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념글 올라가면 이 전에 쓴 글 지우고 다시 올림..)
* (중요!!) 주어진 순서대로 화료 연습을 해가며 알아가라는 뜻인가요?
아닙니다. 이 그림은 테크트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어느 정도 공통점을 가지는 역끼리 순서를 지어 각각의 역들을 이해하기 쉽도록 이어 놓은 도표입니다.
(구련보등보다 녹일색이 쉬운 편이고, 무엇보다 천화보다 해저로월&하저로어가 더 쉽습니다.)
공통점을 바탕으로 이런 역이 있구나를 이해하고, 실전에서 생각날 때마다 만들어 봅시다!
* 그래도 화료 연습을 하는 순서를 알려준다면?
① 초급역 5대장(멘젠쯔모, 핑후, 탕야오, 리치, 역패)을 연습한다.
② 익숙해지면 중급역 3대장 (중에서 삼색동각은 어려우니 무리하게 안 노려도 됨), 대대화, 치또이를 연습한다.
③ 나머지 역들을 이해하고 연습해 본다.
초심자는 패가 잘 붙는 경향이 있으므로 역만각이 보이면 항상 검색! 역만은 셈 역만을 빼면 크게 11종류이므로, 검색하기 어렵지 않다.
* 노리기 어려운 역도 많아보이는데, 다 해봐야 하나요?
우연에 의한 역이 참 많다는 것을 느끼실 겁니다. 판수가 쌓이면 어느정도 채워가게 되어 있으니 무리하게 다 채우려고 하지는 맙시다.
* 요구패, 노두패, 자패가 뭔가요?
요구패 : 노두패와 자패를 이르는 말입니다.
노두패 : 수패 중 1, 9 패를 이르는 말입니다. (얘네만으로 이루어진 역을 청노두라 합니다.)






자패 : 삼원패(백, 발, 중), 풍패(동, 서, 남, 북)를 이르는 말입니다. (얘네만으로 이루어진 역을 자일색이라 합니다.)







참고로 자일색보다 청노두가 더 어렵습니다. 이유는 한종류가 더 적으니까.
* 슌쯔가 뭐고 커쯔가 뭐죠?
슌쯔 : 1 차이씩 나는 세개의 수패가 연속으로 배열된 3장의 조합
커쯔 : 같은 세개의 패가 모인 3장의 조합
* 멘젠 한정역, 멘젠 준한정역이 무엇인가요?
멘젠 한정역이란 치펑깡 등 '부르기'를 한 뒤에는 성립시킬 수 없는 역을 의미합니다.
가장 많이 실수하는 멘젠한정역에는 이페커가 있습니다. (조심합시다!)
멘젠 준한정역이란 치펑깡 등 '부르기'를 한 뒤에 날 수는 있지만 판수가 1 떨어지는 역을 의미합니다.
한정역과 다르게, 혼일색, 청일색 같은 역은 기본 판수가 높아 부르기 이후에도 역을 만들기에 자주 애용됩니다.
* 역만은 뭐고 더블 역만이 무엇인가요? 헤아림 역만은 무엇인가요?
역만은 마작에서 단일 조합으로 최고 점수를 낼 수 있는 패 조합을 뜻합니다.
판 수로 따지면 13판에 해당합니다.
더블 역만은 일부 게임에서만 인정되는 것으로, 텐파이 형태를 만들기 어려운 역만역에 대해 주는 보너스라고 보시면 편합니다.
작혼에서는 인정되지만 천봉에서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헤아림 역만은 역만 역이 아니라도 13판 이상을 넘어갈 때 역만으로 인정해 주는 점수 규칙입니다.
* 인화, 유국 만관은 무엇인가요?
인화란 천화, 지화가 쯔모로 만드는 역이라는 것과 다르게 론으로 만드는 역입니다.
자신의 첫 쯔모 전에 텐파이 상태이고, 다른 플레이어가 오름패를 냈을 때 나면 성립하는 역입니다.
게임마다 인정해주는 점수가 다르고, 아예 역으로 쳐주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국만관이란 자신의 버림패가 1, 9등 요구패와 자패(삼원패 + 풍패)만으로 이루어지고, 상대가 내 패를 울어가지 않았을 때
유국되는 경우 성립하는 역입니다. 이 역시 게임마다 인정해주는지 여부가 다릅니다. 작혼에서는 만관역으로 인정해주고 있습니다.
* 로컬역이라는 건 뭔가요?
위에 있는 역부터 다 배우고 나중에 알아봅시다.
같이 보면 좋을 글 : https://gall.dcinside.com/majak/5543 (각각의 역을 설명해놓은 글입니다.)
=========수정 사항==========
1. 멘젠 준한정역에 대해 가독성 떨어지는 기울임체를 제거하고 회색 글씨로 바꿈
2. 리치일발 역을 추가하였음
3. 유국 만관, 인화, 형식 텐파이 등 애매한 역들을 추가하였음
4. 배경색을 넣어 가독성을 개선하고자 노력함
5. 삼암각의 판수를 3판에서 2판으로 수정(2판이 맞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