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장문) 철권 뉴비들을 위한 펭 웨이 모든 기술 메뉴얼.txt

ㅁㄴㅇ(222.251) 2017.06.06 02:36:26
조회 25898 추천 39 댓글 43
														


viewimage.php?id=2bb4d72ef1d539ab6babd3be1dd42a&no=29bcc427b28a77a16fb3dab004c86b6fb0c4686306b615a58a4da5cf540208603981a5d141703e91a5e1487087555e7e0a59e3ca2fabece9410599606a456120e8



반갑다 뉴비들아
너희들의 고난뿐인 입문길을 조금이나마 편히 해주기 위해 펭 웨이 메뉴얼을 쓴다


사실 퇴근할때까지 시간 때우기 위해 작성할려 한건데 너네들이 늦게 답해서
퇴근하고 집에서 메뉴얼을 쓰게 되었다 개새끼들아 다음부터 뭐 물어보면 째깍째깍 답해라


이 글은(독수리아님ㅎ) 어디까지나 액단에서 허우적거리는 승률 40% 미만의 꿈나무 뉴비들을 위한 글로
펭 웨이란 캐릭터가 어떤 캐릭터인지 감을 잡기 위한 메뉴얼이다


그러므로 발매초기인 현 시점에서 녹단을 찍은 친구들은 본인 플레이에 점검만 하고 가는 글이라 생각하자

본론으로 들어가자면


펭 웨이는 각 기술들의 성능이 좋고 봉인기가 적어서 다양한 플레이를 구사 할 수 있는
전형적인 올라운더 캐릭이자 아스카의 남편이다


즉 앞으로 서술할 기술들의 용도를 잘 분석하여 자기만의 플레이를 만들어 뉴비딱지를 떼고
녹단으로 진입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프랙티스 모드에 나와있는 기술표 순서대로 서술하므로 커맨드는 생략한다

글을 읽다가 모르는 기술이 나온다면 Ctrl + F 를 활용하자


1. 레이지 아츠
- 모든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레아다, 중단이고 막히면 죽는다
  대신 후한 판정을 가지고 있으므로 콤보루트가 단순한 펭에게 딱 어울리는 레아라고 할 수 있다


2. 레이지 드라이브
- 4AP로 나가는 악촌고에 노딜과 슈퍼벽꽝을 부여한 레드 막혀도 펭이 이득이며 맞추면 정말 멀리 날라간다 벽몰이로도 못갈정도로 멀리 날라간다
  만약 상대방이 벽을 등지고 있다면 가드해도 대미지가 5 들어간다 잽의 대미지가 7인것을 숙지하자 딸피때 벽에서 가드시키면 상대가 죽는다 레아 지르는게 무섭다면 레드를 지르는 것도 승리의 열쇠가 될 수 있다


3. 원원
- 원잽 파생기로 나가는 2타가 중단인 기술이다 상대에게 원만 쓰다가 원원을 써보자, 맞는다
  이 기술이 존나 좋은 이유는 2타가 카운터시에 스턴이 걸려서 왼어퍼로 콤보가 된다! 만약 상대가 원잽 막자마자 앉고 기상어퍼를 지른다면 공짜 콤보를 넣을 수 있다는거다
  대신 2타가 막히면 -11이라서 딜캐가 들어온다 그런데 여기서 심리를 걸 수 있는게 펭 웨이의 십단 콤보는 원원으로 시작한다! 그래서 원원투를 쓰던가 원원투투까지 써서 상대가 딜캐를 시도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원원투투를 때려갈수록 후딜이 늘어나니 주의하자, 각각의 후딜은 +1/-11/-13/-14 이다
  또한 2타가 카운터나도 원원투를 쓴다면 콤보가 이행되지 않는다


4. 원투투
- 원잽 파생기로 나가는 상상상 전형적인 딜캐기술이다 그런데 다른 캐릭의 딜캐기술과 달리 이 기술을 쓰고 레버를 뒤로 유지한다면 펭은 뒤를 돌아 뒤자세를 잡는다
  여기서 짠발을 쓸지, 뒤자세 양손을 쓸지, 그대로 다시 돌아서 상대방이 내미는걸 캐치할지 잘 판단해서 가장 아프게 때려주도록 하자
  뒤자세 파생기는 다양하게 있지만 위에 언급한 세 기술이 가장 효율적이다 다른 기술은 느리거나 거리가 적절하지 못해 효율이 좋지 않다


5. 원쓰리
- 원잽 파생기로 나가는 상상 판정을 가진 딜캐 기술이다 원투투에 비해 대미지가 2 낮지만 그만큼 이득이 크다 얼마나 크냐면 상대방이 개기는걸 제기차기나 악촌고로 이기는 정도

  -10 딜캐로 대미지를 선택할지, 이득 프레임을 선택할지 여기서 갈리므로 잘 판단하도록 하자


6. 투포원(삼연횡)
- 이 기술은 투잽으로 나간다 3타는 막히고 -12이고 원투투에 비해 대미지가 8 낮고 원쓰리보다 6 낮다 즉 딜캐로 쓰기에는 부족한데 이를 커버할만한 특징이 있다
  3타를 입력하면서 레버를 뒤로 유지하면 뒤자세가 된다는건데 이때 거리가 원투투보다 좁아서 다른 뒤자세 기술을 맞추기 좋은 거리가 된다!
  막히면 죽지만 만약 맞춘다면 반피까지 깔 수 있는 2LK가 클린히트 할 수도 있다는 것 그러나 실패시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주력기로 쓰기보단 어디까지나 비장의 수로만 간직하자
  참고로 2타와 3타 사이에 딜레이를 줄 수 있어 2타까지 가드시키고 딜레이 3타로 낚아먹기도 가능하다 그러나 막히면 -12 딜캐가 들어옴을 명심하자


7. 공작소퇴(쓰리쓰리포)
- 주로 벽콤으로 쓰이는 기술이다 3타를 쓰고나면 뒤자세로 강제이행되고 만약 3타를 맞췄다면 뒤자세 LK(범파)까지 확정이다
  딜레이를 줄 수 있고 3타 캔슬 뒤자세 이행도 되기때문에 낚시용도로 효과가 있지만 3타가 하단이고 뒤자세는 가불이라 컷킥에 매우 취약하니 조심하자
  나중에 무빙에 숙련된다면 상대방 뒤를 잡고 이 기술을 써보자 범파까지 확정이라 확실한 대미지를 보장한다


8. 양단파(따닥)
- 한때(BR시절) 벽콤 이후 재벽꽝을 시키게 하는 지금 생각하면 말도 안되는 상황을 만들게 해주었던 과거의 기술 1 지금은 바운드도, 재벽꽝도 되지 않아
  펭을 모르는 상대에게나 먹힐만한 봉인기가 되어버렸다


9. 선풍지배각(왼발따닥)
- 콤보마무리로 쓰이며 2타 단독 히트시 뒤자세 2LK 히트와 상황이 유사하다 1타로 바닥을 부술 수 있으며 1타만 쓰고 레버를 뒤로 유지하여 뒤자세로도 이행이 된다
  공작소퇴에서 설명했듯이 막타가 하단이고 뒤자세로 이행이 된다면 낚시로 효과가 있으나 컷킥에 매우 취약함을 명심하자
  콤보마무리때 일부러 늦게 써 1타를 헛치게하고 기상하는 상대에게 2타를 맞춰 더 큰 대미지를 뽑을 수 있으나 리스크가 크다는것 또한 명심


10. 전진락조(오발따닥)
- 방천선퇴나 달님킥 히트시 확정 기술이며 5타 스크류시 선풍지배각도, 용보승운도 닿지 않을때 콤보 마무리로도 쓰인다 스크류 후 마무리로 썼다면 이후 밟을지, 악촌고를 때릴지 이지를 걸 수 있다
  또한 전진성이기 때문에 니가와 하는 상대에게도 어느정도 효과가 있지만 그리 쉽게 먹히진 않는다. 카운터시 밟기가 확정이지만 가드시 거리에 따라 가드 프레임이 다르다! 이득일때도 있지만 대부분 손해이기에 섣부른 판단은 금물


11. 괴주(손패링)
- 상대방의 공격을 받아쳐 잡는 기술을 반격이라 부르면 상대방의 공격을 흘리는걸 패링이라고 부른다 상대방의 공격을 흘리고 역으로 공격한다는 특징은 매력적이지만
  손기술만 패링이 되며 그 타이밍 또한 빡빡하고 막히면 딜캐도 들어온다
  하지만 손패링에 성공만 한다면 666AP로 앞양손 스크류가 되기에 연습만 한다면 일발 역전기가 될수도 있다


12. 백로
- 주로 하단박치기 카운터 이후, 기상하단킥 히트 이후 건져내기 위해 쓰는 하단
  질채나 기판치기, 하단박치기 등등 다른 하단기술에 묻혀 잘 안쓰이는 하단기술이지만 히트시 이득 프레임이 매우 높으므로 이득 프레임을 잘 활용한다면 유용하게 쓰일 기술


13. 입환악촌파(쿵쿵따)
- 한때(BR시절) 벽콤보로 쓰였던 과거의 기술 2, 게임 초기에 막히고 -14였던 시절이 있어서 재활용되나 싶더니 FR오면서 다시 막히고 뜨게 되었다
  벽콤보로 원쓰리-악촌고가 있기 때문에 더더욱 묻혀져버린 기술, 1타 카운터시 전타 확정이니 벽에서 대박을 노려보자
  하지만 벽에서 이런 도박을 할바에 발경장이나 전소퇴로 이지를 거는게 낫다


14. 용보승운
- 펭의 주력 콤보시동기이자 콤보마무리 기술 발동 21프레임에 막히고 뒤지며 1타 보고 2타 쓰는게 불가능하여 프레임 성능 자체는 나쁘게 보이지만 리치가 길다 매우 길다
  헛친거 보고 용보승운을 때리는 습관을 기른다면 매우 강력한 무기가 될 것
  또한 4타 스크류 이후 막타로 용보승운을 넣는 연습을 하자 벽까지 몰아만 간다면 더 큰 대미지를 뽑을 수 있다
  팁으로 밥과 스티브는 용보승운을 막고 못 띄우니 가벼운 마음으로 질러보는 것도 좋다


15~16. 우각(우각중단/우각하단)
- 6RK로 나가는 두개의 파생기술 후 상황이 중단은 전진락조 하단은 전소퇴와 같다
  우각중단은 주로 사원맵처럼 바닥이 무너지는 벽에서 주로 쓰이지만 그에 비해 우각하단은 비주류, 맞추면 강한 콤보를 넣을 수 있는 하단임에도 불구하고 후딜이 -12인게 메리트
  6RK 1타 단독으로는 오다맞아라 견제기로 쓰인다 안전한 노딜 콤보시동기로 활용도가 있는 편, 주로 6RK 후 레버를 뒤로 유지하여 뒤자세를 잡아 헛쳐도 안전하게 운영한다
  뒤자세를 안잡으면 6AP, 뒤자세를 잡으면 레버 3을 입력하여 기상 LP로 건지자


17. 앞양손(스크류기)
- 7와서 새로 생긴 스크류기, 이 기술이 생긴 덕분에 시리즈 내내 펭의 단점이었던 약한 콤보 대미지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거의 모든 기술에 스크류기로 쓰이며 히트시 앉은자세인 강소퇴조차 횡캔 앞양손이 필수일정도로 중요한 기술이다
  콤보 연습에 중점을 두는 뉴비라면 강소퇴-횡캔 앞양손부터 익히도록 하자


18~23. 운수자세
- 펭의 세가지 자세 중 하나이다. 모든 운수 자세의 파생기는 여기서 서술한다
  운수자세는 펭이 양손을 휘두르는 이상한 자세인데 이 양손을 휘두르는 동안 상대방의 모든 기술(하단,관절기,가불기 제외)을 쳐낸다!
  일단 쳐내는게 존나 멋있다 처음 보는 사람들은 대부분 감탄한다 궁금하다면 꼭 써보자
  한번 쳐내면 파생기도 안나가고 펭에게 아무런 이득도 없지만 두번째로 쳐내면 펭이 반격을 가한다 쳐내기를 안했으면 파생기를 쓸 수 있다 
  파생기는 총 5가지가 있고 각 파생기들 히트 상황이 매우 유리하다
  왼손으로 나가는 파생기는 중단 막히고 -13이상이지만 가드백이 생겨 상대방이 딜캐하기 힘들다 나름 안전한 중단. 히트시 괴주처럼 666AP로 앞양손 스크류가 되며 잘 안되면 전진 락조로 마무리하자
  오른손으로 나가는 파생기 역시 중단이고 막히고 -12지만 가드백이 없기때문에 딜캐는 확실히 들어온다 대신 띄우는것도 편하고 운수 파생기중 제일 빨리 나간다 중단기로 왼손을 쓸지 오른손을 쓸지는 취향에 맞게 쓰도록 하자
  왼발로 나가는 파생기는 상단이다 중하단 이지에 상단이 끼어들수 없어 활용도가 떨어지는데 맞추면 밟기 확정에 가드시 이득도 장난아니니 심심하면 써주자 멋지게 바닥을 부수고 싶을때도 쓴다
  오른발로 나가는 파생기는 하단이다 막히고 -13이지만 아프고 이득 크고 전혀 아쉬울게 없는 하단 맘껏 중하단 이지를 걸도록 하자
  양손으로 나가는 파생기는 쓸 일이 거의 없다... 하지만 쓸 일이 없다는건 상대방이 잘 모른다는 것, 창의력을 발휘하여 자기만의 패턴을 만들어보자


24. 발경장
- 펭의 주력 벽꽝기 중단에, 존나 길고, 존나 아픈데 노딜이다 느리지만 안전한 중단벽꽝기라는 뜻
  발동이 느린데 전소퇴와 이지 걸기 딱 좋은 타이밍이라 오히려 느려서 좋은 이상한 중단
  상대가 앉은뱅이라면 필드에서 측당퇴, 벽에서 발경장을 맘껏 질러주자
 
25. 측당퇴
- 펭의 노딜 중단 콤보시동기 17프레임에 약간 느리고 짧고 횡도 못 잡지만 2D철권과 앉은뱅이에게 매우 효과적인 기술
  좋은 기술일수록 설명이 필요 없는 법이다. 발경장과 함께 노딜 중단기로서 마음껏 하단과 이지를 걸어주자 대신 콤보는 투잽으로 건져야 안전하다


26. 오리발
- 말 그대로 오리발이다 긴 리치로 상대방을 견제하는 용도지만 삽추와 우각이 있으므로 자주 쓰이진 않고 안전한 딸피 제거기로 쓰이는 편
  딸피제거로 거리가 멀다면 오리발을 쓰고 거리가 좁다면 제기차기를 쓰자


27. 방천선퇴
- 펭의 노딜 중단 호밍기 발경장과 마찬가지로 중단에, 존나 길고, 존나 아픈데, 노딜이다 느리지만 안전한 중단호밍기라는 뜻
  측당퇴가 앉은뱅이를 조지는 용도라면 방천선퇴는 횡신충을 조지는 용도로 쓰인다 히트시 전진락조까지 확정이니 횡 치는 상대에게 마음껏 써주자 대신 발동이 느리니 제기차기와 잘 섞어 쓸 것 내가 공참각을 썼는데 상대방이 피했다 = 방천선퇴를 썼으면 맞았다 라는 공식을 항상 머릿속에 생각해두자


28. 기판치기
- 펭의 주력 하단기 1 막히고 -12라는 안전한 후딜에, 준수한 대미지, 완벽한 상단회피, 카운터시 밟기 확정이라는 삼박자를 고루 갖췄다
  유일한 단점이라면 히트시 펭이 -1 이라는 것 대미지와 회피성능을 가져간 대신 후상황에 패널티를 가진것이다 초풍으로 압박하는 풍류 유저 상대로 빛을 발하는 하단
  기술을 쓰고 펭이 앉은자세인데다가 맞춰도 -1이므로 섣불리 기상킥을 쓰지 말고 상대방 행동에 맞춰 적절한 대응을 하자


29. 짠뻑
- 짠발뻑큐펀치의 줄임말 주로 낮게 떴을때 스크류를 못하는 상황에서 쓰며 기판치기 카운터시 빠른 횡캔후 짠뻑이 확정이기도 한다
  주로 공중에서 상대방이 뭔가에 맞았을때, 스크류를 못할때 어거지로 넣는 기술이지만

 벽꽝판정이 달려있어 발코니 앞에서 뒤자세 양손이나 기판치기 카운터 히트시에 짠뻑으로 발코니를 부술 수 있는 등
  특정 상황에서 빛을 발하기도 하니 꼭 머릿속에 넣어두었다가 활용하도록 하자
  카운터시 2타까지 확정이고 봉황도 잡으니 샤오유 상대로 한두번쯤 질러볼법하다


30~31. 선진소금타,선진단수각
- 전자는 펭의 상단회피가 달린 중단, 후자는 펭의 주력 스크류기 2
  선진소금타는 2타 중단에 막히고 -11이지만 히트시 이득이 매우 커서 제기차기가 절대판정이다 하지만 주로 쓰이는건 선진단수각. 히트시 날아가고, 대미지도 쎄고, 회피도 달려있으며
 상대가 2타를 앉지만 않는다면 무적기술 공중 히트시에도 스크류가 되고 벽에서 어거지로 벽꽝시킬때 쓰기도 한다
  회피 판정이 후하기 때문에 질러보기에 좋은 기술, 상대가 앉을거같아 두렵다면 선진소금타를 쓰자, 앞서 말했지만 선진소금타도 히트시 이득이 매우 높다
  또한 1타만 쓰고 레버를 앞이나 뒤로 유지하여 운수, 허보자세로 이행되니 활용도는 무궁무진 또한 발동 17프레임에 리치가 길기 때문에 용차나 붕권 딜캐로도 쓰인다
 
32. 지랄권
- 전작에서 바운드기로 쓰였던 과거의 기술 3 쓰면 펭이 지랄하는거 같아 지랄권이라 불린다 그러나 앞서 말한 과거의 기술들에 비해 활용도가 없는건 아닌게 우선 1타 카운터시 2타 확정에 2타 히트시 넘어져서 앞양손으로 콤보가 되고
  3타는 중단인데 딜캐가 없다! 상대가 흘리기를 못한다면 막 써도 된다는 뜻 조금만 흘릴줄 알고 피할줄 알면 바로 파해가 되어버린다
  일회성 패턴으로 기모으고 2타까지 써버리는 것, 하지만 느리기 때문에 자주는 못쓴다
  성능 자체는 좋지도 나쁘지도 않지만 아주 쓸모 없지도 않은, 한번쯤 써볼만한 그런 기술


33. 질채
- 펭의 주력 하단기 2 약한 대미지에 막히고 -15라 보기엔 나빠보이지만 히트시 이득이 매우 크다 상단회피도 완벽하고 무엇보다 존나 길다! 철권에 존나 긴 이득있는 하단이 얼마 없다는걸 감안하면 생각보다 엄청 좋은 기술인 셈
  이득이 얼마나 좋냐면 히트시 기상킥이 모든걸 이기는 정도 기판치기가 대미지를 우선시하는 펭의 하단이라면 질채는 짜게 하는 안정성을 추구하는 펭의 하단이라고 보면 된다
  딸피 싸움에 특히 빛을 발하는 잠재력 있는 하단이니 애용하도록 하자 또한 웨이브 중에 1LK를 입력해도 나가므로 참고


34. 강소퇴
- 펭의 스네이크, 리리나 브라이언의 스네이크에 상단회피가 달려있듯이 강소퇴에도 완벽한 상단회피가 달려있다 풍류대전에서 특히 빛을 발하는 강한 하단
  주로 오다 맞아라 식으로 쓰는데 상대방 동체시력이 나쁜편이라면 대놓고 질러보기에도 좋은 기술 대신 맞추고 앉은자세가 되므로 꼭 횡캔 앞양손을 연습하여 강한 콤보를 넣을 수 있게 연습하도록 하자


35. 교아낙습
- 주로 교아라 불렸다 고겜 당시 안전한 바운드기였던 과거의 기술 4 이제는 그 어디에도 활용할 일이 없다... 바닥 붕괴는 밟기가 맡았고 바운드는 사라졌기 때문
  2타가 하단이니 펭을 모르는 상대에게 딸피 제거용으로 쓰는 일회성 기술로의 용도가 유일하다


36. 박면장
- 펭의 개싸움을 책임지는 개싸움 주력기 1, 원투와 같은 프레임에 카운터시 악촌고가 확정. 아직 감이 안잡혔다면 10프레임 카운터기로 무려 44의 대미지를 뽑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용보승운의 대미지가 30이고 강소퇴의 대미지가 20인걸 생각해보면 감이 잡힐 것 이상하게 판정이 좋아서 상대방 원투와 동시 히트해도 악촌고를 무리 없이 맞출 수 있다
  왼어퍼 가드시 프레임이 0이니 상대방이 원투를 내밀면 박면장을, 앉으면 왼어퍼를, 가만히 있으면 원잽(이득+1)으로 기본기 싸움을 유리하게 이끌 수 있는 매우 좋은 기술인 셈
  상대 압박이 심하면 배꼬집기와 섞어서 써보자, 상대가 역으로 심리에 걸리게 되는 기묘한 상황을 만들 수 있다


37. 복호연각진
- 고겜시절 입환악촌파와 함께 펭의 벽콤으로 쓰였던 과거의 기술 5 중하중중이라는 이상한 판정과 모션을 가지고 있다. 2타가 하단이란걸 활용해서 한두번 쓸 수는 있겠으나
  상대방이 흘리기 시작하면 그때부터 봉인기가 되어버린다 과거엔 벽콤으로라도 쓰였지만 지금은 레아 딜캐로 악촌고 넣었다가 아 시발! 왜 이게 나가! 라며 기판을 치게 되는 요인으로 자리잡았다


38~39. 전신연무&전신환무(뒤돌기)
- 전신연무는 활용도가 거의 없는 딜레기 가능한 중상 기술, 대신 2타 단독 카운터시 콤보가 가능하다 전신환무는 말 그대로 쌩 뒤돌기이다 뒤돌기 심리를 걸고싶을때 갑작스럽게 걸기 위해 자주 쓰이므로 따닥 커맨드를 잘 익혀두자


40~44. 뒤돌기 자세 파생기
- 펭의 세가지 자세 중 두번째 자세. 뒤돌기로 나가는 이지는 매우 강력한만큼 위험도 크다 막히고 후딜도 후딜이지만 무엇보다 컷킥이나 빠른 기술에 취약하기 때문 하지만 성공하기만 한다면 가장 확실한 대미지를 뽑을 수 있으니 잘 판단하여 활용하도록 하자
  뒤돈자세 왼손은 말 그대로 뒤잽, 다른 캐릭들과 다른 점이 있다면 히트시 이득이 +13(...) 즉 너가 뒤잽을 맞췄다 = 악촌고가 확정이라는 것 그러나 뒤를 돌면 컷킥이 가장 먼저 들어오므로 스탠딩에서 쌩으로 맞출 일은 드물다
  뒤돈자세 오손오손은 중중 2타가 막히고 -13에 상대방 캐릭은 앉은자세가 되는지라 카즈야 상대로 봉인기술이다... 그러나 1타 히트시 2타 확정에 2타 후 기판치기까지 확정이니 대미지는 쏠쏠한 셈 더군다나 1타와 2타 사이 딜레이도 줄 수 있고 2타 단독 카운터시 6ap로 공콤이 가능하다
  심지어 1타만 쓰고 뒤자세 2LK를 할 수도 있고 중단으로 이지 걸 수도 있으니 리스크도 큰 만큼 활용도도 큰 편
  뒤돈자세 양손은 뒤자세에서 가장 안전한 중단기술이다 막히고 노딜에 대미지도 나쁘지 않고 상대방이 쓰러지기에 다시 달려가서 심리를 이어가기에도 편하다 안전을 추구한다면 자주 활용하자
  뒤돈자세 2왼발은 뒤로 나가는 전소퇴이다 막히면 죽지만 빠르고 기상왼손으로 콤보를 이어가는 강제 이지 걸리는 빠른 하단 공콤시동기인셈 중단과 잘 섞어서 이걸로 한방을 완성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자
  뒤돈자세 왼손+오른발 / 오른손+왼발은 뒤로 나가는 양잡이다 대미지가 무려 50으로 다른 캐릭터 양잡(45)이나 박면장 카운터(44)보다 더 쎄다! 더군다나 뒤자세에서 나가는 오잡과 왼잡이랑 모션이 같아 상대방은 정말 찍어야만 풀린다 발동도 빠르기 때문에 2LK가 쓰기가 두렵다면 이걸 써보자
 
45. 제기차기
- 펭의 개싸움 주력기 2 중단 발동12 빠른 노딜 중단 준호밍기이다 지금 당장 이 기술은 별볼일 없어 보이겠지만 나중갈수록 사기라고 느껴지게 되는 기술 중 하나 일단 이득프레임을 챙기기 편한 펭에게 있어 거의 절대판정과 같은 기술이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준호밍기란 호밍기는 아니지만 호밍기만큼 횡을 완벽하게 잡는다는 뜻이다 발동도 12프레임이기에 왼어퍼로 압박하는 상대방에게 박면장과 섞어주면 역으로 심리가 걸려버리는 미친 기술이라는 뜻
  딸피 싸움에서도 빛을 발하고 개싸움에서도 빛을 발하고 다용도로 쓰이는 기술이니 자주 쓰도록 하자 유일한 단점이라면 생각보다 길지는 않다는 것


46. 악촌고
- 펭의 원투 다음 딜캐기, 발동은 13이니 펭의 주력 딜캐는 10-13-15로 기억하면 된다 그러나 컷킥의 눈물나는 리치때문에 -15 기술을 막았음에도 불구하고 악촌고를 써야하는 눈물나는 상황도 자주 발생한다
  이번작에서 펭의 단점인 약한 콤보 대미지가 보완되었다면 여전히 딜캐는 취약한 편 그렇다고 악촌고가 구리다는 뜻은 아니다 리치가 길어 헛친거 캐치하기에도 편하고 각종 콤보 마무리로도 쓰이고 눈 감고 지르기에도 좋으며
  무엇보다 13 딜캐기로 따지면 성능은 상급인셈 폴의 붕권 딜캐로 쓰일 정도로 길어서 범용성 자체는 매우 좋은 기술이다


47~51. 허보자세
- 펭의 세가지 자세 중 마지막 자세. 펭을 더욱 강캐로 만들어주는 성능 좋은 자세 운수가 특정 상황에서 쓰는 것이고 뒤돌기가 특정 이지를 위해 쓰는거라면 허보는 그 어느때 써도 무난하다
  자세는 뒤로 빠지는 자세이기 때문에 백대쉬 대신으로 써도 되고 상대방 기술을 회피하는 회피기로 써도 된다 파생기 성능도 매우 좋기 때문에 쓰기 편하고 성능도 좋은 좋은 자세
  허보 발동중에는 가드가 불가능하지만 발동하고 나서는 가드가 되기 때문에 발동 후 파생기를 내밀지 않으면 가드를 못하는 운수처럼 기술을 꼭 내밀어야 할 필요도 없다 다시 말하지만 어느때 써도 무난하다
  허보 왼손은 하단기술이고 운수 오른발처럼 대미지도 쎈데 이득도 엄청나다 질채처럼 히트 후 기상킥이 절대판정이고 펭의 신기술 앉은자세 3오손으로 개기는걸 카운터내서 공콤을 먹이기도 좋은 하단기술
  허보 오른손은 상단이라 활용법이 없어보이지만 매우 빠른 발동에 노멀 히트시에도 악촌고가 확정이라 생각보다 자주 쓰는 기술 얼마나 빠르냐면 초풍도 피하는 순간 오른손을 맞아야할정도 이후 악촌고까지 확정인데 박면장 카운터와 같은 대미지 44이다
  허보 왼발은 평범한 컷킥 상대가 큰 기술을 헛쳤을때 가장 아프게 때릴 수 있다 대표적으로 드라 어썰트를 허보로 피하고 왼발로 띄우는 정도
  허보 오른발은 리치가 정말 긴 노딜 중단 대신 정말 느리고 맞추고 확정타도 없기 때문에 쓰기 참 애매하다 이후 양발을 입력해서 펭 고유 스프링킥을 쓸 수 있지만 건지기에 매우 취약해서 공짜 콤보를 내주는거나 다름없으니 오다 맞아라 용도가 아닌 이상 남발은 금물


52. 7RP
- 펭의 봉인기 만약 이걸 주력기로 바꾸는 사람이 있다면 펭의 일인자를 가질 자격이 있다 히트시 대미지와 이득은 높은 편


53. 필살기
- 다른 캐릭터에 비해 성능이 매우 나쁘다 활용도 제로 악촌고 삑사리로 안나가게만 조심하자

54. 왕꿀밤


- 상대가 누웠을때 아프게 조질만한 기술 그 이외의 활용도는 없다 콤보가 확정으로 되는것도 아닌지라 차라리 이걸 노릴바에 컷킥을 쓰자


55. 점프짠손
- 패턴걸기 좋은 기술 반격과 배꼬집기와 기판치기로 상대방 머리를 아프게 해보자 근데 이거 쓸바에 공참각이나 원잽쓸듯


56. 배꼬집기
- 펭의 개싸움 주력기 3 횡을 쳐서 오른손으로 배를 꼬집는 기술인데 회피 성능이 미쳤다 정말 좋다 자주 써도 될 정도로 좋지만 남발하면 독이 되는 기술
  상대방 원투를 완벽하게 피한다 또 손해일때 쓰면 상대를 방어적으로 만들어 하단 쓰기가 편해진다 하지만 호밍기, 하이킥류에 약하고 상대방이 시계횡을 치면 완벽하게 피해진다 이 기술에 의존하는 것도 당장은 좋지만 이 기술을 쓰는 대신 전소퇴나 박면장을 더 활용하도록 하자


57. 열선각
- 펭의 왼컷킥. 맞추고 전진락조가 확정이다만... 이걸 쓸바엔 컷킥을 쓰는게 낫다 굳이 점프기술을 써야하는데 컷킥이 싫다면 왕꿀밤을 쓸지 이걸 쓸지 고민해보자


58. 컷킥
- 펭의 컷킥 판정은 좋다만 리치가 너무 짧다 가끔 15딜캐를 이걸로 못해서 악촌고를 써야할때 눈물이 난다 하지만 판정 자체는 괜찮으니 하단이 예상된다면 써버리자


59. 창궁퇴
- 손을 땅에 집고 발로 따다닥 팍! 하는 기술 1타만 써서 맞췄다면 왼어퍼로 콤보를 연계하자. 하지만 1타 발동시 발로 3대를 때리므로 이미 공중에서 2타를 먹고 간 상태라 왼어퍼 후 바로 스크류를 해도 용보가 닿을 거리가 되지 않는다
  2타는 상단인데 맞으면 밟기가 확정 모르는 상대에게 써줄법하지만... 자주 쓰진 말자...


60. 삽추
- 펭의 주력 중단 견제기술 대쉬로 나가는 기술인지라 횡을 어느정도 잡고 리치도 길고 후상황도 괜찮다 빠른 노딜 벽꽝을 노린다면 써보도록 하자
  공중에서 맞았다면 짠뻑이 확정, 어디까지나 중단 견제기술이니 자주 쓰되, 이거로 피 다 뺀다기 보단 진입하기 위해, 하단을 쓰기 위해 쓰는 초석 용도로 쓰는게 바람직하다


61. 분파
- 펭의 스탠딩으로 나가는 밟기, 뒤자세가 범파고 이게 분파인지 이게 범파고 뒤자세가 분파인지는 헷갈리지만 같은 기술이다
  가드시 펭이 이득이고 특히 벽 콤보로 쓰이기도 하는데 벽에서 이걸로 찍고 악촌고를 쓸지 밟기를 쓸지 전진락조처럼 이지를 걸 수 있다 만약 맞춘다면, 원쓰리-악촌고보다 더 높은 대미지를 벽콤으로 넣을 수 있다 대신 벽몰이를 용보로 해야 안정적으로 이지가 성립된다는 것 명심


62. 연환퇴
- 펭의 공콤 시동기 후딜이 좀 특이하다 1타가 -15이고 2타가 -12이다 2타까지 쓴다면 딜레이를 줘야 콤보가 이어지니 참고. 2타가 뜨지 않기 때문에 1타의 리스크를 엄청나게 줄여준다 딜레이도 자유자재로 줄 수 있으니 활용도는 다양한 셈
  측당퇴가 짧게 느껴진다면 연환퇴를 활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니 참고하도록 하자 대신 연환퇴는 다른 콤보와 달리 1타 단독 히트시 앞양손으로 콤보 이행이 안되고 2타 히트시, 1타와 2타 히트시 모든 상황 콤보가 다르니 자세한건 나중에 쓸 콤보 리스트를 참고


63. 에네르기파(파워크래쉬)
- 펭의 파크 성능은... 좋지 않다 아케이드 시절 파크를 쓰다 스티브에게 개박살 나버린 움짤이 유명하다 꾹 누름으로써 모으기를 할 수 있고 이때 공격을 맞추면 대쉬 악촌고, 벽에서는 용보승운이 확정이다 !
  히트시 상황 만큼은 경이롭지만 맞추기 매우 힘들다 로또 하는 심정으로 벽에서 풀차지로 가끔씩 써보자 만약 풀차지가 벽에서 히트한다면 용보승운이 확정이고 높벽꽝 콤보로 악촌고-원쓰리-악촌고를 한다면 총 대미지가 105이다(...)


64. 단편
- 펭의 회피기술. 허보와 함께 쓰는 회피기술이고 철권 전체를 통틀어서 가장 좋은 회피성능을 보여준다 회피 성능이 좋은 만큼 막히면 뜨니 조심히 써서 비장의 카드로 잘 활용하자


65~68. 웨이브 기술
- 펭의 웨이브로 나가는 기술 웨이브는 236으로 나가며 자세가 아닌 스텝 기술이다 23n으로 웨이브를 캔슬하여 기상기를 나가게 하는걸 웨캔,붕캔이라 부른다 펭의 진입기술로 붕캔왼손을 활용하였으나
  고급기술이니 지금 당장 쓰기엔 무리가 있다 굳이 붕캔을 안써도 이기는덴 크게 문제가 없으니 너무 신경 쓸 필요는 없다
  웨이브 왼손은 하단박치기로 펭의 주력 하단기 3 되시겠다. 강한 대미지에 높은 이득에 긴 리치, 후딜은 -14라서 일부 캐릭에겐 사용을 주의 할 필요가 있다 가장 좋은 점은 흘리기가 안된다는 점과 카운터시 공콤이 된다는 점
  매우 좋은 기술이니 자주 활용하도록 하자 게임 풀어나가기 매우 좋은 주력기로 삼아도 되는 기술이다
  웨이브 오른손은 존풍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중단박치기가 안전한 이지라면 웨이브 오른손은 막장이지이니 입맛에 맞춰 쓰면 된다 
  웨이브 양손은 중단박치기로 가드시에도, 히트시에도 이득이 매우 높다 대미지도 좋고 하단박치기랑 이지걸기 딱 좋은 편, 대신 발동 자체는 하단박치기보다 빠르기 때문에 타이밍을 조절 할 필요가 있다
 
69. 공참각
- 펭의 공참각은 특이하지만 성능은 더 좋다 발동이 느린거 같으면서 지속시간이 길고 판정이 후하며 이득도 매우 좋다 손이 된다면 드라의 어썰트처럼 활용하기에도 좋으니 꼭 잊지말고 압박할때 써주도록 하자


70~74. 펭의 기상기
- 펭의 기상기는 4가지가 있는데 가장 많이 쓰일 기술은 기상원투원이다 앞서 말했듯이 붕캔으로 특히 많이 쓰이고 주로 1타만 쓰는 편
  각각 후딜이 -1/-12/-14이라 무적기술이라 보이겐 무리가 있지만 리치가 길고 붕캔으로 쓴다면 진입하기 매우 좋다 또한 2타까지 쓴다면 횡신도 잘 잡으니 질채로 시작하여 연계하면 강한 압박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숙달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연습은 필수
  펭의 기상 오른손을 기상어퍼라 생각하고 쓰면 안된다 펭의 기상어퍼는 기상 왼발이기 때문 그래서 펭이 극한의 소금플레이를 할때 웨이브 박치기 대신 붕캔 오른손을 쓰는 용도 정도로 쓰인다 히트시 악촌고 확정
  펭의 기상어퍼인 기상 왼발 천궁퇴. 꼭 기상어퍼라고 오른손 누르지 말고 왼발을 누르는 습관을 길들이도록 하자
  펭의 기상킥은 다른 캐릭터 기상킥과 달리 카운터시 왼어퍼 카운터 나듯이 엉덩방아를 찧는데 이때 매우 높은 이득을 챙기므로 카운터가 나면 꼭 공격을 이어가도록 하자
  펭의 기상양손은 괴주처럼 손패링 기술이지만 괴주보다 타이밍이 더 빡빡하다....히트시 에네르기파 풀차지와 상황이 같으나 괴주보다 빡빡한 타이밍이라 성공하기가 여간 쉽지가 않다 요시미츠 유저처럼 신묘한 플레이를 하기에 딱 좋은 기술이지만 무리는 금물


75. 낙습파
- 펭의 앉은자세중 3LP로 나가는 하단 기술 뭔가 좋아 보이지만 후상황도 그렇고 발동 속도도 그렇고 여러모로 아쉬운 기술 그러나 횡을 완벽하게 잡고 카운터시에 밟기도 확정이다 하단 맞추고 상대가 횡신을 자주친다 싶으면 쓰도록 하자


76. 불구펀치
- 펭의 FR 신기술 앉은 자세 3RP로 나가는 중단 기술이고 노말 히트시에도 콤보가 된다 그러나 FR출시 당시 후딜은 -15여서 사실상 봉인기가 되었었고 이후 -14로 패치되어 그나마 쓸만한 기술이 되었다
  질채처럼 이득 있는 하단기술을 맞췄을때 개기겠다 싶으면 써보도록 하자 횡신도 나름 잡아서 기판치기 후 횡신이 예상되면 질러볼 법 하다


77. 반장
- 학교에 있는 그게 아니다 횡 오른손으로 나가는 호밍기인데 발동 후 뒤돈 자세가 된다 열에 아홉은 이거 막고 앉으므로 바로 뒤자세 양손을 때리는 일회성 용도로 써보자 활용도는 낮은 편


78. 호미쌍주파
- 묘하게 2타를 잘 맞아주는 기술 이유는 모른다 심심하면 써줘도 되지만 워낙 횡신 이지가 강력한 투탑 기술이 있어서 크게 쓰이진 않는 편. 신묘한 플레이를 원한다면 활용하자


79. 전소퇴
- 펭의 주력 하단기 4 막히면 죽지만 횡신으로 발동되는 탓에 기술을 피하고 때리는 느낌이 되어 매우 위협적인 하단기술 기상원과 시너지를 발휘하여 상대 원투를 유도, 전소퇴를 써버리는 강력한 공격 플레이도 가능하다
  하단임에도 불구하고 앞양손이 매우 안정적으로 들어가는 밥줄 하단으로 써도 되는 좋은 기술 심지어 강소퇴보다 안보인다 측당퇴와 적극적으로 이지를 걸어보자


80. 타개
- 펭의 주력 횡신이지 기술 이름 그대로 위기를 타개할만한 막장이지를 걸 수 있는 좋은 기술이다 막히고 박면장 지르기에 딱 좋은 프레임이고 벽꽝까지 되니 펭을 벽악마로 만들어주는 존나 무서운 횡신기술 꼭 전소퇴랑 적극 활용하자


81. 스프링킥
- 펭의 스프링킥은 전진성이 없지만 맞추면 잽으로 콤보가 된다는 특징이 있다 자주 쓰다간 독이 되니 주의


82. 밟기
- 상대방이 누워있을때만 나가는 기술, 각종 하단의 확정타이기도 하다




쓰면 쓸수록 졸려가지고 자세히 못쓰고 대충 마무리한거 같은데 궁금한게 있으면 댓글로 꼭 달아주길 바래...  펭이 정말 좋은 캐릭인데 아무도 알려주질 않으니 뭐가 어떻게 좋은지 감이 안잡히는 뉴비들을 도와주고자 써보았다 나중에 꼭 콤보도 올릴테니 잊지말자구!




추천 비추천

39

고정닉 12

8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AD 호요버스 신작 <젠레스 존 제로> 7월 4일 오픈! 운영자 24/06/05 - -
공지 (수정,공지)철권 갤러리 철권 팁 모음 [84] 철갤공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5.30 784343 145
공지 철권 갤러리 이용 안내 [91] 운영자 16.03.15 196984 18
4448871 푸딩 개병신련 졸렬하게 겜하노 ㅋㅋ 철갤러(175.196) 14:50 2 0
4448870 왜 내 스킬만 ㅇㅇ(220.124) 05:36 13 0
4448867 의자단 화랑 특징 알았다 제발시발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67 0
4448866 철권 7만 찔끔 해봤는데 철갤러(118.235) 06.04 64 0
4448861 '철권 태그 토너먼트' 국내 최강자 딸기(김영준) 남코공식대회우승 기사 [1] 럭셔리굿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244 1
4448858 김동화는 보셈 ㅇㅇ(118.235) 05.30 86 0
4448857 철권 구작 티어리스트 ㅇㅇ(218.232) 05.30 186 0
4448855 철권 호주 대회 일정 아시는분 철갤러(125.183) 05.28 92 0
4448852 랜뽑벌레 보리줍기님 앰창 못하시네요^^ [5] ㅇㅇ(114.204) 05.27 284 1
4448851 진짜 개같이 못하는데 키신 부신 찍는거 보면 내가 허탈하네. [1] 철갤러(49.161) 05.25 216 0
4448850 스틱입문한 뉴비 팁좀 주세요ㅠㅠ [1] 철갤러(14.54) 05.25 191 0
4448849 인스타 팔로워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곳 공유해요~ 철갤러(211.40) 05.25 100 0
4448848 콤브 EWC 티켓 0장 아님? [1] ㅇㅇ(211.36) 05.25 125 0
4448847 점검? [1] 철갤러(112.223) 05.24 157 0
4448841 웨이브 횡? ㅇㅇ(106.101) 05.21 124 0
4448840 라운지에 마이크기능 추가 안 하고 뭐하냐 ㅇㅇ(106.102) 05.21 112 0
4448839 난 철권 피격박스가 이해가 안감 진짜 옹심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134 0
4448836 조카 또 우승각 [1] 철갤러(103.41) 05.20 271 0
4448833 드디어 의자단 온 철린이다. 질문받는다. [1] 철갤러(123.199) 05.17 301 0
4448831 이분 철권방송하는 사람아닌가? 철갤러(218.209) 05.17 350 0
4448829 나 잭마이티룰러인데 게임할 폴있나요? 철갤러(58.29) 05.16 138 0
4448826 망한듯 매치도 안잡히고 [1] ㅇㅇ(219.250) 05.15 235 0
4448825 피방에서 스팀 qr 코드 로긴 해도 해킹 된다 그랬나? 철갤러(210.182) 05.15 154 0
4448820 철권 또 할인 언제하냐 [1] ㅇㅇ(211.234) 05.13 267 0
4448819 망갤 철갤러(125.130) 05.13 169 0
4448818 징징징~ ㅇㅇ(58.123) 05.13 154 0
4448817 닉네임이 갑자기 숫자로뜨는데 어떻게바꿈?? [2] 철갤러(218.235) 05.11 291 0
4448816 여니 찾으려면 어디가서 물어보면댐? [1] ㅇㅇ(118.235) 05.10 225 0
4448815 서버 폭파? 철갤러(114.201) 05.10 204 0
4448814 철권 스승 구합니다.. [1] 철갤러(112.185) 05.09 222 0
4448811 무릎이 빨강색 좋아하는것이 단순 좋다는게 그냥은 아닌것 같은게 ㅇㅇ(211.234) 05.08 314 0
4448810 브라이언이 데빌의 힘 가지면 어떻게됨? [2] ㅇㅇ(223.33) 05.07 362 0
4448809 스티브 퀵훅은 사기기술인가요? [1] 철갤러(125.135) 05.07 335 0
4448808 철권2,3 태그1만 알다가 철권8하는데 쉬운캐릭추천좀 [1] 철갤러(218.49) 05.05 294 0
4448807 태그 넷플은 매크로 안되네 ㅇㅇ(61.40) 05.05 181 0
4448806 풍신레버3 이거 대가리 돌아가는 거 고정 못 시킴? [1] 철갤러(119.194) 05.04 267 0
4448804 안녕하세요 저 오다지마 유켄 처럼 되고싶습니다. [1] 귀요미한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365 0
4448803 Haute42 S16 사용중인데, 핫키 설정 어떻게 함? [1] 철갤러(218.145) 05.03 417 0
4448802 이거 짝퉁티 많이나냐 [1] 철갤러(14.34) 05.02 576 0
4448801 엣헴 무릎 실베온거보고 한마디 하러 왔다 [1] ㅇㅇ(115.93) 05.01 535 1
4448800 철권8 보는 입장에선 나쁘지 않은데 [1] ㅇㄷ(125.180) 05.01 452 0
4448799 이번 시즌패스 에디 리디아 다음에 레이 간류 이렇게 나오면 반응 씹창나겠 ㅇㅇ(39.125) 04.30 211 0
4448798 스팀평가 나락갔지만. [1] 철갤러(39.112) 04.29 549 0
4448797 철권 입문 해보려는데 [2] 철갤러(61.74) 04.29 438 0
4448796 옷시 왔어요 여수밤바다(223.39) 04.29 250 0
4448794 오토핫키로 저스트에어팡 가능함? [1] 철갤러(49.173) 04.28 318 0
4448787 이거재밋겠다 철갤러(117.111) 04.24 237 0
4448785 횡이동 공부는 밥똥철 영역임? [1] ㅇㅇ(211.244) 04.23 43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