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추천 교재 목록 (1) - by 아계산귀찮아 복원글

ㅇㄷ(175.127) 2012.01.27 00:12:13
조회 31277 추천 50 댓글 4

최근 들어 학부 교과서 추천 공지를 만들어 보자는 글이 종종 올라오기에 몇 자 적어봅니다.

고등학교 과정

교과서나 시중에서 유명한 문제집 등은 다 아실테니 덜 알려진 교재만 나열하겠습니다.

Lang, Basic Mathematics
미국의 유명한 프랑스계 수학자 Serge Lang은 살아 생전에 60권에 달하는 교과서를 집필했습니다. (많이 쓸 때는 일년에 세 권씩도 썼지요) 혼자서 기초 수학부터 대학원 과정의 수학까지의 교과서를 다 집필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진데, 그 중 고등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책이 바로 <Basic Mathematics>입니다. 400쪽 정도의 책에 미국의 고교과정을 모두 실었는데, <수학자가 바라보는 고교 수학>을 알고 싶다면 좋은 책입니다.

Lehoczky/Rusczyk, The Art of Problem Solving vol. 1 & 2
아실만한 분들은 다 아실 mathlink를 탄생시킨 장본인이 바로 이 책입니다. 중국 사천대학의 <올림피아드 수학의 지름길>시리즈와 비슷하되 조금 더 쉽고 설명이 더 잘 되어있다고 보면 되겠군요. 경시수학의 기초를 닦는데 괜찮은 책입니다.

Engel, Problem-Solving Strategies
독일에서 IMO대비로 쓰이던 문제들을 하나로 엮은 교재입니다. 많이 어려운 책이지만 <IMO Compendium>을 풀면서 맨땅에 헤딩하는 것보다는 쉽습니다. 상당히 체계적으로 쓰인 책이라 경시대회 준비용으로 괜찮습니다만, 쉽게 빠르게 읽을 수 있는 책은 절대 아닙니다.

미적분

'Thomas/Weir/Hass/Giordano, Thomas' Calculus
Stewart, Calculus
사실 시중에 나와있는 미적분 교재의 대부분이 그게 그겁니다. 계산능력을 키우시려면 아무 교재나 사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아무래도 Thomas나 Stewart가 유명한 교재니 나열은 해야겠지요.

Spivak, Calculus
Apostol, Calculus, vol. 1 & 2
미국 고교 교육과정에 미적분이 없던 시절에 유수 대학에서 <미적분을 한번도 공부하지 않은 수재들>에게 차별화된 교육을 제공해야 하지 않겠냐는 취지 하에 쓰여진 교재들이 여러 권 있습니다. Spivak과 Apostol이 대표적인 교재인데 <미적분을 한번도 공부하지 않은 수재들>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지금도 시카고대의 MATH 16100-16200-16300나 MIT의 18.014-18.024 등 Spivak 또는 Apostol을 교재삼아 신입생을 가르치는 곳이 존재합니다. Spivak과 Apostol를 비교를 하자면 Spivak은 쉬운 해석학 책, Apostol은 어려운 미적분학 책 정도 되겠네요. Spivak만 봐서는 계산능력을 기르기가 쉽지 않겠지만, Apostol만 보면 해석학은 별로 공부하지 않은 것이 되겠지요.

Hardy, A Course of Pure Mathematics
Courant, Differential and Integral Calculus vol. 1 & 2
전통이 있는 학문을 공부하는 학생은 종종 고전을 접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문학도라면 아무리 현대문학을 좋아해도 셰익스피어와 춘향전을 읽어야 마땅하고, 음악도라면 별로 마음에 안 들어도 바흐나 헨델을 한번 쯤은 공부해 봐야겠지요.
'수필집 <A Mathematician's Apology>의 저자이고 인도의 천재 수학자 라마누잔을 발굴한 장본인으로 유명한 G. H. Hardy의 <A Course of Pure Mathematics>는 영어권에서는 최초로 쓰여진 <엄밀한 미적분>교과서인데, 이후 모든 기초 해석학 및 미적분 교과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아주 중요한 교재입니다. 20세기 초반에 케임브릿지에서 1학년용 교재로 쓰던 책이기도 한데, 요즘 대학 1학년생이 보기엔 조금 무리인것 같기도 하네요. 하디는 글을 아주 잘 쓰는 터라 문학 작품이라고 생각하고 읽어도 괜찮습니다. <수학적 글>을 잘 쓰는 방법도 배워야 하지 않겠습니까.
순수수학의 수호자였던 Hardy와 달리 응용수학의 신봉자였던 Courant (응용수학쪽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NYU의 수학과에 Courant의 이름이 붙어있지요)가 쓴 미적분학 책은 엄밀하긴 하되 해석학적 테크닉에 치중하기 보다는 당장 써먹을 수 있는 도구를 많이 (아주 많이) 제공합니다. 보통 미적분 책에서는 더 이상 푸리에 해석이나 복소선적분 등도 찾아볼 수 있지요.

선형대수학

Hoffman/Kunze, Linear Algebra
선형대수의 바이블인 H/K입니다. 아직도 이보다 깔끔한 교재는 없는 듯 한데요. Module도 나오고 PID도 나오니 조금 어려울 수도 있겠네요.

Friedberg/Insel/Spence, Linear Algebra
H/K의 현대판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H/K에 나오는 중요한 내용은 다 나오고 추상대수에서 배워도 될 법할만 내용은 과감히 삭제한 교재입니다.

Halmos, Finite-Dimensional Vector Spaces
필력충만으로 유명한 Paul R. Halmos가 집필한 선형대수의 고전입니다. 함수해석쪽으로 지나치게 치중한 면이 없잖아 있지만, 이러나 저러나 상당히 괜찮은 교재입니다. 다른 교재로 선형대수를 공부하더라도 <수학적 글쓰기>를 배우기 위해서 한번 쯤을 읽어볼 만한 책이지요.

Axler, Linear Algebra Done Right
Axler는 <행렬식에 치중한 선형대수 교과서들이 선형대수를 쓸데없이 어렵게 만든다>라는 철학에 근거해 쓰여진 약간은 엉뚱한 교재입니다. 따라서 마지막 챕터 전에는 행렬식이 아예 안 나옵니다만, 나름대로 괜찮은 교재입니다. 하버드의 Math 25에서 쓰이는 교재이기도 하지요.

Strang, Linear Algebra with Applications
계산적 요소에 조금 더 무게를 두는 교재도 나열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적절히 유명한 교재입니다. 딱히 뭐라 할 말은 없네요.

기초 해석학

Rudin,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그 유명한 루딘삼종세트의 첫 타자인 PMA입니다. 하루가 멀다하고 쓰여지는 것이 해석학 교재이지만, 아직도 PMA의 첫 여덟 챕터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지요. PMA가 너무 어렵다거나 이미 해석학을 배웠고 정리 하나 하나를 찾을때 마다 연습문제를 풀어야 하는 것이 귀찮은 경우가 아니라면 기초 해석학 교재로 PMA가 아닌 다른 교재를 주교재로 사용해야 할 이유가 없습니다. 물론 수학을 공부함에 있어서 한 과목당 교재를 하나만 사용하는 것은 위험하긴 합니다만...
아, 그리고 챕터 9, 10, 11은 비추입니다. 특히 챕터 10으로 스토크스 정리를 배우려 한다면 목숨이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Strichartz, The Way of Analysis
PMA에 부연설명을 잔뜩 추가해서 교재를 3배정도로 늘리면 나올법한 책입니다. 설명은 괜찮은데 말이 너무 많다랄까요. 교재로써는 좋지만 참고서로써는 별로인 책입니다.

Apostol, Mathematical Analysis
Tom M. Apostol은 해석적 정수론을 연구하는 수학자인데, 학생들을 최대한 빨리 해석적 정수론을 공부할 수 있는 단계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적으로 교재들을 집필했던 것 같습니다. <Mathematical Analysis>는 Apostol시리즈의 두번째 교재인데, Apostol답게 매우 깔끔하고 지루한 책입니다. PMA와는 달리 있을 만한 정리는 다 증명과 함께 적혀있으므로 참고서로 괜찮은 책입니다.

Abbott, Understanding Analysis
위에 나열한 교재들보다는 조금 낮은 레벨의 교재인데, 제가 아는 단학기 해석학 교재 중에서 이보다 좋은 교재는 없습니다. "" 2001년에 출판된 상당히 최근 책인데, 미국수학협회에서 "교수들이여, 교과서가 당신의 강의보다 이해하기 쉬운 불상사를 초래하고 싶지 않다면 이 책을 교과서로 쓰지 마라"라는 평을 내릴 정도로 정리가 잘 된 책입니다.

Gelbaum/Olmsted, Counterexamples in Analysis
<요걸 요렇게 바꿔놓으면 어쩔꺼요?>하고 사사건건 트집을 잡아주는 아주 유용한 교재입니다. 물론 이 교재 하나만으로 해석학을 공부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다른 교재를 주 교재로 쓰면서 참고서로 쓰기 적절한 책입니다.

...나머지는 다음에 더 쓰기로 하지요.

추천 비추천

5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공지 수학 갤러리 이용 안내 [161] 운영자 06.01.18 58817 75
407465 아래 방정식 문제 힌트 다크초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2 22 0
407464 한줄이지만 개어려운 방정식 문제 수(상) [9] 다크초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5 83 0
407463 수학갤의 미스테리 1 수학한다고깝치는병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27 0
407462 여자들 공과 사 구분못하고 개소리하는거 ㅈㄴ 짜증난다. 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0 24 0
407461 형들 좌표 읽을때 어떻게 읽어? [4] 왕회장(122.42) 09:28 32 0
407460 '규정타석'과 '규정이닝'을 수학의 관점에서 보면 어떤 의미가 있나요? [1] 제임스딱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4 24 0
407457 진짜 저능아도 아니고 예체능 왜 했지... [2] 수갤러(223.38) 04:20 38 1
407456 쎈B 3-2 교사용 pdf 구하고 싶은데 [1] 호옹이(59.11) 02:24 30 0
407455 백수 수포자 일차함수 질문 있다 [4] 수갤러(211.234) 01:50 60 0
407454 수학자 이상으로 똑똑한게 과학자 마술사 바둑기사 프로그래머 해커 ㅊㅌ(223.39) 01:44 29 0
407453 수학자보다 더 똑똑한게 마술사 같은데 ㅊㅌ(223.39) 01:35 29 0
407452 미적분 표기법은 너무 날림이라는 느낌이 강함 [7] ㅇㅇ(125.243) 00:33 71 0
407451 밑에 수(상) 풀이 올려줌 [7] 수갤러(117.123) 00:25 95 2
407450 정답률 50퍼센트 문제) ㅇㅇ(118.235) 00:25 39 0
407449 치환적분으로 푸는 문제가 맞나요…? [2] 수갤러(61.39) 00:09 48 0
407448 0.99999....는 1이 아님 [6] ㅇㅇ(1.238) 06.14 72 3
407447 이거풀어봐라 [2] 수갤러(211.211) 06.14 87 1
407446 “쓰레기가 노력의 힘으로 천재를 꺾는다.“ [2] 수학한다고깝치는병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78 0
407445 이거 혹시 무한 맞음? [2] 수갤러(61.82) 06.14 70 1
407443 수(상) 한문제 제발 풀어주세요 [5] 신시아(121.141) 06.14 85 0
407442 졸린약을 없애야 ㄷㄷ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31 0
407440 고등학교 후배 등 지인들에게 마약을 판 혐의를 받는 20살 여성이 구속 고등학교 후배 등 지인들에게 마약을 (211.170) 06.14 29 0
407439 수학 증명 도와주세요 [1] 수갤러(180.81) 06.14 60 0
407438 강남경찰서는 14일 도로교통법상 음주운전·사고 후 미조치, 특가법상 위험 [2] 강남경찰서는 14일 도로교통법상 음주(211.170) 06.14 37 1
407437 진짜 저능아도 아니고 예체능 왜 했지... [5] 수갤러(223.33) 06.14 116 1
407436 까마귀 [1] 수갤러(211.234) 06.14 35 0
407435 이거 조건더 필요한가요? [6] 수갤러(221.168) 06.14 95 0
407434 아 조교시험도 봐야하네 ㄷㄷ [1] 수갤러(211.234) 06.14 52 0
407433 대학원 붙긴 했는데 막막하네.. [1] 수갤러(211.234) 06.14 79 0
407432 평균편차랑 표준편차 차이 자세히 설명해줄사람 ㅇㅇ.. 수갤러(211.114) 06.14 28 0
407431 어쩌면 우리 살아있을때 (노인이 될지라도) [6] ㅇㅇ(49.170) 06.14 57 0
407430 수학을 취미로 하려면 고등학교 문제풀이 공부는 지양?? [4] 수갤러(210.210) 06.14 67 0
407429 오일러 vs 가우스 듀라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39 0
407428 진짜 도저히ㅜ모르겠다 알려주면 절하러감 [2] 수갤러(183.97) 06.14 72 0
407426 세계의사회(WMA) 산하 세계젊은의사협의체(JDN) 회의에서 참석자들과 세계의사회(WMA) 산하 세계젊은의사(121.134) 06.14 20 0
407425 서울북부지방검찰청이 신영대 국회의원의 전 보좌관을 알선수재 혐의로 구속 서울북부지방검찰청이 신영대 국회의원의(121.134) 06.14 18 0
407424 이숙연 고법판사는 여의도여고와 포항공대 산업공학과를 졸업하고 1997년 이숙연 고법판사는 여의도여고와 포항공(121.134) 06.14 19 0
407423 13일 오후 5시40분께 서울지하철 2호선 교대역 부근 다수의 법무법 13일 오후 5시40분께 서울지하(211.170) 06.14 24 0
407422 0.9999999.... < 1임 [10] ㅇㅇ(117.111) 06.14 97 2
407421 1,2번식은 이해하겠는데 3으로 가면서 왜 -1이 되는거임?? [2] 유니버스프라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66 0
407420 인구밀도 지수함수랑 주기함수로 함수식 좀 만들어 줄 수 있습니까 ㅠㅠ 수갤러(121.159) 06.14 24 0
407417 오일러 vs 가우스 듀라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33 0
407416 고1 노베입니다 EBS 50일수학 다음 들을거.. [4] 수갤러(115.138) 06.13 72 0
407415 0.999999999999... = 1 엄밀하게 증명해보겠음 [1] 수갤러(211.234) 06.13 72 2
407414 석사 vs 석박통합 수갤러(211.234) 06.13 45 0
407413 확통 잘하면 주식도 잘함? [3] 수갤러(61.43) 06.13 54 0
407412 적분이 안끝나... [2] 수갤러(223.38) 06.13 73 0
407411 0.99999999999999... = 1 은 아주 간단한 증명이 있는데 [2] 수갤러(211.184) 06.13 70 0
407410 수깝병 또 떨어졌냐 [2] oversheaf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9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