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1. 금감원 짜증 폭발 (부동산 PF의 진짜 규모)

ㅇㅇ(14.84) 2024.04.18 16:25:01
조회 36506 추천 488 댓글 384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immovables&no=7080580

 


정부가 총선때까지 신용평가사들에게 PF 관련 리포트를 발표하지 말라고 요청 했고

실제로 총선이 끝나자 신평사들에서 PF 관련 리포트들이 쏟아져 나왔다는 내용은 위 글로 알렸음.

그러자 신평사에서 쏟아낸 PF 관련 리포트를 보고 난 금감원의 반응이...








7cf3c028e2f206a26d81f6e447837d65ab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89239?sid=101

 


이례적으로 금감원이 민간 신용평가사들의 리포트에 신경질적으로 반응하며 시장에 불안감이 퍼지는것을 차단하려는 모습이다.

정말 금감원 말대로 과장 된것일까? 그건 무조건 괜찮다. 관리 가능하다.는 대답이 정해져 있는 관료 집단 금감원의 입장일뿐이고

오히려 (태영건설 워크아웃 들어가기 직전까지도 신용등급 A를 줬던) 신평사들 조차 위험을 과소평가 하고 있는걸로 보인다.

왜냐하면 그동안 금감원이 밝혀 온 부동산 PF 규모 부터가 쌩구라인걸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1d9b8168efc23f8650bbd58b3683756e066e5b


7ff3c028e2f206a26d81f6ec4189726e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23/0002330715?sid=101

 


금감원은 그동안 '전 금융권의 부동산PF 규모'가 135.6조원이라며 하나도 안빼놓고 다 넣은듯이 발표해왔는데 알고보니

최근 한국은행 설명회에서 금감원이 발표해 온 저 수치엔 뱅크런 났던 새마을금고는 아예 들어가지도 않았다고 한은이 밝힘.

이걸 이상하게 여긴 한국경제 신문 건설부동산 담당 기자가 2주 넘게 이 부분에 대해서 취재를 했고 그 결과를 아래 기사로 썼음.








7ef3c028e2f206a26d81f6e046827c6ea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73262?sid=110

 


즉, 지금 유일한 부동산 PF 공식 통계인 금감원의 135.6조원은 가장 위험한 새마을금고 조차 안들어가 있는 반쪽짜리 통계고
전체 규모도 제대로 모르면서 무조건 "괜찮다"고만 하는 정부 말을 믿을수 있겠냐면 겪어본 업계 선수들은 회의적이다라는것임.
한국경제 신문은 재벌들이 지분을 50% 이상 소유해서 재벌의 이익을 대변한다는 세간의 평가가 있는 신문인데도 이렇게 얘기함.

그럼 진짜 부동산 PF 와 관련된 부동산 익스포져의 규모는 얼마일까? 이제 이 글의 결론을 향해 간다.

금감원이 전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잔액이라고 발표해 온 135.6조원이라는 숫자를 잘 기억하기 바람.









1d9b8268efc23f8650bbd58b36867568bb3d



이번엔 건설업계 건설사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건설산업연구원에서 발표한 부동산 PF 익스포저 추정치다.

여기엔 금감원 발표치엔 포함되지 않았던 새마을금고분과 PF 유동화증권이 더해져 70조원 증가한 202.6조원으로 불어났다.


PF 유동화증권 (ABS, ABCP, ABSTB)은 노무현때까진 한국에서 쓰이지 않다가 (그래서 서브프라임때 한국 피해가 적었다)

서브프라임 이후 미국을 따라하기 시작하면서 증권사가 중심이 된 2010년대 부동산 금융의 핵심을 차지한 금융 기법인데

은행과 달리 신용창조 (예금을 받아서 대출을 몇배로 튀김) 기능이 없는 증권사가 지들도 부동산 금융에 끼어들기 위해서
대출 기관(은행, 금고등)의 대출 채권을 사서 저금리에 고금리 투자자가 풍부한 시장에 내다 팔고 (유동화) 수수료를 먹었음.

이러면 대출 채권을 증권사로 넘긴 대출 기관은 예대율이 낮아진만큼 또 새로운 대출을 해줄수 있게 되고 이자를 더 벌겠지.

은행 <-> 증권사가 유동화 통해서 왔다갔다 몇바퀴 돌리면서 레버리지=통화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었던것임.


반대로, 고금리가 오니 시중에 유동성이 증발하고 위험한 PF 유동화증권 받아줄 투자자들이 사라지겠지?

PF 대출이 나간 사업장에서 사고가 나면 원래 대출해준 대출 기관에서 문제가 터지고 대출 기관에서만 문제가 끝나야 하지만

애초에 증권사는 저런걸 보증 할 깜냥이 안되는 애들인데 (금융사 체급 은행 > 보험 > 증권) 중간에 끼어든 증권사에 문제가 번지고 

그러면 감당 못하는 증권사의 부실화 된 PF 유동화증권을 통해서 다시 채권 시장에 불을 지르면서 금리를 폭등 시킴.

그렇기 때문에 부동산 PF 익스포저 규모를 산정할때 이 PF 유동화증권은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것이고

이번 부동산 문제는 선진 금융 기법을 쓰지 않아서 미분양이 지금 보다 10만채가 더 많았어도 별탈 없이 지나갔던 2008년과 달리

부동산을 구성하고 있는 금융적 구조와 성격이 완전히 다르기에 이번은 부동산이 아닌 금융 문제로 다뤄져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것임.


여기까지 읽다가 지쳤을것 같지만 그런데 여기도 끝이 아님.

위에 한국경제 기사에 건산연 왈 "부동산펀드는 정확한 통계가 없어 포함하지 못했다"라고 했지.







1d9b8368efc23f8650bbd58b368377694cb5c9


이번엔 여의도 증권업계의 이익을 대변하는 자본시장연구원에서 나온 부동산 금융 통계임.

여기엔 금감원의 부동산PF 대출 + 건산연의 새마을금고 대출분과 부동산 PF 유동화증권에 더해서

부동산 PF 보증과, 부동산 신탁과, 건산연이 통계 없어 못넣었다는 부동산 펀드까지 들어감.

이렇게 산정한 금액이 금감원 공식 발표치인 135.6조원에서 약 800조원 증가한 926조원임.

그래프 제목에서 보다시피 비은행권 즉, 은행은 들어가지도 않은 2금융만 추산한 규모가 이렇다는것임.

부동산 신탁이 부동산 PF와 무슨 관련이냐 싶으면 이전에 썼던 글로 갈음할테니 참고 바람.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immovables&no=7023937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217963

 





그럼 여기까지 하면 다 한거냐?

쓰는 나도 피곤한데 아직도 끝이 아님.





79f3da36e2f206a26d81f6e347877069


전세 보증 해줬다가 2023년에만 4조원 넘게 날려먹은 주택도시보증공사가 PF와 뭔 상관이냐?

HUG가 하는 주된 업무가 분양보증, 시공보증등 모든 부동산 관련 된 보증이기 때문임.

즉, 미분양이 나고, PF 사업장이 사고가 나면 그 문제는 당연히 HUG로도 번지게 되어 있음.

이건 앞서 자본시장연구원 발표치 926조원에도 안들어간 수치라서 더해야 함.

그럼 926조원 + 725조원 = 1650조원으로 불어남. (타 보증사 2곳은 넣지도 않음)


이게 과장 된 수치인가? 너네 가계대출, 전세대출, 이런건 넣지도 않았음.

부동산 PF에 직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파장이 미치는 선까지만 넣은건데도 이렇고

여기에 가계대출, 기업대출 다 넣은 수치는 이미 한국은행이 2022년에 오피셜 때린적이 있음.






78f3c028e2f206a26d81f6e74084756efd



위에 가계금융+기업금융+금융투자상품 다 합친게 2,700조원 (2022년 기준) 여기서 가계분 1,300조원을 빼면 1,400조원

2년 지난 시차와 HUG 추정치에 다른 보증기관 2곳은 미포함한거 고려하면 앞서 길게 추정해온 값 1,650조원과 큰 차이가 없지.

정확하지 않더라도 시장 심리 안정시키려는 금감원이 택도 아닌 135조원으로 1/10로 축소해서 발표한거 보단 실체에 가깝다고 본다.

지금 PF 문제는 단순히 은행이 대출해준 문제가 아니고 각종 금융 기법이 동원 됐기 때문에 PF대출 잔액만 봐서는 전체를 알수 없고

미분양이 나고 사업장이 사고가 날때 비로소 수면 위로 올라오는 PF 보증, PF 유동화증권, 신탁사등을 다 포괄해야 전체가 그려짐.


글 제목이 1. 로 시작하는 이유는 다음 내용이 있기 때문임.

너무 길어져서 나머지는 다음에 씀.





출처: 부동산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488

고정닉 57

3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21730
썸네일
[싱갤] 여중생이 무단으로 침입히고 속옷만 입고 돌아다님.jpg
[483]
무스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53694 535
221729
썸네일
[인갤] (스압/무서움 주의) 기괴한 일본 공포겜 Walk(散歩)
[87]
ㅇㅇ(219.254) 04.08 17449 80
221727
썸네일
[이갤] AV배우씹덕의 기억에 가장 많이 남는 행사 이야기
[6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9550 104
221726
썸네일
[대갤] 싱글벙글 왜구 53명에게 난징을 따일뻔한 명나라 사건
[558]
대붕이(125.139) 04.08 39770 269
221724
썸네일
[싱갤] 아이폰15프맥 VS 70만원대 엔트리 카메라....JPG
[25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4494 80
221721
썸네일
[M갤] 이정후 인터뷰
[105]
Ishihar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4523 56
22172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중국 역사상 최고의 효자
[46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40749 312
221718
썸네일
[야갤] 윤석열 의대증원 1년유예......jpg
[885]
메좆의야짤타임1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37766 625
221717
썸네일
[야갤] 강형욱이 키우는 악마를 잡는개
[223]
테클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5131 183
221715
썸네일
[국갤] 이재명, "윤석열 찍은 니들이 윤석열을 살인범으로 만들어"
[417]
Mec(221.141) 04.08 33161 847
221714
썸네일
[싱갤] 현재 뜬금없이 논란터진 일본 기시다 총리
[26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5064 162
221713
썸네일
[야갤] 김어준에게 절하는 민주당 국회의원 후보들 ㄹㅇ
[546]
ㅇㅇ(45.128) 04.08 26702 989
221711
썸네일
[해갤] ●●어메이징 터키컵 결승전 근황●●
[34]
ㅇㅇ(122.38) 04.08 10313 15
221710
썸네일
[남갤] 한국 찐따남 컨셉인 SNL5 새 캐릭터.jpg
[512]
띤갤러(45.84) 04.08 44807 208
221709
썸네일
[프갤] 할매..도둑질..아이탬전..ㄹㅇ
[289]
두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5513 171
221706
썸네일
[대갤] 日게임센터 도산 급증... 8000여개 점포 폐업!
[363]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5046 143
221705
썸네일
[기갤] 조카가 볼때마다 돈 달래서 안줬더니 사과요구 받은 판녀
[278]
긷갤러(146.70) 04.08 30202 153
22170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슬롯머신에 중독되는 이유
[207]
레이퀀스뱅큐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31641 167
221702
썸네일
[무갤] 오늘도 Uri나라식 애국적 판결로 애국심 채우고 가자
[175]
가성비삼각김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3210 308
221699
썸네일
[싱갤] 초장문) 싱글벙글 국회의원 토론회 마이너리그 내용 정리
[147]
페르난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0129 173
221698
썸네일
[한화] 구로다 히로키와 제이크 비교....jpg
[189]
ㅇㅇ(119.69) 04.08 21139 526
221697
썸네일
[과빵] [금주의 신상] 4월 1주차 신제품 먹거리 모음.jpg.
[90]
dd(182.213) 04.08 13961 67
221695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음주운전만큼 심각한거.jpg
[661]
ㅇㅇ(27.35) 04.08 46705 366
221694
썸네일
[대갤] 日자위대 부대, SNS에 침략전쟁 미화 금기어 '대동아전쟁' 사용
[296]
대갤러(104.254) 04.08 14398 69
221691
썸네일
[치갤] 다시보는 침착맨 버거킹 일침
[79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40396 316
221690
썸네일
[카연] 조리병으로 살아남기 12화 모든게 얼어붙는 혹한기 KCTC
[68]
윤유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0139 76
22168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지형으로 보는 세계지도
[285]
설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2556 178
221687
썸네일
[디갤] 밤 새가면서 열심히 찍었던 일본의 벚꽃 풍경들
[71]
힛후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8531 120
22168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현재 미국에서 제2의 존윅이라고 난리난 영화
[297]
ㅇㅇ(124.56) 04.08 30837 94
221685
썸네일
[야갤] 후배 때려놓고 SNS 자랑…등교 정지 처분받고 가족여행
[340]
야갤러(211.234) 04.08 24310 120
22168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동유럽의 전설적인 가수를 아라보자
[133]
고노무통현대전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5628 117
221682
썸네일
[야갤] 도심에 난데없는 폭포…고층 건물서 물벼락.jpg
[14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1422 33
221681
썸네일
[F갤] 인천 그랑프리 기대 안되는 개인적인 이유
[118]
잔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1108 40
221677
썸네일
[야갤] '가전은 LG' 공식 깬다? 삼성 • LG의 신기술 혈투.jpg
[40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1985 80
22167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집주인이 황당해서 뉴스 제보한 미국 택배도둑.gif
[186]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3821 101
221674
썸네일
[한갤] 요즘 서울대학교 근황 ㄹㅇ;;...jpg
[845]
ㅇㅇ(39.7) 04.08 66934 769
221673
썸네일
[이갤] KAIST, 한우 똥에서 탄소 먹는 세균 발견했다
[30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0902 148
221671
썸네일
[코갤] 사고 전기차 수습하던 중, 감전 사고
[185]
넷플릭스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5938 96
221670
썸네일
[야갤] 한동훈 "일하는 척하지 않겠다".MP4
[647]
ㅇㅇ(212.103) 04.08 19220 579
22166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법률, 의료 등 전문가 영역에도 발 뻗는 AI
[135]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3220 62
221666
썸네일
[의갤] 스누라이프 펌) 의사 면허의 의미
[360]
의갤러(112.214) 04.08 21255 555
221665
썸네일
[만갤] 블아 애니메이션 하이라이트 모음집...gif
[527]
ㅇㅇ(222.236) 04.08 32730 356
221663
썸네일
[싱갤] 분노분노 김활란 마지막 제자의 증언
[298]
ㅇㅇ(175.196) 04.08 21881 267
221662
썸네일
[무갤] 공포영화보다 무섭다는 요즘 전업 아내들.jpg
[84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39555 943
221661
썸네일
[M갤] 이정후의 담백한 수비모음.webp
[126]
ㅇㅇ(123.214) 04.08 11007 87
221659
썸네일
[국갤] [MBC노조 성명] 복면가왕으로 또 거짓선동한다!!
[14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4385 274
221658
썸네일
[치갤] 로스트아크 넷카마 사건 ㄷㄷㄷㄷ
[391]
ㅇㅇ(220.80) 04.08 47972 423
22165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월세가 너무 비싸요 ㅠㅠ
[318]
ㅇㅇ(61.255) 04.08 36172 193
221655
썸네일
[미갤] 수건에 유통기한이 있냐는걸로 논란중인 것..jpg
[61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31134 67
221653
썸네일
[싱갤] 중국인들이 자부심을 느끼는 것....jpg
[447]
ㅇㅇ(59.24) 04.08 32445 17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