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성글) 히틀러는 어떻게 정권을 장악했나 -1-앱에서 작성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17 21:25:02
조회 18312 추천 78 댓글 162

7fe9f575c0f760f523e785e0409c706a1f31f1ee425989df34b8d52468575be4d41c587b6c6980de4fc2478f153d5d7e8fcce431

아돌프 히틀러 하면 대중적인 이미지는 ‘민주주의의 결함’, ‘민주적으로 선출된 독재자’라는 것이다.

지금도 한국의 여러 TV 교양 프로그램에선 이런 시각을 가지고 대중들에게 이 사실을 전파하며, 그 이전 바이마르 공화국의 복잡한 정치 상황은 도외시 한다.

히틀러 같은 독재자는 우리가 과연 그런 자들에게 표를 던지지 않기만 하면 절대 탄생할 리 없는 ‘민주주의의 이단아’일까?

이 글은 실제 독일에서 바이마르 공화국의 역사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한 유튜버 "함께하는 세계사"님의 영상을 보고 제작되었다.

7ae48402b5876ef123e783e3359c70687c4a31cbbbc856a6e88b79d709ddceb9e82e59c3c579095ccf2d31ec479fb1cd6f1a7976

1918년, 독일제국의 상황은 최악 그 자체였다. 4년을 이어간 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독일에서 200만 넘는 군인들이 죽었고, 상이군인은 421만 명에 달했다.

군부의 전시경제 체제로 인해 궁핍과 극심한 기아가 독일 전역에 만연했고, 이는 11월 혁명을 촉발시켰다.

11월 혁명으로 인해 독일 전역은 공산 혁명을 외치는 극좌 공산당과 이를 막는다며 날뛰는 퇴역 군인 출신 극우 준군사조직들로 인해 심각한 진통을 겪었다.

이 상황에서 바이마르에 모인 독일의 주요 정치인들이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고 공화국을 선포하며 혁명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우선 히틀러의 등장을 알기 위해서는 당시 바이마르 공화국의 헌법과 정치 체제를 살펴보아야 한다.

7be88302b0f660f723eef4e14e9c701c67a23b7cab9976ee2553f312977d119d6f56ca9f2e1cdbe9dae60271a38c4f592d3886eb

일단 형식상으로 바이마르 헌법은 가장 진보적인 헌법이었다. 20세 이상 모든 성인에게 보통선거권을 부여했으며, 공화국이지만 비상사태를 제외하고 의회에 더 많은 권한이 있는, 이원집정부제~의원내각제 쯤 되는 국가였다.

우선 행정부의 수장은 국민 직선으로 선출된 대통령으로 임기 7년에 중임이 가능했다. 대통령은 총리를 임명하고, 총리가 추천한 후보들 중에서 장관을 임명하여 내각을 구성하였다. 또한 의회해산권도 가지고 있어서 의회 해산 이후 6개월 이내에 재선거를 실시할 수 있었다.

입법부는 국민 직선으로 선출되는 하원과 주의회에서 선출하는 상원이 있었는데, 하원의 경우 의원의 임기는 4년이었고 내각불신임을 결의할 수 있었다.

행정부와 입법부의 관계 속에서 향후 가장 중요하게 작용했던 게 헌법 제48조였다. 이 조항에선 대통령이 ‘국가 비상사태’시 긴급명령을 통해 의회를 무시하고 통치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74ec8773c4876b83239d87e5339c706f063b09b068073d2db60dd928a1d60f9602dc4b3993a9f2c72c767441cda18852aa52af14

물론 바이마르 헌법을 처음 만든 사람들의 의도는 이 사람처럼 긴급조치를 남발하며 통치하라는 게 아니었을 것이다. 실제로 헌법에는 대통령 긴급명령 남발을 걱정했는지 의회 과반수가 이를 승인하지 않으면 그 즉시 효력을 잃는다고 적어두었다.

행정부-입법부 다음으론 사법부가 있었는데, 당시 바이마르 공화국 사법부는 매우 보수적이고 엘리트주의적인 법관들이 장악하고 있었다. 실제 이들은 1923년 히틀러의 뮌헨 폭동에 대해 판결하며 ‘히틀러의 동기가 애국심이니까’라는 황당한 이유로 징역 5년만 선고했다.[당시 형법상 내란죄는 최소 징역 10년이고, 히틀러는 그마저 9개월만에 가석방된다.]

이렇게 정치체제를 들여다보고 나면, 히틀러가 정권을 잡는 것에 두 가지 방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1. 대통령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기.

2. 나치당이 하원에서 단독 과반, 혹은 연립하여 과반 차지.

그러나 히틀러는 두 개 다 실패했다. 1932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전직 육군 원수였던 전쟁영웅 파울 폰 힌덴부르크에게 패했고, 총선에서도 과반 확보에 매번 실패했다. 다른 정당들이 극단적인 주장만 일삼는 나치와 연정할 생각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0bea8203b6f11d8323e7f3ed419c7065c80b6372dcf6c4b10b8853838e69fbbeea749c0e57b2d10a445bf09da4fdcfad4964e8db

히틀러가 정권을 잡는 과정을 이해할 때 필수적으로 짚고 넘어가야 할 인간이 바로 사진 속 인물, 파울 폰 힌덴부르크다.

힌덴부르크는 1차 대전 당시 열세였던 동부전선의 타넨베르크 전투를 승리로 이끈 전쟁영웅으로, 이때의 명성에 기반해 대전 후반기 독일의 군부 독재자로 떠올랐다. 독일이 전쟁에서 패배한 뒤에도 명성은 대단해서 공화국 출범 이후 지속적으로 우익 세력이 대통령으로 모셔가려 했던 인물이었다.

그러나 그는 전형적인 19세기 프로이센 군인으로 군주에 대한 충성과 극심한 보수성 말고는 딱히 공화국과 어울리지 않았다.

계속 출마를 고사하던 힌덴부르크는 보수 정당들의 거듭된 요구에 1925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 대통령으로 당선된다. 초반 임기는 꽤 성공적으로 수행했지만 이내 대폭풍이 바이마르 공화국을 덮치게 된다.

7f9ff100c4f31bf6239c84ec419c701814ce7f6cf526ca725d7f61d7880d2c4f19b576dc5985d61abb70b6df3bb1d57f0908ad55

대공황이 독일에 닥쳐오자 힌덴부르크는 그 책임을 물어 연립내각을 이끌던 사민당 출신 총리 헤르만 뮐러를 경질하고 의회와 사전 협의 없이 중도 우익 정당인 중앙당 출신 하인리히 브뤼닝을 임명한다.

내각 구성에 의회가 동의한 적이 없었으므로 브뤼닝의 입지는 위태로웠다. 그는 결국 힌덴부르크가 가진 무기인 ‘대통령 긴급명령’을 내세워 통치하려 했는데, 이마저도 의회가 번번이 무산시켰다.

힌덴부르크는 화가 난 나머지 의회를 해산시키는 강수를 두게 된다. 국가 비상사태시에 최소한으로만 쓰라고 부여된 긴급명령권을 남발하고, 경제 위기 속에서 의회를 무책임하게 해산하는 태도는 정치 혼란을 폭발시켰다. 이후 갑자기 극좌와 극우 세력이 약진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를 본 중도 좌파 성향의 주류 정당 사회민주당은 ‘행정부를 너무 견제해서 혼란만 가중시킨다! 차라리 그냥 놔두자!’며 의회 차원의 행정부 견제를 포기한다.

7ce58773c6866ef423eff4e7459c701ba8a0ac307a9c836985be093a3c9404328114797a978e1eea3b5d9e3cf50f50c0b73063bc

정치혼란이 방치되자 나치당은 점점 세력을 키워나가 1932년 7월 총선에선 제1당이 된다. 그러나 이는 득표수로 보면 과반에 한참 못미치는 결과였고, 사민당을 포함한 다른 정당들이 나치와 연정을 거부하고 있었다.

게다가 상술했듯 1932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상성이 극악이었던 사민당이 히틀러를 낙선시키기 위해 후보도 내지 않고 힌덴부르크를 지지하면서 히틀러의 대권 도전은 물거품이 된다.

이렇게 되자 나치당의 지지율은 점점 흔들렸다. 실제 당시 뉴욕 타임스는 ‘히틀러의 기회가 사라졌다’고 보도했으며, 1932년 11월에 열린 총선에선 다수당 지위는 지켜냈지만 34석이나 되는 의석을 털리며 위기를 맞이했다.

이런 혼란 속에서 대통령 긴급명령만 남발하던 브뤼닝은 국민의 인기도 잃고, 뒤늦게 실시한 대공황 극복 정책이 기업계로부터 ‘너무 좌파적’이라는 비난을 받자 사임한다.

그리고 공화국의 신임 총리로 프란츠 폰 파펜이 등장한다.

7b9ef205b48760f723ef8e914e9c7069768b7ff49884c757340b62feecd32cc3e359e0bdafd6585a2046c1331caade7ad25e8502

1932년 6월, 힌덴부르크 대통령에 의해 총리로 임명된 프란츠 폰 파펜은 재계의 요구를 수용하여 실업자 복지 대책, 노동자 보호 대책들을 대거 후퇴시켰다. 이는 기업들에겐 만족스러운 결과였지만 국민 대부분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고, 이는 정권 지지율 폭락으로 이어진다.

이 상황에서 파펜은 나치와 연정하여 지지율을 흡수할 목적으로 히틀러에게 내각의 몇 자리를 제안했지만, 히틀러가 ‘총리 아니면 받지 않는다’며 초강수를 두는 바람에 무산된다.

게다가 파펜 총리는 독일 공산당의 주도하에 치러진 내각 불신임안 상정에서 511:42라는 압도적 표차로 불신임을 맞게 된다.

파펜은 의회 해산 후 선거 무기한 중단이라는 쿠테타를 일으키려 했고 평소 공화주의에 관심 없던 힌덴부르크도 이에 동의했으나, 국방장관이었던 쿠르트 폰 슐라이허가 내전이 발생할 수 있다며 반대하자 무산되었다.

군대를 동원할 수 있던 슐라이허가 반대하자 힌덴부르크는 총리직을 슐라이허에게 넘겨준다. 이 일로 파펜과 슐라이허는 권력을 두고 투쟁을 벌이게 된다.

0ce4f305c6f66bf023eb83e4379c706c9b9e75d8d2f4228db233475cb8e733a14c8121e8f99c9a43f5aebf3abd3f1abbbac80287

힌덴부르크의 총애로 인해 개인적인 정치고문 역할을 지속하던 파펜은 슐라이허를 실각시키기 위해(+ 정권을 되찾기 위해) 힌덴부르크에게 히틀러를 총리로 임명할 것을 권유한다.

그런데 의외로 힌덴부르크가 히틀러를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첫째로 힌덴부르크가 전통 보수 우익이라 신흥 세력인 나치를 곱게 보지 않았으며, 둘째로 감히 육군 상병 놈이 육군 원수인 자신과 맞먹으려 한다고 여겼기 때문이었다.

파펜은 힌덴부르크를 설득하기 위해 ‘사실 히틀러는 얼굴마담으로 하고 우리가 그를 통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파펜은 히틀러와 만나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변경하지 않는다’는 약속을 받아내어 재계의 지지를 얻었고, 부총리 자리에 본인이, 그리고 경제정책 전권은 그간 독일 보수세력을 대표해온 국가인민당 소속 후겐베르크에게 쥐어주기로 한다.

슐라이허 총리는 파펜이 자신을 노린다는 걸 알고 있었기에 이를 막기 위해 나름대로 움직였다. 그도 히틀러를 제외하고 나치당 일부 세력과 연합하려 했고, 후겐베르크를 파펜과 떼어놓으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군부에선 슐라이허에게 쿠테타를 일으킬 것을 요구했으나, 슐라이허는 거절하고 총리직에서 사임한다.

그렇게 히틀러는 파펜을 비롯한 보수우익 세력의 야합에 의해 총리로 진출한다.

-2편에서 계속-

- dc official App


출처: 새로운보수당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78

고정닉 31

4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3462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포켓몬 세대별 어려운 체육관 관장을 알아보자.jpg
[254]
sakur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29433 116
234618
썸네일
[카연] 자작, ㅇㅎ) manhwa로 보는 금태양 제우스 신화 1화
[156]
포너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23252 240
234616
썸네일
[S갤] 수신료징수방송국의 알리 테무 영상 재밌군요
[29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21342 176
234614
썸네일
[야갤] 뉴진스 하이브 근황.......jpg
[495]
ㅇㅇ(223.39) 05.27 54053 396
23461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31살에 당뇨, 뇌경색, 시술로 입원한 썰
[585]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40890 289
23460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인류역사상 최고의 부동산 사기꾼
[10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25343 83
234606
썸네일
[디갤] [webp] 오랜만에 사진 가져왔는데 좀 봐줘라...!
[31]
긴꼬리홍양진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8096 18
234605
썸네일
[이갤] 뉴옥의 기사식당을 직접 방문한 유튜버...jpg
[389]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39363 140
234603
썸네일
[바갤] 절벽추락 사고 3년차 후기
[480]
부산대표적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29787 231
23460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독특한 털 무늬를 가진 털바퀴들.jpg
[171]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32610 211
234600
썸네일
[인갤] DEMONICA) TPS로 전환, BIC 데모 제작 및 개발 현황
[46]
한달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8618 46
234599
썸네일
[치갤] 오킹 폭로관련 글 또 올라왔네
[235]
ㅇㅇ(182.161) 05.27 47357 358
234597
썸네일
[이갤] 지방감성이 없는 서울사람들...jpg
[759]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53680 331
23459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미국 3대 버거
[22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36567 243
234594
썸네일
[싱갤] 오싹오싹 할리우드식 양육법 레전드 .....jpg
[262]
ㅇㅇ(125.189) 05.27 35565 164
234593
썸네일
[야갤] 이지메의 나라 개좆본...외국인 차별 근황 ㅗㅜㅑ
[449]
샨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31232 229
234590
썸네일
[일갤] 시코쿠 순회 (4) - 4일차 마쓰야마시
[1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7017 8
23458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10년째 집에서는 똑같은 음식만 먹는다는 파비앙.jpg
[436]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41245 160
234587
썸네일
[이갤] 남자의 성욕이 궁금했던 여의사
[794]
이갤러(185.113) 05.27 72059 415
23458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의외로 진지하게 믿는 사람들이 많은 다이어트
[548]
일리아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53198 303
234584
썸네일
[야갤] 한국과 일본에서만 유명한 학자 ㅋㅋ.jpg
[469]
ㅇㅇ(45.92) 05.27 37983 246
234582
썸네일
[점갤] 긴급속보) 산사태로 2000명 이상 매몰(상보)
[268]
ㅇㅇ(118.235) 05.27 35309 92
234581
썸네일
[싱갤] 안싱글벙글 대한민국 남성 성기의 값어치
[39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59635 475
234579
썸네일
[탈갤] 소개팅 첫만남에서 각자 비밀공개하기..
[424]
ㅇㅇ(45.92) 05.27 38959 318
23457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본의 대형 그림 커뮤니티 사이트 근황
[299]
ㅇㅇ(220.83) 05.27 31494 70
234575
썸네일
[미갤] ”자식같던 김호중에 피소“ … 팬덤 공격에 식당 폐업까지
[185]
밑갤러(195.146) 05.27 25643 239
234573
썸네일
[육갤] 실탄 25발 든 탄창을 잃어버린 신임 소위.jpg
[410]
ㅇㅇ(139.28) 05.27 31233 69
234572
썸네일
[새갤] [채널A] [국제] 일상된 마약에 다시 강해지는 규제
[166]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15544 86
234570
썸네일
[싱갤] 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 길거리 음식 탐방기
[170]
산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17983 77
234569
썸네일
[이갤] 일본에 투명한 음료수가 많은이유...jpg
[773]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49231 435
234567
썸네일
[기갤] 엄마에게 접근해서 돈 빌려가고 모두 카지노에 탕진한 탤런트
[171]
ㅇㅇ(185.144) 05.27 24841 118
234566
썸네일
[싱갤] 일본여행가서 삥뜯기고 쳐맞는 한국 헬창
[25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42306 195
234565
썸네일
[디갤] 톤 앤 매너 따윈 개나 줘버린 사진들 (14 pics)
[33]
뜬구름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12840 36
23456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요즘 성범죄로 분류된다는 행동
[49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46035 129
234562
썸네일
[L갤] 훌쩍훌쩍 시작전부터 난장판인 부산대 축제...jpg
[2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24768 148
234561
썸네일
[싱갤] 군면제인데 군대 간 이유.jpg
[418]
섬마을대머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61612 717
234558
썸네일
[해갤] 이강인 파리 현재 상황 떴네ㅋㅋㅋㅋㅋㅋㅋ
[260]
ㅇㅇ(175.223) 05.27 31756 316
234557
썸네일
[싱갤] 미신 안믿는다는 사람들도 꼭 지키는거
[441]
ㅇㅇ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40352 81
234555
썸네일
[이갤] 연예계에 흔했다는 음료테러사건...jpg
[247]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31552 192
234554
썸네일
[주갤] 지하철몰카 허위신고당해서 나락간 공무원
[483]
ㅇㅇ(211.234) 05.27 31398 687
234553
썸네일
[싱갤] 일본이 점점 태국처럼 되어간다고 한탄하는 어느 일본인
[71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37104 330
234551
썸네일
[의갤] 尹, 의사 중심 의료체계 바꾼다.. 새로 도입될 직종은?
[474]
테이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20968 278
23455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꿀벅지 유이 근황
[36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62806 128
234549
썸네일
[야갤] 목숨 걸고 타야하는 택시....jpg
[29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26655 159
234547
썸네일
[국갤] [단독]사망 훈련병, 완전군장 메고 달리기 했다... 훈련규정 위반의혹
[1512]
ㅇㅇ(106.102) 05.27 33823 414
234546
썸네일
[걸갤] 박진영이 하이브처럼 다른 회사를 인수하지 않는 이유래
[306]
ㅇㅇ(5.252) 05.27 25882 257
234543
썸네일
[새갤] [채널A] 김진표 의장 “연금개혁이 채 상병 특검보다 중요”
[134]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11102 46
23454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요즘 신축 오피스텔 근황
[31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40780 439
234541
썸네일
[A갤] 해피일본뉴스 131 (하닉도 일뽕이라니 ㄷㄷ)
[168]
더Inform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8075 80
234539
썸네일
[로갤] 30대 아저씨가 림버스 하는 만화 - 13화 (3장편)
[42]
라아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9682 8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