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공략] 열전도에 대한 정보

ㅇㅇ(182.229) 2024.04.04 09:30:44
조회 1697 추천 25 댓글 17
														




현실에서 열이 전달되는 방식은 "복사, 대류, 전도"




이 게임에는 "복사열"이 없음 (다행히도...)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152a76a851ad18c4d5bb1dcb7d38443832c6eccd2199431adbfd4d21dbfefb091f4eae939

복사열이 없다는 것은 사이가 진공이면 아무리 뜨거워도 열이 전달되지 않는다는 뜻




대류는 원소가 직관적으로 둥둥 떠다니거나 이동하는게 보이니까 넘어가고


결국 "전도"가 관건







<열전도 방식>

먼저 열전도가 되는 경우와 안되는 경우를 살펴보자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152a76b851aaf9bf1897b672d9bf4e67020bec5017a5d912278279df3b2bf4e5d6cc39a71

기본적으로 인접한 타일, 원소는 서로 열을 교환함


기체, 액체, 고체, 타일, 닫힌 에어록 등 타일(셀)을 채우고 있다면 모두 해당됨 (다른 원소가 들어올 수 없는 상태)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152a76b851aaf9bf1897b672d9bf4e67020bec5017a5d91222a2490faefed1b0b6cc39a71

반면에 열린 에어록이나 공압문, 그물타일, 공기흐름타일처럼 다른 원소가 들어올 수 있는 것들은 그 자체로는 열전도되지 않음


(위 상태는 진공 판정으로 원소가 없다고 판단하기 때문 / 원소가 들어오면 그 원소로 인해 열이 전도됨)

(그물타일과 공기흐름타일 자체의 온도는 온도 레이아웃에 잡히지 않음 / 항상 들어오는 원소의 온도를 나타냄 (위 상태는 진공))



a14a04aa2536b3498aed85fb06df231d6b3b2110fcf59c346fcff7

또한 건조물을 통해서도 열이 전달됨


(생성된 뜨거운 타일 > 건조물 > 물로 열이 전도되는 모습)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152a76b851aaf9bf1897b672d9bf4e67020bec5017a5d91227671c7f7e7b84b596cc39a71

같은 원리로 모든 종류의 브릿지와 열전도판은 "타일"과 "타일" 사이에서 열을 전달함


(※ 열전도판은 3x3 크기의 건조물 취급)




그런데 이러한 "건조물"들은 "타일이나 칸을 채운 원소가 아닌 것"에는 열을 전달하지 않음


예를 들면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152a76b851aaf9bf1897b672d9bf4e67020bec5017a5d91222a24c3f2b4e04d5d6cc39a71

1. 잔해는 바닥과는 열교환을 하지만 열전도판을 통해서는 열이 전달되지 않음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152a76b851aaf9bf1897b672d9bf4e67020bec5017a5d91227b7ac6fae3ec490e6cc39a71

2. 열전도판에서 열전도판으로는 열이 전달되지 않음


3. 브릿지와 열전도판 사이도 마찬가지


4. 공압문이나 그물타일 등으로도 마찬가지


5. 건조물에도 전도되지 않음


6. 심지어 건조물은 바닥과도 열교환하지 않음



(건조물은 자신을 포함한 셀의 원소(타일)와만 열교환을 한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152a76b851aaf9bf1897b672d9bf4e67020bec5017a5d91227c70c7a4e2eb1e016cc39a71

건조물의 "내용물"도 건조물 자체와는 열교환하지 않고 "바닥 타일"과 열교환을 함 (잔해처럼)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152a76b851aaf9bf1897b672d9bf4e67020bec5017a5d91227d2691f1e2ed1e596cc39a71

"타일" 내부에 심어지는 모든 와이어와 파이프류, 레일도 해당 "타일"과는 열을 교환하지만


직접 이어져있는 와이어, 파이프, 레일과도 열교환하지 않고


다른 파이프를 겹치든 열전도판을 깔든 뭘 하든 진공에서는 열을 전달할 수 없음



(오로지 "타일"과만)


(물론 파이프는 그 내용물과 열교환을 함. 레일은 레일을 지나는 내용물과 열교환하지 않음)


(브릿지는 지나가는 내용물과 열교환하지 않음. 순간이동 판정)




결국


열전도는 "타일"이 기준이고 핵심


기체, 액체, 고체, 타일, 닫힌 에어록 등 원소로 된 타일에 속해있으면 열이 전도되고 속해있지 않으면 전도되지 않으며


이걸 통해서만 다른 구조들의 열도 전달된다 (타일이 열을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쉽게 말해


타일(원소) <> 다른 타일


건조물(파이프 등) <> 타일 <> 다른 건조물


파이프 <> 내용물


타일 <> 바로 위에 있는 잔해나 건조물의 내용물


이 외에는 없다











<열전도 공식>


위에서 말했듯이 열전도는 타일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제부터 통칭 "타일" = 기체, 액체, 고체, 타일, 닫힌 에어록 등)



그 종류를 세분하면


1. 타일 <> 상하좌우 맞닿은 타일


2. 타일 <> 타일에 포함된 건조물 (타일 내부의 파이프나 와이어, 레일, 브릿지, 공압문, 3x3 범위 내의 열전도판 등 모두 포함)


3. 파이프 <> 내용물


4. 전도패널 <> 건조물


5. 건조물의 내용물 <> 건조물의 바닥


6. 타일 <> 타일 속의 잔해


7. 타일 <> 타일 위의 잔해



※ 여기에서 그물타일, 공기흐름타일은 잔해로 분류됨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152a76c851ac0b2d1fc21766d0171c0458fec4b1b04fc68d23fe703dc682b76ef11035618

그래서 희안하게도 타일 위에 있으면 열이 전도되고 옆에 있으면 전도되지 않음


(잔해니까 당연히 지나가는 파이프나 열전도판에도 영향이 없음)





위 분류별로 열전도 계산법이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열을 교환하는 두 원소 간의 열전도도온도 차이에 따름



e.g. 마그마와 강철 타일의 열교환량


= √(마그마 열전도도 x 강철 열전도도) x 온도차이 x 시간



(참고로 여기에 표면적 개념은 없다. 그러니까 셀에 원소가 많이 들었든 조금 들었든 간에 열전도와는 무관)


(다만 셀에 1g이상은 있고 온도가 1도 이상 차이 나야 열이 전도된다)





∴ 기하 평균(곱셈의 제곱근)이라는 것은 열이 전도되는 양 원소 모두의 열전도도에 영향을 받는다는 뜻





제곱근이 머리 아프면 그냥 곱연산이구나 하고 넘어가도 되지만


엄밀히 말하면 열전도 종류에 따라 곱연산, 기하평균, 산술평균 모두 사용됨



이걸 외울 필요도 외울 사람도 없겠지만 굳이 정리하자면



기하평균 = 타일과 다른 타일


곱연산 = 건조물(파이프, 와이어 등 포함)과 그것이 속해있는 타일, 건조물과 전도패널(전도패널이 타일로 취급됨)


산술평균 = 절연 파이프를 제외한 파이프(전도패널 포함)와 내용물


둘 중에 낮은 열전도도만 적용 = 절연 파이프와 내용물, 타일 위의 잔해, 타일 속의 잔해, 건조물의 내용물과 바닥



(마지막이 좀 독특한데


이 때문에 잔해나 내용물이 들어가는 건조물 밑에 절연 타일을 깔면


내용물이 아무리 뜨겁더라도 기지 열 방어에 많은 도움이 된다 (제련소, 액체 저장고, 저장통 등))






그래서


(산술평균 or 기하평균 or 곱연산) x 온도 차이 x 시간


이걸로 계산이 끝나는 건 아니고


여기에 곱해지는 몇가지 승수(계수)가 있음 (게임적 설정이나 밸런스를 위한)







a. 절연(단열) 타일은 같은 재질의 일반 타일보다 (2/255)^2만큼의 열전도도를 갖는다 (1/16256.25)


b. 절연 파이프는 같은 재질의 일반 파이프보다 1/32만큼의 열전도도를 갖는다


정리하면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152a76b851aaf9bf1897b672d9bf4e67020bec5017a5d91227e77c3f4e2e84b0d6cc39a71

("일반"은 일반 타일과 일반 파이프를 의미하며 재료 본연의 열전도도를 가짐)

(가장 위 "절연"은 재료의 한 종류)

("절연파이프"의 수치는 액체, 기체 공통이지만 재료를 똑같이 공유하는 것은 아님)





c. 방사형 파이프와 전도 패널은 2배의 열전도도를 갖는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152a76b851aaf9bf1897b672d9bf4e67020bec5017a5d91227c71c1f5e0e8405c6cc39a71

(금속 타일은 금속 자체의 열전도도를 가짐)




d. 파이프와 내용물 간의 전도 계산에는 1/20을 곱함


e. 와이어의 전도에도 1/20을 곱함


f. 타일과 타일 위의 잔해는 1/16을 곱함


g. 건조물과 전도패널은 1/11을 곱함


h. [타일과 타일]간의 전도에서는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152a76b851aaf9bf1897b672d9bf4e67020bec5017a5d91227f75c3a6eeeb4a5a6cc39a71

액체 <> 액체는 625를 곱하고

기체 <> 고체는 25를 곱함



다른건 그냥 넘어가도 마지막은 기억하고 넘어가면 도움될 때가 있음


"액체보다 기체가 타일과 더 많은 열을 교환하는 매커니즘이 존재한다"


그래서 기체 방에 액체를 깔아놓으면 온도가 더 방어된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152a76c851ac0b2d1fc21766d0171c0458fec4b1b04fc68d235e10189312d2be611035618

(석유의 열전도도가 증기의 10배임에도 불구하고 온도 방어)



이것도 마찬가지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152a76c851ac0b2d1fc21766d0171c0458fec4b1b04fc68d234e20dde3e2e2ab511035618

절연타일은 무적이 아니고 특히 기체는 절연타일을 통해 열을 꽤 전달하지만


일반 타일을 1겹만 겹쳐줘도 거의 무적이 된다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152a76c851ac0b2d1fc21766d0171c0458fec4b1b04fc68d234e55788302220ee11035618


이 모든게 열이 전도되는 양 원소 모두의 열전도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





그리하여 완성되는 열전도 계산식은


(산술평균 or 기하평균 or 곱연산) x 온도 차이 x 시간 x (해당하는 승수)







추천 비추천

25

고정닉 5

2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865 AD 호요버스 신작 <젠레스 존 제로> 7월 4일 오픈! 운영자 24/06/05 - -
79364 공지 산린이가 참고하기 좋은 연재글 링크 모음 [5]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27 5893 8
79367 공지 산소미포함 공략 모음 (2024.04) [10]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27 14719 11
79045 공지 규칙과 신문고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20 644 9
44876 공지 무한전해조 [42] WJ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16 63824 56
41519 공지 산소미포함 추천 모드들 V2.0 [14] WJ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3 52006 22
82085 정보 산소미포함 방 오버레이 목록 짤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261 5
82067 일반 960주기 겁쟁이엔딩 본 기지 보고가라 [9] 생갈치1호의행방불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492 8
82048 정보 반쯤 굶주린 파쿠(pacu)목장 [1]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223 6
82003 연재 DLC 첫플레이 방사성바다 올업적 (4) - 황량땅발견 [4] ㅇㅇ(211.198) 06.03 266 6
81932 일반 그림그렸다!! [10] ㅇㅇ(114.129) 06.01 500 16
81889 연재 DLC 첫플레이 방사성바다 올업적 (3) - 육식달성 [3] ㅇㅇ(211.198) 05.31 287 5
81751 공략 여행자모듈 공유 (미세하게 3단 변신)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455 13
81412 연재 복귀뉴비 DLC 첫플레이 방사성바다 올업적 (1) [8] ㅇㅇ(211.198) 05.21 604 6
81359 정보 전도성와이어로 피해없이 고전력이 전송된다고? [4]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484 9
81153 일반 DLC 여행자모듈 내가쓰는거 공유 [8]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4 486 8
81027 공략 4000주기 쯤 플레이하고 쓰는 렉 줄이기 팁 [23] ㅇㅇ(122.40) 05.09 1407 12
80825 일반 아래 열액조하나로 여러온도조절 질문 이거보셈 (액체중단) [10] ㅇㅇ(14.49) 05.04 1006 12
80773 공략 저전력 배관의 필터(2) [1]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3 616 10
80705 일반 밑에 쿠킹 시설 [6] 만년초보(1.228) 05.02 827 7
80471 공략 반응로 설명해줌 [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1154 11
80346 공략 연구용 반응로로 석유쿠킹 공략 [8]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017 16
80262 일반 자동 정리기와 전도패널 열전도 패치 [6] 만년초보(1.228) 04.21 1086 12
80017 일반 빠르게 훑어보는 스팀 인기 기지 레이아웃 8선 [6] KSM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3 1735 11
79852 일반 스토리특성 안켜놔서 삭제된 비운의 콜로니 [6] wa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259 6
79830 일반 팬아트) 뭔가 잘못된 산소미포함 [13] ㅇㅇ(210.182) 04.07 1809 39
79716 일반 팬아트) 짜란다 짜란다~ [31] ㅇㅇ(210.182) 04.04 1614 74
공략 열전도에 대한 정보 [17] ㅇㅇ(182.229) 04.04 1697 25
79592 일반 첫 석유쿠킹 성공했다 ㅋㅋ [7] ㅇㅇ(121.136) 03.31 1533 7
79582 일반 철화산으로 석유쿠킹하기 [7] ㅇㅇ(182.229) 03.31 1544 9
41696 일반 산소미포함 공략 모음 (2023.10) [64] WJ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7 282204 93
79392 일반 픽셀 팩 재밋다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1168 10
79348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14 완결) - 수소 로켓, 두가지 엔딩 [9] ㅇㅇ(182.229) 03.27 1829 17
79334 일반 밑에 회로 [11] 중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817 5
79324 일반 신난 구리 [7] ㅇㅇ(122.43) 03.26 1014 20
79154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13) - 시간의 찢어짐, 육상 가공물 [6] ㅇㅇ(182.229) 03.22 1268 12
79088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12화 부록) - 석유 쿠킹 [14] ㅇㅇ(182.229) 03.21 1895 11
79084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12) - 소행성 착륙, 장기프로젝트 로켓 [11] ㅇㅇ(182.229) 03.21 1137 13
79078 일반 답변용 [6] 만년초보(1.228) 03.21 1001 14
79035 일반 ㅆㅂ 나 인생 ㅈ된듯 [16] ㅇㅇ(115.136) 03.19 1523 17
79021 일반 미안하다 얘들아 [14]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9 1258 12
79015 일반 20인 큰회관 + 주방 + 냉동고 [13] DOOFE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9 1729 5
78977 일반 답변용] 금속화산 중단기 없애기 [29] 만년초보(1.228) 03.18 1127 11
78941 공략 뉴비들을 위한 산소 미포함 단 한줄 공략 [8] ㅇㅇ(222.105) 03.17 1821 24
78899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11) - 정착 엔딩, 태양열 발전, 채굴 로켓 [8] ㅇㅇ(182.229) 03.16 1496 12
78875 연재 초보 100일 3종(초지속/육식/로커보어) 하기(4) ~100주기 [2] ㅇㅇ(122.42) 03.16 847 8
78861 공략 열액조 하나로 여러 농장 온도 조절하기-보충 설명 [10] DOOFE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5 1434 8
78736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10) - 저장 타워, 석유 로켓, 텔포행성 [8] ㅇㅇ(182.229) 03.13 1884 13
78596 일반 드디어 동상 지었다 [9] ㅇㅇ(59.17) 03.10 921 11
78568 일반 공지글에 올릴 공략 추천 받음 [27]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0 967 9
78562 연재 뉴비 멱살잡기 연재 (9) - 첫 로켓, 금속 화산 테이머 [5] ㅇㅇ(182.229) 03.10 2022 1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