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RB20은 어떻게 F1을 지배하고있나 (feat.사이드포드)앱에서 작성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3.23 08:00:02
조회 10718 추천 123 댓글 59

09e48272c3876e85239cf4e6459c706872c42d037c805bf9f531be4a25f99e777a5ddf67af84c9580d823e565ab2ca4528136985

막스 베르스타펜과 레드불

09ecf37fb081198523eef0e5479c70181f1e3a2b5e4a9dff7a701b1dbc0bb129d19e7ef62eaaebdcfb728489bb0f186a48429cee

레드불은 2022년 페라리를 꺾고 손쉽게 우승한 이후 23년 전년도보다 더욱 압도적으로 타이틀을 얻어냈다

75e48004c7f71ef223ee80ed419c706fda292b713bb9d4e7a93816a742be057301be7ed65925c76d5fb19cc755aed270465c7c58

싱가포르를 제외한 나머지 그랑프리에서의 우승

페라리 메르세데스를 아주 손쉽게 이기는 레드불의 역대급 포스에

749ff677c1876df023e781ec359c706fbf6538bd9d8d42a2b95929eb0b99f986e699491bc7743193f0698ac5cda3ee0a516cecf0

올해 레드불의 차량 RB20에도 팬들의 이목이 쏠렸다

그리고 RB20이 공개되자 팬들은 크게 놀랐는데

시각적으로 작년과는 매우 다른 부분이 있었기 때문이다

7d9cf102b5871df723e88097429c701be580b79986243cf93a91a2243a41b2a153310b88af0d07342b80b6a1600105da773bb422

가장 눈에 띈 부분인 바로 사이드포드

7b988403b1f319f12399f3e3469c7019083c970261357e8fd22d5b48fad26956618ce1698c4d4b9faa02baa8f46aff2d7ac6a0bab5

위가 작년 활약한 RB19의 모습이었다면

맨아래 현재 RB20의 모습이다

0fec8177c3f36e8023eb8f97379c701e747be2d3a727b4408c90f515fa18e8969e1151e53141ef8296f3d4494054a0d014ebae2f

작년 싱가폴의 아쉬움을 뒤로하거 전승 우승을 목표로 하고 있는 레드불의 비장의 무기

RB20의 강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현 규정에서 RB20까지 발전해온 레드불의 발전과정을

를 매우 개괄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전문가의 식견을 많이 참고하였기에 글에는 매우 핵심적인 내용들만 담겨있다










먼저 레드불이 왜 강한지를 알기 위해선 잠시 과거로 되돌아가야한다








0febf670c38b6df7239ef394379c701b8c0b03fb2435a532b29378fe1e826f0522196bf30bfe619638bd11c5fe048376076d7ec3



2022년

다소 혼란스러웠던 21시즌이 끝난 이후 큰 스케일의 규정변경이 이루어졌고

다들 알다시피 막스와 레드불이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규정변경의 핵심은 ‘더티에어’의 감소와 ‘벤츄리 플로어’의 부활이었는데

0b9e837fb08219f123e98fec409c706aee723c75457f1d978ef2bfcceab4d9d784552ba750146360864a051a949f024efe778bb5

먼저 벤츄리 플로어를 살펴보자

기존에 평평했던 플로어를 벤츄리 터널 형태의 언더바디로 바꾼 것인데 이로인해 생기는 문제가있다

7998f377b4816cfe23e68697379c7018a56632074a0782f59e540ea3850dcb28e3b12e75630c5b6f4f9909e553f812c32fee255c23

바로 폴포징

플로어에서 생성되는 다운포스에 대해 이전규정에서 쓰이던 방식에서 조정된 접근법을 택해야 했고 

이 과정에서 섀시와 사이드월의 고유진동수에 맞추어 진동하는 폴포징 현상이 발생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폴포징 현상은 슈퍼 컴퓨터를 사용하는 CFD는 물론 최첨단 풍동에서도 구현해내기 매우 어려웠기에 이 문제에 대해 예상을 하고 있었음에도 이를 해결하기가 여간 골치아픈게 아니었다

따라서 이 폴포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아래의 접근법이 필요하다

1.바운싱을 최대한 감소시키는 서스펜션 플랫폼을 형성한다
2.서스펜션을 설계했다면 최고속에서 얼마나 많은 다운포스를 생성해낼 수 있는디 설정한다
3.고속코너에서의 다운포스에 대해 최적화를 끝낸후 저속에서의 다운포스 그리고 각기다른 요, 피치, 롤각에 따른 최적화를 하며 플로어를 설계한다
4…..
.
.
.

규정내에서 최대한의 다운포스를 뽑아내는 대신 폴포징을 대비하고자한 이러한 접근법은 레드불이 저속 고속 가릴것 없이 다운포스를 최적으로 생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하였다

이 방향은 결국 옳은 방향임이 증명되었다

789f817fc38a1af2239a8197309c706ba635edcbfcfdf573ef0266ac3dd3a61303ee0c07099a83da4e7f6a9a55b899487bc3b5f8

이 과정에서 서스펜션은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였고 서스펜션 설계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이 바로 뉴이이다

뉴이는 일찍이 1980년대부터 모터스포츠에 입문한, 한마디로 엄청 고인물이다

099ef570c7f46af3239cf4e7419c701c67f995b90732cfeb6989b92e4665b897dc0d99b602726c9d36bccfbb30b9577ace9f8484

뉴이에게 있어 80년대는 극적인 다운포스 향상이 이루어진 ‘그라운드 이펙트 시대였고’ 이 당시 폴포징 문제를 직접 몸으로 겪어본 몇 안되는 F1엔지니어였다

그렇기에 뉴이는 2022년 규정에 따라 차를 만들던 시기 자신이 직접 서스펜션 설계에 깊이 관여하였고 그가 손을 댄 서스펜션 플랫폼은 현재 RB20에도 여전히 남아있다

0be58902c3f06bf723998fed469c706eec1bde65fd8978e85bd8cfd3793a555dbf788ad2ac067a2287879727f4f5bcda47e7e040

서스펜션만이 레드불의 2022년 순조로운 지배의 시작을 도운건 아니다

비교적 짧은 기어박스를 사용한 것도 하나의 해결책이었는데 이로인한 영향은 다음과 같다


-기어박스가 짧아진 만큼 모노코크의 콕핏을 상당부분 후퇴시킬 수 있다
-이는 플로어 영역을 짧게 만들어 생성할 수 있는 다운포스의 양도 줄어들지만
-프론트 액슬과 사이드포드 플로어 입구사이의 간격이 넓어짐에따라 후류를 더 잘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뉴이가 외부스킨의 시각적인 변형보다 디테일한 설계 기본적인 설계가 퍼포먼스에 있어서 큰 영향을 준다고 인터뷰한 것도 여기에서 기인한 것이리라

0ceb8874bc826a8023998eec349c706cbacb83b24d971c03f05b1bed0ed4b244f1813776cc29ad2527ad6c1954e71d81fb998c

이제 더티에어에 대해 살펴보자

더티에어로 인해 차량 바로 뒤쪽에서 50퍼센트나 다운포스가 감소하는 이전규정에 비해 이번 규정은 차량이 만들어낼 수 있는 더티에어를 감소시켜 약 15퍼센트 정도 감소하도록 만들었다

이 더티에어 감소도 레드불의 설계방향을 잡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제 규정으로 더티에어가 감소하였고 그동안 다운포스의 갑작스런 감소로 난이도가 매우 높았던 추월이 자주 일어나게 된 것이다






7a988870b58268f423e98290379c7018f7692d2299054cc70a94721dbf2a9b077ec78c70f04690d91c4bd020c961990a2c87349c

정리하자면 2022년 다른 팀들이 규정에 대처를 제대로 하지못해 폴포징으로 허우적댈동안 레드불은 매우 좋은 차를 만들어내었다

시작이 반이라고 규정첫해부터 레드불은 완벽했다

7ae4f200c1806df1239a8596429c706d0bb1958795e420bd82b90bb582ab2f50459abceefad032c881168b5ef11643ed3c827b51

2023년도는 2022년의 재방송이면서 동시에 더욱 발전한 막스와 레드불을 보여준 한 해였다

7f9e8370b4f3688423ed8f96449c701cb2b959692ac91e862da623c6de0cb3e2c7f1533f0d749be5ac200b8b0474b0a98b28e5

23년 레드불의 RB19도 한층 발전하였는데 주목해볼만한 부분을 한가지 뽑자면

바로 V자 섀시이다

시각적인 변화는 매우 유려한 곡선을 가진 사이드포드에 비할바는 아니지만 레드불은 이 V로 상당한 이득을 보았다

-프론트윙 뒤에서 V자 섀시는 비교적 더 큰 저압대을 형성할 수 있게한다
-이 저압대는 프론트윙의 효율을 향상시켜줌과 동시에 리어타이어와 디퓨저 사이의 공간을 향해 흐르는 유동을 가속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결국 서스펜션에 나쁜 영향을 끼치지않고 플로어의 성능향상을 가져온다





그리고 2024년 이러한 레드불의 특징적인 측면을 다른 F1팀들이 참고할 때

0ee98170c1f46bf223e98294459c701bf10f284bcc97c8559ec295cb5ea8799df36b959d2ab5c3fb1e3ec645975abab29e889de0

마침내 레드불은 RB20을 공개했다

7cec8604b48a1cf123eaf4e2449c706c9e35aa46fcb7477abd2d39e656100d7c74335f3461af8c83d09488a94de3dcb1e00317de

주요 특징으로는 많이들 궁금해야하는 사이드포드

대체 왜? 레드불은 사이드포드를 바꾼 것일까


799e807fc0f06b8423e7f4e0359c706926fef76c49f9a82780a1d131c7c4f5962afb8045874a848b2731c34731670d798cf1b7be

제로팟 언급은 하지않겠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러한 형태의 사이드포드는 차량의 퍼포먼스와 벤츄리 플로어를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다

당연한거 아니냐하는 생각이 절로 들 수 있으니 좀 더 자세히 설명을 하겠다

7c9cf400c0f01cf523e98e97449c701c09773ddd26665b326773073fa8982938706162a1607bf8d6261509d0e7562eb3fda81a8a

우선 눈에 보이는 것

비교적 작아보이는 수평 수직의 사이드포드 인렛

이는 쿨링 패키징으로 인한 결과이다

7fed8902c4f76082239ef0e3409c701bcd908fa9e847ec786cbabd804029ae9da43e836d143757d40533a872bd55e3886fefc97cd8

우리는 쿨링 패키징에 주목해야봐야한다

이것이 RB20 사이드포드 내부모습이다

7ce88471b5811bf223e784e14e9c706491b98ce1f76562fe5d100690d3b4b7d24e4abe3039dd4db0fa2b797fc101793991046338

그리고 이것은 RB19 서이드포드의 내부모습이다

무언가 차이점이 느껴지는가?

라디에이터 밑에 라디에이터가 있다

7d99f202c0f41e8023e984e3349c706c1ee03aea1e4b19054bddc206e28e001113049c2372afc96d7e6e27298c151df5c9eccd

페라리와 하스가 몇년전에 이러한 형태의 사이드포드를 설계했었다

74eef577c086618023ec8ee6439c706da5ac8b7334999e1b60f14930abba9b1e913054afeca2a12965e465585f3c4bd275de4cb6

또한 콕핏윗부분 에어박스옆에 쿨링을 위한 다른 인렛도 존재한다

이러한 사이드포드 형태는 기존의 형태와 비교하자면 무게중심을 매우 중심으로 모았다고 할 수 있겠다

7ded8503b1f31a80239c8093359c706821db247f7c8cb2e2c3f27264017df603e66f0891c33482a2133365d5288fc234198820

무게 중심을 더욱 중앙에 가깝게 옮겼다..이게 어떤 이득이 되는 걸까?


여기서 우리는 한가지 문제점을 짚어보아야한다

0b9b8676bdf01df323ee8296449c7019ef859ae33cf4b42e4c1094cc528acee70f16ec287a8ef4ae7ea4dba713486d6b815d6d4b

799f8375b3f06d80239a8190449c706f31438c5539524ed38707f8c3099843e179063448e10e6e68bbe5d2e7457ac64ff423f6

플로어를 보자

벤츄리 플로어에서 이론적으로 가장 다운포스가 만힝 생성되는 부분은 바로 플로어에서 가장 낮은 부분인 조임목 초크포인트 구간이다 

문제는 이 조임목 구간이 차량에 있어서 상당히 후방에 위치하고 있단 점이었다

차량 후방의 지상고는 그렇기에 다운포스 생성에 있어서 매우 민감 또 민감했고

이로인해 차량이 제동시 다이브현상으로 전방으로 압력중심이 크게 움직이고, 브레이크에 발을 떼면서 다시 이 압력중심이 후방으로 크게 움직이게 된다

참..코너에 진입시 차량의 리어를 매우 불안정하게 만들고 코너의 중간지점에선 언더스티어를 일으키게 하는 골칫거리였다



더욱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요조건으로 리어의 불안정성을 견뎌줄 드라이버가 필요했다..


? 일단 다행히도 레드불은 딱 알맞은 드라이버를 보유하고있었다




0c98f372b1876cff23e68393459c7064a78ef3e452f0a7c259c1f3b21a7b5cb15acdab74cca70d49dd69a411c5d32e71a24d1bc3

막스 베르스타펜 

789cf602b7f61b832399f094419c706fd40f29e59b91c399c3d1ff47858a1c768cb74e01277ce81b6bcc0384aa2d7e3df214a5

슈퍼막스도 있겠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드불이 해야할 것은 당연히 극관성모멘트를 줄이는 것

언더스티어링으로 리어가 미끄러지는 모멘텀을 해결하기 위해선 극관성모멘트를 최소화시켜야하며 

이는 자연스레 차량 하중에 비중있는 요소들을 차량의 무게중심에 최대한 가깝게 그리고 최대한 낮게 배치하는 것으로 해결해낼 수 있다

7eedf207b5f66985239c87e6469c706ce1a6afc1284c5fba66b4303c23a63956a6685a5d23304b9e280667d75fc1f2af97b73f0d

그리하여 나온 것이 현재 RB20의 사이드포드이다

정리하자면 플로어로 인해 생기는 코너에서의 문제점을 라디에이터의 배치를 통해 해결할 수 있었다

75e98305c1871e8023e9f4ed459c701f016fc0365fc369642218d6ef5e1681173eaf7f918edae42d00fa73c93017484f43dc5dea

여기에! 에어박스 부근에 추가된 인렛들로인해 결과적으로 얇아진 사이드포드 인렛은 사이드포드의 다운워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었는데 

이 사이드포드의 고압영역대는 다운포스를 감소시키는 프론트 휠의 웨이크를 효과적으로 막아주고 차량 후방에선 리어휠의 웨이크를 효과적으로 막아주게됨으로써 


더욱더 강력한 차가 탄생하게되었다

7d9c8575bc8a1b85239cf0e2339c706ad1886b54c9d8ccc2134c9a44289ba326ca2846435bba58b70e5ef436c384cbf3dfd45c

RB20의 이야기는 여기서 끝을 맺겠다

궁금증이 해소되었으면 좋겠다

읽어준 모든 엪붕이들 불금 잘 보내라잇

화이팅


출처: F1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123

고정닉 49

9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35126
썸네일
[야갤] 김동현이 말하는 피지컬100 출연 이유.jpg
[26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24374 89
23512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서양의 자취방.jpg
[300]
mp4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52521 265
235122
썸네일
[카연] 새외무림 곤뇽파!.manhwa
[76]
kain_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1628 155
235120
썸네일
[A갤] 일본에서 제일 싸가지 없는 식당 응대 수준ㅋㅋㅋㅋㅋㅋ
[411]
이즈리얼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28958 314
235119
썸네일
[기갤] 사람 공격하는 까마귀, 공포로 물든 강남 거리.jpg
[53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23832 123
235118
썸네일
[야갤] "주먹으로 때리고 목덜미 잡아", 애견유치원서 실명.jpg
[35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8805 171
23511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포켓몬 빌런들의 목적과 악행들을 알아보자.jpg
[117]
sakur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6981 72
235115
썸네일
[새갤] 민주 최고위 “종부세 완화 검토” 지시…여당 “환영” 급물살
[270]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1672 79
235114
썸네일
[이갤] 인간이 개량한 다양한 동물들...jpg
[278]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23016 146
235112
썸네일
[헬갤] 대기업 버튜버 실물을 보러간 김계란 근황.jpg
[687]
ㅇㅇ(42.82) 05.29 51739 224
235111
썸네일
[A갤] 해피일본뉴스 132 (라피더스의 경제효과가 180조원 ㄷㄷ)
[98]
더Inform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6129 60
23510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K-공룡, 코리아케라톱스
[19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5555 72
235107
썸네일
[해갤] 티빙 올해 800억 적자라네요
[442]
ㅂㅈㄷ(117.58) 05.29 29998 114
235106
썸네일
[야갤] [단독] 공보의 수당 지급 지연, "정부의 임금 체불".jpg
[36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2277 120
23510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인텔 VS 엔비디아
[268]
운송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28070 127
235103
썸네일
[기갤] 네이트판) "동생 ㄹㅇ 개싫다 지 방안에서 물!!!! 하고".jpg
[34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34070 82
235102
썸네일
[이갤] [단독] 02-880 대통령실 전화 확인‥168초 통화
[245]
고맙슘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3267 125
235100
썸네일
[야갤] "강인 15년 자숙했으니 좀 봐달라..." 이특 두둔 논란...
[502]
야떡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32121 286
235099
썸네일
[싱갤] 분노분노 카우보이 비밥 페이 원작과 실사화 비교
[51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28335 269
235098
썸네일
[토갤] 김호중 녹취록 확보..故 이선균 언급하며 "인권위 제소 검토 중"
[21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20533 164
235095
썸네일
[야갤] 전에 욕많이먹은 커피유튜버. 산미있는 아메리카노 순위.
[335]
라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26654 54
235094
썸네일
[유갤] 공진단 만드는 방법 알려주는 한의사
[412]
ㅇㅇ(103.216) 05.29 23375 107
235092
썸네일
[야갤] 삼성전자 사상 첫 파업선언 ㄹㅇ...jpg
[863]
슈화(착한대만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38378 419
235091
썸네일
[싱갤] 굿 지내던 무당들 사망사고
[29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35161 154
235090
썸네일
[기갤] 다방 종업원과 걷던 남성, 다리 풀린 듯 비틀거리더니.jpg
[16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24547 222
235088
썸네일
[리갤] 오피셜) 페이커 아리 가격....jpg
[1074]
ㅇㅇ(211.234) 05.29 86724 736
235087
썸네일
[새갤] 피켓·고성 난무…마지막까지 한심했던 21대 국회
[149]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0409 52
235086
썸네일
[디갤] 날씨 좋은 날 도쿄발 디지털 쓰레기
[42]
금령살해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0001 33
23508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 사회 걱정해주는 중국 인플루언서.jpg
[693]
ㅇㅇ(121.161) 05.29 26219 116
235083
썸네일
[야갤] 훈련병 사고 관련...채널A 근황 ㄹㅇ...jpg
[937]
Adida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60847 1517
235080
썸네일
[싱갤] 폐쇄적 집단의 광기를 보여준 저예산 영화...gif
[136]
환송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28069 105
235079
썸네일
[대갤] 어메이징 일본근황) 불났는데 라멘 먹는 손님들과 영업하는 종업원들
[523]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25720 224
235078
썸네일
[1갤] 와 이글 보니 더 화나고 안타깝네
[114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54597 862
235075
썸네일
[k갤] KT위즈 삼성 박병호 오재일 트레이드 정리
[60]
198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21562 391
23507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부산대 근황
[28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36917 283
235072
썸네일
[치갤] 오킹 여동생이 옼탑방 팬카페에 직접 올린 입장문... jpg
[410]
ㅇㅇ(118.44) 05.29 57616 484
235071
썸네일
[야갤] 스페인 등 유럽 3개국, 팔레스타인 '정식 국가' 인정
[181]
토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1009 48
235070
썸네일
[의갤] 전공의분들 계속 안돌아오실거예요?
[395]
의갤러(125.185) 05.29 29571 222
23506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세계 각국의 국립도서관들을 살펴보자.jpg
[91]
sakur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1742 52
235066
썸네일
[야갤] 췌장암•간암도 '중입자 치료' 시작..하루에 문의 몇 백통 쏟아져
[414]
야갤러(210.179) 05.29 17451 111
235064
썸네일
[야갤] 버닝썬 경찰총장 복귀 논란 ㄹㅇ...jpg
[426]
슈화(착한대만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35650 729
23506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정체를 숨기기 위해 거짓말을 한 괴물.manhwa
[262]
ㅇㅇ(1.227) 05.29 33811 387
235062
썸네일
[탈갤] 경기 연천서 육군 부대 일병 군무이탈…"수색 중"
[26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7578 132
235059
썸네일
[군갤] 북한, 오물, 대남전단 넣은 풍선 10여개 보낸 듯
[504]
비리밀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31047 190
235057
썸네일
[새갤] [채널A] 한동훈 “지구당 부활해야”…이재명도 찬성
[150]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6311 110
235055
썸네일
[프갤] 따뜻한 동해(세부)를 보여주마#2
[39]
프갤러(58.65) 05.29 5562 16
235053
썸네일
[블갤] MMA 선수 영타이거가 복싱 챔피언을 제압하는 법
[251]
ㅇㅇ(220.92) 05.29 14479 120
235051
썸네일
[바갤] 카타나 '안' 타고 떠난 두카티 스탬프바리 1일차
[48]
We-R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7223 29
23504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더러운 것을 보면 참지 않는 물고기.jpgif
[219]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26493 229
235045
썸네일
[미갤] 시도때도 없이 결투 신청 DM 받는다는 김동현.jpg
[21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24897 20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