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선진국 만든 김대중, 미국 영국 언론이 평가한 성공 이유~"

ㅇㅇ(110.8) 2024.03.16 12:16:48
조회 119 추천 1 댓글 2

"선진국 만든 김대중, 미국 영국 언론이 평가한 성공 이유~"




"월드컵 개최 효과, 한국이 일본 앞섰다"


외국 언론, 국가 이미지 제고


첨단 IT 기술 과시 등 비교


프레시안 이영태 기자 입력2002.06.04. 오후 2:47

2002 월드컵을 공동개최하는 한국과 일본 가운데 최후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월드컵을 국가이미지 제고기회 등으로 활용하는 전술적 효과에 관한 한 한국이 일본보다 낫다는 것이다.

한국은 특히 IMF 이후 기업구조조정과 정보통신산업 등 첨단기술 발전상황, 월드컵을 이용한 국가선전효과 등에서 일본을 앞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비즈니스위크 "일본은 무기력, 한국은 축제분위기"

3일 발행된 미국의 경제주간지 비즈니스위크는
'한국의 큰 성공(South Korea's Big Score)'이란 제목의 사설을 통해 월드컵 공동주최국인 한국과 일본을 비교했다. 비즈니스위크는 전 세계 축구팬들은 월드컵을 통해 경제적으로 부유하지만 장기간의 경기침체와 정치 리더십 부재로 무기력해진 일본과, 1/4분기 경제성장률 5.7%에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 세계 1위를 자랑하는 축제분위기의 한국을 보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비즈니스위크는 한국이 구조조정을 통해 문어발 경영을 일삼던 재벌들의 업종을 좀 더 전문화하는 데 성공했다며 세계적인 자동차 그룹이 된 현대자동차와 제품디자인상 수상으로 주목을 받은 삼성전자를 예로 들었다. 한국이 IMF 구제금융이라는 치욕을 벗어나 세계에서 가장 수익성 좋은 증권시장을 만드는 데 성공했고 국가신용등급도 상승하고 있다는 칭찬이다.


비즈니스위크는 한국에는 이처럼 외형적인 발전상 외에도 국민들의 가치관에 보다 근본적인 변화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즉 재벌기업들은 더 이상 일류대 출신 취업희망자들의 선망대상이 아니며 IMF 이후 창업된 벤처기업 등 1만1천개의 회사들이 한국 기업문화를 정착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비즈니스위크는 또 한때 금기시됐던 남북군사대립 문제와 조폭 같은 주제들이 위험을 무릅쓴 한국 영화제작사들의 개척분야로 자리잡고 있으며 한국 국민들의 생활양식과 직장문화가 보다 다양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비즈니스위크는 제위기 극복 등 한국의 놀라운 변화를 일으킨 공로는 김대중 대통령과 그의 경제팀에게 돌아가야 하지만 김 대통령은 최근 아들과 측근들의 비리연루 의혹으로 지지도가 떨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김 대통령의 후임자는 한국의 장래를 위해 개혁드라이브를 지속해야 하며 시작은 정계비리 청산이 돼야 한다는 충고다.

비즈니스위크는 그럼에도 김 대통령 시대는 상명하달식 관치경제에서 보다 개방적이고 역동적이며 하이테크놀로지가 움직이는 경제로 근본적인 변신에 성공했다고 평가하고 "월드컵 협찬 맥주잔을 들어 한국과 건배하자"고 제안했다.




FT "경제가 살아야 축구도 잘 한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3일 월드컵 축구의 영향력에 대한 골드만삭스의 보고서를 인용해 한국과 일본이 월드컵 개최와 경기부양이란 이중의 효과를 노리고 있다며 한국이 일본보다 유리한 입장에 있다고 분석했다.

골드만삭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월드컵 축구를 개최한 프랑스 미국 이탈리아 멕시코 등 4개국 가운데 축구 국가란 이름을 얻지 못하고 있는 미국만 경제적 효과에서 이득을 보지 못했다. 반면 "한국과 일본은 FTSE(Financial Times Stock Exchange) 세계지수와 국내지수를 비교했을 때 이미 월드컵 축구열기로 득을 보았다."

보고서 편집자인 짐 오닐은 월드컵을 통한 경기부양이라는 추진력에 있어서 한국 경제가 일본 경제를 앞설 것이라고 예측했다. 일본의 경우 16억 달러를 들여 지은 7개의 신축경기장 때문에 "거대한 경기장의 건설비 청구서와 일상 운영비용으로 지방당국이 큰 빚더미에 올라 앉았다"는 것이다.

오닐은 한국에 대해서는 보다 낙관적인 견해를 펼친다. 그는 "한국은 일본과 달리 지난 98년 아시아 경제위기에서 배웠으며 일부 필요한 구조조정을 추진했다"고 말했다.

골드만삭스 보고서는 1인당 국민총생산(GNP)과 축구의 성공사이에 있는 '매우 느슨한 형태의 상관관계'를 지적하기도 했다. 올해 월드컵 본선에 참가하는 32개국은 캐나다를 제외한 선진공업국 G7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세계 총생산의 84%를 차지하고 있다.

보고서는 1966년 이래 월드컵 축구에서 승리한 선진국들의 증권시장이 세계지수에 비해 9% 이상 높았다고 강조했다.




AWSJ "2002 월드컵은 한국 첨단기술의 경연장"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AWSJ) 3일자
'한국 하이테크의 목표들' 기사는 "한국이 월드컵을 통해첨단기술의 위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부문에서 라이벌 일본을 상당히 앞섰다"고 보도했다.

AWSJ 국 정부가 인천국제공항에 1백3대의 국산 대형 HDTV(고화질 TV)를 설치하고 초고속 인터넷 접속망을 갖추지 않은 일부 호텔 등에 이를 무료로 이용하도록 조치했다며 이는 한국이 IT산업에서 일본에 앞섰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54%를 넘어선 초고속 인터넷 이용 가구수(일본 13%, 미국 6.3%)와 수출물량중 25%를 넘어선 IT산업의 비중 등을 예로 든 AWSJ는 주종옥 정보통신부 과장의 말을 인용해 "이번 월드컵을 통해 한국에 대한 세계 각국의 인식이 달라질 것을 의심치 않는다"고 밝혔다.

이영태/기자


"1868년 ' 메이지 유신 '
근대화를 조선보다 먼저 시작한 일본에 120년 동안 굴욕을 당하던 한국은
' 3차 산업 혁명 디지털 IT ' 를 먼저 선점하고 "지원은 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는 문화산업 육성 철학을 통해
세계 최고의 IT 인프라와 컨텐츠를 동시에 육성해 클릭 한번에 한국문화를 즐기며 한국상품도 소비하게 하고
나노산업. 바이오산업. 신재생에너지산업. 항공우주산업. 문화산업 육성과 미래과학기술에 투자한

김대중의 한국은 선진국 대한민국이 되어 글로벌 소프트 파워 2위에 등극했다."


선진국 대한민국이 되는데 많은 한국인들의 피와 땀과 희생이 있었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AD [삼성선물] 제로데이옵션이 뭐임? 운영자 24/05/07 - -
AD 이베스트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공지 부동산 갤러리 이용 안내 [310] 운영자 05.05.27 452614 914
7200495 이 세상은 시뮬레이션임 현실이 게임과 닮음 부갤러(219.100) 18:11 5 0
7200494 내가 방시혁이었으면 대표이사 죽여버리고 싶겠다 ㅋㅋㅋㅋㅋㅋ [2] 틀딱킬러(1.228) 18:10 7 0
7200493 서울은 그냥 만차주차장 이라고 보면된다 퐁락이조련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0 6 0
7200492 래미안 현수막 분당 양지마을 게시 [2] 부갤러(106.101) 18:09 10 0
7200491 영끌이들은 집을 산게 아니라 집을 빌린거임 [2] ㅇㅇ(110.70) 18:09 10 0
7200490 주변 부동산 매수사례들이 요즘 늘어나는 중 [1] top(211.234) 18:09 4 0
7200489 국내 자영업 망하는 이유 ㅇㅇ(223.33) 18:09 13 0
7200488 미워할 거야~~~~~~~ 서울인(218.235) 18:07 8 0
7200487 역시 못배운놈들이라 아줌마들 처럼 우상향 타령하네 [4] 부갤러(219.100) 18:06 29 0
7200486 7월 0.25% 되면 긴축. 여기 올 필요 없고 0.5% 되서나 와야지 [1] 일본 전망 퍼펙트(106.101) 18:05 19 0
7200484 인도출신이 세계를 장악하고있다 인도를 배워라 [1] ㅇㅇ(49.166) 18:03 11 0
7200483 걍 실거주한채 사라 퐁락이조련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3 10 0
7200482 구성남 수진구역은 고평가되어있다 [5] ㅇㅇ(172.226) 18:02 22 0
7200481 " 아이를 낳지 않으면 춤을 출꺼에요. " [1] ㅇㅇ(211.36) 18:01 22 0
7200480 내가 담배피는 여자 별로인 이유 [1] ㅇㅇ(110.70) 18:01 17 0
7200479 서울보다 천안,구미가 더 크다.. 부갤러(221.145) 18:01 19 0
7200478 씨불놈들아 인증이나 해봐ㅋㅋㅋㅋㅋ [4] ㅇㅇ(118.235) 18:00 40 0
7200477 586부1동산 상폐녀 연금 보험 설거지 부갤러(39.7) 17:58 12 0
7200475 은행원 평균 연봉 1억 가뿐히 넘겨…토스 1.3억 '톱' [1] ㅇㅇ(106.102) 17:58 24 1
7200474 퐁락이는 벼락거지 [1] ASDF(121.137) 17:58 18 0
7200473 이대남들 보면 최악의 세대가 맞는듯 ㅇㅇ 이유 있음 [7] ㅇㅇ(223.38) 17:57 36 1
7200472 집값 오른다고 좋아하는 새끼는 저능아이네 [5] 부갤러(219.100) 17:57 36 0
7200471 토지도 오르는 곳만 오르네 [2] ㅇㅇ(211.235) 17:57 34 0
7200470 20평대 소형평수 동대문 휘경sk뷰 vs 은평구 녹번 이편한캐슬 부갤러(59.10) 17:55 14 0
7200469 집 안사고 캥거루하다 안락사 하는게 답임 [4] 부갤러(219.100) 17:54 50 3
7200468 고점에 쳐물린 새끼들이 뭔 부동산을 논해ㅋㅋㅋㅋㅋ [7] ㅇㅇ(118.235) 17:54 36 0
7200467 집값은 연봉이랑 별상관없는게 퐁락이조련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54 26 0
7200466 미국 왜 자유무역 민주주의 표방하며 돈치트씀? [1] 부갤러(194.195) 17:53 16 0
7200465 시공사 새끼들 이악물고 공사비 기싸움하는 거 보면 [2] ㅇㅇ(218.145) 17:53 23 0
7200464 기다리면 반값된다 ASDF(121.137) 17:52 23 0
7200463 쫄? [5] 부갤러(219.100) 17:52 35 0
7200462 거지는 왜 서울 살고 싶어함? [3] ㅇㅇ(118.235) 17:51 36 0
7200461 부자새끼들이 거지들 집사는 것 애낳는 것 신경쓰노 부갤러(219.100) 17:51 21 0
7200460 근데 연봉에서 3배곱한 값이 적정가격아니냐 [2] ㅇㅇ(118.235) 17:50 48 0
7200459 아빠 왜 벽에 낙서하면 안되? ASDF(121.137) 17:50 16 0
7200458 여보 옆집아빠는 이번에 집 샀데 ASDF(121.137) 17:49 16 0
7200457 노도강도 상승전환했네 ㅋ [1] 퐁락이조련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9 38 1
7200456 400원만 제발 도와주실분.. [3] 부갤러(106.102) 17:48 40 0
7200455 매물은 쌓이는데 왜 신고가노? ASDF(121.137) 17:48 30 1
7200454 벳남 아가씨들 잘 찾아보면 미녀 고학력자들 좀 있던데 [2] ㅇㅇ(112.185) 17:48 24 1
7200453 강유진 바로 구속 안시키고 사람붙인 이유 ㅇㅇ(58.236) 17:48 33 6
7200452 조센징 99% 집하나 더 사는것 보다 안락사가 빠름 부갤러(219.100) 17:47 13 0
7200451 캥거루하고 부자되자 [3] ㅇㅇ(118.235) 17:46 36 2
7200450 영원히 집 모사는거냐? [1] ASDF(121.137) 17:46 25 0
7200449 너무 진지하게 안 살았다 [1] 부갤러(219.100) 17:46 19 0
7200448 준비 되가네 ㅎㅎㅎㅎㅎ 좋다 ㅎㅎㅎ [1] 일본 전망 퍼펙트(212.102) 17:45 37 0
7200447 많은 선택을 받은 덕계역 블루시엘 아파트 [1] tmddy1126(222.238) 17:45 20 0
7200446 여중대장 심리 안정위해 귀향 조치 ㅇㅇ(112.220) 17:45 26 0
7200445 부갤 여기 존나 신기한곳이네 [2] ㅇㅇ(175.223) 17:44 51 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