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척탄병과 수류탄의 상관관계

nasic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8.02.10 18:25:38
조회 843 추천 0 댓글 17










Sharpe\'s Tiger by Bernard Cornwell (배경: 1799년 인도 셰링가파탐) ---------

 

(티푸가 통치하는 도시 셰링가파탐을 포위 공격하던 영국군은 서투른 야습을 감행했다가 패배하고 일부 영국군 병사들이 포로로 사로잡힙니다.  티푸는 병사들의 사기를 진작하기 위해 이들을 공개 처형하기로 합니다.  제티(jetti)라는 사람들은 처형, 고문 등을 주업으로 삼는 아주 건장한 무술가로, 우리나라로 치면 망나니 정도인데, 이들은 영국군 포로 한명한명을 끌어내 맨손으로 영국군의 목을 비틀거나 한주먹으로 때려 죽이는 묘기를 보여줍니다.)

 

주위를 둘러싼 인도 병사들은 다른 영국군 포로의 목도 닭모가지처럼 비틀어버리는 것을 보고 싶다고 외쳐댔고, 제티 (jetti, 인도의 망나니 정도에 해당 : 역주) 들은 그 기대에 부응했다.  그렇게 한명 한명, 포로들은 처형자들에게 끌려갔다. 

 

그들 중 세명은 살려달라고 애처럼 울어대며 아주 비참하게 죽었다. 또 다른 두명은 기도를 하며 죽어갔지만, 나머지는 반항하다가 살해되었다.  세명은 제티들과 싸우다가 죽었고, 키가 큰 척탄병 하나는 제티 한명의 손가락을 부러뜨림으로써 지켜보던 인도 병사들의 야유섞인 환호를 이끌어냈다.   그러나 결국 그 척탄병도 다른 포로들처럼 살해되었다. 

 

-------------------------------------------------------------------------

 

버나드 콘월은 나름대로는 인도인들을 공평한 시각으로 묘사하려고 노력하기는 합니다만, 어디까지나 그건 영국인의 시각에서 보았을 때 그런 것입니다.  윗 장면은 아마도 티푸라는 인도인 군주가 얼마나 야만적인가를 보여주기 위해서 삽입한 장면 같습니다. 

 

제가 여기서 저 구절을 인용한 것은 바로 척탄병 때문입니다.  저기서 다른 영국 병사들에 비해 척탄병은 뭔가 좀 더 우수한 병사처럼 묘사되었지요.  대체 척탄병이라는 병사들은 뭐하는 병사들일까요 ?

 

척탄병(grenadier)는 글자 그대로 수류탄을 던지는 병사입니다.  1차세계대전 즈음부터, 수류탄이라는 것은 아주 일반적인 무기가 되었으므로 사실 수류탄을 던지는 병사들이 따로 있지는 않습니다.  그런데도 척탄병이라는 이름을 가진 부대는 유럽에서 항상 존재했고, 심지어는 지금도 일부 남아있습니다. 

 

먼저 척탄병이라는 병과가 왜 생겼는지부터 알아야 합니다.  글자 그대로 척탄병은 수류탄을 던지는 것입니다.  당시의 수류탄은 느리게 타는 도화선이 붙어있는 작은 쇠(또는유리)로 만든 폭탄이었습니다.  (이렇게 써놓고 보니 현재의 수류탄하고 다른 점은 발화 장치 뿐이군요 ! )  아무튼 이걸 손으로 던져야 하는데, 그러자니 당연히 이를 멀리까지 던질 수 있도록 가급적 키도 크고 힘도 센 병사들이 필요했습니다.  또 이들은 훈련이 일반 병사들보다는 더 잘 되어 있어야 했습니다.  폭탄이라는 것은 항상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서, 특히 수류탄은 잘못 집어던지거나 타이밍을 못맞추면 자기 편이 다칠 수도 있고, 또 적이 그 수류탄을 집어 다시 이쪽으로 던질 수도 있는 물건이기 때문이었습니다.  당시 일반 보병들은 거의 태엽 인형 수준으로 장교 및 하사관들이 시키는 대로 구령에 따라 걷고, 장전하고, 쏘고, 총에 맞아 죽는 노릇 밖에 하지 않았기 때문에, 요즘 기준으로 보면 개인 전술 훈련이 전혀 안되어 있는 편이었지요.  또, 당시 수류탄의 특성상, 아무 때나 탄띠에서 뽑아들어서 휙 집어던질 물건이 아니었으므로, 수류탄이 사용되는 것은 주로 적의 요새를 공격하는 위험하고 힘든 임무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요새를 공격하는데 왜 수류탄 던지는 병사들이 필요하냐고요 ?  자세한 것은 [37호] 나폴레옹 시대의 공성전 (1) - 성벽에 구멍뚫기 ( http://paper.cyworld.com/sharpe/1640932 ) 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아무튼, 그러다보니 당연히 이 척탄병은 엘리트 부대의 대명사가 되었습니다. 

 

그러다가, 보병들의 머스켓 소총 화력이 좋아지고 전열을 짜서 전투를 벌이는 전법이 발달되면서, 수류탄의 사용은 18세기 중반 이후에 오히려 줄어들게 됩니다.  하지만, 척탄병 부대는 여전히 건재했습니다.  이때쯤 되면 척탄병 부대에서 수류탄을 만지작거리는 일은 거의 없었습니다.  다만, 엘리트 부대로서의 임무, 그러니까 적의 요새를 공격할 때 앞장 서는 것 같은 일을 여전히 하게 되었던 거지요. 

 

나폴레옹 전쟁 시대가 되면, 영국군 1개 대대에는 대략 6개 정도의 중대가 있었는데, 이중 1개가 경보병 중대였고, 또 1개는 척탄병 중대, 그리고 나머지 4개가 일반 보병 중대였습니다.  이들중 경보병 중대와 척탄병 중대가 서로 자기가 엘리트 부대라고 주장했는데, 사실 대세는 척탄병 중대를 엘리트 부대로 쳐줬습니다.  일단 병사들 기럭지가 달라서, 비주얼에서 차이가 나거든요 !  경보병 중대의 주역할은, 다른 중대들처럼 보병 라인을 구성하여 싸우지 않고, 그 앞에서 2명 단위로 유격전을 펼치는 역할이었습니다.  따라서 개인 전술 훈련이라는 면에서는 더 뛰어났지만, 아무래도 주력부대가 아니었고 전황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았기 때문에, 특히 당시에는 별로 그렇게 인정받는 분위기는 아니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척탄병은 다른 병사들의 존중을 받았을까요 ?  글쎄요... 헤밍웨이의 제1차대전을 배경으로 한 소설 \'무기여 안녕\'을 보면, 주인공이 데리고 있는 이탈리아군 앰뷸런스 운전병들이 동료 이탈리아 척탄병들을 평하는 것을 보면 \'그냥 키만 큰 멍청이들\'이라고 질시를 보내더군요.  사실 키가 큰 남자를 좋아하는 것은 여자들 뿐입니다.  저를 포함해서 키가 크지 않은 모든 남자들은 키가 큰 남자들을 매~우 싫어합니다.

 

아무튼 이후로, 척탄병은 수류탄과는 거의 아무 상관없는 부대가 되었습니다.  미군처럼 부대 전통이 유럽국가에 비해 좀 떨어지는 군대에는 척탄병이라는 전통이 없지요.  우리나라는 워낙 미국에게 많은 영향을 받아서 우리 군대에도 척탄병이라는 것은 없습니다.  독일만 하더라도, 2차대전 때도 척탄병을 운영했지요.  바로 기갑척탄병(panzergrenadier)이라는 것인데, 사실 이들은 그냥 기계화 보병을 뜻하는 것으로서, 수류탄과는 아무 상관이 없었습니다.  이들은 그냥 하프트랙 (영화에서 가끔 보는 앞쪽은 타이어 바퀴, 뒤쪽은 무한궤도를 단 장갑차)이나 트럭을 타고 다녔던 정예 부대였지요.  사족을 달자면, 이름은 기갑척탄병이지만, 사실 이 하프트랙이라는 장갑차가, 실제로는 숫자가 매우 부족해서, 대부분의 기갑척탄병은 그냥 트럭을 타고 다녔다고 합니다.

 

아무튼 엘리트 부대는 군복에서도 차이를 주었습니다.  유럽 모든 국가의 군대에서, 척탄병들은 서로를 알아볼 수 있었는데, 이는 비단 병사들의 기럭지 뿐만 아니라 바로 그 독특한 모자 때문이었습니다.  원래 척탄병들은 본연의 임무인 수류탄 투척을 위해서, 시야를 가리는 챙을 없앤 모자를 썼습니다.  그래서 카톨릭 주교들이나 쓰는 모자인 미트레이(mitre)를 썼습니다.  이는 유럽 거의 모든 군대에서 공통된 것이었다고 합니다.

 

영국 왕실 근위대는 곰가죽 모자 (bearskin)을 쓰쟎습니까 ?  원래 이 곰가죽 모자는 영국 근위대만 쓴 것이 아니고, 여러 나라의 척탄병 부대가 썼던 것입니다.  지금도 유럽 여러 국가에서 의식 때는 척탄병 부대가 베어스킨을 씁니다.  워낙 영국군 베어스킨이 유명해서 \'쟤들도 영국군 따라하네\' 라고 생각들 하시겠지만, 사실 따라쟁이는 다른 나라 애들이 아니고 바로 영국군입니다.  영국 척탄 근위대 (Grenadier Guards)는 원래 베어스킨을 쓰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나폴레옹의 최정예 부대였던 그 유명한 황실 근위대 (Imperial Guards, Old Guards)가 베어스킨을 쓰고 있었습니다.  영국 척탄 근위대가 1815년 워털루 전투에서 나폴레옹의 근위대를 깨뜨린 뒤, 그를 기념하기 위해서 나폴레옹 근위대의 모자를 쓰기 시작한 것이, 오늘날 우리가 버킹검 궁 앞에서 보는 베어스킨의 유래입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공지 국내출판된 제2차 세계대전사 추천/비추천 도서 목록-2 [18] 이제큐터(58.142) 11.01.29 19214 37
공지 국내출판된 제2차 세계대전사 추천/비추천 도서 목록 -1 [39] 이제큐터(58.142) 11.01.28 25891 51
공지 2차 세계대전 갤러리 이용 안내 [40] 운영자 09.10.07 11885 3
131291 이겨야만 한다... Beatles113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6 12 1
131290 2차세계대전당시 독일육군이사실상 전투력 1위아니냐 ㅇㅇ(121.162) 06.06 26 0
131289 BAR 들고 다니는 미군들 참 불쌍타 . . . 2갤러(125.128) 06.06 16 0
131288 나치독일이 [2] 2갤러(211.235) 06.06 62 0
131287 2차대전때일본육군은 왤케 좆밥같아보이냐 [1] ㅇㅇ(121.162) 06.05 35 0
131286 천안문 어떻게 생각함? [1]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45 0
131285 2차대전 중국군이 두르고 있는 이 담?요같은 건 뭔가요? [1] Ehrenari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43 0
131284 2차 세계대전 영화, 드라마 추천 해줄 수 있어? 나도 추천할게 [10] 2갤러(106.249) 06.04 42 0
131283 맥아더 보면 억까도 있는거같음 [1]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40 0
131282 황국신민이면 ㅇㅇ(118.235) 06.04 29 0
131281 교토랑 오사카에 핵이 떨어졌어야되는 이유 [1] 2갤러(103.216) 06.03 46 0
131280 티거 좀 생산성이랑 정비성좀 챙겼으면 하는데 [1]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43 0
131279 폴란드 침공 폴란드 이길 수 있는 방법있나? 케스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50 0
131278 스탈린 숙청은 승전에 큰 도움이됨 케스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42 0
131277 오리지널 독일군 예복 팝니다 잠룡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42 0
131276 방금 중대장 쉴드글 쳤었는데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43 0
131272 티거는 어떻게 만드는게 맞을까? [3]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87 0
131271 바르바로사 성공 가능성은 상식적으로 생각해선 안됨 [2]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78 0
131270 한국은 왜 드론부대 운용안함? [3]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75 1
131269 일본은 위안부있었다는데 유럽도 위안부가있었음? [2] 2갤러(121.133) 05.30 60 0
131268 모스크바 뚫는거에 대한 생각이 바뀜 [7]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81 2
131265 스페인 공화국은 프랑코 장군 손에 정화당해 마땅했음 2갤러(211.109) 05.27 59 0
131263 1~2차대전 해안요새와 함포 사정거리 질문좀...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83 1
131262 청색작전 이러면 이길만했나? [1] ㅇㅇ(180.69) 05.26 72 1
131261 근데 독일도 운이 진짜 안좋네 [5] ㅇㅇ(218.53) 05.24 142 2
131260 독 영 대공전 질문인데 [5] 케스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07 1
131254 전두환때 라도 수도이전 했어야했다 [1]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98 1
131252 근데 러우전 남의 돈으로 끝낼수있는 전쟁 지속하는게 맞나 [1]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96 1
131251 라스푸티차 전까지 모스크바 측면 자리잡으면 되잖아 [4]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7 126 1
131250 한국 독립운동을 이성적으로 할 수가 있었을까? [1]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129 0
131247 독일 이번에 가는데 [3] 2갤러(115.138) 05.04 243 1
131246 코스프레 질문 (뉴비) [11] LEM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3 236 0
131245 이야 이런곳도 있네 [1] 무타구치렌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51 0
131244 방첩대 최고돌격지도자 그림 [2] 무다구치렌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271 1
131243 땅크 장갑 질문 - 볼트 vs 리벳 접합 [4] 2갤러(175.192) 04.27 230 0
131241 바주카 관련 질문이요 [3] 마우스피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220 0
131240 그때 그시절 낭만의 대 정모의 시대 ( 여기갤 맞음여?) 세계2차대전? 2갤러(117.111) 04.23 179 0
131239 진짜 진지하게 다른나라 개입없이 1941년독일vs625때북한 [8] 2갤러(110.47) 04.21 275 2
131238 난 이 이야기를 정말 좋아한다 [1] Beatles113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2 363 6
131237 일본군 위안부 질문 [1] 2갤러(118.235) 04.07 285 2
131236 독일이 ㄹㅇ 과거사 반성하는거 맞음? [3] ㅇㅇ(1.211) 04.07 385 3
131235 독소전쟁에 대한 대표적인 2가지 오해 1편 -1 [2] 킹티거2(218.152) 04.06 466 5
131234 나 스탈린그라드 포로출신 할배 실제로 본적있음 [1] 2갤러(220.72) 04.04 361 1
131233 긍데 독일군은 일본군이 진주만 선빵친다는거... [2] ㅂㅈㄷ(211.171) 04.03 322 0
131232 소련군 코스프레 질문 [3] ㅇㅇ(203.207) 04.02 399 0
131231 독일이 소련을 공격하지 않앗다면 독일이 이길수밖에 없는 이유 [14] ㅇㅇ(1.231) 04.02 471 2
131228 구일본군은 열강 군대처럼 안보이는데 정상이냐 [5] ㅇㅇ(175.211) 03.29 442 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