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공략] 서늘한 증기 벤트 개발 : 기본형(건설 가이드 포함)

만년초보(1.228) 2024.03.05 02:53:18
조회 2375 추천 19 댓글 12
														

#서늘한 증기 벤트(이하 서증벤) 테이밍


DLC가 나오고 차가운 액체 분출구가 고정적으로 스폰 되면서 서증벤의 중요성이 예전만 못 하다지만

모든 산미포 유저가 DLC를 하는것은 아니기에

오리지널 유저, 일부 DLC 유저에게는 여전히 필수적으로 개발해야 하는 벤트 중 하나입니다.


물이 필요해서 하는 테이밍이 아니더라도 생존에 필수적인 물을 취하면서

액체 냉각기와 증기터빈 활용법을 익히기에 서증벤은 훌륭한 벤트입니다.


벤트를 테이밍 할때는 냉각에 중점을 둘 것인지

분출되는 에너지를 이용 해 전력 생산에 중점을 둘 것인지

또, 분출되는 에너지를 이용 해 물질변환을 시키는 쿠킹 시설로 만들것인지 정해야 합니다.


이번 가이드에서는 초보자분들을 대상으로 하는 글이기에

서증벤 테이밍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증기 액화에 중점을 두고 만들어 보겠습니다.


필요한 자원은 강철:1200Kg과 플라스틱 200Kg

방열 배관과 자동화 회로에 사용되는 소량의 제련된 금속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반드시 증기터빈과 액체냉각기가 필요한건 아닙니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ebf5af0f22a3e2eefd7fe08


 


액체 냉각기와 증기터빈 없이도 증기는 충분히 액화 시킬 수 있습니다.

DLC유저는 차가운 액체 분출구를 이용 해 영구적으로 사용 할 수 있고

오리지널 유저 또한 주변의 오염된 물을 이용 해 10000주기(천주기 아니고 만주기)동안

증기를 액화 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강철 액체 냉각기가 꼭 필요한 건 아닙니다.


온도센서를 이용 해 액체 냉각기를 컨트롤 해 준다면 금 아말감 재질의 액체 냉각기를 가지고도

무리 없이 증기를 액화 시킬 수 있습니다.


다만, 원유나 석유와 같은 버퍼/매질이 필요 해지거나

동광석 같은 경우 액체 냉각기방을 따로 분리 해 줘야 하는 등

현실과 맞지 않거나 테크닉이 좀 더 필요 해 집니다.


많은 내용을 한번에 담아 내기엔 어렵고, 보는 사람도 어지럽기에 이번 가이드에서는

서증벤 테이밍에 기본 요소라 할 수 있는

증기터빈과 강철 액체 냉각기를 가지고 진행 해 보겠습니다.




#서증벤 증기 액화 기본형 디자인 종류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8ea08a2f678392befd7fe08

2터빈 에어록 압축식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7ed0ea1f0286a7aefd7fe08

1터빈 초소형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9bf55aaf42a3e73efd7fe08

1터빈 세로형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8ea5ef4a1296d7eefd7fe08

1터빈 금 아말감 액체 냉각기





7fed8272b58168f33eed84e647801b6cd5f3a331a537954f9f9e56adf88afc63

2터빈 헤비와트 결합판 활용편






7fed8272b58168f33eee86e247801b6c61e4c3dc9023de522e7be1b1a74e0481

1터빈 가로형





이번 가이드에서 소개 할 디자인은 1터빈 가로형입니다.



<건설가이드 시작>

지금부터 존대를 생략합니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8e45da6a378697defd7fe08

사다리로 틀을 잡아 잔해를 치우는 시간을 줄이고

듀플의 이동이 원활 할 수 있도록 좌우로 사다리 건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9eb58f0a67c3d7defd7fe08

분석과 함께 사다리 틀 건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aeb0af3a5213172efd7fe08

근처에 웅덩이를 만들고 피처 펌프 건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bb855a1f47d3a29efd7fe08

진공 작업을 위해 외벽 틀 잡기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ebe0af4ff2f3f73efd7fe08

병 비우개 건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9e80aaaa42b6e7befd7fe08

필터에서 '물 체크'

우선순위 '9'

자동병입 활성화 체크


병 비우개에서 물이 나오는 모습이 보이면 '물 체크 해제'


흘러들어간 물을 닦고 병 비우개 철거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9bd5da2a32b397defd7fe08

진공 작업 시작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cec58a0a32a3c29efd7fe08

각각의 방 틀 잡기


터빈의 바닥이 되는 세라믹 단열 타일은 화성암으로 변경 가능.

왠만하면 터빈 바닥은 세라믹 이상 등급을 쓰는 것이 좋다. 구하기도 쉽다.

금속 타일은 화강암 재질의 일반 타일로 변경 가능.

현재 보이는 금속타일은 터빈 냉각용이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4354cf8e299fda01641e690c594aea7c374db217760f

서증벤 옆에 병 비우개 건설

물 체크

우선순위 '9'

자동병입 활성화 클릭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abd5cf3a4213e7cefd7fe08

압축 수조가 되는 곳.

수동 에어록을 사진과 같이 건설하고 잠금 설정.

재질은 상관 없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def5aa6f62b6d72efd7fe08

금 아말감 재질의 액체 펌프를 해당 위치에 건설하고 액체 배관을 건설.

반드시 '금 아말감' 또는 '강철'이어야 한다. 다른 재질은 불가.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dbe5ef0f6206a7cefd7fe08

자동화 연결

대충 500 초과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7e458a0a4203b7aefd7fe08

액체 펌프에 전선 연결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9e85cf0a37d6c73efd7fe08

2중 기체 압축을 위해 기체 브릿지 두개 건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def58a6a47c6a28efd7fe08

브릿지의 출력 부분(녹색)에 일반 배관 한칸만 건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cbd5af0ff7c3b2befd7fe08

기체 비중 확인


가벼운 기체가 위 브릿지로 가도록 유도.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9e55da6f52f3f29efd7fe08

안해도 되는 열전도판


용도는 에어록 위의 한칸 물방울을 압축된 물과 묶어주기 위함.

워낙 다양한 사람들이 이용하는 곳이므로 만일에 대비해 건설을 추천.

멈추지 않고 운영시 생략해도 됨.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8bd09a6f628317befd7fe08

증기방 건설 시작.


세라믹 : 화성암으로 변경 가능하나 증기와 만나는 곳은 세라믹 이상 등급을 추천

금속타일 : 화강암 일반 타일로 변경 가능. 증기방 내부에 금속타일이나 일반타일을 두르는 이유는 외부로 열이 새는걸 막기 위함.

단열타일은 기체와 열전도율이 높고 고체타일과 극단적으로 낮다.





7fed8272b58168f03cee86e745881b6c6963d9f589ef7771b9555769201588c97ce5fb1084bc2874

증기터빈을 식히는 금속타일은 사암, 화성암, 퇴적암 등 무엇을 써도 터빈 냉각에 무리가 없다.

심지어 세라믹도.

단, 증기방이 낮은 온도에서부터 터빈이 돌 수 있게 하고, 냉각수의 온도를 너무 높지 않게 해야 된다는 설정을 이해 해야 한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ebf09abf67a6d7fefd7fe08

사진과 같은 위치에 병비우개와 강철 재질의 액체 냉각기 건설.

액체 냉각기의 방향에 주의.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4354cf8e299fda01641e6b585e1ce421321db217760f

필터에서 물 선택

우선순위 9

자동병입 활성화 클릭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6e555a4f578307defd7fe08

1펌프만 붓고 바로 철거. 1펌프는 200kg

많이 필요 없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cee08f4a67b6c7fefd7fe08

액체 냉각기에 단열 배관 건설

증기방 내부에 사용되는 단열 액체 배관은 세라믹 등급 이상을 추천.

화성암이라고 해서 큰 문제는 없다.

현재 보여지는 단열 배관이 세라믹 재질이다.(오해 주의 : 액체 펌프쪽은 화성암이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8be5df1f02e3c73efd7fe08

증기방을 나와 순환하는 단열 배관은 모두 화성암.


서증벤 주위를 감싸는 방열배관은 6칸이면 충분하며 그 이하에도 이상 없다.

재질은 아무 재질이나 상관 없으나 납은 피한다.

성능은 알루미늄이 가장 좋다.


터빈방 바닥에 금속 타일과 만나는 방열 배관은 한칸이면 충분하다.(터빈 냉각용)


순환하는 단열 배관은 헤비와트 결합판을 피하거나 브릿지로 건너 뛰어야 한다.


사진과 같은 위치에 건설한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beb08f1f67a317fefd7fe08

액체 브릿지 방향에 주의 해서 건설

재질은 화강암 또는 흑요석

재질에 크게 상관 없는 시설(구역)이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9bf5da2f27a6e2cefd7fe08

증기터빈 건설.

재질은 납.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7e559f4f4203c7cefd7fe08

터빈의 배출수 배관을 화성암 재질의 단열배관으로 건설하고 배수구도 건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ee55daaa32c6a7defd7fe08

사진과 같은 위치에 해당 센서 건설

재질은 상관 없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ebd5ba1a57d6b2cefd7fe08

방향과 종류에 주의 해서 건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9eb5bf6a57f3e7eefd7fe08

자동화 와이어 연결. 자세한건 오른쪽 사진을 참조.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eec58a6f72e3173efd7fe08

자동화 셋팅


온도센서 - 메모리 토글 - 증기터빈 : 200도 초과에 터빈 가동을 시작 ~ 135도 미만에 멈추라는 명령.

*터빈의 자동화는 완전히 없애도 되지만 이번 기회에 해 보는것도 좋다.

*메모리 토글을 대신 할 수 있는 자동화 회로는 온도센서 - 버퍼게이트(지연값 충분히) - 증기터빈이 있다.



온도 센서 - 액체 파이프 온도 센서 - AND게이트 - 액체 냉각기 : 증기방의 온도가 300도 미만이면서 냉각수의 온도가 25도 초과일때 액체 냉각기가 가동된다.

*이 시설에서 액체 냉각기에 필요한 센서는 액체 파이프 온도 센서 하나로도 충분하다.

*나중에 금 아말감 액체 냉각기를 운용 할 경우를 대비 해 연습 해 보는 것도 좋다.






7fed8272b58168f03cee87e745811b6c775175edf3030958c7a8b409d291821fb991123f2caad6479177

터빈의자동화를 생략하거나 냉각수의 온도를 더 높은 온도로 유지 해도 된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4354cf8e299fda01641e6a5d5b1ee221634eb217760f


증기방과 터빈방을 건설 하면서도 압축 수조의 물 높이가 두칸까지 차 올랐는지 계속 관찰 해야 한다.


물의 높이가 두 칸 까지 올라 왔다면 2중 기체 압축을 위한 두가지 기체를 한칸씩 끌어 온다.


기체 펌프를 이용하거나 지나가는 배관에서 브릿지를 이용 해 한칸만 빼 온다.


끌어 온 기체가 브릿지 출력위치에 도달하면 브릿지 철거.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aec09abf37f6d79efd7fe08


주변에 이산화 탄소가 많아 기체 펌프를 이용 해 이산화 탄소를 한칸만 끌어 왔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eba5df7f6296979efd7fe08

윗칸 먼저 철거 한다. 동시에 철거 하지 않는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ab95ca7fe2b3e7defd7fe08

윗칸의 배관이 철거되는걸 확인 한 후 아래의 배관을 철거 한다.

동시에 철거 하지 않는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dbf09a5f6213c28efd7fe08

기체가 사진과 같이 갇혔다면 성공이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be95fa7f2783c29efd7fe08

다시 증기방으로 돌아와서

해당 위치에 화강암 재질의 열전도판을 건설.

영역이 워낙 작아 생략해도 무관.

금속재질이 아니어도 상관 없으며 정가운데 한장만으로도 충분하다.


주의 할점은 열전도판을 기준으로 사방 8칸 구역에 단열 타일이 겹치지 않도록 한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ae409f3f12a382cefd7fe08

전선 연결


전선 종류 주의.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7e90aa1f42e3f7befd7fe08

증기방 밀폐 시작.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ae90aa5fe293e2befd7fe08

증기방 내부의 금속타일은 일반 타일로 변경 가능. 재질은 화강암.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d9eb54a7ff78317cefd7fe08

화성암 재질의 단열 타일로 증기방과 터빈방을 밀폐.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7ec5ea2f72c6b7eefd7fe08

액체 냉각기에 전기가 연결 되기 전

냉각수 배관에 브릿지를 이용 해 오염된 물을 투입.


더이상 들어가지 않을때 액체 브릿지 철거.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fbe5ea6a62d6e2befd7fe08

화성암 단열 타일로 벤트방도 밀폐.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dec55a0a57d6d2befd7fe08


전력 공급 시작.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aadd832e38cd882991d4076d79f98ee80fa6a4783929efd7fe08

주변을 정리 한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652a76d851a2c282fee89d62b5ec98826f9dc5169755d153687c9a4b63a


#증기가 확산 되기전에 액화 되는 서증벤 모습



완성되었습니다.


시설 건설에 능숙하지 않은 초보자 분들도 따라 할 수 있게끔 최대한 쪼개서 설명하다보니 사진이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복잡하지 않은 시설입니다.




간혹 벤트의 회당 분출량이 매우 많으면서 금 재질의 방열 배관일 경우

증기가 확산 될 수 있지만 게의치 않으셔도 됩니다.


증기를 액화 시킴에 있어서 아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7fed8272b58168f03ced82ed46871b6eee34c188cfff8317830747a214e8cc61c2b583013d4996ea5d


가이드에서 설정한 '액체 파이프 온도 센서' 25도 초과 일때 가동률


열전도율은 매질의 열전도도 중요하지만 두 원소간 온도차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에너지 이동량(또는 속도)은 두 원소 간 온도 차가 클 수록 빠르다.


그러므로 액체 파이프 온도 센서 설정값에 따라 액체 냉각기 가동률이 달라진다.

액체 냉각기의 가동률은 온도 센서 설정값이 낮을 수록 높고, 높을 수록 낮다.



액화 된 물의 온도는 온도 센서 값이 낮을 수록 낮고, 높을 수록 높아지게 된다.



가동률은 벤트 분출이 시작되고 약 10주기 이상 되었을때

시설의 지난 5주기 가동률을 참고 하면 된다.



위 가동률을 토대로

액체 냉각기는 1주기에 약 417kW를 소비

증기 터빈은 1주기에 약 197kW를 생산


부족한 220kW를 채우기 위해

600W를 생산하는 석탄발전기는 주기당 약 61%동안 가동하게 된다.


석탄발전기 두대, 세대의 61%가 아닌 단 한대의 61%이므로 그리 크지 않다.

액화 된 액체는 약 75도로 얻을 수 있다.




어지간한 서증벤을 액화 시킬 수 있는 '액체 파이프 온도 센서' 값은 75도 초과이다.

75도 초과로 설정 한 서증벤 액화 시설의 가동률은 아래와 같다.




7fed8272b58168f03cee82ed46861b6e03cc9503bd57eb41373a44f57c3b17799313415bc0da78

<액체 파이프 온도 센서 설정값이 75도 초과일때>


액체 냉각기는 1주기동안 약 208kW를 소비

증기 터빈은 1주기동안 약 98kW를 생산


부족한 110kW를 채우기 위해

600W를 생산하는 석탄발전기는 1주기동안 약 30%동안 가동하게 된다.


액체 파이프 온도 센서 값을 조정함으로써 소비되는 전력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대신 생산되는 물의 온도는 높다. 약 95도.






자신이 원하는 온도로 맞춰 사용하시면 됩니다.





추천 비추천

19

고정닉 2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865 AD 호요버스 신작 <젠레스 존 제로> 7월 4일 오픈! 운영자 24/06/05 - -
79364 공지 산린이가 참고하기 좋은 연재글 링크 모음 [5]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27 5866 8
79367 공지 산소미포함 공략 모음 (2024.04) [10]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27 14671 11
79045 공지 규칙과 신문고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20 644 9
44876 공지 무한전해조 [42] WJ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16 63817 56
41519 공지 산소미포함 추천 모드들 V2.0 [14] WJ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3 51986 22
82085 정보 산소미포함 방 오버레이 목록 짤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232 5
82067 일반 960주기 겁쟁이엔딩 본 기지 보고가라 [9] 생갈치1호의행방불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470 8
82048 정보 반쯤 굶주린 파쿠(pacu)목장 [1]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211 6
82003 연재 DLC 첫플레이 방사성바다 올업적 (4) - 황량땅발견 [4] ㅇㅇ(211.198) 06.03 258 6
81932 일반 그림그렸다!! [10] ㅇㅇ(114.129) 06.01 496 16
81889 연재 DLC 첫플레이 방사성바다 올업적 (3) - 육식달성 [3] ㅇㅇ(211.198) 05.31 283 5
81751 공략 여행자모듈 공유 (미세하게 3단 변신)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451 13
81412 연재 복귀뉴비 DLC 첫플레이 방사성바다 올업적 (1) [8] ㅇㅇ(211.198) 05.21 602 6
81359 정보 전도성와이어로 피해없이 고전력이 전송된다고? [4]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482 9
81153 일반 DLC 여행자모듈 내가쓰는거 공유 [8]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4 484 8
81027 공략 4000주기 쯤 플레이하고 쓰는 렉 줄이기 팁 [23] ㅇㅇ(122.40) 05.09 1404 12
80825 일반 아래 열액조하나로 여러온도조절 질문 이거보셈 (액체중단) [10] ㅇㅇ(14.49) 05.04 1004 12
80773 공략 저전력 배관의 필터(2) [1]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3 616 10
80705 일반 밑에 쿠킹 시설 [6] 만년초보(1.228) 05.02 826 7
80471 공략 반응로 설명해줌 [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1148 11
80346 공략 연구용 반응로로 석유쿠킹 공략 [8]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015 16
80262 일반 자동 정리기와 전도패널 열전도 패치 [6] 만년초보(1.228) 04.21 1082 12
80017 일반 빠르게 훑어보는 스팀 인기 기지 레이아웃 8선 [6] KSM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3 1734 11
79852 일반 스토리특성 안켜놔서 삭제된 비운의 콜로니 [6] wa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257 6
79830 일반 팬아트) 뭔가 잘못된 산소미포함 [13] ㅇㅇ(210.182) 04.07 1808 39
79716 일반 팬아트) 짜란다 짜란다~ [31] ㅇㅇ(210.182) 04.04 1613 74
79688 공략 열전도에 대한 정보 [17] ㅇㅇ(182.229) 04.04 1694 25
79592 일반 첫 석유쿠킹 성공했다 ㅋㅋ [7] ㅇㅇ(121.136) 03.31 1530 7
79582 일반 철화산으로 석유쿠킹하기 [7] ㅇㅇ(182.229) 03.31 1540 9
41696 일반 산소미포함 공략 모음 (2023.10) [64] WJ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7 282181 93
79392 일반 픽셀 팩 재밋다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1166 10
79348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14 완결) - 수소 로켓, 두가지 엔딩 [9] ㅇㅇ(182.229) 03.27 1825 17
79334 일반 밑에 회로 [11] 중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814 5
79324 일반 신난 구리 [7] ㅇㅇ(122.43) 03.26 1012 20
79154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13) - 시간의 찢어짐, 육상 가공물 [6] ㅇㅇ(182.229) 03.22 1266 12
79088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12화 부록) - 석유 쿠킹 [14] ㅇㅇ(182.229) 03.21 1891 11
79084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12) - 소행성 착륙, 장기프로젝트 로켓 [11] ㅇㅇ(182.229) 03.21 1134 13
79078 일반 답변용 [6] 만년초보(1.228) 03.21 998 14
79035 일반 ㅆㅂ 나 인생 ㅈ된듯 [16] ㅇㅇ(115.136) 03.19 1522 17
79021 일반 미안하다 얘들아 [14]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9 1257 12
79015 일반 20인 큰회관 + 주방 + 냉동고 [13] DOOFE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9 1727 5
78977 일반 답변용] 금속화산 중단기 없애기 [29] 만년초보(1.228) 03.18 1126 11
78941 공략 뉴비들을 위한 산소 미포함 단 한줄 공략 [8] ㅇㅇ(222.105) 03.17 1820 24
78899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11) - 정착 엔딩, 태양열 발전, 채굴 로켓 [8] ㅇㅇ(182.229) 03.16 1494 12
78875 연재 초보 100일 3종(초지속/육식/로커보어) 하기(4) ~100주기 [2] ㅇㅇ(122.42) 03.16 847 8
78861 공략 열액조 하나로 여러 농장 온도 조절하기-보충 설명 [10] DOOFE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5 1432 8
78736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10) - 저장 타워, 석유 로켓, 텔포행성 [8] ㅇㅇ(182.229) 03.13 1881 13
78596 일반 드디어 동상 지었다 [9] ㅇㅇ(59.17) 03.10 920 11
78568 일반 공지글에 올릴 공략 추천 받음 [27]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0 966 9
78562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9) - 첫 로켓, 금속 화산 테이머 [5] ㅇㅇ(182.229) 03.10 2014 1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