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 유탄제대 시너지 조합 연구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8.12.03 05:45:27
조회 9487 추천 32 댓글 51
														

1. 연구개요

다수의 유탄 인형을 투입하는 유탄 시너지 조합은 각기 다른 유탄들의 성능을 시간차로 투입해서 시너지를 내고자 하는 제대다.

흔히 유탄을 여러개 넣으면 링크 감소때문에 역효과가 난다고 하지만 잘 조합해 넣으면 유탄간 서로 시너지효과가 나온다.


이건 소전의 후반지역으로 갈수록 적의 숫자가 점점 늘어나고 체력이 늘어나기때문으로 초기에는 아군의 사격자체로도 이미 전열이 완파상태라

거의 노출된 상태인 후열에게 유탄을 쏘느니 수류탄이나 소이탄 한개만 던지고 나머지는 사격으로 모두 끝장내는것이 효과적이였지만

10지, 11지로 오면서 부터 사격만으로 높은 체력의 적을 잡는것보다 유탄으로 한번에 범위 효과 공격을 주는것이

더 효과적인 상황도 나왔기 떄문이라고 보면 된다.


2. 유탄의 투척우선순위

유탄을 제대로 운용하려면 유탄의 투척 우선순위를 알아야하는데 랜덤 투척인 유탄호러를 제외한

모든 유탄은 기본적으로 고체력의 적을 우선으로 투척된다.

400피의 5링크 예거와 1링크의 2300 가드가 있다면 5링크 예거가 아니라 1링크 가드에게 투척된다는것으로

단순히 링크만으로 적의 체력을 판단하면 엉뚱한 곳으로 투척되기때문에 주의를 요구한다.


또한 동일 체력내에서 우선 투척 순위는 우중이 맘으로 우중이가 적 제대를 디자인하면서 미리 우선순위를 정하는것으로 보인다.

제대 종류는 철혈시트 https://gf.underseaworld.net/ko/maps 에서 확인할수 있는데 등록된 동일한 제대상에서는

투척 우선순위 방향이 같지만 동일 전투력이라고 해도 동일 제대가 아닌경우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구한다.

예를들어 돌풍구출의 3만 건담의 경우처럼 동일 전투력이라고 해도 제대 카테고리가 4종류가 존재했으며

각각 내곽외곽 오렌지 건담으로 불리우며 유저들의 골머리를 앓게 만든 전례가 있다.


일반 맵에서 제대당 투척 우선순위가 다른 점은 1-1N의 네메움에게 간단히 확인할수 있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4c3dfc35ea1ad039ba2c9ef193289d0d63f6abf605e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4c3dfc35ea1ad039ba2ceea4b668fd0d33d6abf605e

같은 맵에 존재하는 동일한 능력치의 네메움 x4와 네메움 x6 제대에 유탄을 투척해보면

앞의 네메움이냐 뒤의 네메움이냐 우선되는 투척장소가 다르다는것을 확인할수 있다.

이렇듯 적 부대마다 투척우선순위가 다르게 디자인 되기때문에 한가지 방법만의 투척요령으로는 상대하기는 힘들도록 설계되었다고 보면 된다.



3. 유탄의 시너지 기대효과

소전의 화력형 유탄과 디버프형 유탄들은 카테고리당 각각 다른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화력과 디버프 유탄을 섞어서 써도 상승 효과가 나기도 하지만 고체력의 5링크 적이 많은 경우 딜링 유탄끼리도 상승 효과를 낼수 있다.

화력 유탄의 시너지 효과는 선행 유탄이 적의 체력을 확실히 깎아서 후속유탄이 그지역에 투척되지 않도록 하는것이 가장 큰 시너지 효과로
후속되는 강력한한 유탄이 만체력의 적이 많은곳에 투척 하도록 유도된다고 보면 된다.
일단 착탄시간이 비슷한 같은 색으로 표기한 유탄은 같이 쓰면 역시너지가 나므로 같이 편성하면 안된다.

이름

선쿨

착탄시간

(비거리따라 추가증가)

기대효과

연막탄

1초

약 2.84초

전열의 발을 묶어서 후열과 곂치게 만든다.

수류탄,소이탄

3초

약 4.84초

선두의 고체력 적 타격

자스탄(아효요란)

4초

약 4.84초

선두의 고체력적 타격

섬광탄

5초

약 6.84초

후속 고체력 적 스턴
유탄호러6초

약 7.5초

후속 소규모 적 타격

유탄폭격6초

약 7.84초

산개된 적 타격

살상류탄8초 약 9.84초 후속 고체력적 타격

아효요란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유탄은 스킬 활성화후 거의 2초가 지나야 투척이 되고 유탄호러는 약간 빠르다.

정확한 시간은 데이터 뜯어서 프레임으로 확인해야하는데 다른 갤러가 덧글로 알려줬다. 고마워!

착탄 시간대를 보면 알겠지만 수류탄이나 자스탄은 섬광탄 투척이전에 효과가 발생하므로 후속 유탄 투척지점에 영향을 끼칠수 있다.


ㅡ. 딜링유탄간의 시너지

유탄 투척방향은 앞우선이이냐 뒤 우선이냐의 차이가 있지만 일단 위나 아래로 일정방향으로 투척되기때문에

수류탄이나 소이탄같은 중급위력의 유탄을 터트리면 해당범위의 적이 모두 체력이 감소하므로

그 방향으로는 살상류탄같은 고위력의 유탄이 투척되지 않는 기대효과가 생긴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4c3dfc35ea1ad039ba29eb91d378bd1d4696abf605e

예를 들어 11-3e의 일부 스트렐치의 경우 유탄 투척 우선방향이 하단 후열인데

수류탄과 살상 류탄을 같이 쓰면 아래방향으로 수류탄이 투척되었기때문에

해당방향으로는 고위력의 살상류탄이 날아가지 않고 중열이나 상단에서 터지게 된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4c3dfc35ea1ad039ba2c8ba19658c8ad5326abf605e

우선순위가 상단 후열인 10-1e의 가드예거의 경우 상단에서 터트리면 살상류탄은 중열에서 터지게 된다.

이런식으로 중위력 유탄과 고위력유탄은 서로간의 시너지를 낼수 있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4c3dfc35ea1ad039ba2cdeb18698cdad73d6abf605e

만약 수류탄을 던지지 않는다면 이처럼 섬광탄과 살상류탄은 모두 위에서 터지게 된다.


ㅡ. 디버프 유탄과의 시너지

디버프유탄 연막탄과 섬광탄은 적의 행동을 제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것으로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fdc473aef161e4440d49272eeaaac4d663460c0b105909e40a07030aca6fb0bb4f5

연막탄은 적의 전열의 발을 묶어서 수류탄/소이탄/자스탄과 시너지를 내는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유탄 방향이 후열우선일때는 큰 효과는 없지만 전열 우선인 경우 매우 효과적으로

탱커의 길막기 무빙으로 어느정도 효과를 볼수있는 가드+예거 조합보다 긴사거리의 스트라이커나 네메움이 섞인 조합에 좋은 효과가 있다.


단 적이 너무 가까이 붙는 전진배치상에서는 효과가 보기 힘든 경우가 많으며 전진배치로 인해 고체력의 가드나 이지스가 가까이 붙는 경우

연막보다는 그냥 때려잡는 화력버퍼가 더 유효할수 있다.

섬광탄은 적을 완전히 봉쇄하는 용도로 수류탄으로 상단이나 하단 방향의 적의 체력을 깎아두면 중열에서 터지기때문에

굉장히 많은 범위의 적에게 스턴을 걸 수 있다. 단독으로 쓰기보다는 수류탄 + 섬광탄 + 살상류탄 식의 콤보에

괴멸적인 위력을 발휘할수 있지만 적이 굉장히 가까이 붙는 전진배치상에서는 큰 기대를 하기 힘들다는건 연막과 동일하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5c6dec158a0ad0fa21119220f12ff5061784360c9bbdd

만약 최초에 던지는 수류탄이나 자스탄이 소위력유탄이면 문제가 조금 있을수 있는데 10-1e의 가드예거는 후방 가드 하나만 5링크인지라

최초유탄이 대략 500뎀을 넘지 않으면 링크가 깎이지 않고 5링이 유지되어 4링크의 가드보다 체력의 우위가 유지 되기떄문에

후속섬광탄이 계속 그쪽에 박힐수 있다. 만약 수류탄이나 자스탄 데미지가 너무 약할거 같다면 선행유탄을 소이탄 쓰는편이

좋을수도 있으니 고려해볼 부분이라고 할수 있다.



4. 유탄계열별 추천인형

ㅡ. 연막탄

3 초에 터지는 연막탄 추천은 말이 필요없는 움사오다.

5성연막은 움사오밖에 없기도 하지만 유탄의 화력을 증가시킬수록 실용성이 생기는 유탄조합에서

진법에 화증이 있는 움사오를 빼면 다른 인형들은 고려할 요소가 없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fdc473aef161e4440d49272eeaaac4d663460c0b105909e40a07030aca6fb0bb4f5

장점 : 어느정도 거리가 떨어진 스트라이커나 네메움이 유탄의 타격을 받도록 보조가 가능하다.

단점 : 전진배치상에서는 연막탄 디버프 이외에는 큰효과를 보기 힘들다.


ㅡ. 수류탄 / 소이탄/ 자스탄

개인적으로 소이탄은 추천하지 않는데 범위가 좁으면 후속 유탄도 그만큼 중심에 박히기 힘들다.

또한 소이탄 인형들의 진형버프가 사속진법 위주라 유탄강화에는 도움이 안되니 비추천이기도하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4c3dfc35ea1ad039ba29fef4b3388dc873c6aa8675f

추천인형은 핑파샤, 개조스텐, pp-19, 자스다.

핑파샤 :

장점 : 후열의 모든 AR에 화력버프를 줄수 있고 수류탄 위력이 준수하다.

단점 : 탱킹력이 약해서 몸사리면서 운용해야한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4c3dfc35ea1ad039ba2cae61f608edd866c6abf605e

가벼운 핑파샤는 허약하니 시작하자마자 진법바꾸기식으로 운용한다.

자스

장점 : 기본 평타 사격이 수류탄 SMG보다 강하다.

단점 : 유탄자체는 화력 진법 먹은 수류탄보다 약하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5c6dec158a0ad0fa21119220f12ff5061784360c9bbdd

저 단점이 꽤 크게 다가오는게 10-1e로 5링크 4링크 가드를 섞어놓아서 유탄이 대략 500뎀이 안넘으면

후속 섬광이 계속 그쪽으로 박힌다. 우중이가 머리쓴다고 링크수가 다른 탱커들을 섞어놓았을경우

소위력 유탄은 큰 시너지를 볼수 없으며 이경우 자스탄이 가장 피해보기 쉽다.


PP-19

장점 : 한칸의 우수한 화력버프, 핑파샤보다 좋은 탱킹력

단점 : 진법 한칸, 개조스탠보다 나쁜 탱킹력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4c3dfc35ea1ad039ba29ee74a61d9de843a6abf605e

진법이 한칸이니 중앙을 일반 탱커에게 내주는 식의 구성도 좋다.


개조스텐

장점 : 탱킹력이 우수하고 개조하면 가장 수류탄 위력이 강하다. 또한 섬광 디버퍼로 M16을 쓸수 있다.

단점 : M16 회피버프 빼면 진법은 없는거 취급해라.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4c3dfc35ea1ad039ba2cfe74a648fd0d63e6abf605e

3성포격급에 천뎀을 상회하는 수류탄 뽕에 2스킬 이펙트는 꽤 이쁘다.


ㅡ. 섬광탄

섬광탄은 고위력의 유탄이 터지기전까지 적의 행동을 봉쇄하며 병종과 진법 형태에 따라 다양한 조합이 가능지만

64식처럼 특수한 디버프가 있지 않는한 진법에 화력이 없으면 비추천이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4c3dfc35ea1ad039ba299ed1966db8ad26c6aa8675f

개조 64식

장점 : 보스전까지 생각한다면 명중 디버프가 있는 개조 64식이외의 다른선택은 없다.

단점 : 후열 버프가 사속이다.

79식

장점 : 원래 메인탱이라 탱킹력이 준수하고 후방 화력버프가 굉장히 좋다. 5성이라 섬광 시간도 가장길다.

단점 : 보스전엔 쓸모가 없고 메인탱 위치 두어야하는지라 수류탄 딜러의 화력강화에 불리하다.

M9

장점 : 진법으로 모든 병종에 버프를 줄수 있고 권총이라 야간전에 넣기 좋다.

단점 : 섬광 시간이 가장 짧고 위치는 4번 고정이다.

M16

개조스탠을 쓸경우에만 쓸수 있다.

장점 : 스트렐치같이 중피해를 주는 적이 나오는 맵에서는 가장 든든하다.

단점 : 진법이 애매해서 1번 위치밖에 둘곳이 없고 고피해를 주는 적이 나오면 쓸모가 없다.


ㅡ. 유탄호러,유탄폭격,살상류탄

8~10초경의 괴멸적인 타격을 기대하는 유탄 패턴으로 각각 장단점이 있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4c3dfc35ea1ad039ba298ba19688a8b83686aa8675f


K11

유탄호러는 랜덤 타격이지만 수류탄으로 완전히 적을 박살내놓으면 투척 랜덤 대상 자체가 줄기때문에 강력한 수류탄과 시너지가 좋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4c3dfc35ea1ad039ba295ef4a62d9dd876e6abf605e

장점 : 적의 수가 적을수록 유탄이 위력적이다. 보스전에서도 나름 기대할수 있다. 또 살상류탄과 시간대가 곂치지 않기때문에 같이 쓸수도 있다.

단점 : 저위력의 수류탄을 쓰면 타겟이 분산되므로 유탄폭격이나 살상류탄쪽이 더 좋다.


FAL

K11과 달리 살상류탄과 같이 못쓴다.

장점 : 3연발의 유탄으로 수류탄으로 적당히 피해받고 흩어진 적들도 말끔히 청소 가능.

단점 : 진법이 회피라 수류탄 강화에는 도움이 안된다.


HK416

장점 : 40%의 화법으로 고위력의 수류탄 연성이 가능

단점 : 전방한칸이라 진형배치가 고정된다.


개조 M4 Sopmod II

장점 : 유탄계 답지 않는 우수한 평타에 살상류탄 위력이 가장 좋다. 11지에서는 전역버프도 받는다.

단점 : 진법이 수류탄 강화에 도움이 안된다.


G3는 진법이 문제라 비추천이고 그외 4성급 이하 살상류탄들은 딱히 매리트가 없다.


5. 지원딜러/ 지원 인형

유탄 시너지 조합은 유탄의 강화나 방어력/ 평타 공격력 강화를 위해 보조 및 지원 인형을 쓰는것이 좋다.

지원 조합의 경우 버퍼 뿐만 아니라 디버퍼도 굉장히 유용한데 유탄 선쿨이 한번돌면 적의 숫자 자체가 줄기때문에 페일같은 숫자제한의 디버퍼도 쓸만하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4c3dfc35ea1ad039ba29dee4b668ed8846b6aa8675f

어차피 지원스킬을 가진 딜러는 둘밖에 없긴하지만 화력 진법과 액티브 보호스킬을 가진 개조G36과 MDR중에 하나를 선택하는것이 좋다.

개조G36

장점 : 우수한 딜링, 매우좋은 진법과 회피버프

단점 : 7번자리 고정이라고 봐야한다.

MDR

장점 : 매우 좋은 진법, 우수한 액티브 스킬

단점 : 지원효과를 보려면 4번자리 고정이라고 봐야한다.

딜링으로만 쓰려면 7번에 박고 8번을 비우는 방법도 있겠지만 지원딜러로서 의미가 없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4c3dfc35ea1ad039ba29ee91932da8a806b6abf605e

위 짤은 제대 방어력 강화의 예시로 G36과 MDR이 각각 액티브 스킬로 섬광/ 유탄이 터지기전의 취약한 시간대를 방어해주므로

유탄 제대의 방어력이 우수해진다. 실전이라면 MDR이나 g36 하나를 빼고 다른 지원 인형을 추가하는것도 좋은선택이다.


지원 버퍼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4c3dfc35ea1ad039ba29aba1b35898d81396aa8675f

NZ75

장점 : 우수한 화력과 회피 진형 버프가 좋고, 액티브 사속감소는 제대의 생존력을 늘려준다.

단점 : 4번위치 고정이다. 단일 적 대상이면 페일에 비해서 스킬쿨타임이 길다.

MP-446(改)

장점 : 우수한 화력 진형 버프은 유탄 공격력을 강화해준다. 스댕이랑 쓰니까 천데미지를 훨씬 넘는 수류탄 뽕이 그만큼 좋긴하더라.

액티브 2스킬 사속 버프도 지원딜러 DPS 강화에 쏠쏠하다.

단점 : 배치할 위치가 애매해서 제대 무빙이 복잡해진다. 위의 움짤에도 있지만 탱커빼고 진법을 넣다보니 무빙도 어려워지고

액티브 맞춰서 이동하는것도 매우 번거롭다.

페일

장점 : 진형버프가 우수하고 유탄으로 적의 숫자를 줄여놓을수록 디버프가 강력해진다.

단점 : 4번위치고정이고 적의 수를 확실히 줄일 강력한 유탄 제대가 아니면 그냥 NZ75써라.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4c3dfc35ea1ad039ba2cae61f608edd866c6abf605e

페일의 경우 유탄으로 적의 숫자를 확실히 줄여놓을수록 디버프가 강력하고 보스전에서도

유용하게 활용하다는것이 장점이다.


6. 조합

유탄 시너지를 위해선 최소 3종의 유탄을 넣는것을 추천하며 수류탄 + 섬광탄 + 자스제외 AR유탄의 3종은 기본적으로 넣을것을 추천한다.

ㅡ. 3 시너지 유탄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4c3dfc35ea1ad039ba29ee74a61d9de843a6abf605e

기본적인 수류탄 + 섬광탄 + 살상류탄 의 셋으로 시너지 내는 조합으로 메인탱과 일반 딜러가 추가되는 다소 평범한 조합이다.

ㅡ. 3유탄 + 1지원딜러 + 1지원버퍼

무난한 조합이지만 이경우 유탄 인형중에 메인탱커, 서브 탱커가 있어야한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4c3dfc35ea1ad039ba2cae61f608edd866c6abf605e

다시 반복하지만 위 움짤이 핑파샤+64식+FAL로 3유탄에 개조상렬+페일지원 체제다.

유탄으로 적의 숫자가 대폭 감소하면서 페일 디버프가 굉장히 강력해진다는것이 장점.

ㅡ. 4유탄 + 지원딜러 또는 AK12

연막유탄을 추가하거나 유탄호러 + 살상유탄식의 조합으로 역시 유탄 인형중에 메인탱커, 서브탱커가 있어야한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fdc473aef161e4440d49272eeaaac4d663460c0b105909e40a07030aca6fb0bb4f5

4유탄에 한명은 지원딜러 또는 유탄 화력을 증가시키는 마일리를 넣는 조합.

잘보면 수류탄이 위쪽에 떨어지면서 중심 가드만 만피가 남게 만들어서 섬광탄이 이쁘게 들어갔다.

ㅡ. 보스전 고려 조합

지원딜러 하나, 보스전에 유효한 유탄인 K11과 보스전 디버프가 가능한 64식, 보스전 지원버퍼로 NZ75나 페일이 추가된조합이 추천된다.


ㅡ. 3화력유탄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e86fa11d0283191de25edc716dfae8790c63e5c68dc476407e40a3f15298404c3dfc35ea1ad039ba295ef4a62d9dd876e6abf605e

수류탄 + 유탄호러 + 살상유탄의 화력유탄 3콤보로 7-4n 같은 전진배치 상대라면 고려해볼만 한 조합.


7. 운용시 주의사항

유탄제대는 일반 평타 제대와 성격이 다르므로 운용에 주의할점이 있다.


제대준비

ㅡ. 수류탄이나 살상류탄은 스킬을 최대한 찍어야 된다. K11이나 FAL 처럼 조건가리는 유탄은 특히나 제대 유탄 위력이 중요하다.

ㅡ. 유탄 조합은 무조건 포격요정이 필수다. 살상계나 격앙계 특성을 가진 포격요정부터 갖추고나서 운용해라

ㅡ. 유탄 조합은 수류탄 투척이전의 초반딜이 약하기때문에 무빙이 요구된다. 무빙싫어하는 사람은 그냥 깡딜 제대 운용하는걸 추천한다.

ㅡ. 초반 제대 방어력이 취약하기때문에 지원딜러의 보조가 매우 중요하다.

제대 편성 단계에서 MDR이나 개조상렬의 아크기어 등의 효과를 적극적으로 받을 무빙을 계획해두자.


전장파악

ㅡ. 적 전열이 우선순위인 일부 조합의 경우 연막탄이 있어야 수월한 경우가 있다.

예를들어 이지스뒤의 네메움이나 가드뒤의 스트라이커 같은 조합의 경우 탱커의 무빙만으로는 유탄 시너지가 힘드므로 연막탄이 필요하다.

ㅡ. 보스전 조합은 보스전이 가능한거지 수월한건 아니다.

유탄 조합은 어디까지나 다수의 적 상대로 좋지 소수의 강력한 적은 일반 AR+SMG 제대가 훨씬 좋다.

ㅡ. 전진배치가 많은곳에서는 투입에 신중해라.

연막탄은 3초이후 섬광탄은 7초이후에 효과가 나므로 극 전진배치상에서 이지스나 가드를 앞세워서 오는 적들에게는 큰 효과를 보기 힘들다.

이런 적들에게는 수류탄 + 유탄호러 + 살상유탄 식으로 화력 유탄 콤보를 먹이는게 오히려 유효하므로 적의 배치에 맞춰서 유탄 제대 구성을 하는것이 좋다.

ㅡ. 체력이 다른 적을 섞인경우 선딜 유탄이 확실히 적의 체력을 깎아놓지 않으면 후속 유탄이 계속 그쪽으로 박힐수 있다.

수류탄이나 자스탄 쓴다면 어설픈 스킬레벨로 쓰면 나오는 현상이므로 저위력 선딜유탄을 쓴다면 적의 제대 배치를 파악해야한다.



추천 비추천

32

고정닉 2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669907 💬 [파밍공략] 1제대+1더미+1친구를 활용, 무보급으로 우유갑을 얻어보자 [1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2.04 6522 10
669723 💬 [파밍공략] 1제대+1더미+1친구를 활용, 무보급으로 바쟝칩을 얻어보자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2.04 7936 10
669445 💬 유탄시너지 내려면 포격 토템쓰라는건 [2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2.04 6421 12
💬 유탄제대 시너지 조합 연구 [5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2.03 9487 32
667627 💬 실험) AK - 74U에 관한 이모저모 [24] 뷰릅부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2.03 4870 13
667532 💬 MG에 요정을 붙였을 때 딜 증가량 [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2.03 3518 7
667382 💬 5성 요정+서약) 10-4e 유탄 사고 x 노컨 라플 거지런 사속 [30] par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2.02 4633 17
666508 💬 스탯 랭크와 실 스텟의 관계.anjungyoham [16] 00z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2.02 4446 16
666322 💬 랭크&스텟표 종합 (~12.02) [5] 팜시벳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2.02 3188 6
666310 💬 SG 랭크&스텟표 [6] 팜시벳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2.02 2763 7
666275 💬 MG 랭크&스텟표 [6] 팜시벳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2.02 2674 8
665670 💬 MG 1~3탄창 누적 대미지표 [3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2.01 5710 14
663600 💬 RF 랭크&스텟표 [7] 팜시벳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1.30 4445 8
663422 💬 AR 랭크&스텟표 [18] 팜시벳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1.30 5154 11
663326 💬 [거지런 정보]내가 지금 쓰고있는 움골격 파밍 + 거지런 적어볼게 [19] Sungche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1.30 5879 7
662760 💬 역대 히든 전장 컷 점수, 필요 스펙 조사 결과 [15] 스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1.30 4538 23
662524 💬 엘리트몹 리스트 [2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1.30 3977 10
661414 💬 HG 랭크&스텟표 [5] 팜시벳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1.30 1377 7
660867 💬 전투원편성표 작성기 v2 [15] 368kEM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1.30 3279 13

게시물은 1만 개 단위로 검색됩니다.

갤러리 내부 검색
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