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T1 꺾고 롤드컵 우승한 DRX, 소년만화 끝은 해피엔딩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1.06 16:53:03
조회 11790 추천 148 댓글 24

🔼 DRX가 T1을 꺾고 2022 롤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사진제공:

[게임메카=이재오 기자] 치열하고 완벽한 경기였다. 그리고 그 와중에 소년만화의 마지막 페이지가, DRX의 동화가 해피엔딩을 맞이했다. ‘꺾이지 않는 마음(Unbreakable)’이란 키워드를 내세운 DRX가 결국 불사대마왕 T1을 꺾고 2022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이하 롤드컵)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6일, 샌프란시스코 체이스 센터에서 2022 롤드컵 결승전이 개최됐다. 굉장히 오랜만에 미국에서 개최된 대회인 만큼 오프닝 세리머니부터 남다른 완성도와 스케일을 자랑했다. 공연은 리그 오브 레전드의 주제곡인 ‘서머너즈 콜’에 안무가들이 춤을 추고 그 안에서 선수들이 등장하면서 시작됐다. 스크린에선 장로 드래곤이 계속해서 춤을 췄으며, 이후 카이사와 함께 가수 에다 헤이즈가 등장해 흥을 돋궜다.

🔼 1만 6,000여 명의 관객이 경기장을 찾았다 (사진제공: 라이엇게임즈)

🔼 잭슨 왕의 눈을 사로잡는 공연 뒤 (사진제공: 라이엇게임즈)



(사진제공: 라이엇게임즈)
🔼 릴나스엑스의 역대 최고라 부를만큼 화려한 퍼포먼스가 펼쳐졌다 (사진제공: 라이엇게임즈)

이후 국내 보이그룹 갓세븐 출신 가수 잭슨 왕이 창공 테마 스킨 주제가 ‘Fire to the Fuse(파이어 투 더 퓨즈)’에 맞춰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창공 테마 스킨 챔피언들의 안무가 곁들여져 멋진 무대를 완성했다. 다음으론 세계적인 팝스타 릴나스엑스가 나와 이번 롤드컵 주제곡 ‘STAR WALKIN’을 선보였다. 공연에는 이번 대회에서 LCK를 대표하는 챔피언이자 이번 대회를 대표하는 챔피언 아지르가 함께 등장해 그와 공연을 펼쳤다. 정교한 3D 맵핑 스크린 연출과 공연자들의 열정적인 무대로 현장감과 재미를 모두 사로잡았다.

1세트는 T1의 체급과 이를 통한 운영이 빛을 발했다. 초반의 정글 싸움에서 손해를 본 T1이 바텀 라인전에서 이를 만회한 다음 지속적으로 슈퍼 플레이로 상대방의 이득을 막았다. 그러던 중 세 번째 용 한타에서 T1이 용을 먹는 것과 동시에 한타까지 승리해 게임의 기점을 잡았고, 이후 글로벌 골드의 우위를 앞세워 확실한 운영을 펼쳤다.

🔼 T1은 1세트를 승리로 가져가며 이번 시리즈를 쉽게 승리하는 듯 보였다 (사진제공: 라이엇게임즈)

2세트에선 DRX가 시그니처 픽이라 할 수 있는 하이머딩거 서포터를 골랐고, 이를 활용한 지역 장악력으로 승리를 기록했다. ‘베릴’ 조건희는 초반부터 열심히 로밍을 다니며 게임을 이리저리 뒤흔들었다. T1은 ‘페이커’ 이상혁의 빅토르를 앞세워 결정적인 순간마다 방어에 성공하며 게임을 후반부까지 끌고 갔지만, 영혼용을 앞둔 한타에서 승리를 거둔 뒤 안일하게 바론을 치다가 역으로 잡혀버렸다. 그렇게 2세트는 약간 허무하게 DRX의 승리로 끝났다.

1 대 1 상황에서 시작된 3세트는 그야말로 슈퍼플레이의 향연이었다. 게임을 이겨나가던 DRX가 중요한 오브젝트를 칠 때마다 T1의 선수들이 돌아가면서 오브젝트를 스틸하는 풍경이 이어지며 후반까지 진행됐다. 팽팽하던 경기는 DRX가 T1이 치던 용을 스틸하고 그 이점을 살려 바론을 쳤지만, 이를 T1이 재차 훔쳐가며 결국 T1이 경기를 가져갔다. 이 경기가 끝난 직후 T1의 팀원들은 서로 얼싸안고 기뻐했다.

🔼 흐름은 4세트에서 DRX가 생각보다 손쉽게 승리를 가져가며 바뀌었다 (사진제공: 라이엇게임즈)

4세트에선 다시 DRX가 승리를 기록했다. 결승에서 처음으로 일방적인 흐름이 계속됐던 경기였다. DRX는 시작부터 이번 대회의 핵심 픽이라 할 수 있는 바루스와 아트록스를 가져갔고, 여기에 ‘킹겐’ 황성훈이 이전까지 보여주지 않았던 폼으로 상대 탑을 찍어 누르면서 게임이 빠르게 굴러갔다. 결과적으로 20분대에 게임이 끝나며 스코어 2 대 2인 채 경기는 마지막 세트로 흘러갔다.

우승컵이 걸린 마지막 세트에선 양 팀의 조커픽이 충돌했다. T1은 아트록스의 상대로 탑 그웬을 들었고, DRX는 케이틀린을 보좌할 파트너로 바드와 정글 헤카림을 들었다. T1은 마지막까지 체급을 위시한 라인전에 좀 더 강수를 뒀고, DRX는 팀 합을 중시한 한타 위주 조합을 완성했다.

T1은 작정한 듯 초반부터 빠르게 게임을 굴려 나갔다. 헤카림의 첫 정글을 괴롭히고, 미드에서 아지르까지 갱으로 잡아냈다. 하지만 ‘킹겐’ 황성훈의 아트록스가 적 그웬을 홀로 잡아낸 후 전령 싸움에서도 활약하며 T1의 스노우볼링을 막아내는 데 성공했다. 자칫 T1이 게임을 일방적으로 굴려 갈 수 있는 상황이었지만 DRX의 이러한 반격 때문에 전체적인 추세는 팽팽하게 유지되었고, 게임 시작 15분이 지나도록 누가 이길지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 지속됐다.

🔼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알 수 없는 승부 끝에 웃은 베테랑은 '데프트' 김혁규였다 (사진제공: 라이엇게임즈)

첫 균열은 ‘구마유시’ 이민형의 손에서 발생했다. 미드 1차 타워를 밀던 T1을 DRX가 진영을 짜고 덮치면서 4명을 잡아내 한타에서 대승을 거뒀다. 이를 이용해 DRX는 곧바로 바론을 공략했는데, 그 순간 부활해서 순간이동을 타고 돌아온 T1의 바루스가 꿰뚫는 화살로 바론을 스틸해 냈다. T1은 이를 이용해 공성을 펼치며 게임을 굴려 글로벌 골드를 2,000 차이까지 벌려냈다. 하지만, DRX도 잘 큰 아트록스를 바탕으로 더 큰 차이를 벌리게 내버려두지 않았다.

그렇게 게임은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이어갔다. 누가 이겨도 이상하지 않은 수준으로 팽팽한 균형이 이어진 가운데, 마지막 장로용 앞에서 벌어진 한타에서 DRX가 승리하며 그대로 게임을 마무리 지었다. 그렇게 길고도 길었던 롤드컵 2022는 DRX의 우승으로 마무리됐다.

전반적으로 이번 결승전을 평가하자면, T1의 체급과 DRX의 합이 빛났다. 한 끗 차이라는 말조차도 다 표현할 수 없을 만큼 너무나도 근소한 차이가 승리의 향방을 갈랐다. T1은 시종일관 슈퍼 플레이를 펼쳤고, DRX는 순간의 찬스를 절대 놓치지 않았다. 역전에 역전을 거듭하며 마지막까지 기사회생을 반복했다.


🔼 우승이 확정된 직후 부둥켜 안고 기뻐하는 DRX 선수들 (사진출처: 2022 롤드컵 결승전 생방송 갈무리)

비록 패배했지만 T1의 경기력은 완벽에 가까웠다. ‘오너’ 문우현은 유례없을 정도로 멋진 활약을 했으며, ‘구마유시’ 이민형은 더 없을 완벽한 경기를 펼치며 라인전, 한타, 오브젝트 스틸 등 언제나 슈퍼 플레이로 기대에 화답했다. 굳이 패인을 짚자면 완벽에 가까웠지만, 완벽하지는 못했던 것이다. DRX는 중요한 순간에 보인 T1의 약간의 집중력 저하를 집요하게 놓치지 않았고, 결국 양 팀의 전력이 정면 충돌한 5세트 마지막 순간에 T1을 넘어뜨렸다.

DRX는 이현우 해설의 표현처럼 가장 리그 오브 레전드다운 팀 게임을 펼쳤다. 체급과 라인전에서 밀렸고 슈퍼 플레이도 많지 않았지만, 끈끈한 팀합을 바탕으로 한타에서 지속적으로 승리했다. 그 과정에서 지난 4강까지만 해도 팀의 약점으로 지목됐던 ‘킹겐’ 황성훈이 아트록스를 잡고 각성하면서, 그야말로 이번 경기의 영웅이 되었다. 실제로 ‘킹겐’ 황성훈은 결승전 MVP를 받기도 했다. 그는 수상 소감으로 “제가 받을 줄 알았다”며 “야수의 심장으로 절대 지지 않는다는 마인드로 게임에 임했더니 잠재력이 폭발한 것 같다”고 전했다.

🔼 '케리아' 류민석은 아쉬움에 손을 파르르 떨면서 눈물을 쏟았다 (사진출처: 롤드컵 결승전 생방송 갈무리)

이로써 DRX는 역대 롤드컵 사상 가장 감동적이고 극적인 우승을 달성했다. 이번 토너먼트에서 DRX가 만난 상대는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역대 롤드컵 우승팀이었다. 대회가 시작될 때까지만 하더라도 DRX에 대한 세간의 평가는 메이저 지역 최약체였다. 정규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최하위 팀에게 진 팀이 선발전을 넘어,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토너먼트를 뚫고 우승을 차지했다. 역대 롤드컵 최고령 우승팀인데다가, LCK의 네 번째 롤드컵 우승팀이다.

개개인이 달성한 기록도 눈부시다. ‘베릴’ 조건희는 2020년 담원 게이밍에서 우승한 이후 다른 팀에서 두 번째 우승을 달성함과 동시에 최고령 우승 서포터 기록도 갈아치웠다. ‘제카’ 김건우와 ‘주한’ 이주한은 로열로드를 달성했다. ‘데프트’ 김혁규는 역대 우승팀 바텀 라이너의 나이가 21세 이하라는 징크스를 깨고 역대 최고령 롤드컵 우승자가 됐으며, 데뷔 이후 3,505일 만에 첫 롤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 주제곡 STAR WALKIN'에 걸맞는 우승팀이 탄생한 순간 (사진출처: 롤드컵 2022 생방송 갈무리)

[Copyright © GameMeca All rights reserved.]

추천 비추천

148

고정닉 9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AD 호요버스 신작 <젠레스 존 제로> 7월 4일 오픈! 운영자 24/06/05 - -
공지 리그 오브 레전드 갤러리 서버 이전 안내 운영자 23.11.14 750413 159
공지 리그 오브 레전드 갤러리 이용 안내 [523] 운영자 20.10.26 490516 235
20720537 페이커만 2,200명이 넘네, 롤 아이디 변경 첫 날 진풍경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37006 133
20720536 아시안게임 금메달 이끈 김정균 감독, T1으로 복귀한다 [2]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2 8481 24
20720535 롤 소환사의 협곡, 내년부터 전 라인 갱킹 루트 개편된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2 8475 5
20720534 롤 소환사명 대신할 라이엇 ID, 90일마다 무료 변경 가능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1 6737 5
20720533 [롤짤] "탑 차이 이만큼" T1 롤드컵 우승 빚어낸 '제우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1 6690 17
20720532 롤드컵 4번 우승한 ‘페이커‘ 이상혁 “계속 성장하겠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0 5450 31
20720531 내년 롤드컵 결승, 영국 런던에서 열린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9 7251 11
20720530 “우리는 페이커의 시대에 살고 있다“ T1 롤드컵 우승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9 11052 85
20720529 라이엇 개발진 “롤 신챔 흐웨이는 미드 버전 아펠리오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9 8330 8
20720528 [포토] 전 세계 팬 다 모였다, 롤드컵 결승전 열린 고척돔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9 9050 21
20695135 [롤짤] 징동 막은 페이커 "모든 길은 나를 통할 것" [26]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3 166982 1412
20720527 웨이보가 티원상대로 ㅈㄴ할만한게 ㅇㅅ(182.221) 23.11.14 53565 294
20720526 꼭 팀에 정신병자 전적 검색하면 ㅇㅇ(223.38) 23.11.14 27681 653
20720525 쵸비 빠는게 제일 이해가 안된다 ㅋㅋㅋㅋㅋㅋㅋㅋ ㅇㅇ(222.120) 23.11.14 24141 475
20720524 불안요소 4시드 Drx Wbg 비교 롤갤러(125.185) 23.11.14 16290 96
20720523 샤오후도 데뷔 10년차인데 이제 롤드컵 결승 옴 ㅇㅇ(222.100) 23.11.14 18478 89
20720521 진성 페독들은 오히려 지금 존나 떨린다고 [1] ㅇㅇ(172.226) 23.11.14 17137 115
20720519 이번 스토브리그만큼 기대된적은 없었던것같은데 롤갤러(14.50) 23.11.14 8324 19
20720518 ? 갤 이동하냐?? ㅇㅇ(61.255) 23.11.14 52147 430
20720517 님들 올해 젠지 월즈 왜 안나왔어요 ? 롤갤러(14.39) 23.11.14 14704 135
20720516 젠지는 근데 올라왔어도 메타땜에 우승은 못햇겟네 ㅇㅇ(49.172) 23.11.14 7286 16
20720515 웨이보가 징동보다 훨씬 까다롭고 잫하는듯 [1] ㅇㅇ(39.120) 23.11.14 9810 12
20720513 아지르 선픽 절대 못한다고 ㅋㅋㅋ샤오후는 롤갤러(117.111) 23.11.14 7450 7
20720512 젠지팬 방송인시점 8강 조추첨은 질리질않노ㅋㅋ [3] ㅇㅇ(118.235) 23.11.14 11720 50
20720511 롤갤 고닉은 앰생 백수밖에 없음? ㅇㅇ(106.101) 23.11.14 4872 15
20720510 럼자자바레 중에 2개만 넘어가면 게임끝인데 [1] 롤갤러(39.112) 23.11.14 10511 17
20720509 젠장연이 대진빨이라고도 못하는게 ㅇㅇ(211.234) 23.11.14 5923 15
20720508 기본적으로 프로라면 근접암살챔은 할수있어야하는데 페이커는,,, [3] ㅇㅇ(125.138) 23.11.14 7418 3
20720507 더샤이 18폼 되찾으면 웨이보 우승 가능? [4] 롤갤러(223.39) 23.11.14 8677 5
20720506 지들이 호들갑떨던 나이트 스카웃 다 잡았는데도 ㅈ밥취급하노 ㅋㅋ [2] ㅇㅇ(106.101) 23.11.14 14960 189
20720505 ㄹㅇ로 구마가 세체원 된다... 이말인가...? [1] ㅇㅇ(106.101) 23.11.14 8398 11
20720503 걍 페이커랑 겜할때는 아지르 치우고 하는게 맞는거같은데 롤갤러(112.220) 23.11.14 5850 2
20720502 아지르 옛날에 e 에어본이 있었음? [5] 롤갤러(39.113) 23.11.14 11297 1
20720500 헬퍼 안잡네 롤갤러(106.101) 23.11.14 4347 6
20720499 쵸비는 애초에 미드 메이지 구도를 싫어한다고 롤갤러(117.111) 23.11.14 5798 2
20720497 그냥 티원은 운이 좋아서 결승간거임 ㅇㅇ [3] 롤갤러(124.57) 23.11.14 11380 11
20720496 결승전 핵심은 제우스가 얼마나 버텨주느냐싸움 [2] ㅇㅇ(121.66) 23.11.14 6261 0
20720495 근데 샤오후 아지르 잘하지않음? [4] 롤갤러(211.199) 23.11.14 5653 0
20720494 너무 잘해서 문제래ㅋㅋ [5] 롤갤러(106.252) 23.11.14 13088 106
20720491 T1은 순수메타에서 우승해야 인정해주지.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4 12493 8
20720490 이번 결승 또 탑이 제일 중요할듯 [1] ㅇㅇ(222.120) 23.11.14 4308 4
20720489 아지르가 지금 걍 좆사기픽인데 중국이 아지르를 못함 [9] ㅇㅇ(112.187) 23.11.14 9548 1
20720488 해봐야 오리 니코 밴하고 케리아 밴때리지 뭔 3밴이여 ㅋㅋ ㅇㅇ(61.79) 23.11.14 3777 0
20720487 젠첩들 다뒤졌노ㅋ 롤갤러(106.101) 23.11.14 4128 5
20720486 내기억에도 작년 RNG 페칼리한테 개털렸고 ㅇㅇ(118.235) 23.11.14 4071 3
20720484 하다하다 탑미드 스왑에 더샤이 오리아나 얘기까지 나오네 ㅋㅋㅋㅋ [1] 롤갤러(118.33) 23.11.14 4707 1
20720483 뭐가 됐든 페이커가 샤오후보다는 잘함 ㅇㅇ(175.112) 23.11.14 3555 20
20720482 젠첩 쵸독 담민이 방빼 시발아 착한서폿유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4 11104 1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