더Inform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7585 48
23006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새 포켓몬의 원본을 알아보자.jpg
[161]
sakur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30326 112
230065
썸네일
[써갤] 뉴진스 스타일리스트 팀장 “하이브가 협조 않으면..."
[587]
비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29686 134
230063
썸네일
[미갤] 가득 주유 선택했는데 9만원 X 15만원 결제된 사례 보고 실험한 유튜버
[11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9499 74
230062
썸네일
[기갤] 판) 제가 그렇게 카페 진상이었는지 ㅜㅜ
[259]
긷갤러(45.84) 05.10 23396 104
230060
썸네일
[중갤] 의협측 회의록 입수
[233]
ㅇㅇ(58.122) 05.10 16260 175
23005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조선시대 주인 ㄱㄱ한 노비의 최후
[484]
레이퀀스뱅큐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41117 324
230056
썸네일
[주갤] 외국여자 만나보라는 말에 분노 폭발한 에타남(?)들
[653]
ㅇㅇ(211.234) 05.10 35635 1451
230054
썸네일
[걸갤] 이진호피셜 하이브 첫번째걸그룹 진실!!!!!
[405]
ㅇㅇ(223.38) 05.10 19808 356
23005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극한의 가성비의 나라
[285]
ㅇㅇ(210.179) 05.10 35984 218
230050
썸네일
[미갤] 일본 방송에 나온 한국남자 이미지의 진실..jpg
[35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30710 249
230048
썸네일
[이갤] 운동부족, 잘못된식사, 수면부족 중 현대인에게 가장 위험한것.jpg
[34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27507 170
230047
썸네일
[기갤] 재결합한 젝스키스가 다시 해체할뻔한 이유.JPG
[25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8337 92
230045
썸네일
[카연] 왕도마뱀 키우는 만화
[155]
게게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4160 280
23004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실제 지역을 모티브로 만든 게임 비교
[89]
일리아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9292 40
230043
썸네일
[주갤] 중국 결혼시장 골때리네ㅋㅋㅋㅋ
[607]
탕탕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40473 643
230041
썸네일
[새갤] 민주당, 대놓고 '탄핵' 언급?
[600]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6374 14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