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저소득층 주거비에 허리 휘고 고소득층 소득증가에도 지갑 닫아

ㅇㅇ(175.223) 2019.04.26 07:42:48
조회 106 추천 0 댓글 0

- 통계청 2018년 가계동향조사 지출부문 결과
- 가구당 월평균 254만원 지출…전년 0.8%↓
- 하위 20% 지출 늘었으나 월세부담만 가중
- 저출산 고령화에 교육지출 감소…오락·문화는 증가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가구당 소비지출이 전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침체와 그에 따른 소득 부진에 대부분 가구가 허리띠를 졸라멨다. 저소득층 지출은 소폭 늘었으나 늘어난 월세 등 주거 부담 때문이었고 고소득층은 소득 증가에도 지갑을 닫았다.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18년 가계동향조사 지출부문 결과를 보면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53만8000원으로 2017년(255만7000원)보다 0.8% 감소했다. 1년 새 물가가 1% 이상 오른 걸 고려하면 실질적으론 2.2% 줄었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 항목별 전년대비 증감률. 맨 왼쪽 항목이 전체 소비지출 증감이다. 통계청 제공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 253.8만원…전년비 0.8% 감소

주요 항목 지출이 모두 줄었다. 전체 소비지출의 14.4%를 차지하는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36만7000원)는 곡류 가격 인상에 전년보다 1.8% 늘었으나 물가 인상분을 고려하면 오히려 1.0% 줄었다. 

음식·숙박(35만원)도 1.3%(실질 4.2%) 감소했다. 교통(34만9000원) 역시 5.5%(실질 7.7%) 줄었다. 의류·신발(15만2000원)이나 교육(17만3400원), 기타 상품·서비스(19만2000원) 등의 감소 폭도 컸다. 보건(19만1000원)이나 오락·문화(19만2000원), 가정용품·가사서비스(11만7100원) 지출은 늘었으나 전체 감소 흐름을 막기는 역부족이었다.

소비지출 감소는 소득 정도나 가구주 연령, 가구원 수와 무관하게 전반적으로 나타났다. 소득 정도별로 봤을 때 100만원 미만 저소득 가구부터 700만원 이상 고소득 가구까지 전반적으로 감소 흐름이었다. 500만~600만원 구간 가구의 지출액(334만900원)만 0.4% 늘었다.

2018년 가구당 평균 지출목적별 소비지출 비중. 통계청 제공

가구주 연령대별로도 60세 이상(186만원)이 2.7%, 40대(319만3000원)이 0.8% 늘었을 뿐 나머지는 모두 줄었다. 가구원수별로도 1인 가구(142만원)가 3.4%, 4인 가구(371만7000원)가 0.5% 늘었으나 2인 가구(220만원)와 3안 기구(307만5000원)는 각각 1.0%, 0.8% 감소했다. 5인 이상 가구(415만6000원)도 1.0% 줄었다.

지난해 가구 소득이 전반적으로 부진한 탓에 지갑을 닫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박상영 통계청 사회통계국 복지통계과장은 “1인 가구를 포함한 지난해 가구소득이 감소하면서 지출이 줄어든 것으로 볼 수 있다”며 “평균 가구원수가 지난해 2.46명에서 2.43명으로 소폭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고령화도 일부 영향을 줬다. 교육 지출 17만3000원으로 1년 새 7.9%(실질 9.2%) 감소한 게 대표적이다. 박 과장은 “우리나라는 교육 열의가 높아서 소득수준을 줄였다고 교육 지출을 쉽게 줄이지 않는다”며 “저출산으로 학령기 자녀를 둔 가구비중 자체가 줄어든 영향이 빠르게 나타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통계청 2018년 가계동향조사 지출부문 결과 주요 내용. 통계청 제공

◇저소득층 주거 부담에 허리 휘고 고소득층도 지갑 닫아

저소득층의 소비지출 감소폭이 고소득층보다 상대적으로 적었다. 소득 하위 20%(1분위)를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 소비지출 총액이 115만7000원으로 오히려 0.9% 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의 지출 여건이 나아졌다기보다는 월세 같은 필수 지출항목이 늘어난 측면이 컸다. 1분위 가구의 주거·수도·광열 지출은 23만6000원으로 8.6% 증가했다. 그 중에서도 월세 등 주거비(13만1000원)는 전년보다 21.5% 늘었다.

통계상으론 고소득층도 지갑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층 가구는 지난해 소득이 상대적으로 많이 늘었던 걸 고려하면 이례적 결과다. 가계소득 700만원 이상 가구의 지난해 월평균 지출은 459만5000원으로 1년 새 2.3% 줄었다. 소득 상위 20%(5분위)의 소비지출도 428만3000원으로 1.1% 줄었다.

그러나 면접을 통해 이뤄지는 통계 조사인 만큼 고소득층 소비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 직접 비교는 어렵지만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지난해 민간소비 지표는 상승했다. 

박 과장은 “고소득층 소득이 늘었음에도 왜 이들의 소비지출이 줄었는지는 명확히 설명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통계 조사 과정에서 고소득가구의 소비지출을 충분히 포착하는 데 한계가 있을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AD [삼성선물]제로데이옵션 무료이벤트 운영자 24/06/03 - -
2318510 근데 임대사는애들이 왜 돈이없어? ㅇㅇ(175.223) 19.06.04 39 0
2318509 삼국시대땐 고구려인이 체격이 제일 [2] 쏘르스(175.223) 19.06.04 124 3
2318508 20억이 상위 1%면 강남사람들은 다 1%네? [7] ㅇㅇ(59.12) 19.06.04 170 1
2318506 한국 인종 - '욱일기는 전범기 nida !!! ' ㅇㅇ(211.211) 19.06.04 49 2
2318505 일본은 천문학적인 부채가 있지 ㄱㄴㄷㄹ(118.222) 19.06.04 46 0
2318504 그나마 한국봐주는게 [1] ㅇ ㅇ(221.142) 19.06.04 81 0
2318503 다시보는 이재명 공약 ㅇㅇ(175.115) 19.06.04 53 0
2318502 트럼프가 한국정부는 싫어도 ㅇ ㅇ(221.142) 19.06.04 91 2
2318501 임대사는애들은 순자산 얼마임? ㅇㅇ(223.38) 19.06.04 40 0
2318500 마계 7호선 라인 괜찮아보인다 ㅋㅋㅋ ㅇㅇ(223.38) 19.06.04 63 0
2318499 한국 인종 리즈 시절 ㅇㅇ(211.211) 19.06.04 181 1
2318498 아파트가 요즘엔 임대가 같은동으러 섞어놨던데 [2] ㅇㅇ(175.223) 19.06.04 144 1
2318497 그래도 미국이 한국많이 도와주고있는거 [1] ㅇ ㅇ(221.142) 19.06.04 124 5
2318496 잠실 레이크팰리스 30평대 13억거래됬다 ㅋㅋ [2] ㅇㅇ(222.99) 19.06.04 441 3
2318495 집값 때려잡는 대통령감은 이재명임 [5] 위례(39.7) 19.06.04 141 0
2318494 대한민국 흙수저가 빈민으로 떨어지는 가장 큰 원인은 [1] oo(121.166) 19.06.04 157 1
2318492 북한애들도 처맥임크지ㅋㅋㅋ [1] ㅇ ㅇ(221.142) 19.06.04 65 0
2318491 2000년 이후로는 부채로 경제성장함 네이마르(14.35) 19.06.04 48 2
2318490 중형과 대형 가격차이 별로 안나는 파크리오 [4] oo(121.166) 19.06.04 193 0
2318489 오늘 축구 한일전하는거 알고 갤질이냐?? [4] ㅇㅇ(175.223) 19.06.04 103 0
2318487 중국이 미국한테 구매하는건 공장돌리기위한 필수제품 ㅇ ㅇ(221.142) 19.06.04 41 1
2318486 중국, 한국인 비자 발급 요건 강화함 ㄷㄷ [4] ㅇㅇ(39.7) 19.06.04 201 11
2318485 OECD경제성장률 수정본 나옴 ㄷㄷㄷㄷㄷㄷ [4] ㅇㅇ(112.154) 19.06.04 293 19
2318484 수서 살고 싶다 ㅇㅇ(14.36) 19.06.04 105 0
2318482 문재앙 안찍어서 당당한 내가 싫다 [7] ㅇㅇ(223.38) 19.06.04 120 11
2318481 중국정부가 보조금지급으로 인한 타격이 [3] ㅇ ㅇ(221.142) 19.06.04 75 1
2318480 국가가 정해준 계급 ㅋㅋㅋ(175.223) 19.06.04 163 1
2318479 생각보다 미국이 관세로 물가상승효과적을껄 ㅇ ㅇ(221.142) 19.06.04 55 1
2318478 꼰노글보니 가난이 가족력이라 한글있던데요 [2] 쏘르스(175.223) 19.06.04 86 3
2318477 환율는 아직 모름 [2] 네이마르(14.35) 19.06.04 160 0
2318476 18년도 폭등장 과연 누가 샀을까??? 정답은.. [3] ㅇㅇ(110.70) 19.06.04 329 3
2318475 금수저가 흙수저 되는 이유.eu [3] (110.10) 19.06.04 303 6
2318474 가처분소득 대비 순자산이라는 유명한 지표가 있습니다 [2] ㅇㅇ(59.12) 19.06.04 122 2
2318473 어바인 집같은것들 판교쪽에가면 많지않냐? [1] ㅇㅇ(175.223) 19.06.04 96 0
2318472 일본하고 비교가 되냐ㅋㅋㅋ ㅇ ㅇ(221.142) 19.06.04 49 2
2318471 80년대 대학로에서 놀던 기억이 나네 ㅇㅇ(223.38) 19.06.04 48 0
2318470 미국 대저택에서 살다 한국 아파트 살면 안불편하냐? [1] ㅇㅇ(175.223) 19.06.04 68 0
2318469 네이마르 재는 왜잘난척이냐? [2] ㅇㅇ(175.223) 19.06.04 62 0
2318468 조선에서 금수저가 동수저로 추락하는 패턴 [53] ㅋㅋㅋ(175.223) 19.06.04 3603 60
2318467 우리나라는 원자재를 다수입해서 중간재만들어파는지라 ㅇ ㅇ(221.142) 19.06.04 26 0
2318466 강동 대장은 어디인가? [7] ㅇㅇ(59.9) 19.06.04 239 0
2318464 순자산 5억을보고 서민취급하는 정신병자한마리있네 [6] ㅇㅇ(223.33) 19.06.04 159 2
2318462 성수트리마제 vs 용산해링턴 하나사면 뭐삼? [18] ㅇㅇ(121.137) 19.06.04 525 1
2318461 독일 통일하고 나서 동독 출신들이 유난히 키가 작았잖아 [4] (110.10) 19.06.04 188 9
2318460 ‘Again 1989’ 서울 대학로, 30년 만에 ‘차 없는 거리’로 ㅇㅇ(223.38) 19.06.04 57 0
2318459 원화가치 하락의 주된 원인 [6] 네이마르(14.35) 19.06.04 236 0
2318458 좌파는앞으로 20-30년간 먹고사는데 지장없음 [1] ㅇㅇ(112.154) 19.06.04 144 3
2318457 요새 아파트 트렌드.. 임대30프로 [5] ㅇㅇ(175.223) 19.06.04 255 4
2318456 공무원하니까 생각난 7급공무원의 노량진썰 [1] ㅇㅇ(1.241) 19.06.04 220 1
2318455 화폐가치떡락원인 ㅇ ㅇ(221.142) 19.06.04 104 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