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위험보고 끝내 묵살.. 비극의 현장 '녹취' 나왔다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8 11:20:02
조회 20462 추천 129 댓글 345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53f7b6c66b055b00a71439cf55314fd8835305f841df8908c58a8c7798b911d

순직한 채 상병이 물에 휩쓸리기 하루 전 현장에 있던 지휘관들이 "지금 수색은 위험하다, 하면 안 된다"는 대화를 했던 녹취가 추가 공개됐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부로부터 전해진 말은 '정상적으로 수색하라'‥그리고 임성근 사단장이 현장에 간다는 거였습니다.

집중호우로 수색이 이뤄지기 어려운 데도, 누가, 왜, 정상적으로 수색하란 지시를 내린 걸까요.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53e7b6860b055b00a71439cf553ffe0f01290fc2d13a743472db74f2c63e8d5

사고 전날인 작년 7월 18일 아침.

수변으로 내려가 수색하란 지시에 채 상병의 소속 포7대대장이 너무 위험해 절대 안 된다고 선임인 포11대대장에게 하소연합니다.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53e7b6b62b055b00a71439cf553d7c22a39e10eebc4e84a87fdf81706c9178f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53e7b6a60b055b00a71439cf5530010fae47c1ae5f498845b284ebe3c633116

포7대대장은 폭우로 수색작업이 불가능하다며 계속해서 호소합니다.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53e7b6d66b055b00a71439cf55362bca0e1897834eb8459532be525db36ad2c

그런데도 그대로 수색하란 지시가 내려왔습니다.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53e7b6d6fb055b00a71439cf553b87a100cd4f89f078ad0ce5766cc2da92169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53d7b6a77e345a11d714881ee54951498a58df62c01ba16019b1ac235ba39

사단장의 지시라 어쩔 수 없다는 것.

7여단장도 사단장 지시 때문에 철수할 수 없다고 난감함을 드러냅니다.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53d7b6867b055b00a71439cf5531e9163920ef0d3ed352f76c56c89a2c38e22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53d7b686eb055b00a71439cf553877cac5d975844b872f997b7e798e3383c95

사고 당일인 다음날 7월 19일 아침.

7여단장은 임성근 사단장이 전날에 이어 다시 현장을 찾는다며 어느 부대를 보여줘야 할지 묻습니다.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53d7b6b61b055b00a71439cf553467182d0781582c985bffd34635ded440011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53d7b6a6fb055b00a71439cf553137cf633ed1789659ca7b4b245de71e3fba4

물속에서 수색 중인 장면을 사단장에게 반드시 보여줘야 한다는 말로 들립니다.

실제로 바로 전날 작전지도에서 임 사단장은 빨리 현장에 들어가지 않는다고 질책했습니다.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53d7b6c65b055b00a71439cf55389fe13ec2ff27a78ca056b61895a9d1e97ee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53d7b6c62b055b00a71439cf5531f2a23562eae9875052bcdbafaebe8afbe1e

그리고 약 1시간 후, 채 상병은 물살에 휩쓸려 떠내려갔습니다.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53c7b6977e345a11d714881ee54609f3e609fb2cbf8a618399d37bc10cfa9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53c7b6177e345a11d714881ee549a4242497772420aedc05648b4b4ad674f

임성근 사단장도 채 상병이 물에 빠졌단 보고를 받았습니다.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53c7b6861b055b00a71439cf55387b14e40bdaacaa5bb4058e09616ea5f4328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53c7b6b66b055b00a71439cf553dab68eb3f0f76134dceda56d2b2fca26dfa8

채 상병이 실종되고 3시간 뒤, 임 사단장은 이런 걱정을 합니다.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53c7b6b64b055b00a71439cf553c0bf7d3007f90baace312c0f17fe410ca5d2

https://n.news.naver.com/article/214/0001351168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4397b6c63b055b00a71439cf55313d18838a12b66fa55cdc17fe59ce74e374d

◀ 앵커 ▶

공수처 수사로 'VIP 격노설'을 뒷받침하는 진술과 물증이 속속 드러나고 있는 가운데, 여권 일부에서는 "대통령이 격노했다고 무슨 그게 수사 대상이냐", "대통령이 문제가 있다고 격노하면 안 되냐" 같은 말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게 법적으로는 어떤 쟁점이 있는지 법조팀의 이준희 기자와 한번 짚어보겠습니다.

이 기자, 여권에서도 대통령의 격노 자체는 일부 인정하는 분위기도 있는 것 같은데, 사실 그게 핵심은 아니잖아요?

◀ 기자 ▶

'VIP 격노설'이라는 말이 나오면서 '격노'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지만, 핵심은 '격노'했느냐 안 했느냐가 아니라 '외압'이 있었느냐, 아니냐입니다.

어떤 말투로 외압을 행사했는지는 중요한 게 아니라는 거죠.

한 검사장 출신 변호사는 "대통령이 화를 낸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화를 내면서 한 말, 결국 지시사항이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고검장 출신 한 변호사는 "혐의자를 빼라든지, 기록을 회수하라든지 이런 구체적인 지시가 있었는지가 직권 남용 성립 여부를 판가름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4387b6a60b055b00a71439cf55302c501e3d9f2e743ba278742f562fb210c40

◀ 앵커 ▶

그렇죠, 핵심은 외압 여부다.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이 열쇠를 쥐고 있는 것 같은데 지난해 7월 31일에 예정되어 있던 언론 브리핑, 수사 결과 언론 브리핑이죠.

이걸 갑자기 취소하라고 지시한 장본인이잖아요.

◀ 기자 ▶

이 전 장관은 최근 공수처에 "대통령의 격노를 접한 적 없다, 대통령은 물론 그 누구도 사단장 빼라고 한 적 없다"는 의견서를 제출했습니다.

지난해 국회에 나와서는, "7월 31일, 이 건과 관련해 대통령과 통화한 적 없다"고도 했는데요.

그런데 브리핑 취소 지시 직전, 대통령실의 유선전화 한 통을 받은 것으로 공수처 수사에서 확인됐습니다.

누구와 어떤 내용의 통화를 했는지, 앞으로 수사가 밝혀내야 할 부분입니다.

a14134ab122ab375ba350575565ac5c04ec337a8e25a2613343e731e9349e1e526f2e02b1e04c580a7e2e743a80c2571923aaedf08466cf20ef50c8ccdbc88236bafb2a8db81df11f735d91a23e43cf8c683a1c3527caf586c1aa9d79d9e4df9c4efbe7c0434c63e470dced527f243567f5b343f7b686fb055b00a71439cf5539375d682ce7c64b49168f80419aec066b17b

◀ 앵커 ▶

그러면 결국은 수사가 대통령실을 향할 것 같은데, 곧 이종섭 전 장관 통화 기록이 공개될 것 같다고요?

◀ 기자 ▶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측은 윗선 개입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관련 인사들의 통신 기록 조회를 요청했는데, 군사법원이 일부 수용했습니다.

군사법원이 작년 7월 28일부터 8월 9일 사이 이종섭 전 장관과 박진희 전 국방부 군사보좌관의 전화통화와 문자메시지 기록 조회를 각 통신사에 요청했는데요.

KT 자료는 이미 법원에 도착했고요.

나머지 통신사 자료도 곧 도착할 것으로 보입니다.

KT 통신 기록에는 유선전화 통화 내역도 포함되는 만큼, 이 전 장관이 통화한 '가입자명 대통령실' 전화의 실체가 드러날지도 관심이 쏠립니다.

◀ 앵커 ▶

이종섭 전 장관의 통화 내역이라, 통화 기록의 윗선 개입 의혹에 추가 정황이 있을 수 있겠군요.

https://n.news.naver.com/article/214/0001351171


[단독] 용산 국가안보실과 16번 통화한 김계환..보고부터 회수까지 나흘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672445f30cfef00dca837b20feee44a64d102affdaa465ae82fa053286e

채상병 사건 관련해 저희가 단독 취재한 내용으로 이어갑니다. 'VIP 격노'를 언급하는 통화 녹취가 발견된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의 휴대전화 통화 기록을 JTBC가 집중 분석했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6724f4f63dffe17dc75e84295224313fe27fcbed17cc5fae21628e211ccd3

이종섭 당시 장관에게 채상병 사건을 보고한 날부터, 경찰로 넘어간 사건을 군검찰이 다시 가져온 날까지 총 나흘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군 관계자와 최소 124차례 통화한 걸로 확인됐습니다. 특히 그중 16건이 대통령실 측과의 통화였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6724e4a63dffe17dce53d2099987f95851aba28428e23c379996837947d41

김계환 해병대사령관은 국회에서 채 상병 순직 사건 국면에서 안보실과 딱 한 번 통화했다고 했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672494e63dffe17dc6047107c671c2c1dbccbc9b0d3ca6a19deaa129a9731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772455f30cfef00dc081008740993dba7b39fdb6b0e7bccacbb2533c369

하지만 JTBC가 군검찰이 확보한 김 사령관의 통화 기록을 분석한 결과는 전혀 달랐습니다.

김 사령관은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채 상병 순직 사건을 보고한 지난해 7월 30일 오후 4시 30분부터, 경찰로 넘어간 사건을 군검찰이 회수해온 8월 2일 밤 10시 40분까지 나흘간 국가안보실, 국방부, 해병대 관계자와 최소 124차례 통화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7724f4a63dffe17dc9eff6cde3ae34722485cbe0d38ad0eaffe692ca9194a

특히 임종득 당시 국가안보실 2차장과 3번, 임기훈 당시 국방비서관과 4번, 김모 당시 안보실 행정관과 9번 등 안보실과 통화만 16번 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7724e4963dffe17dcfd2f87f986e62782846db3bfa048bdd0d034982be279

특히 임 전 비서관과는 이 전 장관에게 사건을 보고한 직후와, 박정훈 전 해병대수사단장이 김 사령관에게 'VIP 격노'를 들었다고 주장하는 그 바로 전 시간에도 통화했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772494c63dffe17dc31599ca2619f636fc4d784b3a887807d2a545621c912

임 전 차장은 박 전 단장이 사건을 경찰로 넘긴 직후부터 김 사령관과 3번 통화했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772484d63dffe17dceeed0de16ad038fbe26add1253276d11dfecc8e38962

결정적 순간에 안보실과 통화가 이뤄진 건 물론이고 채 상병 순직 사건이 이 전 장관에게 보고된 직후부터 사건을 회수해올 때까지 안보실이 모든 상황을 챙겼던 걸로 보입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394724c5f30cfef00dcd4b4634c7ffd6dee6eef88c84fb903137a46c2fe29

김 사령관은 같은 기간 이 전 장관과 보좌관을 포함해 국방부와도 25번 통화했습니다.

공수처가 김 사령관의 휴대전화에서 'VIP 격노' 관련 통화 녹취를 찾아낸 가운데, 김 사령관의 휴대전화에서 안보실과 국방부의 통화 녹취 등 결정적 증거물이 더 나올 수 있는 상황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94505


[JTBC] "채상병 특검법 찬성표 던지겠다"…국민의힘 5번째 '이탈표'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a8b6e445f30cfef00dc41d052845cfe4d060e9616be8915f3bdb53d8839c9

내일(28일) 국회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채상병 특검법의 재표결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 또 국민의힘에서 찬성표 던지겠다는 5번째 의원이 나왔습니다. 낙선·낙천자 50여 명 중 추가로 또 이탈표가 나올까 국민의힘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a8b6c4f5f30cfef00dc8be2282bf7e79734365a74a8ee7bf8ff64bd416911

내일로 예정된 채상병 특검법 재표결에서 국민의힘에서 찬성표를 던지겠다고 밝힌 의원이 2명 더 늘었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a8b6c455f30cfef00dcd5818add9be9b3ee0515131aa28df1cd0bea4acd9e

김웅, 안철수, 유의동 의원에 이어 주말새 최재형 의원과 오늘 김근태 의원까지 찬성 입장을 표명한 겁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a8b6b495f30cfef00dc3ff0905c28e387f020f70ee41fcc2dc8d3dfb13624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a8b6a4c5f30cfef00dcaa5c7d0ad7b059110a5cac7481307225427848e533

김근태 의원은 JTBC에 "우리가 여당이 될 수 있었던 공정과 상식이라는 기준에 입각해 판단했을 때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판단을 내려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장기적으로 그것이 우리가 가야 할 방향"이라고 말했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a8b6a445f30cfef00dcce9bc75494519f2eb3e073cf7e384031ffd0d7a6d5

1990년생인 김 의원은 올 2월 권은희 전 의원이 탈당하면서 비례대표 의원직을 승계받았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b8b6e4c5f30cfef00dc6429663f39dd83ba14444009fed378b11746b002fd

공개적으로 찬성 입장을 표한 5명 중, 안철수 의원을 제외하면 모두 이번 총선 낙선, 낙천자들입니다.

낙선, 낙천자 50여명 중 이탈표가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실제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 겁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b8b6e4b5f30cfef00dc608d1a865571ca30219a170454d5c3cd852d50d29c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b8b6c4f5f30cfef00dc0e2e1d6e15e8d80f9c12e982d3adda223bc016a2a9

재표결이 가까워질 수록 찬성표가 늘면서 국민의힘은 비상에 걸렸습니다.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가장 많은 의원이 출석해 부결표를 던지는 것이 법안을 막을 유일한 방법"이라고 말했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321022b06350b10adefc6acbb8e2955f8d5c7e76f88409232b6682a04249f81c3e65ffe1aaf8e0081b1ce1d46f164445581abf23117a53a341f08214b8b6b4b5f30cfef00dc5461957ecde00bde5963406415c81e29ea685676e2

재표결은 재적 의원의 과반이 출석하고, 출석한 의원의 3분의 2 이상 찬성하면 가결되는데 국민의힘이 불참하면 야당 의원들만으로도 법안 통과가 가능한 상황입니다.

다만 여당 의원 113명 전체가 참석한다고 해도 이탈표가 17개 이상 나오면 가결됩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94504


[채널A] 대통령 격노가 죄?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370e9e8f785cfdf8e1cda54a68c899724019c00fb2b6e6a3fdd1405d49c57

Q. 윤석열 대통령 보이는데요. 채 상병 사망사건 관련해서 의혹이 나온 격노설 얘기인가봐요?

네, 격노가 죄인지를 두고 여야가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데요.

채 상병 사망 사건 수사과정에 대통령이 격노한게 수사에 영향을 미쳤느냐가 핵심입니다.

민주당, 격노 자체가 죄라고 보고 있습니다.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370eae4f785cfdf8e1cdad2459964f0e03a590f6cdf892a8c33395183398c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370ebe9f785cfdf8e1cda27ddfafbf3ba3ab1e9960cd3bf6729cabcc8fdb7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370ecedf785cfdf8e1cda9f97e58871841f3c93940234cb6429f9f8be3e7b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370ede5f785cfdf8e1cda74413305f4abe8ebfaa2c3f35f08f17805e859bf

Q. 격노한 것 자체가 외압이다 이런거군요. 국민의힘은요?

격노했다고 죄는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성일종 국민의힘 사무총장, "격노한 게 죄인가. 군통수권자로서 당연히 할 수 있는 이야기" 라고 주장했습니다.

또 대통령의 격노가 본질이 아니라는 반박도 나왔습니다.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270e1fda495dec88e17c7c24dd7beeec61883ff224c8e6fa3a651c55cb0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270e9eaf785cfdf8e1cda3a195a99ceaacc0bcf9ac2a8196f415e42a974f4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270eaebf785cfdf8e1cdac96554b085ca699c569eafa8e083ad51fba621d8

Q. 여야 의견이 완전히 다른데 그래서 죄에요 아니에요?

1691f910c0ef782d876b5a5fd2f06402ec8a13590d6662ad72bdd02bc0ca71e78c8284903793996b67d26a3145f72bd5651079124833030bc271678c5652384203a375feb579f1f41aa47902df02862ab28e34adf98b3c03ff535d82a204ccc3dcd0c4f4c15014ee9c7c27a4e1ef92991afd3ca52c9c2ab26e17f8c4f20038ea470ca63d4ca270ebeef785cfdf8e1cda738b77a9cf70e6914f344e630160b7babfe95233

일단 법조계에선 대통령 격노를 확인하더라도, 그것만으로는 직권남용죄 적용은 어렵다는 의견이 우세한데요.

격노한 뒤에 구체적인 지시를 했는지 여부가 확인되어야 한다는 겁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49/0000276015



출처: 새로운보수당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129

고정닉 45

51

원본 첨부파일 21본문 이미지 다운로드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3947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본 주차 단속
[342]
su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30033 292
239473
썸네일
[M갤] 성공한 선수들의 공통점
[201]
T.Lincecu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36024 448
239469
썸네일
[싱갤] 스압스압 깔끔한 유희왕 엔딩
[399]
아싸아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35316 439
239467
썸네일
[카연] 여성징병제 시행 만화 05
[151]
.(194.230) 06.14 26855 177
239465
썸네일
[중갤] 드래곤볼 스파킹 시리즈에 대해 알아보자
[122]
ㅇㅇ(118.40) 06.14 18868 83
239463
썸네일
[야갤] 의대증원... 한국의사들의 망언/막말 <중간결산>.jpg
[885]
야갤러(175.198) 06.14 74182 1006
239461
썸네일
[싱갤] 향긋향긋 영국 홍차의 발전 속의 성갈등?
[202]
수저세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3438 95
239459
썸네일
[미갤] 가발 체험하러 간 유희관 ㅋㅋㅋㅋㅋㅋㅋㅋ
[198]
ㅇㅇ(45.128) 06.14 31355 234
239457
썸네일
[타갤] 알리테무 망함 ㅋㅋ
[573]
실패작소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71629 218
239453
썸네일
[야갤] '마피' 1.3억에 매물 줄줄이, 상황 심각한 광주 아파트.jpg
[36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8628 99
239451
썸네일
[나갤] 연고대 카르텔 앞에 사람취급도 못받고 쫒겨난 인하대
[351]
나갤러(173.244) 06.14 42317 259
23944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LA폭동 흑인들이 한인들을 공격한 이유
[56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31344 296
239445
썸네일
[기갤] 5성급 호텔 직원이 밤에 샤워 중에 마스터키로 문 따고 들어았다는 판녀
[534]
긷갤러(149.88) 06.14 49113 311
239443
썸네일
[대갤] 日 변태 피아니스트, 기내에서 승무원 에이프런 수십장 훔치다 체포
[382]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50945 334
239441
썸네일
[싱갤] 오싹오싹 1930년대 미국의 흑인차별 수준
[356]
ㅇㅇ(211.202) 06.14 27992 262
239440
썸네일
[야갤] 강원도가 2천억 갚아줬더니, 레고랜드 320억 '또 대출'.jpg
[54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40814 216
239438
썸네일
[러갤] 유럽연합, 중국차에 21% 추가 관세...JPG
[385]
러갤러(110.14) 06.14 39337 272
239437
썸네일
[냥갤] 니들은 이런 딸 키울 수 있냐?
[881]
ㅇㅇ(118.235) 06.14 54958 713
239435
썸네일
[카연] 뇌 100% 사용하는 여고생 만화
[24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33328 473
23943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인싸싱붕이들이 쉴드치는 캔돈 근황
[228]
ㅇㅇ(220.77) 06.14 27473 133
239431
썸네일
[대갤] 中대기업, 러시아에 수백억 구리 주문했는데 증발... 국제 사기 당해
[294]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7315 260
239429
썸네일
[야갤] 야구방망이 들고 "덤벼", 엘베 앞 난동 20대 검거.jpg
[24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9378 112
239425
썸네일
[싱갤] 한국 천만영화를 작품성으로 평가한 순위
[590]
Patronu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38250 275
239423
썸네일
[A갤] 일본 산악인 100명이 뽑은, 일본 명산 Top 10
[179]
이즈리얼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8674 63
239421
썸네일
[야갤] 따릉이, 하천에 수십대 버린 용의자, CCTV에 포착.jpg
[39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5924 142
239419
썸네일
[유갤] 강인경이 받는 소중한 사진들이 부러운 심형탁
[268]
ㅇㅇ(185.206) 06.14 36124 375
23941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밀양 근황.JPG
[639]
Secretp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42766 503
239415
썸네일
[야갤] "아! 이 사람들이었구나", 무료체험단 정체에 '띵'.jpg
[30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30492 216
239414
썸네일
[이갤] 일본 남자에대해 평가하는 외국인...jpg
[456]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34156 256
239411
썸네일
[야갤] 여름에 에어컨 안튼다는 김종국
[650]
ㅇㅇ(85.203) 06.14 36086 126
239409
썸네일
[부갤] IMF 권고까지 무시한 K-통계, 과연 믿을 수 있을까?
[290]
나스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4159 267
239408
썸네일
[갤갤] 목업 보니까 폴드6 괜찮게 나올 듯
[341]
SundayMov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7369 170
239406
썸네일
[의갤] 아동병원 "휴진 불참" 선언에... 의협회장 공개 비난
[307]
ㅇㅇ(45.84) 06.14 24712 290
239402
썸네일
[리갤] '베트남 한국 여성 살인' 전직 프로게이머 L씨, 마약까지 검출
[270]
ㅇㅇ(106.101) 06.14 27278 97
23940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조선은 노예제 사회였는가?.jpg
[1885]
ㅇㅇ(110.12) 06.14 27600 110
239399
썸네일
[야갤] "이제와 조현병 운운, 엄벌", 교제살인 피해자 언니의 분노.jpg
[16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4021 51
239397
썸네일
[무갤] (스압)한사능 먹어버린 일녀들
[579]
조선인의안락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35609 514
239396
썸네일
[만갤] 푸른 달이 머무는 탑 - 1화 (지최대 1차 탈락)
[53]
하겐다즈쿠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8259 21
23939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성차별국가 대한민국
[25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31185 430
239392
썸네일
[야갤] "몸 안좋아 보신탕 해먹으려"... 키우던 개 도살한 60대
[1010]
ㅇㅇ(185.114) 06.14 29605 198
239389
썸네일
[이갤] 원가 8만원 짜리를 400만원에 팔아버린 디올...jpg
[518]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40793 323
239388
썸네일
[주갤] (스압) 이혼후 재산분할에 대한 한국여자들의 생각
[344]
주갤러(106.101) 06.14 24079 367
239385
썸네일
[디갤] 아 일본 다시가고싶다
[104]
오태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0797 57
239383
썸네일
[해갤] 발 밟는 반칙은 축구 개인기를 죽이는 불법행위다.gif
[272]
해갤러(182.228) 06.14 22126 280
23938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경북궁에서 출토되었다는 청기와
[23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8197 99
239379
썸네일
[야갤] 푸틴 분통 터질 일, G7이 꺼내든 특단의 조치.jpg
[33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9720 100
239377
썸네일
[기갤] 이서진 집안
[447]
긷갤러(146.70) 06.14 30282 157
23937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분노한 해경...주변 모든 배 추격
[270]
가상현실여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3792 372
239374
썸네일
[야갤] 아이 울음소리만 들린 112 신고, 경찰이 보인 반응.jpg
[12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8200 59
239373
썸네일
[주갤] 요즘 문신 많이 하는데 대기업 사람들은 타투도 거르냐는 블라인.jpg
[1011]
주갤러(85.203) 06.14 47378 56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