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총선 끝나면 시작된다고 여러차례 말했다.앱에서 작성

DUP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4.12 10:45:02
조회 27493 추천 233 댓글 486

7fed8272b58669f73cef84e745856a2d57bbb3d0215dcd4b785cfe2b237c

7fed8272b58669f73cef84e147806a2ddbc8ddf31b847b1058d949a7d532

7fed8272b58669f73cef84e046846a2d48bf7a914ff191e3b255d99c8e49

7fed8272b58669f73cef84ec42876a2db54e78a6ca8ea2c46c6daa8c2211



모든 불쌍한 인간을 위해 기도하고 살아서 보자

- dc official App


왜 다들 침울해있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7cea8174bd806bf437ee98a518d6040320958e5debdc140c60


7cea8174bd806bf437ee87fb06df231d8b80ba14e977621cedb2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neostock&no=5096957




축제는 이제 시작인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총선 끝났으니 집값 오른다?…부동산 전문가들 '충고'


국회의원 선거 이후 부동산 시장 회복세가 이어질 지 관심이 쏠린다. 최근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을 중심으로 가격 반등세가 나타나는 가운데 정책 불확실성도 제거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금리 변동, 공급 부족,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등 부동산 시장을 둘러싼 변수가 여전한 만큼 단기 바닥을 다지면서 박스권 내에서 가격 조정이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전·월세 시장과 공급 축소에 따른 변동성 확대는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고 조언한다.

서울 선도 단지는 회복세 ‘완연’

1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4월 첫째 주(1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한 주 전보다 0.02% 오르며 2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12월 이후 4개월간 하락한 것과 정반대 움직임이다. 지난주 서울 25개 자치구 중 18개 구가 상승세로 전환했다.

시장 반등의 선행지표로 쓰이는 거래량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824건으로 저점을 기록했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1월 2568건, 2월 2471건을 기록한 뒤 지난달 2810건을 보이고 있다. 실거래 등록 기한이 한 달인 점을 고려하면 지난달 거래량이 3000건을 넘을 가능성이 높다.

서울 내 선도단지는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2차는 최근 전용 196㎡가 80억원에 손바뀜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9단지 전용 156㎡는 28억원, 성동구 성수동 장미아파트 전용 53㎡는 16억5500만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경신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시장의 상승 랠리가 지속하고 있다. 서울 전세 가격지수는 87.5로 46주 연속 상승세다. 지난해 4월 8억원대였던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 전용 84㎡ 전셋값은 최근엔 10억원 중반대까지 올랐다. 1년 새 20%가량 상승한 셈이다.

일부에선 서울 내 아파트 거래를 막았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기대도 나온다. 정부의 시장 규제 완화 방침에 맞춰 서울시가 실효성 검토에 나선 상태다. 선거 불확실성이 사리진 만큼 규제 완화가 본격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 전셋값도 올해 서울 입주 물량 감소 속에 상승 폭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전세 시장·금리·공급 절벽이 ‘변수’

전문가들은 최근 서울을 중심으로 한 회복세는 정책 변수보다 시장의 영향이 크다고 설명한다. 당분간은 급격한 등락보단 박스권 속에서 조정이 있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지금은 매물이 많아 소화 과정을 거치는 중”이라면서도 “향후 금리 변동에 따라 부동산 시장이 요동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도 “거래량이 아직 평년에 미치지 못하고 시장 추세가 상승세로 돌아섰다고 보긴 이르다”고 했다.

총선 이후 야당의 정책 반영으로 장기적으로 전세시장과 매매시장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총선에서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유지 공약을 내세운 야당이 승리하면서 과거와 같은 전세시장 불안이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부동산 세제 역시 다주택자 규제 완화를 앞세운 여당과 달리 월세 중심 세제 지원을 강조한 야당 정책이 힘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전세시장이 더 위축되면 공급 축소로 전세 가격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

부족한 주택 공급도 시장 회복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민간 중심으로 공급 확대에 방점을 둔 정부·여당의 주택 공급 대책이 법 개정 지연으로 막히게 되면 2~3년 후 주택공급 절벽이 현실화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민간 분양보다 기본주택(임대주택) 100만가구 공급을 강조한 야권의 기조에 따라 향후 분양주택 공급이 줄어들 가능성이 더 커졌다”며 “시장 침체와 맞물려 2~3년 뒤 주택 공급 부족에 따른 매매가격 급등 가능성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압승에 '부동산 규제완화' 좌초 위기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ea04df1d1d7c8bbb6c3c4044f1790936d1bc9e53203d9e2ee9a58ebd20194b0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ea04df1d1d7c8bab6c6c4044f179093208c710b5ede979d9189e12d3d491f328b




다주택자 갭투기 십새끼들 멸망 ㅅㅅㅅㅅㅅㅅㅅ

내년에도 세금 폭탄 ㅅㅅㅅㅅㅅㅅㅅㅅㅅㅅ


“각주만 규제완화 이어지나”…250만호 주택 공급도 초비상


[헤럴드경제=서영상·박자연·박로명 기자] 22대 총선이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으로 끝나면서 부동산시장에 미칠 파장도 주목받고 있다. 야당이 큰 의석수 차이로 이기긴 했지만, 현 의석수에서 큰 변화가 없는 만큼 시장의 흐름을 급변하게 할 큰 파급력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지난 2년 동안 정부가 적극적으로 규제완화 기조를 이어오긴 했지만, 의회의 벽에 막혀 이렇다할 성과를 보이지 못해왔던 만큼,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같은 정책 흐름이 이어지며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오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면서 규제 완화 입법 작업이 지연되며 중장기적으로 250만호의 주택 공급에 일정 부분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했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그동안 부동산 시장 논리가 국회 이슈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경향은 많지 않았었다”면서 “오히려 현 시점에서는 금리 등 시장논리가 더욱 큰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도 “여당이 부동산 규제를 입법과정을 통해 풀어야 하는데 총선에 패배한 상황에서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소야대’ 상황이 이어지는 만큼 현 정부가 꾸준히 추진해온 세제개편과 임대사업자 활성화 제도는 당분간 어려워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다주택자 취득세 인하, 종부세 폐지 등 세제개편안은 국회의 동의가 필요한 만큼 현재와 같은 여소야대 상황에서는 실현이 어렵기 때문이다. 정부는 1·10 부동산 대책에서 지방의 준공후 미분양 주택 대책으로 임대주택을 활용하면 원시취득(신축건물) 취득세 최대 50%까지 감면하고 구입시 1가구 1주택 적용을 내놨지만 법 개정사항이라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를 유예하고 공시지가를 낮춰 보유세 부담을 낮추는 것처럼 규제 완화 작업에서 시행령 등 ‘각주’만을 손대야 하는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정부 정책에 제동이 걸리며 최근 그나마 살아나는 주택 시장에 악재로 작용하지 않을까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윤 연구원은 “기둥뿌리는 못 건드리고 나뭇가지만 건드리는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면서 “최근 살아나는 부동산 시장이 상승 탄력을 받기는 힘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에서 주장해온 250만호 주택공급에도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가 재개발·재건축 활성화 등을 통해 주택 공급을 유도하고 있는 만큼, 정비사업의 규제 완화가 막힐 경우 주택 공급에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최근 원자재가 급등에 따른 사업성 악화로 정비사업이 올스톱 위기까지 처해 있어 전문가들은 민간 개발 사업자들의 활성화를 위한 여야의 특단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를 사실상 손놓고 있다”면서 “도시개발사업 민간 사업이 다시 한 번 주택 공급 주체로 돌아오도록 해야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시장에서 지금 가장 큰 문제가 공급 부족”이라면서 “3기 신도시 공급물량도 대폭 확대해 35만호 수준에서 60만호 수준으로 늘려 공공주택 등으로 공급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천 부동산 상승 전환 ㅎㄷㄷㄷㄷ


7ced8076b5826ef03beb98bf06d6040396b6a8b579e4be5bf6

7ced8076b5826ef237ee98bf06d604031cc463c62deaf2a491

7ced8076b5826ef536eb98bf06d604030381c11f10dda5c0cee5

7ced8076b5826ef03cee98bf06d60403db680ae2004f4c9fcf38

7ced8076b5826ef33bea98bf06d604035b6599d66c50058219

7ced8076b5826ef33dec98bf06d604030c8b0934a0ecc0fb16

7ced8076b5826ef03cef98bf06d60403e23a5b302e3191e60f

7ced8076b5826ef33fef98bf06d60403e964156ece75fb2ae4

7ced8076b5826ef53be998bf06d60403b9228b506e1b9e01d3

7ced8076b5826ef33de698bf06d60403940f676fa619b48bc5

7ced8076b5826ef23aec98bf06d604035f3c5f0dccec744a87b0

7ced8076b5826ef33de998bf06d60403ad008c9530dfe10edd

7ced8076b5826ef03fe698bf06d604035efffb4ae9763a69bf73















지난주 송도 실거래 수준


ㅎㄷㄷㄷㄷ 미친


아 송도는 인천 아닌가?


부자감세 ㄷㄷㄷ


0490f719bd806cf220b5c6b011f11a39f6f21b013d5fc36046

ㄷㄷ




출처: 주식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233

고정닉 46

3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216902
썸네일
[싱갤] 웅장웅장 한국최고의 근대건축물로 평가받았던 건물
[222]
ㅇㅇ(175.198) 03.21 16283 90
216900
썸네일
[일갤] 입대 전 14박 15일 여행 [0~1일차] - (인천~오사카)
[20]
NaCh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6321 26
216898
썸네일
[인갤] 새로운 언어를 지원하면 유저가 늘어날까? (+번역팁)
[139]
로망바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19219 185
216896
썸네일
[인갤] 프레디에서의 5일밤 개발자의 게임 개발 일대기
[37]
ㅇㅇ(219.254) 03.21 9657 100
21689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나라별 최고의 디저트들
[482]
대단한코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42173 191
216892
썸네일
[카연] 마왕군 사천왕 예견의 퓨쳐뷰어 2부 6화
[35]
위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6052 70
216891
썸네일
[식갤] 2021년~2024년, 총 859일 동안 키운 제주애기모람 성장기
[38]
치즈케이크사주세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6290 35
216888
썸네일
[싱갤] 그때 그시절 ㅆ상남자 애니
[211]
ㅇㅇ(121.169) 03.21 35731 146
216884
썸네일
[L갤] 쥐붕이가 수원역 갔다가 존나 충격적인 공간 발견했다.
[208]
ㅇㅇ(175.214) 03.21 30250 265
216882
썸네일
[일갤] (스압) 2023 일본자전거여행 3 / 키타큐슈 ~ 야마구치
[15]
ㅇㅇㅇㅇ_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4964 20
216881
썸네일
[타갤] 미군교범과 게임으로 알아보는 전술과 전략
[48]
아스베1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12393 37
216878
썸네일
[세갤] 핑비아 도색 + LED 스위치 후기
[60]
^_-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7758 21
216876
썸네일
[카연] 후쿠오카 후기 manhwa. 4
[19]
그리마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13434 30
216874
썸네일
[디갤] [스토리] 오사카, 35mm, 50장 꽈꽊고봉밥
[20]
홋토그래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9319 20
21687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만원짜리 닭꼬치
[34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62406 721
216870
썸네일
[군갤] 극우들에게 선망대상이 된 북한......jpg
[37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47991 119
216866
썸네일
[노갤] 헬네오로 시작된 초딩의 게임 시스템
[195]
편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25910 84
216863
썸네일
[디갤] 마포입니다. 파나입니다. GH5입니다.
[37]
sidabar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11208 37
21686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지붕뚫고 하이킥 만화.jpg
[140]
ㅇㅇ(112.171) 03.21 30028 198
216858
썸네일
[인갤] <던전 인> 타이베이게임쇼2024 뒷이야기
[20]
캣소사이어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9573 31
216856
썸네일
[카연] 지방발령 히어로!!! 14
[52]
준한준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12106 73
216854
썸네일
[유갤] 두 여자의 신박한 ‘투 썸 플레이’ 제안
[142]
찌뿌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41447 80
21685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애플뮤직 선정 연도별 케이팝 대표 가수
[303]
ㅇㅇ(106.244) 03.20 22425 53
216850
썸네일
[특갤] 707이 udt교육을 퇴교하는 이유
[278]
ㅇㅇ(116.33) 03.20 33031 145
216848
썸네일
[주갤] 블라) 엥? 국제결혼 그거 매매혼 아님?
[640]
주갤러(211.54) 03.20 35914 1014
216846
썸네일
[코갤] 지적 수준이 높을수록 친구가 적은 리유
[821]
카드값줘체리(223.62) 03.20 57153 799
21684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트롤리 딜레마촌.jpg
[17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46060 246
216840
썸네일
[유갤] 신부님이 소맥을 잘 드시는 이유
[137]
ㅇㅇ(84.17) 03.20 27870 53
216838
썸네일
[해갤] 의외로 대중문화에 퍼졌었던 사이비 신앙.jpg
[407]
ㅇㅇ(45.12) 03.20 38925 227
216836
썸네일
[박갤] 한국과 일본의 고깃집 차이
[27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45484 141
216834
썸네일
[싱갤] 정의를 좇았던 한 남자의 이름.jpg
[476]
ㅇㅇ(121.168) 03.20 59319 448
216832
썸네일
[S갤] 최지훈이 상처받을만 했네
[74]
영결유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21469 165
21683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의 출산율에 놀란 외국인들
[983]
ㅇㅇ(112.165) 03.20 59903 722
216828
썸네일
[비갤] 이번에 갑자기 하락하게된 이유 분석 (JPG)
[22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39735 126
216826
썸네일
[주갤] (유튜브같이보자) 전쟁발발하면 목숨걸고 참전하겠다는 한국남자들
[1036]
주갤러(172.225) 03.20 37653 672
216824
썸네일
[특갤] 특갤교양)) 존나 신기한 컴퓨터의 발전
[324]
rhrlk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29896 268
216818
썸네일
[봇갤] 대충 사이토 케이이치로 감독 정보글
[71]
Burningsu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14016 121
216816
썸네일
[싱갤] 요즘 일본 애니에 외국인 작화가들이 많이 보이는 이유
[456]
DUpUp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35727 293
216814
썸네일
[카연] 군대 전입하는 만화
[158]
에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20239 166
216812
썸네일
[주갤] 블라) 여친이 5년동안 1000만원 모음. 방생 ㄱ?
[670]
주갤러(211.54) 03.20 49517 540
216811
썸네일
[스갤] 개인방송 시작할까 생각중이라는 김풍.JPG
[214]
스갤러(149.34) 03.20 33465 77
216808
썸네일
[출갤] 안좋은건 싹다 1위 찍는 갓한민국
[1118]
ㅇㅇ(222.119) 03.20 52641 1026
216806
썸네일
[전갤] "퇴사한 여직원이 사무실서 수다떨고 가요…아이도 데리고"
[306]
몽쉘통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47866 233
216804
썸네일
[해갤] ★ 이강인 사과 영상 유튭 댓글 민심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588]
ㅇㅇ(211.244) 03.20 36850 476
216802
썸네일
[주갤] 길거리특파)30대가 바라는 현실적인 미래 배우자 연봉은?
[591]
주갤러(122.47) 03.20 37104 615
216798
썸네일
[두갤] SBS 스포츠 뉴스 김택연 (Feat. 로버츠).jpg
[54]
ㅇㅇ(125.128) 03.20 19083 332
216796
썸네일
[이갤] 창문 밖 콘돔 투척, 옥상 위 애정행각 등 가지가지하는 아파트 민폐
[267]
ㅇㅇ(85.203) 03.20 43223 125
216794
썸네일
[국갤] 채널A 저격 요약
[431]
기계적중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30381 515
21679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중국 알테쉬 침공에 미국은 휘청, 다이소는 승승장구
[313]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21060 140
216791
썸네일
[수갤] 학생들 자습 시간 실시간 생중계한 고등학교
[279]
ㅇㅇ(185.216) 03.20 44940 17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