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환자에겐 도움 안 되는데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정형외과수술"

백정(220.80) 2017.05.14 15:11:17
조회 478 추천 1 댓글 3

"환자에겐 도움 안 되는데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정형외과수술" 퇴행성 무릎관절질환에 관절경 수술은 "돈과 시간 낭비일 뿐"

[게티이미지뱅크][게티이미지뱅크]

(서울=연합뉴스) 최병국 기자 =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하는 정형외과 수술은 무엇일까?

14일 의약전문지 스태트뉴스 등에 따르면, 국제적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원회가 "무릎 관절경 수술은 대체로 시간과 돈을 낭비하는 일이며 퇴행성 관절 질환 환자에겐 거의 효과가 없다"고 결론내렸다.

캐나다 맥매스터대학 리드 시미니어크 교수를 비롯한 9개국 22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는 국제 의학학술지 BMJ에 이 같은 연구결과를 싣고 "거의 모든 퇴행성 관절 질환(DKD) 환자에게 관절경 수술을 하는 것에 강력하게 반대한다"고 권고했다.

이미 그동안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결과들이 많이 나왔다. 그럼에도 세계 곳곳에서 이 수술이 연간 200만 건 이상 이뤄지는 현실을 개선하고 의사와 환자, 보건당국에 도움이 될 지침을 마련하기 위해 이 국제위원회가 결성됐다.

[BMJ에 실린 논문에 포함된 도표][BMJ에 실린 논문에 포함된 도표]

위원회는 그동안의 관련 연구결과 가운데 업계 등과 금전적 관계가 없고 엄정한 국제적 연구기준에 따라 이뤄진 '신뢰도 있고 수준 높은' 것들을 가려냈다.

여기서 추려진 1천600여 명 대상의 임상시험 결과 13건과 연인원 180여만 명을 대상으로 관찰 연구한 논문 12건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위원회는 BMJ에 실은 이 논문에서 관절경 수술을 받은 퇴행성 관절질환 환자들에게 나타난 '장기적인 통증 및 기능 개선 효과'가 운동, 체중감량, 약물을 비롯한 비(非)침습적 치료를 받은 환자들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고 밝혔다.

수술에 따른 고통과 비용, 시간 등을 고려하면 환자와 국가 보건재정에 이익이 되기보다는 오히려 해롭다는 것이다.

환자가 받을 이익이 미미함에도 불구하고 이 수술이 성행하고, 일부 의료단체나 학회도 진료지침에 이런 연구결과를 반영하지 않고 있다. 미국에서만 이 수술로 인한 비용이 연간 30억 달러(약 3조3900억 원)에 이른다.

무릎관절경 수술과 기존 치료법(운동, 체중감량, 약물 등)의 장기적(1~2년)인 통증 감소 및 기능 개선 효과를 비교한 결과 무릎관절경 수술이 의료적으로 별 의미가 없는, 미미한 수준에서 더 낫긴 하지만 비용과 시간 등을 따지면 낭비에 불과할 뿐이라는 연구결과들을 설명하는 인터액티브 도표. [BMJ에 실린 논문에 포함된 도표 캡처]무릎관절경 수술과 기존 치료법(운동, 체중감량, 약물 등)의 장기적(1~2년)인 통증 감소 및 기능 개선 효과를 비교한 결과 무릎관절경 수술이 의료적으로 별 의미가 없는, 미미한 수준에서 더 낫긴 하지만 비용과 시간 등을 따지면 낭비에 불과할 뿐이라는 연구결과들을 설명하는 인터액티브 도표. [BMJ에 실린 논문에 포함된 도표 캡처]

위원회는 의사들이 이 수술을 권하고 시행해 금전적 이득을 얻는 데다 기존 비(非)수술방식 치료로 큰 효과를 보지 못한 환자들이 이를 선택하는 것을 그 배경으로 들었다.

그러나 단지 의사와 병원이 돈을 벌기 위한 것이라고만 보면 이처럼 성행하는 이유가 모두 설명되지 않는다면서 "많은 의사가 이 수술의 효과가 있다고 믿고 환자를 위해 하는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는 의사들이 새롭고 신뢰할만한 과학과 의학적 발견들을 공부하고 진료에 반영하지 않는 일이 만연해 있기 때문이라고 위원회는 지적했다.

시미니어크 교수는 "물론 새 증거가 나온 이후 그 증거가 일선에서 실행돼 관행이 바뀌기까지는 여러 해가 걸린다"면서 "그러나 이 문제는 너무 오래 지체되고 있으며, 의료계가 더 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정형외과학회(AAOS) 관계자는 이번 연구결과에 이에 바탕한 지침엔 폭넓게 동의한다면서 그러나 모든 지침엔 예외가 있다고 스태트뉴스에 밝혔다.

이 학회 '연구 및 의료의 질 위원회' 데이비드 젭시버 위원장은 "환자들이 이 치료법을 항상 100% 부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것은 잘못"이라며 "일부이지만 이 수술이 필요한 특정 환자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AAOS도 지침 개정 작업을 진행 중이라면서 그 내용은 일부 예외 조항을 빼고는 이번 BMJ에 실린 것과 많이 유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크게 5 종류로 나눈 퇴행성 관절 질환 환자와 이를 치료하는데 크게 무릎 관절경 수술과 보전적 관리요법(운동요법, 주사나 약물복용 등 포함)이 있음을 설명하는 그림.[BMJ에 실린 논문에 포함된 도표 캡처]크게 5 종류로 나눈 퇴행성 관절 질환 환자와 이를 치료하는데 크게 무릎 관절경 수술과 보전적 관리요법(운동요법, 주사나 약물복용 등 포함)이 있음을 설명하는 그림.[BMJ에 실린 논문에 포함된 도표 캡처]

◇ 퇴행성 관절 질환 = 무릎 연골의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 때문에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생겨 염증과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관절 부위 염증성 질환 중 가장 흔하다.

40~50대 이후에 많이 나타나지만 30대에도 있다. 중년 이후엔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보다는 노화로 인한 신체기능 저하나 오래 써서 자연적으로 닳는 등의 퇴행성 원인이 대부분이다.

치료법으로 운동과 물리치료, 체중감량, 약물, 수술 등이 있다. 특히 작은 구멍을 내가느다란 내시경을 넣어 수술하는 관절경 수술의 경우 절개부위가 작고 상처 치유가 빠르다는 장점이 강조되고 있으나 비싸고 효과는 약물이나 운동요법과 마찬가지라는 연구결과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20170514083117019eaml.jpg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317249 형들 예2 2학기 24인데 예과마치고 공익하는거 어케생각해요? [3] ㅇㅇ(220.117) 17.11.26 299 0
317247 펌)) 의사들이 문재인 욕하는 이유.TXT ㅇㄹㅇㄹ(222.234) 17.11.26 433 1
317245 IBS 때문에 거의 15년째 고통받고 있음 [8] 매들린캐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1.26 340 4
317244 걍 어차피 망해가는거면 이런것도 괜찮지않냐 ㅇㅇ(175.223) 17.11.26 91 2
317243 수액뺄때 따로 잠그는건 없어? 수액(210.178) 17.11.26 93 0
317242 2018 레지 to 65명 줄었다는데 어느 의대에서 줄었음? [3] ㅇㅇ(223.62) 17.11.26 476 0
317241 한의사 의료기기 시연.jpg [15] ㅇㅇ(1.177) 17.11.26 1052 14
317239 고3인데 ㅇㅇ(1.245) 17.11.26 191 0
317238 요즘 월천 정도 버는게 기대수익인데~ ㅇㅇ(223.39) 17.11.26 179 0
317237 현실적으로 노베가 1년만의 의대가 가능한거냐 ㅇㅇ(211.58) 17.11.26 94 0
317236 의대 순위 참고자료 [1] ㅇㅇ(220.79) 17.11.26 254 2
317234 5대 의대:서울의.연세의.부산의.전남의.경북의 [2] ㅋ ㅋ(125.178) 17.11.26 139 1
317233 5대 의대가 뭔가요? [6] ㅇㅇ(115.41) 17.11.26 239 1
317232 경북대의예과 수시등급컷 합이9 실화냐? [3] ㄱㅁ(49.161) 17.11.26 1190 4
317230 군의관 씨발새끼들은 죽여서 땅에 묻어도 무죄지 [3] ㅇㅇ(61.85) 17.11.26 282 1
317229 이거 낫는데 얼마나걸림 [2] ㅇㅇ(121.176) 17.11.26 180 0
317228 의학의 방대한 양 앞에 ㅇㅇ(119.67) 17.11.26 126 0
317227 2018학년도 경북대 의대입시 파헤치기/경북대 의대입학 [1] 00(100.1) 17.11.26 571 0
317224 정신과 갔더니 존나 의사새끼 좆같았던썰.ssul [9] ㅇㅇ(46.101) 17.11.26 897 7
317222 남자는 못생겨도 된다 의사면장땡임 ㄴ니디디ㄴ(39.7) 17.11.26 213 1
317220 이국종 교수도 인정한 지잡대 아주대.jpg [7] ㅇㅇ(211.217) 17.11.26 5100 20
317218 남자는 능력 여자는 외모 맞나요? [1] ㅇㅇ(222.112) 17.11.26 233 0
317217 바지로 급조 지혈대 만들기 ㅇㅇ(175.118) 17.11.26 53 0
317216 저 어쩌죠 [19] ㅇㅇ(106.251) 17.11.26 883 0
317215 여자가 진짜 불쌍한게 뭐냐면 [13] ㅋㅋ(211.36) 17.11.26 1603 7
317213 의대다니는거 너무 힘들어... 1(223.62) 17.11.26 299 0
317211 귀에 뾰루지같은게 나왔는데 이게뭐죠(약혐) 댕댕이(211.36) 17.11.26 2122 0
317210 gp만 할껀데;; 그럼 의대보다 치대가 낫져...? [24] 41423(121.129) 17.11.26 941 0
317209 정신과로 신검 4급받은 새끼인데 아 앞날 진짜 걱정된다 [3] dd(203.230) 17.11.26 336 0
317208 스닥님 정형하고싶은데요..질문있습니다.. [8] ㅇㅇ(39.7) 17.11.25 499 0
317206 정신과 약식명칭 NP vs PSY [12] ㅇㅇ(223.62) 17.11.25 6287 1
317205 정신과의사 [7] ㅂㅂ(211.207) 17.11.25 708 1
317202 훈훈하고 부잣집에 좋은과 수련하는 전공의 있으면 간호사들이 [23] 내가보기에는말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1.25 1134 1
317198 의사선생님이 절 좋아하게만들순 [6] (221.166) 17.11.25 902 1
317196 흙수저 의사의 예후 ㅇㅇ(211.197) 17.11.25 321 0
317195 기도하세요 [1] 김모장님(59.10) 17.11.25 88 0
317194 40살에 의대 입학해도 7급까진 귀싸대기 침? [1] ㅁㄴㅇ(180.70) 17.11.25 385 1
317193 스닥님 질문하나만요 [2] ㅇㅇ(183.103) 17.11.25 121 0
317192 아니 상식적으로 생각해서 [3] ㅇㅇ(14.36) 17.11.25 160 0
317191 의사들은 간호사 골라 먹음? [24] ㅁㄴㅇ(180.70) 17.11.25 1264 2
317190 근데 진짜 의대 신입생 중에 30대 있음? [1] ㅇㅇ(61.72) 17.11.25 510 1
317185 무근본 흙수저 설의생 vs 정형외과 물려받고 60억 가진 제주의대생 [6] ㅇㅇ(110.70) 17.11.25 483 2
317184 젠장 pcos 말린다. 누가 위로 좀 ㅠㅠ [3] ㅇㅇ(223.62) 17.11.25 914 2
317183 병원 진료 원장 여러명일 경우 어떻게 돼? ㅇㅇ(119.194) 17.11.25 161 0
317182 희귀암 정보 간절 - 자궁육종 명의 가르쳐주세요 ㅇㅇ(14.138) 17.11.25 285 0
317180 야 고대의대 수시 국영수과 4개 영역 등급합이 5이내인데? 어느 새끼가 [4] ㅇㅇ(117.111) 17.11.25 464 2
317179 이국종교수 정도면 미국으로 niw이민으로 바로 이민 갈 수 잇지않냐? [2] ㅇㅇ(175.223) 17.11.25 570 1
317178 피부가 이렇게 되었는데 (음모 사진 주의해주십시오) [11] ㅇㅇ(119.193) 17.11.25 792 0
317177 30살 백수 흙수전데 의대가고싶거든 [1] ㅇㅇ(121.151) 17.11.25 285 0
317176 피부에 이런게낫는데 뭘까요?.. [3] ㅇㅇ(211.36) 17.11.25 19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