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日本해군의 항공폭탄 (1) - 육용폭탄(陸用爆弾, land bomb)

Orc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8.07.09 00:52:23
조회 1123 추천 0 댓글 6


 

이번에는 구 일본해군이 사용했던 항공폭탄의 종류를 소개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그런데 일부 독자들 께서는 제

목의 \'육용폭탄(陸用爆弾)\'이라는 용어에서 다소 이질감을 느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왜냐하면 아는 당시 일본 해군이 사용

했던 분류 체계에 따른 명칭이기 때문입니다. 굳이 구 일본해군의 용어를 지금 사용할 필요는 없겠지만, 그래도 그들의 분류

방식을 따라가 보는 것도 무기의 운용체계에 대한 사상을 엿 볼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구 일본해군의 항공폭탄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육용폭탄(陸用爆弾) : 지상 시설물을 공격하기 위한 폭탄입니다. 일반적으로 전체의 무게에서 폭약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 통상폭탄(通常爆弾) : 몇 개 그렇지 않은 것도 있지만 구 일본해군의 통상폭탄은 함선을 공격하기 위한 폭탄입니다. 따라서

                                 어느정도 관통력을 지닐 수 있게 설계되었고, 전체 무게에서 폭약이 차지하는 비중이 낮은 편입니다.

 

 - 특수폭탄(特殊爆弾) : 제일 다양한 형식의 폭탄을 가지고 있는 카테고리 입니다. 특수철갑탄, 대잠용 폭탄, 공대공 폭탄,

                                 반도폭탄 등 다양한 용도의 폭탄들 및 시험제작된 폭탄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본해군의 폭탄안에 넣어진 폭약은 시모세(피크르 산, picric acid), 91식(트리니트로아니솔, trinitroanisol), 98식

(trinitroanisol 70%, HND 30%) 가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그 외 일본해군의 형식명의 의미는 대체로 다음과 같습니다.

 

 - 식(式) : 채용연도를 나타냅니다. 단, 서기가 아니라 일본식 황기(皇紀)를 사용하므로 년도를 환산해야 될 필요가 있습니다.

               \'서기 1940년 = 황기 2600년\' 이라는 것을 기억하시면 크게 어렵지 않게 바로바로 환산할 수가 있습니다.

               ( 97식 => 1937년 채용, 0식 => 1940년 채용)

 

 - 번(番) : 구 일본해군 항공폭탄의 번(番)은 10kg 단위로 반올림 한 폭탄의 무게를 나타냅니다.

               즉, 25번 폭탄 => 약 250 kg / 50번 폭탄 => 약 500 kg 입니다.

 

 - 호(号) : 주요한 개량이 이루어 진 횟수를 의미합니다.   

 

 - 형(型)  : 소소한 개량이 이루어 진 횟수를 의미합니다.

 

 

자, 그럼 오늘은 먼저 육용폭탄(陸用爆弾)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명칭 : 97식 6번 육용폭탄(陸用爆弾)

개요 : 전체중량의 39.07%가 98식 폭약(trinitroanisol 70%, HND 30%)으로 장전되어 있는 대 지상용 폭탄입니다.

         200mm 두께의 강화 콘크리트를 관통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폭탄의 두부(頭部)는 몸체에 리벳으로 연결되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명칭 : 3식 6번 1호 1형 육용폭탄(陸用爆弾)

개요 : 폭탄의 두부(頭部)는 몸체에 리벳으로 연결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97식 6번 육용폭탄과 매우 유사합니다.

         전체중량의 41.7%가 98식 폭약(trinitroanisol 70%, HND 30%)으로 장전되어 있으며, 역시 200mm 두께의 강화

         콘크리트를 관통할 수 있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명칭 : 2식 6번 5호 육용폭탄(陸用爆弾)

개요 : 활주로 공격용 폭탄으로 내부에 5개의 7 kg 짜리 소형폭탄을 수납하고 있었습니다.

         이 폭탄의 꼬리날개는 투하후 폭탄이 약 1000 rpm 정도 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이 원심력과 폭탄 중앙의

         튜브에 설치된 폭약의 폭발력으로 소형폭탄을 살포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명칭 : 98식 25번 육용폭탄(陸用爆弾)

개요 : 전체중량의 39.88%가 98식 폭약(trinitroanisol 70%, HND 30%)으로 장전되어 있으며, 

         250 kg 짜리 폭탄이니 만큼 400mm 두께의 강화 콘크리트를 관통할 수 있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명칭 : 3식 25번 1호 육용폭탄(陸用爆弾)

개요 : 폭탄의 두부와 몸체가 일체식으로 제작되었으며, 폭탄 케이스는 98식 25번 육용폭탄 보다 3.3mm 더 두꺼웠습니다.

         전체중량의 40.5%가 98식 폭약(trinitroanisol 70%, HND 30%)으로 장전되어 있으며, 역시 400mm 두께의

         강화 콘크리트를 관통할 수 있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명칭 : 80번 육용폭탄(陸用爆弾)

개요 : 1937년에 설계되어 1938년에 채용된 폭탄인데, 이상하게 년식이 없습니다. 80번이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800 kg의 폭탄이며, 초기형은 시모세 폭약이 그 후의 개량형은(1호) 98식 폭약(trinitroanisol 70%, HND 30%)

         이 전체중량의 47.45% 비율로 장전되어 있었습니다.

 

         전체 무게 중 폭약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서인지 관통력은 위에서 소개한 25번대 폭탄과 마찬가지로 강화 콘크리트

         400mm 였다고 합니다.

 

 

※ 참조자료 : Japanese bomb, U.S. Technical mission to Japan, December 1945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공지 국내출판된 제2차 세계대전사 추천/비추천 도서 목록-2 [18] 이제큐터(58.142) 11.01.29 19212 37
공지 국내출판된 제2차 세계대전사 추천/비추천 도서 목록 -1 [39] 이제큐터(58.142) 11.01.28 25888 51
공지 2차 세계대전 갤러리 이용 안내 [40] 운영자 09.10.07 11883 3
131290 2차세계대전당시 독일육군이사실상 전투력 1위아니냐 ㅇㅇ(121.162) 06.06 20 0
131289 BAR 들고 다니는 미군들 참 불쌍타 . . . 2갤러(125.128) 06.06 13 0
131288 나치독일이 [2] 2갤러(211.235) 06.06 58 0
131287 2차대전때일본육군은 왤케 좆밥같아보이냐 ㅇㅇ(121.162) 06.05 30 0
131286 천안문 어떻게 생각함? [1]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42 0
131285 2차대전 중국군이 두르고 있는 이 담?요같은 건 뭔가요? [1] Ehrenari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40 0
131284 2차 세계대전 영화, 드라마 추천 해줄 수 있어? 나도 추천할게 [5] 2갤러(106.249) 06.04 37 0
131283 맥아더 보면 억까도 있는거같음 [1]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38 0
131282 황국신민이면 ㅇㅇ(118.235) 06.04 28 0
131281 교토랑 오사카에 핵이 떨어졌어야되는 이유 [1] 2갤러(103.216) 06.03 44 0
131280 티거 좀 생산성이랑 정비성좀 챙겼으면 하는데 [1]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41 0
131279 폴란드 침공 폴란드 이길 수 있는 방법있나? 케스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49 0
131278 스탈린 숙청은 승전에 큰 도움이됨 케스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41 0
131277 오리지널 독일군 예복 팝니다 잠룡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41 0
131276 방금 중대장 쉴드글 쳤었는데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42 0
131272 티거는 어떻게 만드는게 맞을까? [3]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85 0
131271 바르바로사 성공 가능성은 상식적으로 생각해선 안됨 [2]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76 0
131270 한국은 왜 드론부대 운용안함? [3]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73 1
131269 일본은 위안부있었다는데 유럽도 위안부가있었음? [2] 2갤러(121.133) 05.30 59 0
131268 모스크바 뚫는거에 대한 생각이 바뀜 [7]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79 2
131265 스페인 공화국은 프랑코 장군 손에 정화당해 마땅했음 2갤러(211.109) 05.27 58 0
131263 1~2차대전 해안요새와 함포 사정거리 질문좀...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81 1
131262 청색작전 이러면 이길만했나? [1] ㅇㅇ(180.69) 05.26 70 1
131261 근데 독일도 운이 진짜 안좋네 [5] ㅇㅇ(218.53) 05.24 141 2
131260 독 영 대공전 질문인데 [5] 케스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05 1
131254 전두환때 라도 수도이전 했어야했다 [1]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97 1
131252 근데 러우전 남의 돈으로 끝낼수있는 전쟁 지속하는게 맞나 [1]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94 1
131251 라스푸티차 전까지 모스크바 측면 자리잡으면 되잖아 [4]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7 123 1
131250 한국 독립운동을 이성적으로 할 수가 있었을까? [1] 썬드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127 0
131247 독일 이번에 가는데 [3] 2갤러(115.138) 05.04 241 1
131246 코스프레 질문 (뉴비) [11] LEM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3 234 0
131245 이야 이런곳도 있네 [1] 무타구치렌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50 0
131244 방첩대 최고돌격지도자 그림 [2] 무다구치렌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269 1
131243 땅크 장갑 질문 - 볼트 vs 리벳 접합 [4] 2갤러(175.192) 04.27 227 0
131241 바주카 관련 질문이요 [3] 마우스피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218 0
131240 그때 그시절 낭만의 대 정모의 시대 ( 여기갤 맞음여?) 세계2차대전? 2갤러(117.111) 04.23 178 0
131239 진짜 진지하게 다른나라 개입없이 1941년독일vs625때북한 [8] 2갤러(110.47) 04.21 273 2
131238 난 이 이야기를 정말 좋아한다 [1] Beatles113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2 359 6
131237 일본군 위안부 질문 [1] 2갤러(118.235) 04.07 283 2
131236 독일이 ㄹㅇ 과거사 반성하는거 맞음? [3] ㅇㅇ(1.211) 04.07 383 3
131235 독소전쟁에 대한 대표적인 2가지 오해 1편 -1 [2] 킹티거2(218.152) 04.06 464 5
131234 나 스탈린그라드 포로출신 할배 실제로 본적있음 [1] 2갤러(220.72) 04.04 359 1
131233 긍데 독일군은 일본군이 진주만 선빵친다는거... [2] ㅂㅈㄷ(211.171) 04.03 320 0
131232 소련군 코스프레 질문 [3] ㅇㅇ(203.207) 04.02 397 0
131231 독일이 소련을 공격하지 않앗다면 독일이 이길수밖에 없는 이유 [14] ㅇㅇ(1.231) 04.02 470 2
131228 구일본군은 열강 군대처럼 안보이는데 정상이냐 [5] ㅇㅇ(175.211) 03.29 439 4
131227 2차 세계 대전 참모 디자인 조리실 어떻게 생김? [1] 2갤러(121.159) 03.24 313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