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연재] 초보 100일 3종(초지속/육식/로커보어) 하기(3) ~60주기

ㅇㅇ(122.42) 2024.03.09 22:07:54
조회 793 추천 7 댓글 4
														




7cf3c028e2f206a26d81f6e746817768aecf

저번 연재에서 전해조 만들 자리를 정리했다고 했는데 그럼 무슨 전해조를 만들지 정해야한다.


이 전해조는 임시로 설치할 건 아니고 기지 중앙에서 끝까지 산소를 채우고, 가능하면 특수복 산소까지 채울것이며 초지속 업적이 끝날때까지 전기를 채워줄 보조배터리 역할을 해야함 그래서 가능하면 공급이 쉬는 경우가 적으면 적을 수록 좋음


현재 게임하는 사람들끼리 나눈 전해조 방식은 크게 오픈형/로드리게즈/침수형 이렇게 나뉨


오픈형이 제일 간단한 형태임 전해조는 기본적으로 산소와 수소를 왼쪽 오른쪽 위로 뿜어내는데, 수소는 위로 떠오르고 산소는 수소때문에 가라앉는걸 이용해서 기체를 구분하는 방식임, 그러니 산소에 있을 법한 곳에 기체펌프를 두고 수소가 있을법한 곳에 기체 펌프를 두어서 구분하려는 방식인데


https://gall.dcinside.com/oni/78048

https://gall.dcinside.com/oni/74138


이렇게 아예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부터


https://gall.dcinside.com/oni/39619


이렇게 오픈하되 기체 구분하는 액체를 설치해두는 방식까지 다양함


다만, 내가 쓰기에는 목적에 맞지않는데 오픈 형이라는 것만큼 열도 주변에 퍼지기에 기지 중앙에 농사를 할수도 있는데 방해되는 것도 그렇고, 간편하게 만든 만큼 정밀도가 떨어지기에 중간에 수소가 들어가야할 부분에 산소가 들어갈 수도 그 반대도 될 수 있어서 신경써야 한다는 점이 그럼


결국 로드리게즈냐 침수형이냐의 문제인데 나는 로드리게즈를 쓸거임 왜냐하면 침수형을 설치하느라 물 액체 배합하는 시간, 고장나면 다시 고치고 할 시간이 없음 이 전해조로 적어도 '산소'문제는 신경쓰지말고 육식 업적을 위한 준비를 해야함, 침수형이 기체압축도되고 가동률도 좋다지만, 고장나지않는 로드리게즈로도 200~300주기 넘게 충분한 양의 수소와 산소를 공급하기 때문에 침수형은 차후에 필요할때 천천히 제작해도 괜찮음


https://gall.dcinside.com/oni/45666


전해조 건설은 위 링크를 참고



7ff3c028e2f206a26d81f6e14187736d93


전해조를 설치하기 전에 제련금속을 만들기 위한 파쇄기를 설치하고



7ef3c028e2f206a26d81f6e44085756e59


액체관은 가능하면 안정적인 화강암으로 좌측 물아래에 설치 예정인 액체펌프와 로드리게즈 전해조에 꽂아주자



79f3c028e2f206a26d81f6e24481776c7d


안에 있는 기체펌프와 전해조는 가능하면 금 아말감으로 제작

금 아말감은 이전에도 말했지만, 빠르게 열이 오르지만, 버틸 수 있는 온도 한계선이 높기 때문에 쓰는 편임

로드리게즈 전해조는 위에서 아래로 설치하는 것이 좋은데 타일, 사다리 해체하고 남은 잔해같은걸 떨어트려서 나중에 바닥 치우는 시간을 아낄 수 있음



78f3c028e2f206a26d81f6e34581736f92

그러면서 동시에 식사는 가능하면 고기/바베큐로 유기농 농법에 도움도 안되는 동물들 사냥해서 고기로 만들자



7bf3c028e2f206a26d81f6e741837d6df510


지금 건설 청사진을 대략으로 만들어서 내 의도와 다르게 예약되어있는데 실제로는 빨간 선대로 설치함

왜냐하면 가로로 직열 연결을 하면 기체펌프가 끝없이 흐르지 않으면 안쪽에 있는 기체펌프가 노는 경우가 있음, 그걸 해결할려고 가능하면 T자 형태로 기체관을 설치하는 편. 기체펌프를 2개씩 나눈 이유는 기지 좌측, 중앙, 우측을 나누어서 산소를 배분하려고 한거고 기체펌프 사이에 기체관 하나 씩 두는건 좌 우측에 산소가 부족할 떄 기지 중앙의 산소를 나눌 때 사용할 거임, 이 로드리게즈 전해조는 한번 설치하면 왠만하면 안 열 거라서 미리 내용물을 옮기는 등 중간에 조절할 수 있는 요소는 미리 다 넣어두고 닫아야함



7af3c028e2f206a26d81f6e34e887d6d77

전해조 근처, 이 지구에서는 오른쪽에 이제 버프받은 기체저장소와 발전단지 예정 터를 닦아둔다



74f3c028e2f206a26d81f6e14387726b


그리고 기체 차단기에 대해서 설명을 하지 않으면 안되겠는데 왜냐하면 초반 수소/산소 분리할때에는 이 기체 차단기가 필요해



79f3c028e2f206a26d81f6e24481776c7d

이 위에 있던 사진을 다시 보면서 얘기하자면, 중앙의 U자 부분에 있는 기체펌프가 수소를 가져가는 부분임

그런데 나는 건설을 진공화 작업을 하지 않고 했고, 따라서 산소나 여타 기체들이 이 구역에 돌아다니고 있어


산소미포함의 건물들 중 몇몇 건물을 제외하곤(탈염기. 물체같이) 요구 물질을 틀리면 "틀린원소피해"라며 기계에 데미지를 주고 발전이 안되는 상황이 발생함

그러면 수리한다고 제련금속, 혹은 금속을 가져다 쓰는데 이만한 낭비도 없고 복제체의 노동력을 소모하는 경우가 없음


그래서 가능하면 그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기체를 미리 구분할 수 있다면 좋겠지?

그런 부분에서 기체 필터를 사용하면 좋음

그런데 지금은 기체 필터가 아니라 기체차단기잖아? 왜 기체 필터가 아니라 차단기를 쓰냐면 차단기는 전기도 싸고(5w) 자동화 연결하는 게 그렇게 복잡하지 않기 때문이야



74f08368f5dc3f8650bbd58b3686706baa32

대략 이런 식으로 설치를 하기 될텐데 왼쪽에 있는건 "기체관원소센서"임

이 기체관원소센서 다음 칸에 기체 차단기를 설치하고 자동화선을 연결한다면, 기체관원소센서에 설정한 "내가 원하는 기체"는 센서에서 반응해서 넘겨준 건 기체 차단기의 초록색 출구로 빠져나가고 그 외 나머지 기체들은 위쪽에 있는 환풍구로 나감


물론, 기체 차단기 사이에 출입구와 배출구의 기체관은 연결이 안되어 있어야함, 연결되어있으면 기체관에서 나간 기체가 다시 되돌아가는 루프가 발생하니까 말이야, 차단이 안됨


그래서 내가 원하는 기체는 어떻게 설정하냐



74f08268f5dc3f8650bbd58b3685746b392f


기체 차단기가 아닌 뒤의 기체관원소센서를 클릭하면 메뉴인데, 여기서 원하는 기체를 설정하면됨

이렇게 설정하면 내가 원하는 기체인 수소는 저장고로, 나머지는 위에 연결된 환풍구로 배출되니, 틀린 원소 피해가 발생할 일이 없겠지?



7ced9e36ebd518986abce8954588726b1b89e6


이게 대략적인 완성본인데 로드리게즈의 벽을 다 치기전에 주의해야할 점이 있다면



7ced9d77abd828a14e81d2b628f17d6fa94d4336


이 부분에 전선이 다른데, 기체 펌프가 전기를 먹는 양이 많아서 기체펌프 6개를 돌리면 일반 전선으로는 과부하가 뜸, 그래서 아까 건설했던 파쇄기로 금속을 정제해서 전도성 전선을 설치해야 안정적으로 로드리게즈 전해조가 돌아갈거임


자, 그러면 이제 시드 전기를 만들기 위해 우측 복제체가 수동발전기를 돌리기 시작했음, 왼쪽에 액체펌프에서 액체가 올라오고 전해조가 기체를 뿜어내기 시작했음



7ced9d74abc236a14e81d2b628f17c6acbe0bf1b

아래로 내려간 산소는 아래에 있는 기체펌프가 좌 우측 하단으로 산소를 내려보내고 있고 위에 저장고로 연결된 기체펌프는 산소와 수소를 보내고 있음

미리 설치한 기체 차단기로 산소와 수소가 제대로 분리되고 있는 모습이 보임, 그러면 어느정도까지만 지켜보다가 수소만 계속 나온다면, 저 U자에 수소만 가득찼다는 뜻일테니, 차단기와 기체원소센서는 제거해도 괜찮음



7cec9e36ebd518986abce8954283706d75f1


그러면 이제 수소발전기와 스마트배터리끼리 자동화 선을 연결하고 스마트 배터리의 논리 활성화 변수를 20 80으로 맞춤

낮은 임계값을 20으로 맞춰두는건 이전 수동발전기때도 얘기했지만, 전기가 중간에 끊어진다면 복제체가 하는 일을 그만두어서 낭비가 심하기 때문이고 높은 값을 설정하는건 전기 신호가 즉시 발동되는게 아니라 한 1초? 정도의 딜레이가 있기 때문임


만약 임계값을 90이나 100으로 설정한다면, 전기 소모량이 많거나 배터리 숫자가 많이 있지않으면, 발전량이 소모량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배터리가 가득찼는데도 수소 발전기가 한번에서 두번정도 더 발전을 할 수가 있음, 그러면 수소 원소가 낭비되기 때문에 80선으로 맞춘 것


이러면 초반 전기는 산소가 가득차지않는 이상 문제없고 복제체들도 수동발전기를 돌릴 이유가 없으니 조금 여유가 생김

그러면 이제 무엇을 해야하나?

다시 목표를 살펴보자



7cef9e36ebd518986abce8954781776bfdee



현재 43주기, 중간중간 사냥을 통해서 잡아먹은 칼로리가 47000kcal 정도 된다. 복제체는 1주기당 1000kcal을 먹으니까 현재 복제체 수가 8명이니 8000kcal. 총 35만 kcal을 먹여야하니 45주기는 고기를 먹여야 여유롭게 해결이 될 것 같다. 그런데 주변에 동물들도 얼마 없고 주동가리나 단벌레는 고기를 그렇게 많이 주지 않는다. 그러니 더 많은 크리처나 고기를 많이 주는 크리처를 찾아야한다. 그리고 크리처의 숫자를 늘리기 위해서 사육할 복제체도 만들어두어야 한다


또 기지 내부적으로도 확장과 안정을 해야겠지? 전기 부족으로 만들지 못했던 건물이나 전기를 만든다고 하지못했던 굴착같은걸 할 필요가 있음

가능하면 이산화탄소가 내려앉고 산소가 올라갈 수 있는 수직으로 말이야



7cee9e36ebd518986abce89540867164bc3c


기지 확장은 이런 방식으로 수소발전기를 통해 만들어진 전기가 다른 기지 내부에도 퍼질 수 있도록 설정하고

복제체가 작업하는 동안 "밝은 작업공간" 버프를 받을 수 있도록 전등을 작업공간에 설치하자 밝은 작업 공간은 복제체가 작업을 빨리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7ce89e36ebd518986abce89543837764fa0b

그리고 기지 내부를 보면 타일에 딱 달라붙어있는 이산화탄소가 보인다. 일반적인 생각으론 산소의 압력이 이산화탄소를 눌러서 좌 우측으로 떨어트릴거라고 생각하지만(혹은 퍼트릴거라고) 산소미포함에서는 1타일 1원소 규칙이 있기때문에 그러한 현상이 적게(위 아래로는 잘 교환되지만 옆으로는 잘?) 벌어진다. 그러니까 기체 내부에 4~6칸마다 통기타일을 설치해서 이산화탄소가 잘 빠져나가서 복제체가 작업 도중 숨을 몰아쉬지 않도록 관리해주자



7ce99e36ebd518986abce89544897d6d86a994

동시에 우측 위쪽으로 땅을 파고 마찬가지로 산소가 제대로 퍼지도록 환풍구를 설치해주자,

다행히도 는지렁이 구역이 더 있진 않았고 우측 상단에 보이면 거무튀튀한 갈색 표토들이 보인다.

왜 위쪽으로 땅을 파야하냐면, 육식업적을 하려는 사람들이 빨리 찾으려고 애쓰는 크리처가 여기에 있기 때문이다.



7ce59e36ebd518986abce8954787746bd4e95b

바로 이 크리처 "굴착들쥐"다.

얘는 먹은걸 반으로 타일로 만드는 능력과 문이나,제련금속타일을 제외하곤 뚫고지나가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거 때문에 사람들이 찾는건 아니고


7ce59d77abc236a14e81d2b628f17769f73051


대략 이정도의 고기를 뱉기 때문에 양식하려고 찾는거다.



7cea9e36ebd518986abce895448974655054


일단 크리처를 잡기위한 "사육" "동물통제"를 연구 목표로 잡아주고



7ce49e36ebd518986abce8954783726a2751

정제된 혁신을 연구하지않았다면 먼저 연구해서 제련금속타일로 이런 방식으로 건물을 지어준다. 굴착들쥐는 문과 금속타일을 지나가지 못하고 대각으로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또 공간에 따른 무드 디버프가 없기 때문에 이렇게 지어도 문제가 없다. 다른 크리처의 경우에는 몇칸 당 자기의 영역이 확실하기 때문에 그 영역 크기를 못지켜준다면 기분이 나빠져서 알이나 부산품 생산량이 줄어드니 그 부분은 주의해야한다.



7ce49d72abc236a14e81d2b628f1776eb53781


이런식으로 굴착들쥐 포획 관련된 작업은 최 우선순위인 9로 설정해둔다, 말했듯이 굴착들쥐는 타일을 파고 다니는데 복제체의 작업 길이는 2칸까지라, 3칸 밑으로 혹은 3칸 앞으로 이동한다면 포획하려고 온 복제체는 작업을 취소하고 다른 곳으로 떠나 작업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그리고 포획된 굴착들쥐도 가만히 내버려두면 0.5~1주기? 정도 지나면 알아서 풀려나 다시 돌아다님으로 잡은 즉시 옮길 수 있도록 설정해둔 거임


그리고 포획 덫을 활용하는 것도 좋음, 다만 굴착들쥐는 바닥을 돌아다니다가 잡히는 경우보단 벽에서 튀어나왔을 때 잡히는 경우가 많으니, 가능하면 옆 벽에 딱 붙여서 덫을 설치하는게 좋음



7fee9e36ebd518986abce89545827d6fd0cb


그러면 이런식으로 굴착들쥐가 모임, 이 굴착들쥐들은 알을 만들거나 혹은 식량이 부족하다면 길들여지지않거나 늙거나 굶주린 애들은 처분해서 식량에 기여하게 될거임 아무튼 이런 식으로 표토에 있는 굴착들쥐는 계속 포획하는 방향으로 하되, 이제 슬슬 인원을 늘려도 괜찮은 시점이라고 판단했음

왜냐하면, 35만 kcal을 8명이 먹는것보다 12명이 먹는게 더 빨리, 안정적으로 끝나는데, 이 안정적으로 끝나는게 중요한 것이, 항상 고기를 100% 유지를 할 수가 없음

굴착들쥐가 많은 양의 고기를 주지만, 얘네가 알을 1주기에 1개씩 낳는것도 아니고 알도 부화할 시간이 필요하고 부화하더라도 다음 알을 낳기 위해 성장하는 시간이 필요함, 빡빡하게 시간을 설정하는건 육식업적을 성공하기 어렵게 만듬, 식량생산의 기본도 만들어졌겠다. 로커보어가 끝나기 전에 인원을 확충하는 방향을 생각하는 편이 좋음



7fed9d75abc236a14e81d2b628f1766d89a8485213


아무튼, 기제 내부도 다시 정리를 시작해야겠지?

첫날 수조를 만든다고 배제했던 물들도 전기가 있으니 액체펌프를 통해 수조로 다시 집어넣고 기지 좌측 확장을 방해하던 염소, 수소 그리고 유적이라고 불리우는 건물도 탐사할 필요가 있을 것 같음, 그럴 여유가 있으니까



7fef9d74abc236a14e81d2b628f171646ea4961d


또 이 화장실도 슬슬 새것으로 바꿔야할 것 같고

우선 확장보다는 기지 내부의 화장실을 바꾸는 것부터 시작하자



7fef9d77abc236a14e81d2b628f1756f399346d7


위생과 증류를 연구해주고



7fe99e36ebd518986abce89547867c6c4aa095


하수구에 있던 오염된 물을 증류를 통해 식중독 균이 있는 깨끗한 물로 변환할 수 있도록 바꿔주자, 식중독 균이 있는 깨끗한 물은 마시면 문제가 되지만, 씻고 화장실 물로 쓰는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7fe49e36ebd518986abce8954780736a157244

중앙에 있던 화장실을 복제체가 한쪽 방향으로 나갈 수 있도록 그리고 하수구와 거리가 멀지 않도록, 그러면서 생활구역과 가까운 곳인 좌측편에 설치해서 파이프 길이를 줄이는 방향으로 화장실 위치를 조정했음



7fe89e36ebd518986abce89542897d647c

설치하다보니 굴착들쥐가 알을 낳았음, 나는 번역 모드를 쓰고있기에 파고들쥐로 나오는거지 별개 종이 아님

이제 이 알을 부화시켜서 기존 크리처는 도축하는 방향으로 식량을 수급하기 위해선 이 알이 빨리 부화시킬 필요가 있음



7fe89d77abc236a14e81d2b628f17669fadd5f14


연구한 거에 고급 자동화까지 일단 진행시켜둔다



7fec9e36ebd518986abce8954e877c6c37cf

연구를 클릭하기 전에 정글 바이옴을 아래에서 발견한 덕인지 새끼 잎람쥐가 프린팅에서 떴다. 지금은 사용하지 않을거지만, 나중에 활용할 수도 있기에 뽑아둠


자, 이제 연구가 시작되었고 연구 시간동안 주변 다른 할일인 고대 유적을 한번 열어보려고 함



7feb9e36ebd518986abce8954784746fde8a23

그런데 어라? 위에 초록색 뭔가 꾸물거리고 안에는 오염된 산소가 가득하다. 한번 마우스를 가져다대니 는지렁이 허파가 가득하다.

그런데 하필 왼쪽 아래는 염소공기가 있는데, 산소미포함은 신기하게도 염소공기가 자체적으로 품고있는 균은 정화가 잘 안됨, 염소공기가 다른 물건을 품고 있으면 멸균이 되는데 말이야, 아무튼 는지렁이 허파의 사멸조건엔 염소가 없기때문에(살균은 됨) 염소가 자꾸 는지렁이를 퍼트리는 원인이 될 수도 있음 그러니 만반의 준비를 하고 문을 열어야함


문 앞에 탈취기와 전선을 연결하고 문을 개봉하자


7fea9d77abc236a14e81d2b628f17d6526c3aa9c


균이 가득가득 하다, 오염의 주체인 음눈을 빨리 제거하고 안에 탈취기를 계속 돌려서 아래로 는지렁이 허파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해야한다!



현재 기지전경

7fe59e36ebd518986abce895418070680365c1


업적 상황

로커보어 완료

육식동물 41주기남음, 남은 칼로리 28만 kcal

초지속 유지중


7fea9e36ebd518986abce89547817564f024





추천 비추천

7

고정닉 1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865 AD 호요버스 신작 <젠레스 존 제로> 7월 4일 오픈! 운영자 24/06/05 - -
79364 공지 산린이가 참고하기 좋은 연재글 링크 모음 [5]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27 5847 8
79367 공지 산소미포함 공략 모음 (2024.04) [10]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27 14641 11
79045 공지 규칙과 신문고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20 642 9
44876 공지 무한전해조 [42] WJ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16 63809 56
41519 공지 산소미포함 추천 모드들 V2.0 [14] WJ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3 51976 22
82085 정보 산소미포함 방 오버레이 목록 짤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85 5
82067 일반 960주기 겁쟁이엔딩 본 기지 보고가라 [9] 생갈치1호의행방불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446 8
82048 정보 반쯤 굶주린 파쿠(pacu)목장 [1]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195 5
82003 연재 DLC 첫플레이 방사성바다 올업적 (4) - 황량땅발견 [4] ㅇㅇ(211.198) 06.03 254 6
81932 일반 그림그렸다!! [10] ㅇㅇ(114.129) 06.01 494 16
81889 연재 DLC 첫플레이 방사성바다 올업적 (3) - 육식달성 [3] ㅇㅇ(211.198) 05.31 283 5
81751 공략 여행자모듈 공유 (미세하게 3단 변신)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449 13
81412 연재 복귀뉴비 DLC 첫플레이 방사성바다 올업적 (1) [8] ㅇㅇ(211.198) 05.21 600 6
81359 정보 전도성와이어로 피해없이 고전력이 전송된다고? [4]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480 9
81153 일반 DLC 여행자모듈 내가쓰는거 공유 [8]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4 484 8
81027 공략 4000주기 쯤 플레이하고 쓰는 렉 줄이기 팁 [23] ㅇㅇ(122.40) 05.09 1404 12
80825 일반 아래 열액조하나로 여러온도조절 질문 이거보셈 (액체중단) [10] ㅇㅇ(14.49) 05.04 1004 12
80773 공략 저전력 배관의 필터(2) [1]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3 615 10
80705 일반 밑에 쿠킹 시설 [6] 만년초보(1.228) 05.02 826 7
80471 공략 반응로 설명해줌 [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1145 11
80346 공략 연구용 반응로로 석유쿠킹 공략 [8]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010 16
80262 일반 자동 정리기와 전도패널 열전도 패치 [6] 만년초보(1.228) 04.21 1081 12
80017 일반 빠르게 훑어보는 스팀 인기 기지 레이아웃 8선 [6] KSM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3 1733 11
79852 일반 스토리특성 안켜놔서 삭제된 비운의 콜로니 [6] wa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256 6
79830 일반 팬아트) 뭔가 잘못된 산소미포함 [13] ㅇㅇ(210.182) 04.07 1807 39
79716 일반 팬아트) 짜란다 짜란다~ [31] ㅇㅇ(210.182) 04.04 1613 74
79688 공략 열전도에 대한 정보 [17] ㅇㅇ(182.229) 04.04 1693 25
79592 일반 첫 석유쿠킹 성공했다 ㅋㅋ [7] ㅇㅇ(121.136) 03.31 1529 7
79582 일반 철화산으로 석유쿠킹하기 [7] ㅇㅇ(182.229) 03.31 1538 9
41696 일반 산소미포함 공략 모음 (2023.10) [64] WJ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7 282167 93
79392 일반 픽셀 팩 재밋다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1165 10
79348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14 완결) - 수소 로켓, 두가지 엔딩 [9] ㅇㅇ(182.229) 03.27 1821 17
79334 일반 밑에 회로 [11] 중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814 5
79324 일반 신난 구리 [7] ㅇㅇ(122.43) 03.26 1011 20
79154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13) - 시간의 찢어짐, 육상 가공물 [6] ㅇㅇ(182.229) 03.22 1260 12
79088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12화 부록) - 석유 쿠킹 [14] ㅇㅇ(182.229) 03.21 1889 11
79084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12) - 소행성 착륙, 장기프로젝트 로켓 [11] ㅇㅇ(182.229) 03.21 1131 13
79078 일반 답변용 [6] 만년초보(1.228) 03.21 998 14
79035 일반 ㅆㅂ 나 인생 ㅈ된듯 [16] ㅇㅇ(115.136) 03.19 1521 17
79021 일반 미안하다 얘들아 [14]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9 1257 12
79015 일반 20인 큰회관 + 주방 + 냉동고 [13] DOOFE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9 1721 5
78977 일반 답변용] 금속화산 중단기 없애기 [29] 만년초보(1.228) 03.18 1125 11
78941 공략 뉴비들을 위한 산소 미포함 단 한줄 공략 [8] ㅇㅇ(222.105) 03.17 1820 24
78899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11) - 정착 엔딩, 태양열 발전, 채굴 로켓 [8] ㅇㅇ(182.229) 03.16 1492 12
78875 연재 초보 100일 3종(초지속/육식/로커보어) 하기(4) ~100주기 [2] ㅇㅇ(122.42) 03.16 844 8
78861 공략 열액조 하나로 여러 농장 온도 조절하기-보충 설명 [10] DOOFE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5 1429 8
78736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10) - 저장 타워, 석유 로켓, 텔포행성 [8] ㅇㅇ(182.229) 03.13 1878 13
78596 일반 드디어 동상 지었다 [9] ㅇㅇ(59.17) 03.10 920 11
78568 일반 공지글에 올릴 공략 추천 받음 [27]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0 966 9
78562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9) - 첫 로켓, 금속 화산 테이머 [5] ㅇㅇ(182.229) 03.10 2009 1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