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바다와 물고기 그리고 상대론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2.05 18:56:20
조회 92 추천 0 댓글 5


7fed8274b4836af151ee81e14e8476732e01c3c8175a3e92b27016e6e368


물고기는 바다에서 태어났죠. 따라서 바닷물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안에 물고기를 구성할 성분이 있었다는 것이 됩니다.


대부분의 생명체는 탄소, 수소, 산소, 질소를 골격으로 이루어져있고 네가지의 염기서열인 ACGT의 배열을 가지고 있어요.


그러니까 바닷물의 구성 성분에 탄소, 수소, 산소, 질소가 있다는 것이죠. 그러니 물고기가 어찌저찌해서 존재할수 있었겠죠. 


재료는 있었으니까요? 그럼 바다에 존재하는 물고기들처럼 물질(질량체는)은 공간에서 존재해요.


공간은 그럼 뭘로 이루어져있을까요? 그냥 위의 경우대로 생각해보면 모든 물질을 만들 수 있는 재료가 있는 곳이 공간이겠죠.


또 상대론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예시를 들수있지만 어항속을 물고기가 이리저리 물속에서 움직일 때마다 


물도 변하겠죠. 그 물을 공간이라고 보면 상대론도 그럭저럭 이해가 되겠죠.


물론 제가 말하고 싶은것은 상대론이 아니라 공간이 에너지란 것입니다




변화가 불연속이면 왜 공간과 질량이 등가가 되고 질량이 상대적이게 될까요?


변화가 불연속이라는 것은 애니매이션의 캐릭처럼 매순간 정지해있으면서 불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를 떠올려봅시다.


일단 가속도를 측정하려 할때 위의 애니메이션의 예처럼 정확히 한순간의 정지된 상태일 경우 가속도를 측정할수있을까요?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 눈에는 마치 그 캐릭터가 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게 되죠.


결국 위의 설명처럼 우리 눈에는 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불연속으로 변화한다고 해보자는 겁니다.


그럼 무중력의 공간에서 질량이 서로 다른 정지된 물체에 힘을 가해서 같은 속도로 움직이게 해본다고 합시다.


그럼 두 물체엔 결국 다른 힘이 가해진겁니다. 그런데 변화가 불연속이라면 매순간 그저 같은 위치에 두 물체는 정지해있을뿐이게 되죠.


결국 초기에 두물체가 정지해있다고 했을 때의 순간과 힘을 주어 같은 속도가 되었을때의 한순간을 비교해보려고 하면 비교할 수가 있을까요?


분명 두 물체엔 정지상태일 때완 다른 힘이 가해졌기 때문에 그 다른 힘이 가해졌다는 그 증거가 필요합니다. 그게 과연 무엇일까요?


상대론의 길이 수축입니다. 그럼 그 길이가 수축되었다는 증거가 무엇일까요? 바로 두 물체의 질량의 증가가 되어야 합니다.


즉, 길이가 수축했는데 물체의 질량이 늘어야 한다는 겁니다. 즉 질량-에너지-공간의 등가원리와 e=mc^2이 이렇게 간단하게 설명된다는 것이죠.


다시 말해서 한순간의 정지 상태라 가속도를 구할 수 없을 때 그 힘의 증거가 길이수축이 되어야 하고 질량과 공간이 등가가 되어


길이 수축으로 인해 질량체의 질량이 초기 상태일 때보다 증가하게 된다는 겁니다.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물체에 에너지가 가해졌다>물체가 길이를 더 수축시킨다>그로인해 질량이 증가했다. 따라서 질량-에너지-공간의 등가원리가 성립합니다.


그럼 질량의 상대성은 어떻게 설명될까요?


이번엔 두 물체를 관측하는 관측자의 위치를 바꿔보죠. 그럼 거리에 따라 중력이 달라지게 됩니다.


거리에 따라 중력이 달라진다는 것은 즉, 길이수축이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는 겁니다. 따라서 질량이 상대적이게 되죠.


그리고 제 이론에서 길이수축은 공간의 질량화입니다. 중력이 강해진다면 공간이 질량이 되고 그 반대로 중력이 약해진다면


질량이 공간화 된 것입니다.. 참 쉽죠? 저는 변화가 불연속일때 시간이 불변이고 질량이 상대적이라는 것을 총 4가지 방법으로 설명했습니다.


대우는 그저 그 중 하나일뿐이고 말이죠. 대우의 설명이 가장 쉽고 불완전성정리의 가장 쉬운 예가 되기에


대우무새가 된 것뿐이죠. 그냥 여러분이 제 이론을 반박하고 싶다면 반박하려하지 말고


그냥 변화가 불연속일 경우에 대한 논문을 써보세요. 그게 제 이론과 겹치지 않는다면 그게 새로운 이론인겁니다.



왜 특수상대론과 양자역학까지만 통합될 수 있을까?


물리학자들은 상대론과 양자역학을 합치고 싶어했습니다. 그 이유는 두가지 이론이 평행하게 존재하기 보단 하나의 이론이


다른 이론을 포함해서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와 그게 보편적이고 일반화된 설명이 가능해지기 때문이었죠.


그런 의도로 물리학자들이 연구했던 대표적인 이론이 바로 양자장론이라고 불리는 이론입니다.


저는 사실 양자장론을 전혀 모릅니다. 그런데 제가 말하고 싶은건 이 양자장론이 특수상대론과 양자역학을 수학적으로 합치는데


성공했지만 일반 상대론과 양자역학을 합치는데는 실패했다라는 겁니다. 관련해서 제가 쓴 책에도 이미 쓴 적이 있지만 다시 써보자면


상대론은 변화가 연속, 양자역학은 변화가 불연속이라는 현상적인 공리가 설정되어있기 때문에, 즉, 공리가 모순되므로


통합된 이론이 만들어질 수 없다고 했었죠. 쉽게 말해서 변화는 연속이면서 불연속이다란 공리를 쓸수는 없다는 겁니다.


그럼 여기서 생기는 의문은 바로 왜 그럼 특수 상대론과 양자역학은 합칠 수 있었던 건가?가 됩니다.


그럼 도대체 왜일까요? 바로 특수상대론은 관성계를 설명하는 이론이기 때문입니다.


즉, 관성계는 등속운동과 정지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고 양자역학의 불연속도 결국 관성계를 의미하죠.


따라서 합쳐질수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사실 이건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론을 설명할 때 세웠던 가정 2가지중 하나와 관련되어있습니다.


1. 모든 관성 좌표계에서의 물리법칙은 동일하다, 2. 모든 관성계에서의 빛의 속력은 동일하다


결국 위의 가정중 바로 1번이 바로 양자역학과 특수 상대론이 통합될 수 있던 이유가 됩니다.


그런데 결국 왜 일반 상대론과 양자역학은 통합될 수 없는걸까요? 이 우주에 비관성계가 없기 때문입니다.


연속으로 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제논의 주장처럼 인간 감각의 착각이다라는 것이죠.


화살의 역설처럼 매순간 모든 물체는 정지해있고 가능한 것은 오직 허수시간동안의 기준의 변화에 따른 질량의 상대적인 변화뿐입니다.


물론 기준의 변화를 연속이 아닌 불연속으로 설정하면 이마저도 역시 관성계가 되어버리죠.


결국 양자장론의 한계는 특수상대론과 양자역학을 합치는 것까지라는 겁니다.


그리고 이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은 제 시간대란 개념이고 말이죠.


https://drive.google.com/file/d/1Ns4wdYS-DHVyPmwSW54km3DHw6W43_04/view?usp=sharing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188390 다중우주는 물리학과에서 다루나요? 천문학과에서 다루나요? [3] 물갤러(223.38) 03.22 87 0
188389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447 [14] DC 갤러 그(183.103) 03.22 123 1
188387 물리 공식 8 평행축 정리 [3] 물리기초(211.33) 03.22 97 0
18838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446 [26] DC 갤러 그(183.103) 03.22 156 1
188385 대우도 모르는 사이비 전공자들이 없는게 더 갤에 좋다. [4]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95 0
188384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445 [2] DC 갤러 그(183.103) 03.22 70 1
188383 물리문제좀 풀어주세요 ㅠㅠ 물갤러(1.254) 03.22 77 0
188382 미천한 과고생 질문 올립니다 [5] 물갤러(106.101) 03.21 134 0
188381 꽃뱀을 피하는 방법 [23] 술독(14.32) 03.21 193 1
188380 질문 있습니다 [3] ㅇㅇ(110.15) 03.21 60 0
188379 이상적인 철학적 사고의 예시 [1]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67 1
188378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339 [5] DC 갤러 그(183.103) 03.21 89 0
188376 양자역학 무한우물 복습영상 찍었다 고진감래(106.102) 03.21 94 2
188370 눈에 보이는 대로 믿으면 안된다 [11] 술독(14.32) 03.21 109 0
188368 물리 공식 7 (양자 각운동량) 물리기초(211.33) 03.21 64 0
188367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338 [39] DC 갤러 그(183.103) 03.21 156 1
188366 왜 충돌하면 운동량은 보존되고 운동에너지는 보존안됨? [6] 물갤러(118.235) 03.21 103 0
188365 학사로 갈 수 있는 광학 관련 직무가 어떤게 있나요? [1] 물갤러(117.111) 03.21 51 0
188362 부기우님 천재인가요? [11] ㅇㅇ(125.180) 03.21 148 0
188361 상대론에 대한 심각한 질문 [29] 술독(14.32) 03.21 110 0
188359 마이컬슨 몰리 실험 해석 물리기초(211.33) 03.21 58 0
188358 무차원 특상론 [5] 술독(14.32) 03.21 84 0
188357 시간이 흐르는 속도? - 보충 [1] 술독(14.32) 03.21 60 0
188356 물리학은 현상으로 설명할수있어야한다 [4]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80 0
188355 물리 공식 6 (교류 전원 R-L 회로) 물리기초(211.33) 03.21 44 0
188354 진짜 개초딩같은 말이긴 한데 [3] ㅇㅇ(220.71) 03.21 88 0
188353 전류전압저항전력 개념 이거 맞음? 물갤러(182.219) 03.20 53 0
188352 부기우는 ㅇㅇ(220.122) 03.20 55 0
188351 저온초전도체 이거 좀 웃기지 않음? 물갤러(118.235) 03.20 64 0
188350 빛의 속도나 시간을 통해서 뭘 하려고 하시는 건가요? [4] 물갤러(118.235) 03.20 92 0
188349 빛에 대한 질문입니다 [5] ㅇㅇ(211.234) 03.20 91 0
188348 물리학은 칠판에 해야 뭔가 있어보이는 듯 ㅋㅋㅋㅋ [1] 물갤러(118.235) 03.20 74 0
188347 맥스웰방정식 설명해줌 [5] 고진감래(106.102) 03.20 127 0
188346 시간이 흐르는 속도? [14] 술독(14.32) 03.20 157 0
188345 갈릴레이 상대속도와 맥스웰 방정식의 빛의 속도는 [9] 물리기초(211.33) 03.20 89 0
188344 왜를 아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2]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66 0
188343 우주 공간을 이루는 전자의 힘을 잃은 원자들 물갤러(118.235) 03.20 38 0
188342 아인슈타인의 로런츠 인자 오류 [35] 물리기초(211.33) 03.20 198 0
188341 원자시계는 만능인가? [5] 술독(14.32) 03.20 97 0
188340 물리 공식 5 (회전 역학 공식) 물리기초(211.33) 03.20 53 0
188339 이게 이정도까지 위력이 나옴? [8] ㅇㅇ(118.221) 03.20 113 0
188338 뮤온과 특상론 [9] 술독(14.32) 03.20 116 0
188337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337 DC 갤러 그(183.103) 03.20 60 0
188336 반성하지 않으면 발전이 없다. [2]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58 0
18833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336 [7] DC갤러그(183.103) 03.20 101 1
188334 전하하고 전기에너지는 다른거임? [1] 물갤러(223.62) 03.20 66 0
188333 비관성계 광속 불변 [6] 물리기초(211.33) 03.20 72 0
188332 물리 공식 4 ( 파동 방정식) 물리기초(211.33) 03.20 46 0
188331 양자얽힘 빅뱅 이거 반박해주셈 물갤러(114.206) 03.20 82 0
188329 맥스웰 방정식에서 빛의 상대 속도 연역 (121.161 ㅋㅋㅋ) [10] 물리기초(211.33) 03.19 13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