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국건축의 이해 - 8부 [목조건축의 역사 下]앱에서 작성

BAB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3.24 10:00:02
조회 7466 추천 41 댓글 48

반년 가까이를 끌어 온 목조건축편의 마지막 8부임.

글에 들어가기 전 미리 말하자면, 조선 후기 건축에 대한 설명은 대체로 불교건축을 위주로 이루어질 것임. 궁궐건축도 있지만 절대적인 수가 몹시 적고, 민가는 민도리식, 향교, 사당, 관아건축은 익공식이라서 크게 설명할 부분이 없음.

6~7부에서 소개한 조선 초기까지의 건축에서 구조적인 개량이 완성되었기 때문인데, 그럼에도 불교건축에서는 다양성이 나타나기 때문임. 다만 이는 개별 건축물 하나하나에 대한 설명이지 사찰 자체에 대한 내용은 아님. 이후에 한국건축의 이해 다른 편에서 가람배치에 대한 부분은 따로 다룰 생각임.

7fed8274b58569f351ee80e4478375739b7941b034dfda8d24370ba2b137721f

[1. 서울 경복궁 흥례문(1867, 복원)]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생각해봐야 할 부분은 조선시대 전반에 만연했던 반불교적인 통치체제임.

조선 초기의 임금들은 불교도가 많았으며, 이들은 사찰 건립과 중수에 적극적이었음. 태조는 대규모 사원인 회암사를 창건하고 한성 한복판에 흥천사를 세워 통도사에서 불사리를 모셔왔으며, 세종은 궁궐 내에 내불당을 세워 이 사리를 안치했음. 세조는 원각사를 세우고 상원사, 낙산사, 장안사 등 유수의 사찰을 중창했으며 이 당시의 유물들이 지금도 남아 국보 등으로 지정되어 있고, 그의 아들 예종은 세조를 기리기 위해 봉선사와 낙산사에 동종을 주조했음. 명종은 그의 어머니인 문정왕후의 영향으로 독실한 불교도였는데, 이 때 크게 중창된 사찰이 회암사, 봉은사, 청평사임.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cfba698046f1cf6882e6b520bf3f4f0a39b5e739b4489e03f137d778614f164c3b

[2. 서울 봉은사. 사진 : e뮤지엄]

하지만 동시에 주자성리학을 내세운 유생들은 극도로 배불적인 모습을 보이며 각종 만행을 벌였음. 중종조에는 태조가 불사리를 안치한 흥천사를 유생이 태워먹었으나 신료들은 화재를 조사하라는 중종을 비판하기에 이르렀음. 아래는 당시 손난직을 대표로 한 성균관 유생들이 올린 상소의 일부임.

​"(전략) 지금 선종(禪宗)의 부도(浮屠)가 하루 저녁에 다 타 버린 것은 비록 한때 놀랍게 들리나, 마침내는 천백 년의 쾌거를 이룬 것이니 오도의 다행일 뿐만 아니라 유가의 경사이며, 또한 종사의 복입니다. 부도의 불타고 불타지 않은 것을 근심할 것이 없습니다. 국가의 정치에 무슨 손실이 있습니까. (후략)" ​

명종조에는 유생이 회암사를 태우려고 한 사건이 일어나자 명종은 대사성으로 하여금 그 유생을 '알아 듣도록 타이르라'고 하였음. 실록에는 이를 적은 사관의 논평이 실려 있음.

​(전략) 그러나 오래되고 유명한 절은 실로 해묵은 뿌리로 당연히 뽑아버려야 할 것인데도, 능침 곁에다 다시 부처의 집을 두었다. 더욱 신속하게 철거하는 것이 마땅한데 도리어 출입을 금하는 방을 붙여 오히려 보호하고 아끼는 의도를 보이니, 또한 무슨 일인가? ​

오래되고 유명한 절은 뿌리를 뽑아버려야 하며, 태조가 창건한 부처의 사리각이 타 버린 것이 천 년의 쾌거라니. 당대 유림들의 불교에 대한 심리가 그대로 드러나 있음.

물론 임진왜란의 영향도 없지 않으나, 고려 후기와 조선 초기 불교건축의 수가 비등한 점은 극단적인 배불정책의 결과임.

a14b21aa260e072b94535a40e25dc6f1edb8c615792c04295ce8f01fcb9ad8ce74c2bb75f22563334c1c32356411

[3. 양주 회암사지. 사진 : 문화재청]

조선 중기, 양란으로 민심이 피폐해지자 불교는 다시 중흥기를 맞았음. 교조주의 성리학의 폐해가 극심했던 서인 집권기의 인조, 현종, 숙종 연간에 도성 내의 자수궁, 인수궁이 훼철되는 등 불교에 대한 탄압은 여전히 심해 봉은사가 철거될 위기에 처하자 백곡처능은 성리학적 논리에 입각해 폐불정책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리며 가까스로 폐사를 면했음. 이는 조선조 내내 승려가 올린 유일한 상소였음.

다행히 조선 후기에는 민심에 힘입어 불교 탄압이 조선 초기만은 못하였음. 따라서 불교는 초기의 왕실의 지원을 받던 시절의 권위성에서 탈피해 일반 백성들에게 초점화된 친근하고 토속적인 모습으로 변모하였음.

7fed8274b58069f051ee86e54282737372c96144bdebdc7dbcffc7c1de82ea0a

[4. 북악산과 인왕산]

한편, 조선 후기 또 다른 큰 문제는 목재 수급의 문제였음. 임병양란 이후 전 국토의 건축물들이 재건되며 목재가 크게 부족해졌음. 심지어 현종, 숙종 연간에는 전지구적인 소빙기로 인해 온돌의 보급이 보편화되며 주연료였던 목재는 더더욱 부족해졌음. 이는 영조조 승정원일기에서 극단적으로 확인해볼 수 있음.

​임금이 말하기를, "(전략) 내가 어렸을 때는 백악이 푸르러 볼만했으나, 지금은 오직 모래와 돌의 색뿐이다. (후략)"
(雖以予沖齡時言之, 白嶽, 亦靑蒼可觀, 而今則但見沙石之色矣。) (1727.11.09. 신묘 26번째) ​

참고로 저 기록은 1727년, 영조 3년이었음. 영조는 1694년생으로 1727년에는 아직 33세의 나이였는데, 아무리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고 하더라도 30년도 안 되는 짧은 기간 동안 도성 일대가 심각하게 황폐화되었음을 알 수 있음.

급격한 황폐화로 수목이 잡아주었어야 할 산지의 토사가 하천으로 유입되어 청계천이 오염되자 대대적인 준설사업이 이루어졌고, 이때 퍼낸 모래를 쌓은 산에 무궁화가 지천으로 피자 이 모래산에 꽃다울 방(芳)자를 쓴 방산동으로 불리우게 되었다는 후담.
(이상 [박종인의 땅의 역사] 참고)

7fed8274b58569f351ee80e64182737311e8ff6e3c9f5b56e197250e3beb52ac

[5. 서울 경복궁 경회루(1867)]

고종조 경복궁을 중건하며 작성한 경복궁영건일기를 살펴보면 목재를 제릉, 후릉, 광릉, 온릉 등 여러 왕릉들의 숲에서 베어 왔어야 할 정도로 목재가 부족했음. 이외에도 목재를 받아온 지역들을 보면 이원, 홍원 등의 함경도 북쪽 고을이나 인제 등 강원도 산속이었고, 급기야 삼척부 울릉도에서도 목재를 받아오라고 했다가 철회하는 일도 있었음. 울릉도의 위치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던 것으로 보임.

7fed8274b58468f251ee83e04583717313072994c66020bb07620f18ad9af8b6

[6. 안성 청룡사 대웅전 도랑주(1790)]

그래서 조선 후기 건축의 특징은 효율성과 장식성이라고 볼 수 있음. 도랑주를 비롯하여 굽은 목재가 적극적으로 사용된 조선 후기 건축물들은 자연친화성이 두드러진다고 하지만, 실상은 곧은 목재가 부족해진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음.

7fed8272b58069f751ee82e14f827473fa0fa7550ad989130ab2b15c757dfef5

[7. 강진 무위사 극락전(1476)]

목재의 부족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이 바로 도리의 길이임. 조선 초기의 건축물들을 보면 건물 좌우로 도리를 길게 빼었음. 긴 처마는 비바람으로부터 보를 비롯한 중심 가구들을 보호해 주었기에 초기의 맞배지붕 건물에서는 도리가 바깥기둥보다 더 많이 빠져나가 있었음.

a76e05aa260e072cbe4e5a57daeeafd1f7c4a63d2220e0e5ef3e17d45dd20b610c42f34a8b646aa52ee5d9eb505a7e

[8. 공주 갑사 대웅전(1617). 사진 : 문화재청]

그러나 조선 후기에는 목재가 부족해져 도리의 길이가 짧아지는 문제가 생겼음. 이에 따라 맞배지붕 건물은 가구가 쉽게 상했고, 이에 따라 자구책으로 설치한 것이 풍판임. 풍판 또한 목재로 만들어지지만, 영구히 사용할 것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서까래나 도리 등의 가구와는 달리 몸빵(?)으로 쓰기 위한 목적이었기에 하질의 잡목을 사용해도 하등 상관이 없음.

a65f28aa260e072db8575b4ffa5dc6f174acac029df2bbfb53fd75126a515aa055f222e2d07ae99eeb7da31fed6bb743931a0eaaecdf38e3f283f5e1e15a97dc66a2fda64172ed97638a9f4070677b2909

[9. 나주 불회사 대웅전 충량(1799). 사진 : 문화재청]

7fed8272b5816af451ee8ee4478475733614141f647a04dc07b3e688d3979e51

[10. 순천 선암사 대웅전 충량(1824). 사진 : 문화재청]

충량은 팔작지붕 건물에서 쓰이는 부재로, 측면 기둥머리에서 대들보를 연결함. 대들보 위에 걸리기 위해 높이차를 해소하고자 충량은 굽은 목재를 이용하는데, 이 충량은 조선 후기 건축물에서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특징임.

29bf8619b4806d9967ed98bf06d60403f72ddba3348bbd6d64

[11. 외기의 개념. 그림 :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외기는 중도리를 길게 뺀 뒤 충량 위에 동자주를 세워 그 위에 두 중도리를 잇는 식으로 설치됨. 외기를 통햐 중도리의 길이를 자유자재로 결정할 수 있어 팔작지붕 형태의 다양성이 보장되었음.

a65234ad2c06072cbb725d66c2eea8c52947f8f8c4db913fd79dc2368a7459e7082d56b9d4a6834a9af325383c1b225eba8a40abed3f97130d5c6da2ca1923460e8c02101d12aa0b0530f2d1153424f2612f069f5f4c1299f143b9f512a6

a65234ad2c06072cbb725d66c2eea8c52947f8f8c4db913fd79dc2368a7459e7082d56b9d4a6834a9af325383c1b225eba8a40abed3f97130d5c6da2ca192347bfe26dc69fec9ae071345bf78df282bf67b3db14c02790376f42a352216b94e91a

[12-13.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13세기). 도면 : 문화재청]

초기의 팔작지붕은 부석사 무량수전의 예와 같이 정면 5칸의 대형 건축물에서 쓰였는데, 이들 건축물의 경우에는 내진과 외진의 구분이 있었기에 중도리를 내진고주열까지만 걸고 종보에 지붕면을 연착시키며 외기의 역할을 하였음.

a65234ad2c06072cbb725d66c2eea8c8dd4437331999ca28759d864eda07b07b2199285a5b0281a99a950a0fea53d1a99545483b6062b499e47bc87eb48f213c8544591143e2e42bb56558c253dc7a67b2fd6a81aa233f60833eaec44cb47ddca74c4c9f685eb3e6e91f273b11283b2e74d84765d59411e053

7fed8272b5816af751ed86e64f807573c031e10f57a3b7e8d2375150c6a9e1a4

[14-15. 안동 봉정사 대웅전(여말선초). 사진 및 도면 : 문화재청]

그러나 3칸짜리 불전에서는 중도리가 건물의 양 끝까지 이어지고 내부에 도리를 올려 지붕면을 얹었음. 중도리로 인해 지붕면을 설계하는 데 한계가 있었고, 따라서 합각의 위치의 설정도 제한적이었음.

a65234ad2c06072dbd6b5d79caeea8ed84d7e9eee5709999332af986a1b6b226eb5abdf121af17b5eb01866b7bc0156fada74358fb8c0f9c8ae77c1e817183481d40c3c13831f52cd02ef627e20b0cfcf10643

[16. 창녕 관룡사 대웅전 충량(1617). 도면 : 문화재청]

a65234ad2c06072dbd6b5d79caeeafdf92ab6f669fab87919a19eeea1d09daefc6cee7de1ebc19cbf799c62f384aa85040fbbb68a34f884a9fba46f23be4a5dbe32a343b8c0ebb65e16bc73926f62637ba407ca13f05e30f13dd4741f0b3165835

[17. 나주 불회사 대웅전 충량(1799). 도면 : 문화재청]

그러나 조선 후기, 충량이 도입되면서 합각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옮길 수 있게 되었음. 충량 위에는 합각의 기준선이라고 볼 수 있는 외기(外機)가 올라가는데, 충량 위에서 외기의 위치를 조절하면 원하는 곳에 합각을 만들 수 있었음.

7fed8272b5816af551ee87e042807373dc4b3a05d0f7bacf7d6d820544c0a9

[18. 사직단 대문 삼분두(1600년대). 사진 : 문화재청]

조선 후기 건축의 가장 큰 변화는 단연 공포임. 공포의 구조 자체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공포의 형태에 있어서는 여러 변화가 보임.

조선 중기까지 보머리를 삼분두(三分頭), 즉 세 번 나누어 깎는 형태(<모양)로 주로 조각하였음. 종묘 정전, 사직단 대문 등 임란 직후 중건된 건축물에서 나타나지만, 이 이후 시기에서는 보이지 않음. 특히 불교건축에서는 이 이전 시기부터 사라졌음. 이는 궁궐건축이 불교건축에 비해 변화에 보수적이었던 점이 게 작용했음.

a17f35ad292a072aae4a5a75f2eea8fd575f92180b4caffdd57d74fb973d40de262f8ec46e3b38277c1119

[19. 종묘 정전 공포(1608). 사진 : 문화재청]

반면, 공포는 점점 더 장식화되어갔음. 기존에는 쇠서가 하앙의 영향을 받아 직선적인 형태를 보였으나, 점차 초각, 즉 풀의 형태로 장식하여 쇠서가 둥글둥글해지고 곡선화되는 양상으로 변화함. 초각형은 조선 초기 출목익공에서 나타난 형태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는데, 이것이 점차 다포까지 넘어온 것으로 보임.

7fed8275b58b6af351ee80e04f8172732b17c10250c1a8ed46c6dfe6557ad083

[20. 전의 비암사 극락보전 공포(17세기)]

7fed8274b58068f551ee84e04781777345dc8cce63727e9155cce056d5cd5ae1

[21. 울진 불영사 대웅보전 공포(1735)]

임란 이후 주불전들의 공포는 대체로 쇠서 2~3에 맨 위 익공 혹은 운공 하나 올리는 경우가 많았음. 주불전의 권위와 엄숙함을 돋보이기 위함으로 보임.

7fed8272b5816af551ee84e14081777344d428999f98e374d663b29a7b199561

[22. 공주 마곡사 영산전 공포(1651). 사진 : 문화재청]

반면 부불전들 중 규모가 큰 것들의 경우에는 다포 살미를 구름모양으로 조각해 화려함을 과시하기도 하였음.

a65f04aa033eb444a2805d59f65ddfd844424f73686170992eb2dcbd2240534a67979617b0de03b242785818ba9e32a753953bff9fe73d314a07aee090c77e6415319ba22e33a88eb229f95b4a877bca5583b6

[23.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귀한대(1633). 사진 : 문화재청]

하지만 이러한 형태가 일률적인 것은 아니라서 살미에 용, 봉황 조각을 비롯한 다양한 조각형태가 나타났음.

7fed8272b58369fe51ee82e0468475730eeaf45e5d15a9fd21fb5aa926b6076f

[24. 순천 선암사 대웅전 공포(1824)]

또한 쇠서 안쪽에 다양한 조각을 추가하기도 하였음. 이 시기 쇠서는 풀 모양을 모티프로 하였기에 주로 꽃을 새기는 경우가 많았음.

a1592cac3c3eb35896332f55295bf7e8a78ab04b754470ba9dfa2762d4ced6384a192c

[25.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안초공(1813). 사진 : 문화재청]

a65715ac3532b444a2805d59f65ddfd8f6eeef1c71f99987fc3f3ee62ea014b41979ff0b146d40732108d80c54979f38ef5ff98c3b

[26. 고흥 능가사 대웅전 안초공(18세기). 사진 : 문화재청]

조선 후기에 새롭게 등장한 부재가 안초공(按草工)임. 안초공은 공포와 연결되어 주두, 평방, 기둥머리를 감싸며 이들을 단단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였음. 다만, 이는 장식성이 큰 부재였던지라 사찰건축에서는 주로 용 모양을 조각하였음.

7fed8272b5816af551ee85e647847c7351b86520af49250cdb09c6ff86270762

a65234ad2c06072dbd6b5d79caeeafdf92ab6f669fab87919a19eeea1d09daefc6cee7de1ebc19cbf799c62f384aa85040fbbb68a34f884a9fba46f23be59fef7d60d0504dd0f7ad58cae86c02a658da5f975f86e13f6a8f6834f78aec02fbc3ba

[27-28. 나주 불회사 대웅전 용 모양 부재(1799). 사진 및 도면 : 문화재청]

장식성에 치중하다 보이 본연의 목적을 상실한 안초공도 있음. 위의 불회사 대웅전 안초공의 경우 기둥머리에 꽂혀 있기만 할 뿐 부재를 잡아주거나 하는 역할은 하지 않음.

a65f04aa033eb444a2805d59f65ddfd844424f73686170992eb2dcbd2240534a67979617b0de03b242785818ba9e32a753953bff9fe73d314a07aee090c77e6415309ba22e33a88eb229f95b4a8175c654dc12

[29.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충량(1633). 사진 : 문화재청]

이런 용 모양 조각은 불전 내의 충량에서도 흔히 나타나던 형태임. 궁궐이나 민가에서는 충량을 대들보에 꽂아 머리가 나타나지 않거나 위에 단순히 얹어 마무리했으나, 불전에서는 여러 조각을 새겼음.

7fed8272b5816af551ee82e540827773809d02be93327dfea1faaf9927691dfe

[30. 완주 송광사 종루(17세기). 사진 : 문화재청]

이 장식화가 과도해진 나머지 불전이 아닌 부속건물들까지 굉장히 화려하게 지어진 경우가 있는데, 송광사의 종루가 대표적인 예임. 송광사는 조선 후기 대대적으로 중창된 사찰로, 종루 또한 이때 다시 지어졌음. ㅡ

7fed8275b48269f151ee82e445807d736087bb77dcf32e1ef5004230c513f46d

[31.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1624)]

7fed8272b5816af551ee85e04e807173c6dc44d5633036c559633232ca9983dc

[32. 부여 무량사 극락전(17세기). 사진 : 문화재청]

7ceeef2fb48276ac7eb8f68b12d21a1dd798b4bfc4536e

[33. 순천 안국사 대웅보전(1785). 사진 : 북한의 전통사찰]

임란 이후에는 조선 초기에 비해 다층불전이 여럿 지어졌음. 이는 양란 이후 불교의 영향력이 커졌기 때문인데, 이 시기 유행한 것이 소조불이었음. 소조불은 진흙으로 만들어진 불상인데, 규모가 크다는 공통점이 있음.

a66e04ad290e072db85f5a42daeeaff16b34da6c627e0fe27da485f08b33d1e84b3a1bb10e6d0a151ac5331b47af17762cef20ecb872af070b2e46a5b442008d09c4ba883cab82c6d0

[34.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사진 : 문화재청]

대표적인 17세기 소조불인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주존의 높이가 5.4m인 거대한 불상임. 이 정도 규모의 불상을 배치하려면 그에 맞는 거대한 규모의 불전이 필요했음.

2fb98571b2833cf123ecd7e2109c706f3622817119f98ad4c5fea386e1289bd92c

[35. 완주 송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사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하지만 앞서 말했다시피 임란 이후 세워진 무량사, 법주사, 화엄사, 해인사, 송광사 등지의 여러 중층불전들은 18-19세기를 거치며 많은 곳이 사세를 유지할 여력을 갖추지 못했음. 송광사 대웅전, 선운사 영산전은 보수공사로 단층으로 변형되었으며, 해인사 대적광전은 화재 이후 단층으로 재건되었음.

a65130ac301e072d81465b4ce25dc6f19bf4023adaa2e72a0a0fc2fdc5dfd314981b6863cd95825b5537679584a1cb29a9b7

[36. 대구 동화사 극락전(1600). 사진 : 문화재청]

간혹 조선 후기 건축에 대해 이전보다 퇴화했다는 식의 주장을 많이 들어볼 수 있음. 물론 조선 후기 건축이 초기에 비해 구조보다는 장식에 치중한 면이 분명히 있음.

하지만 나는 발전과 퇴화에는 차이가 없다고 생각함. 단지 수많은 변화가 있었을 뿐임. 그 과정에서 당대인들은 그들 역량의 최대치를 뽑아냈을 것이고, 이 과정에서 당시의 상황에서는 어쩔 수 없이 변화를 추구해야 했음. 이러한 한계가 크지 않았던 시기에는 오히려 변화가 적었음. 제한적인 상황에서 최대치의 효율을 뽑아내기 위한 결과물이 조선 후기의 건축임.

나도 당시의 시대적 상황으로 대규모 건축물이 많이 지어지지 못했던 점은 안타까움. 하지만 역사를 잔존하는 모습 그대로 직시할 때 그것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함. [한국건축의 이해]를 시작한 것 또한 이와 같은 생각에서임.

현재에 대한 명확한 분석이 과거에 대한 추론을 가능하게 함. 섣부르게 제대로 된 이해 없이 과거를 바라보려 한다면 그것은 허공에 손을 흔드는 것에 지나지 않을 것임. 내가 글을 그리 잘 쓴 것은 아니지만, 웬만한 사람들이 이해할 정도로는 풀어 썼다고 생각함. 전통건축에 관심이 있다면, 1부로 돌아가 처음부터 정확한 개념을 쌓고, 이것을 바탕으로 지금 남아있는 여러 건축물들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기 바람. 그렇다면 미래의 건축, 전통건축이 현대 대한민국에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올바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임. 기초가 없는 실전은 허구일 뿐임.

7fed8275b48269f151ee82e443817d73098daf1ed52afc8e56c962559d8d9b3e




다음 [한국건축의 이해] 글은 탑파건축에 대한 내용임.

- dc official App


출처: 도시 미관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41

고정닉 6

8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33965
썸네일
[이갤] 스윙스가 분석한 한국 사회의 현실
[833]
당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54638 565
233963
썸네일
[싱갤] 요즘 군대랑 옛날 군대랑 과연 얼마나 차이가 날까?
[642]
무대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43840 253
233961
썸네일
[레갤] 프라모델과 레고 비교하길래 건담 만든거 올려봄
[85]
팰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21129 42
233959
썸네일
[카연] 포켓몬) 공포의 북신의고장 만화1,2
[301]
21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15130 39
233957
썸네일
[기갤] 파파괴인 히사이시조 콘서트 정체.jpg
[121]
긷갤러(146.70) 05.25 28973 179
233955
썸네일
[이갤] 하버드 의사가 말하는 탄수화물
[1049]
당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54931 281
233953
썸네일
[야갤] 프랑스 파리에 전시된 ‘한국의 놀이’
[254]
야갤러(211.235) 05.25 38712 130
233951
썸네일
[싱갤] 오빠 진짜 분위기 ㅈ 같게 만들지 마요
[420]
우민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76672 897
233949
썸네일
[메갤] 은근슬쩍 강형욱영상 삽입된 페미단어, 훈련소 전 직원 댓글 ㄷㄷㄷㄷㄷㄷㄷㄷ
[1546]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79485 2170
233947
썸네일
[유갤] 단돈 1만원 -짱- 텐트 입갤 ㅋㅋㅋㅋ
[229]
Peni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29133 128
233943
썸네일
[상갤] 싱글벙글 상갤촌 0524
[38]
어텀스나이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8363 60
233941
썸네일
[싱갤] (스압)강형욱 보호자 험담 + 직원 폭언 + 목줄 던짐 해명.jpg
[1068]
BlackWolfStudi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58476 1041
233939
썸네일
[야갤] “술 없인 못 살아” 김호중 구속 tmi..jpg
[304]
김무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34380 354
233937
썸네일
[야갤] 뉴진스 하니가 고른 하루 중 제일 행복한 순간은? [인터뷰]
[296]
야갤러(211.235) 05.24 42891 234
233935
썸네일
[국갤] 좌우 둘 다 같은 한통속임
[52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33502 489
233933
썸네일
[기갤] 초면이지만 하루만에 친해진 김연경,유연석.jpg
[10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5455 40
233931
썸네일
[싱갤] 100첩 반상 받은 박명수.jpg
[469]
섬마을대머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51585 624
233929
썸네일
[유갤] 인도에서 나를 두고 싸우는 릭샤꾼들
[168]
ㅇㅇ(146.70) 05.24 28687 73
233927
썸네일
[만갤] 조선 군대와는 차원이 다른 자위대 생활.jpg
[317]
ㅇㅇ(118.235) 05.24 40590 360
233925
썸네일
[디갤] 차세대 디즈니 백설공주<레이첼 제글러>근황....jpg
[254]
ㅇㅇ(175.119) 05.24 29216 27
233923
썸네일
[카연] 졸렬 다이나믹-학부모 참관수업
[121]
ㅁㄷ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0710 263
233919
썸네일
[야갤] 껌 팔면 깜빵가고 벌금 1억 내는 나라.jpg
[300]
라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33771 184
23391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차라리 모르는게 좋았을법한 사실들
[24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50508 229
233915
썸네일
[이갤] 70만 유튜버가 말하는 비교하는 습관
[455]
산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54912 517
233913
썸네일
[미갤] 살인범과의 숨바꼭질..jpg
[19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30528 247
233911
썸네일
[독갤] 잠자기 전에 책 읽으면 안 되는 이유
[217]
ㅇㅇ(121.131) 05.24 50013 52
233909
썸네일
[해갤] 개인적으로 국대에서 기억나는 장면 top 5
[175]
ㅇㅇ(124.5) 05.24 21497 172
233907
썸네일
[유갤] 똥 만드는 기계란 말이 욕이 아닌 분야.jpg
[197]
ㅇㅇ(169.150) 05.24 40188 182
233905
썸네일
[일갤] 음주가무 컨셉의 후쿠오카 8박9일 여행기(4)
[17]
히사시브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4491 24
233903
썸네일
[야갤] 헬기 소음 맞먹는 사이렌...민원에도 못 줄이는 이유
[408]
야갤러(211.235) 05.24 27605 197
23390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폭력 담임 참교육한 썰...jpg
[50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46544 907
233896
썸네일
[미갤] UDT 전역자가 말하는 극한 훈련 . jpg
[28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35869 144
233893
썸네일
[이갤] 돌아버린 일본의 교통정책
[692]
대소삼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33300 173
233890
썸네일
[야갤] 만나는 사람들한테 다 웹소설 쓰라고 추천하는 작가
[372]
야갤러(211.234) 05.24 35300 88
23388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강형욱 해명영상 하이라이트
[534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72098 3691
233881
썸네일
[카연] 이태원클라쓰 보는 만화
[242]
기음갤석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7853 220
233879
썸네일
[안갤] 안철수, 국회 명당 707호방 배정받아... 나경원은 706호
[150]
사피엔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4071 220
23387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에 온 외국여자가 변하는 과정
[65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68793 715
233875
썸네일
[근갤] 운동 해야하는 이유
[409]
토리노의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52733 307
233873
썸네일
[이갤] 과거 세계의 탈모 치료법...jpg
[221]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8674 110
233871
썸네일
[치갤] 침착맨방 아까 발작난 이유 정리.mp4
[147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70239 1642
233867
썸네일
[디갤] 뭣 rx100m3이 여행용으로 충분하냐고
[54]
Nulbaric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8514 37
233865
썸네일
[헤갤] [망한머리구조대 미용실형] 8만원짜리 뽀끌룸 #볼륨매직#가일펌
[101]
미용실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6334 141
233863
썸네일
[새갤] 조선단독] 이재명 얼굴,이순신에 합성한 野지지자…저작권법 위반으로 송치
[311]
Imperishabl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3369 350
233861
썸네일
[싱갤] 횡성 한우 축제 바가지.jpg
[469]
섬마을대머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56329 464
233859
썸네일
[새갤] 오랜만에 만난 윤석열과 이준석... 尹 "한 번 봅시다"
[371]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5586 212
233857
썸네일
[임갤] 축제 제대로다
[182]
ㅇㅇ(223.39) 05.24 20010 195
233855
썸네일
[기음] 영양군 읍내 한바퀴 탐방.jpg
[188]
dd(182.213) 05.24 21731 183
233853
썸네일
[기갤] 이승기 당연한 권리 몰랐다…권대표, 연습생 때 폭언·폭행 탄원서 낭독
[121]
긷갤러(169.150) 05.24 22876 56
233851
썸네일
[방갤] 버닝선 엠디역할 브아피에 피흘릴 여자 끌고가기
[251]
ㅇㅇ(118.235) 05.24 32403 21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