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세계화의 재구성: 세계화가 저물가 기조를 만들지는 않았다?앱에서 작성

낭만자산운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3.19 11:10:01
조회 11019 추천 46 댓글 58

23bcc322e4c375aa61b8d9f801d92d29eee0127860da25fa8d70a08cb42c58

2bb4d733f7d707f751f2e9e746837402005c7c68219a3f154dc8f621815c080c5d3aae6bb4daba6ace25bd55

세계화가 지금까지 물가안정기 형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인식은 널리 퍼져있는 상황이다

1dafdf22f0d13db4518fc4bc15d41b14f09c410a112d42a389bab5e15832890d7f0d96731bcef0d1d65b14efd01280ed1f469d

왜냐하면 원자재를 비롯한 생산요소를 비교적 저렴한 다른 국가로부터 대체함으로써 물가에 하방압력을 미쳤다는 사실은 대단히 직관적인 사실이기 때문이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5cfb1b4c2c403550c899b44ff12db87bf4e727e91139e0057c4

실제로 중국의 WTO 가입 이후 GVC(Global Value Chain)는 지속적으로 성장해왔고 대침체 이후 Slowbalization(세계화 정체) 국면으로 진입하긴 했지만 세계화의 영향력은 여전하다

2010년 이후 GVC 성장이 둔화하다 못해 하락하는 그래프를 올려두고 무슨 정체냐고 할수있을테지만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483d3decab6b3c6c4014e179a98d50b8476eb9044fcfdfa3609600fd78d9b91

위의 그래프가 단순히 무역 통계로만 집계해서 무역 통계로만 세계화의 정도를 측정하는 건 한계가 있기에(Grabner et al. 2018)

정량적 세계화 지수, 제도적 세계화 지수를 모두 포함한 KOF 세계화 지수를 보면 세계화는 감소하지 않고 정체됐다고 나타난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5cfb6b6c4c403550c899b4d5f0e8052b5d037b04f683c6b5745fc

Auer 외의 연구에 따르면, 원자재나 노동력 등 국내외 생산요소 대체성의 증가는 GVC의 발전으로 설명된다

생산요소 대체성이 증가하게 되면 국내 경제여건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약해지고, 그 결과 저물가 기조가 형성됐다는 것이 이러한 인식을 뒷받침하는 사실이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ab6b3c2c403550c899bfa74d9d1b827786d08b6b99b05ebf864

실제로 Bianchi&Civelli의 연구에서는 국내 유휴생산력에 따른 산출갭과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ab7b7c9c403550c899b354af23ebbd5a80e8216bc48a5e54729

글로벌갭 간의 관계를 비교해봤을때 (실업과 인플레이션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필립스곡선이 평탄화돼 세계화가 저물가 기조에 기여했음을 보여줬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9b2b5c2c403550c899bef1c6ff773819823c482aa1ea701e333

Ahmad&Civelli의 연구에서도 글로벌갭이 필립스곡선 평탄화에 기여했음을 보여준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8b3b7c7c403550c899b68e6b322695d4b19cebc05d000e3731a

하지만 Milani의 연구에서는 글로벌갭이 필립스곡선 평탄화에 미친 영향이 '무시할만큼 작은 수준'으로 결론지었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8bab4c3c403550c899b755a6f54387b0963af16c23258c135a0

Mikolajun&Lodge의 연구에서도 글로벌갭은 원자재 가격에 대해서는 설명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대인플레이션에는 제한적인 설명력만 가졌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8bbb7c9c403550c899b65c06e08ef94e368d0c51580c7ffd9f2

데이터를 '02 Q1부터 '14 Q3까지 한정했을 경우 설명력은 더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eb0b2c2c403550c899b77b059e3b07b71fef34024117cd0d966

Lodge&Pérez 외의 연구에서도 글로벌갭이 필립스곡선 평탄화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9b2b7c9c403550c899b297aefa291d17afa3d8b17abf5360caf

CPI 상승률을 변수로 했을 경우, Forbes의 연구에서는 GVC가 CPI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Core CPI에는 설명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9b6b6c8c403550c899b59938fbfb0c507993f20abcf177be7c0

Forbes의 다른 연구에서는 43개국의 1990년 Q1부터 2017 Q4까지의 인플레이션을 순환 요인과 추세 요인으로 분해하고 세계화가 인플레이션에 미친 영향을 다시 분석한 결과

순환 요인에서 세계화의 설명력은 유의했으나 추세 요인에서는 유의하지 않았고, 기대인플레이션이 강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8b0b2c7c403550c899b6537fc1092827453d7a216bf98045d61

이같은 혼재된 연구결과들이 의미하는건 무엇일까?

다시 Lodge&Pérez의 연구로 돌아가서, 저자들은 재화의 추세 인플레이션과 서비스의 추세인플레이션을 나눠봤을때 세계화는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8b1b6c3c403550c899b9a9515ea7d74eb5300403499d17e95

재화의 추세 인플레이션에는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쳤으나 서비스의 추세 인플레이션에는 양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어째서 세계화가 서비스 추세 인플레이션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은 없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483d3deceb3b3c6c403550c899b5d3ac73eb26695d25bd71ca8219df356

한편 Eo 외의 연구에서는 '90s 이후 재화 추세 인플레이션은 0% 내외에서 좁게 변동하는 반면 서비스 추세 인플레이션은 3% 이상으로 형성돼있었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eb7b6c3c403550c899b86a6e3661a1addf756d1fb22c14a6a88

이로부터 추세 인플레이션을 설명하는 건 재화가 아닌 서비스 인플레이션이라고 결론짓고 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fb5b2c4c403550c899bd75c9682d3f620da7ee53f4e742d8b26

또한 Adbith 외의 연구에 따르면 Core Goods, 근원 재화 물가는 국외 경제여건과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이,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fbab6c0c403550c899b18eccdc0f8074038c48eaa573e06e3de

Core Services, 근원 서비스 물가는 국내 경제여건과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으로이 주요한 결정요인인것으로 분석한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483d2d7cbb4b6c3c403550c899b7df9750d70a0cabde84dd193e81e3c6f

마지막으로 Kamber&Wong의 연구는 선진국 및 신흥국 7개국, 21개국을 대상으로 추세 인플레이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기대인플레이션이 추세 인플레이션의 지배적인 설명력을 가졌다는걸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갭이 필립스곡선 평탄화에 미친 영향을 제한적이거나 작은 수준으로 결론짓는 연구들도 통계적으로 음의 영향을 보고하고 있다는 점에서 분명 세계화는 저물가기조에 기여한건 사실이다

하지만 세계화가 지배적인 요인은 아니었으며, 잘 고정된 기대인플레이션이 지배적인 요인이었다는게 이 글의 결론이다


출처: 나스닥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46

고정닉 19

18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32308
썸네일
[대갤] 中, 시속 133km 강풍 강타... 밥 먹다가 날아간 남성들
[330]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3777 271
232306
썸네일
[야갤] 개통령 강형욱 논란 떳다...jpg
[605]
ㅎㅎ(211.36) 05.19 46358 246
232305
썸네일
[편갤] 개추 가능하냐?
[253]
ㅇㅇ(223.62) 05.19 22123 219
232304
썸네일
[싱갤] 메이저한 게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157]
수산물학살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8702 133
232302
썸네일
[해갤] 레버쿠젠, 유럽 5대리그에서 4번째로 무패우승 달성.gif
[201]
indr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2942 278
232299
썸네일
[싱갤] kc인증 안된 미승인 국가들
[239]
일리아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3208 120
232297
썸네일
[키갤] 어느 일본 버튜버의 "눈을 떴구나 미정갤로 오거라".txt
[77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52653 503
232295
썸네일
[기음] 영양군 1박2일 갔다온 압축후기.jpg
[447]
dd(182.213) 05.19 28132 350
23229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초딩같은 남편
[50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60834 377
232292
썸네일
[이갤] 일본 전국시대 다이묘의 갑옷들...jpg
[378]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1990 128
232290
썸네일
[중갤] 대구 아파트 근황
[47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3254 288
232289
썸네일
[야갤] 그래 차라리 자퇴해라” 빠르면 '중학교' 요즘 아이들이 자퇴하는 이유
[887]
라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46632 438
232287
썸네일
[싱갤] 직구 금지 보류 기사 기레기 낚시질이다
[53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5649 644
232285
썸네일
[새갤] 정성글) 히틀러는 어떻게 정권을 장악했나 -2-
[8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0928 60
232284
썸네일
[리갤] T1 vs BLG 1세트 요약...jpg
[377]
ㅇㅇ(116.127) 05.19 62050 1459
232282
썸네일
[야갤] 변호사가 말하는 여성판 N번방 사건 jpg
[508]
야갤러(106.101) 05.19 47344 1268
232281
썸네일
[디갤] 경기도 양주 카페 다녀옴
[51]
ㅇㅅㅇㅋ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9674 29
232277
썸네일
[주갤] 시어머니랑 전화하기 싫어 분노하는 한국여성들.jpg
[525]
ㅇㅇ(211.234) 05.19 31139 528
232275
썸네일
[새갤] 김호중 술자리 동석 연예인 곧 조사... 콘서트 '강행'
[253]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5892 175
232274
썸네일
[카연] 짝사랑하는 사람과 하는 만화
[123]
아바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1399 76
232272
썸네일
[미갤] 혼자 이탈리아 시골에 간 한국인.jpg
[44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5027 444
232270
썸네일
[디갤] zfc 1년의 사용기록
[41]
새가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6931 26
232269
썸네일
[모갤] 스압, 데이터) 시애틀 --> 밴쿠버 암트랙 후기
[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8218 30
232267
썸네일
[포갤] 일본인에게 시티팝을 아냐고 물어본 결과
[53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9500 429
23226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신사 참배를 하러 가보자!!!(장문주의)
[158]
여우야여우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2682 101
232262
썸네일
[새갤] 1978년, 박정희 대통령 수도이전 계획 발표순간..mp4
[739]
합성망고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4588 562
232260
썸네일
[이갤] 미국에서 할렘같은 흑인 빈민가가 생긴 이유.jpg
[2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6125 110
232259
썸네일
[카연] 진호의 순수한 연애몽마들 5화
[45]
pot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1147 77
232257
썸네일
[디갤] 20년 야로나 직전에 다녀왔던 교또 거리 사진 (17장)
[29]
ㅇㅁㄹㅇ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6711 12
232256
썸네일
[카연] (ㅇㅎ) 다우지수 4만 돌파 기념으로 TS해본.manhwa
[63]
새만화금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8197 88
232254
썸네일
[걸갤] 직장인 블라인드 뉴진스 여론..jpg
[1069]
ㅇㅇ(106.101) 05.19 61367 765
232252
썸네일
[유갤] 강남 안과의사가 말하는 서울대 현실..jpg
[430]
유갤러(195.181) 05.19 55561 460
232250
썸네일
[야갤] 피식대학 사과문 ㄹㅇ...jpg
[1345]
슈화(착한대만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71645 543
232247
썸네일
[미갤] 범인을 꼭 알아내겠습니다.라는 약속을 16년 뒤 지켜낸 형사.jpg
[9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0994 126
232245
썸네일
[야갤] [속보] 직구금지 철회
[1158]
루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74046 1029
232244
썸네일
[이갤] 영국 BBC 선정 가장 위대한 영국인..하 끝
[42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5961 93
23224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마인크래프트속 아르마딜로의 디테일....
[116]
minh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9200 235
232239
썸네일
[디갤] 시그마 30.4 + a6000, 도쿄
[38]
스무살겜안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3604 10
232237
썸네일
[미갤] 새벽에 사라진 언니.. 실종된 언니의 충격적인 사실.jpg
[42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40467 227
232235
썸네일
[유갤] 인간 에임핵이라고 평가받는 FPS 선수..gif
[629]
환송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45259 278
232234
썸네일
[디갤] 쇠제비갈매기의 교미
[125]
ㅇU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22208 135
232232
썸네일
[싱갤] 백인 유전자가 씹오지는 이유.jpg
[660]
올아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74626 285
232230
썸네일
[이갤] 서양에서 유행했던 소름 돋는 어플.jpg
[195]
라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49715 230
232229
썸네일
[카연] 전학생의 XXX를 먹고 싶어하는 여고생..! manhwa
[346]
니소라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39277 502
232227
썸네일
[메갤] 한국에 대한 선입견, 일본인 인터뷰
[426]
ㄴ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39687 338
232225
썸네일
[야갤] 이자 20% 아반떼 풀 할부남 근황...JPG
[624]
포흐애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55793 448
232222
썸네일
[미갤] 가난의 처절함을 보여주는 어느 남자 연예인.jpg
[56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52692 164
23222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혼란한 사이 선진국 별 투자이민 비용을 알아보자
[32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27321 150
232219
썸네일
[프갤] 다크소울3 거인 욤 피규어 출력 도색 해옴
[74]
도색하는망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12186 87
232217
썸네일
[중갤] 논란중인 유비소프트가 고용한 일본 역사 전문가의 실체...
[269]
rtO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30514 22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