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결혼이 없는 미래.txt앱에서 작성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4.12 13:48:29
조회 568 추천 2 댓글 5
														

viewimage.php?id=24b0dd29f3d33aaa6bac&no=24b0d769e1d32ca73cec81fa11d02831ce3cef1b9542c00ceb084720f8a38234b957f31b7b0b109d547badedccd4792757c01c6c843597970a4f9ccbae2f280cfc5b4b4ed19b10ba597f0e67d3add122c1

[Opinion] 결혼이 없는 미래 [도서]
사랑에 대하여, 섹스에 대하여, 연애에 대하여, 결혼에 대하여, 그리고 무엇보다도 자기 자신에 대하여.

결혼에 심드렁한 세대

며칠 전 친구들과 소소하게 모인 자리에서 이리저리 대화가 흐르다  누군가 "너넨 나중에 결혼하고 싶어?"하고 물었다. 취업준비에 한창 열을 올리고 있는 친구들은 돈도 없는데 결혼은 어떻게 하냐, 난 그냥 혼자 살고 싶어, 아이 낳고 일을 그만하게 되는 게 싫어 등 비슷비슷하게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출산 후 자연스레 퇴사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엄마의 희생을 보면서 결혼과 출산에 대한 회의적인 태도를 가지게 된 것도 한몫했다.
이런저런 얘기를 하다가 이번엔 오래 사귄 커플의 이별 소식을 들었다. 몇 년의 연애 끝에 결혼에 대한 얘기가 오갔으나, 남자 친구가 다른 여자와 바람피우는 것을 목격했고 그렇게 그 연애는 한순간에 마침표를 찍었더랬다. 결혼 전까진 아무것도 모른다더니.. 하며 혀를 끌끌 찼는데 생각해보면 그렇다고 결혼이 두 사람의 관계를 완벽하게 매듭지을 수 있는 것도 아니지 않은가. 오히려 결혼은 혼자였으면 있지도 않았을 문제들을 둘이서 함께 해결하려는 시도일 수 있다.
결혼하지 않았다면 자각하지도 못했을 성격적 결함이나 배우자의 불륜으로 인한 이혼, 또는 자식들을 다 키우고 난 후에 서로 구속하지 않겠다는 졸혼이나 황혼 이혼도 왕왕 있다. 이혼에 대한 거부감은 옅어졌고 주말 안방극장에 '한번 다녀왔습니다'라는 제목의 드라마가 방영되고 있는 건 한 번 다녀오는 게 대수롭지 않게 된 요즘 세대의 단상을 보여준다.

이런저런 이유 때문에 우리는 한마디로 결혼에 심드렁한 세대다. 부모님 세대만 해도 여성의 출산과 육아는 세트로 부여되는 일이었고 하던 일을 그만두고 가사에 전념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식으로 작동할 수 있었던 결혼제도는 이후 비약적으로 상승한 여성의 사회 경제적 지위로 인해 이전처럼 기능해주리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청년세대의 경제적 불안감, 새로운 문화의 표준으로 자리잡은 개인주의, 꾸준히 상승하는 이혼율이 보여주는 낭만 신화의 파괴 등은 더욱 결혼이란 게 과연 유효하긴 한가 하는 의문을 낳는다.

진화하는 결혼

오늘날 결혼의 유효성을 따지기 앞서 결혼의 뿌리를 추적해 보는 게 필요하다. 우선 우리가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일부일처제는 사실상 생겨난 역사가 그리 길지 않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과거 결혼의 표준은 난혼이었고, 수렵채집 시대엔 여러 집단 구성원들끼리 가족을 꾸리는 군혼이 있었다. 서로가 서로의 남편이자 아내가 되어 아이들을 공동으로 양육하는 방식이고 정절의 원칙이 존재하지 않았으니 아버지를 특정할 수 없었고, 따라서 모계사회였다.
농업혁명 이후 계급과 사유재산 개념이 발생하면서 대우혼이란 게 자리 잡았다. 일부일처제와 비슷하면서도 남성은 배우자 외의 다양한 여성을 만나며 일부다처제를 실현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달랐다. 저자는 농업혁명의 가장 큰 피해자가 여성이라고 말한다. 사유재산을 상속하고자 하는 욕구에서 여성의 성을 배타적으로 소유하고 정절을 강제하는 가부장제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한때 무한한 성적 자유를 누리던 사람들이 배우자의 불륜에 질투를 느끼기 시작했는데, 상대방을 소유물 취급하며 다른 누군가에게 뺏기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게 된 셈이다. 그 결과 인간사회에 일부일처제라는 '단 한 사람과만 결혼하고 섹스하는' 제도가 도입되었다.
우리는 한 사람 만을 사랑하고 서로를 배타적, 독점적으로 소유하는 것을 당연한 사랑의 형태로 여긴다. '내 남자'가 다른 여자랑 웃고 떠든다면 질투가 나고, 질투는 때때로 사랑의 증거로 취급된다. 일부일처제의 사회에선 질투의 정도가 애정의 척도와 비례한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저자는 이와 같은 세태는 결코 자연스러운 게 아니라고 말한다. 600만 년 인류의 역사에서 일부일처제가 정착된 시기는 고작 1%도 되지 않는다. 일부일처제나 질투는 결코 개인 간 애정의 소산이 아니라 남성이 여성의 성을 독점하여 상속을 가능하게 하려는 착취적인 사회문화적 특성에 기원을 두고 있는 문화적 발명품이다.
소유욕과 질투가 어쩌면 '부자연스러운' 감정일 수 있다는 사실은 폴리아모리(비독점 연애)에 대해 마냥 부정적이었던 기존의 생각을 조금 더 유연하도록 이끈다. 아직까지 폴리아모리를 지지하는 사람은 극히 소수에 불과하지만, 일부일처제라는 각본의 정당성에 의구심을 품고 새로운 대안이 존재함을 제시하는 폴리아모리는 결혼이 붕괴되어가는 시대에 점점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현대인의 사랑과 결혼

현대인의 사랑 형태는 결혼을 더욱 팍팍하게 만들었다.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는 연애하기 위해선 소비해야 한다. 돈을 전혀 쓰지 않는 데이트가 있을 수는 있겠다만, 데이트에서  얼마만큼의 돈을 써서 무엇을 소비하는 종종 지는 이들이 어떤 연애를 하고 있는지에 대한 지표가 된다. 그리고 기업들은 암시적인 광고들로 '사랑한다면 소비하라'는 규칙을 반복적으로 주입하면서 자본주의적 사랑의 강제성을 공고히 해왔다.
연애뿐 아니라 결혼도 마찬가지다. 결혼의 징표는 다이아반지다. 더 안타까운 점은 우리가 소비하는 대상이 비단 재화나 서비스뿐 아니라 우리가 사랑하는 대상까지도 포함된다는 사실이다. 최적의 결혼상대를 고르는 것은 자신과 '급이 맞는' 사람을 찾는 일이며, 우리 스스로도 짝짓기 시장에서 매력적인 상품으로 보이기 위해 매력자본(경제력, 사회적 지위, 연애 경험, 취향 등)을 축적한다. 저자의 말을 빌리자면,  '마음에 드는 상대를 만나 데이트하고 연애하고 결혼하는 일련의 과정의 기저에는 짝짓기 시장 내 매력 자본을 활용한 상품 소비라는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한다'.
자본주의적 사랑은 매력자본, 그중에서도 특히 돈이 충분하지 않은 자들에게서 사랑할 기회를 박탈해버린다. '사랑한다면 소비하라'의 암시적인 울림은 '돈 없으면 사랑도, 결혼도 꿈도 꾸지 마라'로 메아리친다.
낭만 인플레이션

현대인의 결혼이 흔들리는 이유는 그뿐이 아니다.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요즘은 누구나 찍는 브이로그까지. 소셜 미디어를 통해 확산되는 획일적인 낭만의 합성 이미지는 우리로 하여금 사랑에 대한 왜곡된 시선을 갖게 만들었다. 현대인들은 사랑을 공적으로 전시한다. #럽스타그램, #1주년, #밸런타인데이 등등 과거엔 지극히 개인적이었던 연애 행위는 소셜미디어에서 오로지 달콤한 부분만을 편향적으로 노출하면서 불특정 다수의 디지털 관람객들에게 공개되는 쇼가 되었다.
그 쇼는 모두 비슷비슷하다. 비슷한 꽃다발, 비슷한 호텔에서의 근사한 식사, 기념일 선물, 커플사진, 웨딩사진까지. 오늘날 우리가 낭만이라고 여기는 것들은 대게 만들어진 합성 이미지다. 아무도 권태로움이나 섹스리스, 다툼과 슬픔을 포스팅하진 않는다. 우리는 사랑의 시작을 지나치게 강조하면서도 정작 사랑이 어떻게 유지되는지에 대해서는 놀라우리만큼 무관심하다. 이는 알랭 드 보통의 저서 '낭만적 연애와 그 후의 일상'에서도 지적하는 부분이다.

우리가 사랑이라고 부르는 것은 사랑의 모든 단계 중 가장 첫 부분만을 일컫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현실의 결혼 생활을 마주했을 때, 거짓된 낭만이 심어놓은 기대감은 쉽사리 깨어지고 지극히 정상적인 자신의 결혼생활을 완벽해 보이는 낭만 합성 이미지와 비교하면서 불행을 느끼기 쉽다.
항상 좋은 만큼의 안 좋음이 있는 법이다. 사랑은 도파민 화학작용이 초래하는 일시적인 기쁨 이후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모든 종류의 슬픔까지도 포함한다. 소셜미디어를 통해 짙어지는 낭만적 이미지는 이런 진실을 은폐하고 미혼자들에게 결혼에 대한 비현실적인 환상을 불어넣는다. 결과적으론우리에게 상처를 입힌다.
합성된 결혼에 대한 이미지는 현실의 결혼을 초라하게 만들었다. 사랑과 결혼에 대해 일관적으로 냉소적인 태도를 취해야 한다는 건 아니다. 단지 결혼을 결심하기 앞서, 낭만 인플레이션의 함정에 빠져있던 건 아닌지 자문해봐야 할 것이다.

결혼이 사라질 미래

저자는 책의 마지막 장에서 결혼의 종말을 이야기한다. 지그문트 바우만은 <액체 근대>에서 후기 근대 사회는 기존의 사회 구조가 빠르게 해체되면서 유동성과 불확실성을 특징으로 한다고 정의했다. 그는 <리퀴드 러브>에서 사랑 또한 유동적임을 이야기했다. 결혼도 예외는 아니다. 결혼을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 여기고 이혼이나 졸혼, 비혼이 새삼스럽지 않은 사회에서 결혼은 더 이상 단단한 규범이 아니라 빠르게 유동하는 가벼운 규범이 되었다.
미래학자 자크 아탈리는 1999년 작 <21세기 사전>에서 2030년쯤이면 결혼제도가 사라질 것이라 예측했다. 2020년에 생각해보기에 2030년은 좀 이른 감이 있지만, 그 시기가 정확이 언제든 간에 결혼의 종말은 필연적으로 다가오고 있는 것 같다.
농업혁명, 로맨스의 대중화, 계몽주의, 도시화, 페미니즘은 역사적으로 결혼제도에 근본적인 변화를 야기했고 이제 성 역할의 변화, 이상과 현실의 불일치, 양극화 심화, 기대수명 증가 등의 요인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전통적인 결혼제도에 큰 균열을 내고 기이어 종말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도 자기 자신에 대하여

'결혼의 종말'이란 제목에 홀리듯 이끌려 이 책을 열었다. 이전까진 결혼에 딱히 부정적이지도 긍정적이지도 않았던 나다. 단지 나의 미래에 있어 결혼을 하는 옵션과 하지 않는 옵션, 두 가지의 극단적인 선택지 사이에서  고민해봤을 뿐이다. 하지만 '결혼하거나 안 하기'가 아닌 '결혼'에 대해선 깊게 생각해본 적이 없더라. 결혼을 마치 인생에서 마주하는 가장 극단적인 갈림길이라 생각해왔으면서도, 결혼이란 개념 자체에 대해 의심해본 적이 없다는 건 스스로도 놀란 지점이다.
책에선 결혼의 역사나 현대인의 사랑뿐 아니라 로맨스와 데이트 탄생의 역사, 섹스와 결혼의 충돌에 대한 진화심리학적 해석과 이를 전복하는 페미니스트들의 주장까지 결혼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요인, 경제적 요인, 기술적 요인을 폭넓게 다룬다. 덕분에 책을 읽으며 사랑에 대하여, 연애에 대하여, 결혼에 대하여, 무엇보다도 나 자신에 대하여 스스로 생각해볼 수 있다.
할머니 할아버지는 서로가 그들의 부모님이 정해준 상대였다. 연애 없이 결혼했고 할아버지는 결코 다정한 남편이 아니었지만, 당시의 아내는 남편의 폭력성을 이유로 이혼을 요구할 수 없었다. 그저 전통적인 성 역할에 맞춰 순종적이지만 억척같이 자식을 키워냈다. 엄마의 결혼은 조금 달랐다. 대부분의 직장 동료는 결혼과 출산에 발맞춰 퇴사를 택했지만, 엄마는 꿋꿋이 커리어를 이어나갔다. 덕분에 난 학부모 참관수업 때마다 교실에서 유일하게 엄마가 아닌 할머니가 온 아이였고, 어쩐지 이를 내면의 결핍으로 여겼다. 하지만 나의 결혼은 또 다를 것이다. 요즘엔 거의 대부분 결혼 후 경제활동을 접고 가정에 전념할것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결혼을 하더라도 부부가 맞벌이를 하며 의도적으로 아이를 낳지 않는 딩크족도 꽤 많다.
도서 '결혼의 종말'은 결혼의 부정성만을 강조하면서 비혼을 조장하려는 게 아님을 밝힌다. 다만 사랑, 섹스, 연애, 결혼에 대해 선명하게 생각해보고 저마다의 세계관을 확장할 것을 돕는다. 할머니와 엄마, 나는 한집에 살지만 각자 다른 세상을 산다. 그녀들이 따라왔던 전통적인 결혼제도가 과연 나에게도 유효할까 하는 근본적인 물음. 그곳에서부터 사랑에 대한, 연애에 대한, 무엇보다도 나의 미래에 대한 진정한 사유가 시작될 것이다.
[송민형 에디터]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4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삼성선물의 제로데이, 다른데랑 뭐가 달라? 운영자 24/06/18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3677595 광교의 도심접근성을 알아보자 [9] ㅇㅅㅇ(223.62) 21.05.19 183 1
3677594 서울 중심인데 이름이 이상한 동네 갑 ㅋㅋㅋ [2] ㅇㅇ(219.249) 21.05.19 188 0
3677593 앞으로 20대 흙수저남의 분노는 어떡하냐 ㅇㅇ(39.7) 21.05.19 82 2
3677592 분당 위례 광교 지들끼리 싸우는거 보면 [3] ㅇㅇ(218.53) 21.05.19 109 0
3677591 요즘 광교가 핫하네 ㄷㄷㄷㄷㄷㄷ [1] ㅇㅅㅇ(223.62) 21.05.19 119 0
3677590 코인 할인 하는데 지금 사야 부자된다 ㅇㅇ [4] ㅇㅇ(211.252) 21.05.19 166 1
3677589 질문) 2주택자 부모님과 무주택자식 고민좀 [5] EXIT(221.151) 21.05.19 132 2
3677588 검단 ㅈ 되부럿네 [1] ㅇㅇ(115.126) 21.05.19 209 2
3677587 나 광교사람 아닌데 광교 진짜좋음 인정ㅋㅋㅋ [3] ㅇㅇ(106.102) 21.05.19 155 1
3677584 워뇨띠라는애 오늘 숏쳐서 하루만에 1300억 벌었데 ㅅㅂ ㅋㅋㅋㅋㅋㅋㅋ [2] ㅇㅇ(116.33) 21.05.19 416 0
3677583 한남동 유엔 구석탱이 고급빌라 가격 ㅇㅇ(121.129) 21.05.19 194 1
3677579 150억을 굴리는 순자산 100억횽입니다. 근데 [3] 무소유(118.235) 21.05.19 138 1
3677578 저평가단지 목록 [1] ㅇㅇ(183.99) 21.05.19 220 7
3677577 <과천 20억기념> 과천 GC의 하루 브이로그 [7] ㅇㅇ(118.235) 21.05.19 582 13
3677576 꼭 애매한 급지 애들이 단합력이 높음 [28] ㅇㅇ(39.7) 21.05.19 1092 23
3677575 미국같은 자본주의 나라의 권력자들이 검은돈을 더 좋아하는듯 [1] ㅇㅇㅇ(124.49) 21.05.19 53 0
3677573 이름때문에 손해보는 동네 원탑은 여기지ㅋㅋㅋㅋㅋㅋ [4] ㅇㅇ(223.38) 21.05.19 303 15
3677570 부갤새끼들 죄다 걸러야겠다 [1] ㅇㅇ (223.38) 21.05.19 85 2
3677569 부갤 특 ㅇㅇ(59.22) 21.05.19 63 1
3677568 코인 땜에 곡소리가 들리는구나.. 멘탈약한애들은.. [9] 대우자동차 (223.38) 21.05.19 881 3
3677566 도대체 비트코인 같은 검은돈 거래소를 허가하는 나라가 제정신인가? [2] ㅇㅇㅇ(124.49) 21.05.19 95 0
3677564 서울에 한강이 있다면 ㅇㅇ(175.127) 21.05.19 65 0
3677563 도지코인을 370원 밑에서 샀으면 20% 넘게 먹는구나 [1] ㅇㅇ(223.62) 21.05.19 122 0
3677562 GTX C 사업신청서 접수 [14] ㅇㅇ(121.166) 21.05.19 1703 23
3677561 이름 때문에 손해보는 동네 [14] ㅇㅇ(39.7) 21.05.19 374 2
3677560 신도시별 야경.jpg [7] ㅇㅇ(175.198) 21.05.19 570 2
3677559 중국스러운 아파트라는건 이런거 [3] ㅇㅇ(211.217) 21.05.19 230 1
3677558 실거주 2년 고민 [1] ㅇㅇ(223.38) 21.05.19 96 0
3677556 이제 2030 돈버는거 끝났노? [2] ㅇㅇ(175.223) 21.05.19 165 1
3677555 부갤에서 평촌 개무시하길래 가격봤더니 [12] ㅇㅇ (223.38) 21.05.19 393 10
3677554 일산은 입지 말고는 깔 수가 없음 [16] ㅇㅇ(223.39) 21.05.19 958 22
3677552 DSR 계산점..ㅜㅜ(재업..) 패밀리마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9 80 0
3677551 부갤실명제 도입해야한다 -> 개추 ㅇㅇ(182.229) 21.05.19 25 1
3677550 준중형이 창피한거지 ㅇㅇ(1.233) 21.05.19 62 0
3677548 과천 제일 싼 집 9단지 16평 13억 실거래 [4] ㅇㅇ(58.230) 21.05.19 255 10
3677544 검찰 비트코인 고가매도 ㅋㅋㅋㅋ ㅇㅇ(219.249) 21.05.19 172 1
3677543 이거 생기면 집값 영향좀 받냐? [2] ㅇㅇ(115.126) 21.05.19 107 0
3677542 송도는 앞으로 수직상승한다고 보면 된다 [9] ㅇㅇ(182.229) 21.05.19 285 1
3677541 현직 2030인데 2030새끼들 돈 날려도 싼이유 [6] ㅇㅇ(223.38) 21.05.19 317 10
3677540 흔들어라 이기야 ㅇㅇ(1.241) 21.05.19 28 0
3677539 밴봉장님 대우자동차님 괜찮으세요? ㅇㅇ(39.7) 21.05.19 111 1
3677536 버핏은 점심식사만 한끼 대접 받아도 서민 평생 돈벌치만큼 받고 [1] ㅇㅇ(115.126) 21.05.19 72 0
3677533 광교는 우선 전국구급 야경을 자랑함 [51] ㅇㅇ(121.166) 21.05.19 2790 37
3677532 월판선 2025년 개통이냐? [2] ㅋㅋ(116.127) 21.05.19 109 1
3677530 버핏은 돈 의미없는 나이인데 왜 계속 벌려그러지 [6] ㄱ..(106.102) 21.05.19 108 0
3677529 유시민 일장춘몽 근황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20] ㅇㅇ(1.233) 21.05.19 2415 35
3677528 왠지 부천쪽 엄청 뜰거같다 [4] ㅇㅇ(112.168) 21.05.19 295 5
3677527 부산시민공원 재개발 아파트 앞으로 많이 오를까? [3] ㅇㅇ(121.174) 21.05.19 127 0
3677526 비트코인, 28% 급락해 3만달러선까지 위협…시총 565조원 증발 [1] ㅇㅇ(175.223) 21.05.19 159 1
3677525 의대가 최강인게 수능만 잘보면 월천보장이라 [3] ㅇㅇ(223.33) 21.05.19 15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