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빅토리아 3 뉴비 가이드 - 3. 예산, 시장, 무역

ㅇㅇ(118.36) 2023.01.02 18:27:39
조회 5190 추천 29 댓글 11
														



전편 글에 빼먹은 게 있어서 좀 수정했는데
글자 수 초과 이슈가 있는 건지 뒷부분 내용이 자꾸 잘려서
할 수 없이 '정치 돋보기' 부분을 이번 챕터로 넘겨 왔음 ㅠ
아... 정리충으로서 너무 불편하다..

*

5. 정치 돋보기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aeb47d39cef2f6ce6d534bf67bc98930240eca1b0ab


[정치] 메뉴와 [인구] 메뉴랑 그나마 가장 연관성이 높은 돋보기라서 같이 묶어봄

단축키는 Alt+2. 세 건물이 정치 돋보기의 건물로 묶이는 이유는
이들 모두 조세수입은 없고 비용만을 발생시키는 정부 관련 건물이기 때문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0c2856d60e5daec44da9de62f6ce6d58cf3d34dc7e0cb7849c7d660

전편에서 살펴본 ‘정부 건물용 상품’이 바로 이 건물들에 투입되는 상품들을 뜻함
얘네는 매주 수익은 없고 비용만을 추가로 발생시키는 건물들이기 때문에
(대신 각각 건설력, 혁신, 행정력이라는 귀중한 자원을 주지만)
추가로 지을지 말지를 고민할 때 신중해야 한다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aeb40df99e52f6ce6d5a93746ee210c4870ab932aa7


다음 탭이 [칙령]인데 얘네는 권위를 소모하여
특정 주에 특별한 효과를 부여하게 해 준다

칙령은 정치 돋보기로 들어와서 꽂지 않고 보통
스샷처럼 내가 칙령을 꽂으려는 주를 오른쪽 클릭해서
원하는 칙령을 클릭해준다
각 칙령의 효과는 읽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니 패스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aeb40d29fe12f6ce6d5fb76b70a4507b1ef0b1915bf


다음 탭인 [주 행동]. 주 편입도 칙령과 마찬가지로
보통 편입시키려는 주를 오른클릭해서 편입시키지
이 탭에서 하지 않는다

여기서 설명하고 싶은 것은 [수도 변경하기]
수도는 다른 주에 비해 조세역량과 전반적 인구층 정치적 힘에 +25% 보너스를 준다

대신 수도를 변경하면 이후 5년 간 위에서 보는 것처럼
행정력, 권위, 영향력에서 -10% 손해를 본다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aeb41da99e52f6ce6d5fb06df8d04d6a605f6f66e99

갤 보니 플레이하면서 굳이 수도를 바꿀 일이 있나? 싶은 사람들이 많던데
그 말 맞다 사실 바꿀 일 잘 없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바꾼다면 그 이유는 크게 2가지일 것

1) 수도보다 내가 밀어주고 싶은 이해집단의 비중이 높은 주로 천도
2) 수도가 국경지대에 있어서 따이기 쉬운데
내가 하필 그 국경지대의 이웃 국가랑 전쟁을 자주 해야 할 때

1)부터 설명해보자면, 위의 오스만 예시에서 현 수도인

트라키아 동부는 지주가 압도적으로 강하고

그 밑에 군부, 종교인이 쩌리처럼 붙어있다

반면 스코피아는 지주가 1위고 2위가 전원 주민
이 경우 전원주민의 정치적 힘이 당장 급하게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라면
천도도 한 방법일 수 있다


다만 1)의 이유는 별로 추천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지금 수도에도 특정 이해집단을 주로 고용하는 건물들을
열심히 지어주다 보면 결국 정치력 비율도 바뀌기 때문에
행정력, 권위, 영향력을 10%나 까먹는 페널티 대비 기대효과가 크지 않다


반면 2)의 이유는 충분히 고려해볼 만하다
나중에 [군사] 메뉴와 실제 전투 예시를 보며 설명할 테지만
전쟁 지지 수치는 수도를 따이는 순간부터 0 밑으로 떡락한다

따라서 수도가 국경에 인접해 있으면 그만큼 전쟁에서 불리하게 된다
오스만의 수도 트라키아 동부는 만약
적군이 해군을 통해 상륙해 온다면 금방 따이는 위치다

현 버전 전투 시스템 특성상
상륙해서 공격해오는 쪽보다 방어하는 쪽이 유리하긴 하다

다만 일단 따이면 답 없는 건 사실이라
이런 경우라면 보다 내륙이면서
국경선이나 해안선에 인접하지 않은 주로
수도를 이전하는 것도 한 가지 옵션은 된다

물론 결국 행정력 권위 영향력 -10% 페널티와
경중을 비교해서 선택할 문제지만



*

이제야 원래 예정했던 예산, 시장, 무역 파트 본편 ON


1. [예산] 메뉴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ae845da9ce02f6ce6d549ffb57c6fd7e766a0a59400

[예산] 메뉴는 [개요] 탭을 벗어날 일이 사실상 없다
여기서 다 보면 됨

조세는 금 보유고의 수익이 되는 중요한 수단 중 하나지만
반대로 말하면 국민들(인구층)의 수입은 감소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즉 세금이 적어야 시장 부문에 돈이 많이 풀려서
인구들의 생활수준은 높아지고 경제는 활성화된다

그렇다고 금 보유고를 적자로 유지했다간
매주 부채 이자로 인해 비효율이 발생한다


그래서 나는 전에 잠깐 언급한 것처럼
평소엔 주간 수지를 ±0 수준으로 맞추고
전쟁 전에는 돈을 좀 쌓아놨다가
전쟁할 때는 국고를 펑펑 쓰고
전쟁 끝나면 다시 평소상태로 회귀하는데
역시 전에 말한 것처럼 절대 정답은 아니고
그냥 알아서 적당히 파산 안 날 정도로 굴리면 된다
이건 하다 보면 결국 자기 스타일대로 하게 됨


관세는 무역 정책 얘기하면서 살짝 언급했는데
얘도 결국 세금의 일종이라 툴팁 보면 알겠지만
무역소의 수익에서 차감되어
결국 무역의 수익성을 감소시킨다


외교조약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주된 게 전쟁으로 인한 배상금

흔히 갤에서 영금통(영국+저금통)이니
청금통(청나라+저금통)이니 하는 게
열강 두들겨패서 걔네한테서 배상금 뜯어내는 게 워낙 꿀이어서 나온 말

반대로 내가 배상금을 내는 입장이라면 저게 (-)로 뜨겠지
열금통 메타는 [군사] 편에서 이집트랑 전쟁하면서 살펴보자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ae945db98ee2f6ce6d565aa37ec825e241b32254d24

소비세도 잠깐 살펴보자

소비세는 결국 저 각각의 특정 상품을 소비할 때 세금을 매긴다는 건데
달리 말하면 그 상품을 주로 소비하는 인구층의 재산을 깎아먹고
그만큼을 금 보유고에 쌓겠다는 얘기다

예를 들어 곡물은 일정 생활수준 이하의 모든 인구층에서 소비하므로
조세수입이 그만큼 높은데, 그말인즉슨
그만큼 대부분 인구의 재산=정치적 힘엔 (-) 요인이 된다

그래서 소비세는 아무래도 주로 사치품에 많이 매기게 된다
특히 초반엔 지주=귀족=돈 많은 상류층이라고 단순화해서 이해하면 더더욱
권위 소모량 대비 효율이 가장 좋은 건 (대개의 경우) 서비스다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ae847d998ee2f6ce6d53734e3d1ec0fdb33b7cca125

스크롤 내려보면 정부 임금과 군사 임금을 여기서 결정해줄 수 있다
임금을 올리고 낮췄을 때 효과는 툴팁 보면 쉽게 이해되니 패스

한 가지 짚고 넘어갈 것은 정부 임금 증감 시
지식인과 소시민이 찬성 또는 불만한다는 것

이건 관료가 주로 지지하는 이해집단이
지식인 및 소시민이기 때문

아주 엄밀히 말하면 정부 임금은
정부 건물(=건설 부문, 정부행정청사, 대학)에 고용된 인구층의 임금이라
관료’만’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구성비율상 주로 관료다 보니,
정부 임금을 높이면 지식인과 소시민의 재산=정치적 힘이 올라가겠구나
라고 대략적으로 이해하면 됨
비슷한 원리로 군사 임금은 군부의 정치적 힘을 향상시키고.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ae847d29ce52f6ce6d508b97323767398706b8eddce

[예산]은 이 정도로 보고 [시장]으로 넘어가보자
[시장가격] 헤더를 클릭하면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상품이 정렬됨

이미 여러 번 언급했지만 빅토3 경제 운영의 핵심은
“너무 비싼 건 가격을 낮추고 너무 싼 건 수출해서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것

특히 강조표시된 빨간색 박스는 ‘품귀’를 뜻하는데
‘품귀’가 뜬 상품은 자기 자신은 물론
걔랑 맞물린 앞뒤 상품의 수익성에도 지대한 부정적 효과를 주므로
가장 시급하게 물가를 잡아줘야 한다


비싼 거 가격 낮추는 건 당연하고 알겠는데
싼 건 뭐가 문제냐 싶을 수도 있다 (뉴비라면)

그건 그 ‘너무 싼 상품’을 생산하는 건물의 수익성이 너무 낮아
노동자들이 그 건물(공장)에서 일을 하지 않으려 들기 때문이다

건물에 취직하지 않은 놈들은 결국 다시 소작농이 되어
수익성 형편없는 자경지로 가기 때문에
국가 경제에 도움이 안 된다

그러므로 가격이 지나치게 싼 상품들은
즉각즉각 수출해서 무역 수익으로 바꿈과 동시에
공장의 수익성을 확보해 줘야 한다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ae840d39fe32f6ce6d5e9ff0d9c87c73cfe6b4c2021

다음으로 [무역로] 탭이다
비생산적 무역로가 있다면 바로바로 제거해 주자 (버블 팝업에서 알려줌)
무역로를 하나 만들 때마다 행정력이 소모되므로
소모되는 행정력 대비 이 무역로에서의 무역 수입이
과연 수익성이 좋은가를 따져가며
수입 또는 수출을 결정하면 된다

지극히 개인적 취향의 기준인데,
난 스타팅 시점에서는 품귀 물품이 아닌 이상
수익성 1K 미만인 애들은 비생산적 무역로가 아니더라도 제거하고
수익성 1K 이상인 애들로 새로 무역로 연결해 줌

처음에 기준 어떻게 잡을지 애매한 사람은 이렇게 해보길
그 다음부터는 하다 보면 자기만의 기준이 세워질 것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ae841d99ce32f6ce6d50ea03d537ff74be7ff0569df

수입 무역로 예시이다
배 모양 아이콘은 소요되는 수송대 양
항구를 추가로 짓거나
각종 기술 해금으로 항구의 수준을 높여줘야 수송대 양이 증가한다

항구도 정부 건물들처럼 그 하나하나가 주당 비용을 발생시키므로
무턱대고 지으면 안 되고 수송대 수 딱코될 정도만 지어주면 됨


2. 무역 돋보기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ae841dd9ce02f6ce6d5413e2d8f8957b92d1873994e

이쯤에서 무역 돋보기 (단축키 Alt+5) 로 넘어감
[시장] 메뉴에서 상당한 수입 수요 / 수출 잠재력으로 추천해주는 상품
외의 상품을 수출입하고 싶을 때 자주 사용한다

[건물] 탭과 [무역 행동]은 패스
특히 난 [무역 행동]의 [중앙시장 변경]은
수십 판 하면서 한 번도 쓴 적 없음

[시장] 메뉴 하단의 ‘새로운 수입로’, ‘새로운 수출로’ 버튼을 눌러도
바로 무역 돋보기를 띄워준다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ae944da9ee72f6ce6d514956a305d13eb37a8913b0c


7fed8275a88269eb3eee98a518d60403eeb0089af0755d0ec3faf2

아까 무역로 구축 화면에서 한 가지 팁이 있다면,

그 화면에서 상품 이름에 마우스를 올린 뒤
[세부 사항 화면으로 이동]을 누르면
해당 상품/자원이 주로 생산되는 주가 어딘지 보여준다는 점

이걸 활용하면 나한테 부족한 자원을 구하기 위해
어느 주를 정복해서 먹어야 하는지 계획을 수립할 때 좋음

특히 초반 품귀 자원인 납, 유황, 비단이나
중반 품귀 자원인 고무, 후반 품귀 자원인 석유,
늘 품귀 자원인 아편 등등



3. [건물] 메뉴

예산과 시장을 논했으니 관련된 상품들을 생산하는 건물에 대해서도 얘기하지 않을 수 없다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ae946d29fe72f6ce6d50b7dc84b16f5eb83134025e22a

처음 [건물] 메뉴를 보면 좀 어지럽긴 하다 그렇지만 하나하나 뜯어보자

① 수익성

건물의 수익성이 평균보다 높으면 초록색,
평균 언저리면 흰색, 낮으면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이상적으로는 모든 건물의 수익성이 초록색인 게 가장 좋고,
그게 어렵다면 최소한 빨간색은 없게 해 주자



② 생산방식

생산 기술의 해금에 따라 관련된 생산방식이 해금된다
일반적으로 하단의 생산방식일수록
더 높은 부가가치 상품 또는 더 많은 양의 상품을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위의 비단처럼 생산에 투입되는 상품이 품귀일 때
성급하게 생산방식 레벨을 높이지는 말자

품귀로 인한 페널티를 감안하면
오히려 수익성이 감소하기도 하기 때문


지금 품귀인 투입물이 더 이상 품귀가 아니게 되었거나
그렇게 될 예정일 때 바꿔주자

즉, 위의 경우 비단을 생산하는 비단 플랜테이션을 먼저 지어주거나,
아니면 수입해 오면 됨

단, 수입로를 구축할 거라면 비단이 투입되는 생산방식으로 먼저 바꿔줘야
수입로의 예상 수익성 수치가 정확하게 표시되니 유의



③ 고용방식

생산방식에 따라 고용 증가/감소되는 인구층이 다르다
[인구] 메뉴에서 살펴보면
자영업자의 47%는 소시민, 26%는 기업가, 15%는 군부 등을 차례로 지지한다

즉, 여기서 생산방식을 바꿔서 자영업자의 고용이 증가하고
자영업자의 재산=정치적 힘이 증가하면
그 영향이 각 이해집단에게 배분될 것이다


전편에서 농업 및 플랜테이션 건물들은
비편입 주에 짓는 게 낫다고 한 또 다른 이유가 여기 있다

해당 건물들은 대부분 농부의 고용을 크게 증가시키는데
농부의 대부분은 전원주민을 지지한다

전원주민은 극초반에 전통주의→농본주의나
토지 기반조세→인두조세 또는 비례조세로 개혁할 때만 도움이 되고
그 외 모든 개혁에서는 쓸모가 없는 집단이다
식민지도 반대하고 국경폐쇄, 고립주의 이딴 거나 지지한다


이런저런 툴팁 설명을 읽어보면 알 수 있지만,
비편입 주의 인구층도 정치적 힘을 갖긴 하지만
편입 주의 인구층보다는 훨씬 적은 정치적 힘을 갖는다고 설명돼 있다

즉, 어쩔 수 없이 농업이나 플랜테이션 건물을 지어야 하는 상황이라면
편입 주보다는 비편입 주에 짓는 게 그나마 전원 주민에게 힘을 덜 주는 방법인 것

이런 식으로 특정 건물이나 생산방식이
어떤 인구층을 고용하는지도 잘 봐두면 도움이 된다

[전원] 탭은 건물이 주로 농장, 플랜테이션, 광산 등이라는 차이만 있고
[도시] 탭과 인터페이스가 동일하므로 패스

[개발] 탭은 주로 군사시설과 관련돼 있어서
다음 편에서 [군사] 설명하면서 같이 보자

[건설] 탭은 시리즈의 마지막에
실제로 초반 세팅하는 걸 보면서 설명할 예정이라 유보

이 편은 마지막으로 시장가격 개선과
[건물] 메뉴를 연동해 활용하는 방법만 소개하고 마치도록 하겠다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ae941df9ce02f6ce6d54a48ccd4ac3edb50e19f96ca

[건물] 메뉴에서 스크롤 쭉 내리다가
조선소가 생산성 0인 게 눈에 들어와 얘를 만지기로 함
’트라키아 동부’를 클릭해 해당 주 내의 조선소 건물을 살펴보자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ae941dc9fe52f6ce6d5c0dd8753fca9827467c85f81

① 생산성 순위

생산성 순위가 일정 순위 이상으로 높으면
뒤에 [외교] 메뉴 살펴보면서 알아볼 ‘위신’ 점수에 도움이 된다



② 보조금

간섭주의, 농본주의, 자유방임주의 등은 각각
특정 산업의 건물에 보조금을 지원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밀어주고 싶은데 임금이 낮아
사람들이 일을 안 하려고 하는 건물에
보조금을 주면 취직해서 일하기 시작함



③ 절차

가장 중요하게 봐야 할 부분
왼쪽이 투입물이고 오른쪽이 산출물이다

이 케이스의 경우 돈 아이콘을 봐도 직관적으로 알겠지만
투입물인 목재와 직물의 시장가격은 평범한데
산출물인 쾌속선의 시장가격은 현저히 낮아서
전세계 1위 생산자임에도 불구하고 생산성이 0.0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이런 경우엔 당연히 산출물을 수출해서 국내 공급량을 줄여
산출물의 가격을 높이면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다


앞서 살펴본 [시장] 메뉴에서 시장가격을 조절해줘야겠다 싶은 상품이 있을 때
이렇게 해당 상품이 투입물이거나 산출물인 건물의 절차를 확인해서
어느 한 쪽을 수입/수출하거나 생산량을 조절해주면 된다


이 때 당연한 말이겠지만 1차 원자재(목재, 직물 등)에 해당하는 상품들은
시장가격이 낮더라도 가급적 수출하지 않는 게 좋다
그 놈들의 가격이 낮으면 걔네를 투입물로 삼는
상대적 고부가가치인 2차 산업 건물의 수익성은 개선되니 말이다

현실에서도 1차 산업 및 원자재는 수입하고
고부가가치 상품은 수출하는 게 경제성장의 기본이니
이건 부연설명할 필요 없을 듯


다시 한 번 강조하자면
1차 산업 및 원자재를 생산하는 건물은 최소한으로 짓고 가능하면 수입하자
수입만으로는 도저히 시장가격이 안 내려가서
어쩔 수 없이 지어야 할 때는 비편입 주에 짓도록 하고

단 석탄, 납, 유황, 철 등 중요 광물들은
수입만으로는 수요를 완전히 충당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데다
목재, 직물 따위보다 다른 2차 산업으로의 연쇄효과가 훨씬 크고
농업이나 플랜테이션 같이 농부를 고용하는 게 아니라
노무자, 기계공 등을 고용해 산업화 역군들의 정치적 힘을 높여주므로
비편입 주 말고 편입 주에 많이 짓자

특히 철, 석탄은 엄청 중요한 자원인데
수입에만 의존하다가 수출국이 통상금지라도 때리면
경제 박살나는 거 한순간이니
얘네는 수입이 끊겨도 자급할 수 있을 정도의 국내 공급망을 갖춰두자
(내가 그거 당해봄... 기분 개 엿같더라)

목재 같은 건 통상금지 때려도 타격이 ‘상대적으로’ 적은 데다
식민지만 충분하다면 얼마든지 국내 공급망 구축하는 게 용이한 것과는 상반됨

일단 여기까지
건물은 어디다 짓는다던가
건설 부문은 어디다 얼마나 짓는다던가
설명을 좀 빼먹은 부분이 있는데
이것들은 마지막 챕터에서
'시작할 때 세팅 어떻게 하는지'
구체적인 예시를 보면서 마저 설명할 예정

추천 비추천

29

고정닉 6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1149394 공지 패독겜 개발일지 나오는 요일 정리 [5] 팰퍼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12 3100 9
1173872 📖정보 교황령으로 빠르게 군주정 가는 법 [25] 사과좋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1764 49
1172426 📖정보 이키챠를 해봅시다. [11] ㅇㅇ(1.240) 05.28 1036 18
1172362 📖정보 생각나서 써보는 메죽의 시대관 목록 [10] 뢰흐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1434 13
1171495 📖정보 빅토전쟁은 그냥 멀뚱멀뚱<<이거임 [6] 파카9999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2092 47
1171403 📖정보 어 시발! 3명맥 동인도의 답을 찾았다!!! [6] ㅇㅇ(1.240) 05.24 1895 26
1171182 📖정보 크라쿠프를 플레이 해봅시다. [9] ㅇㅇ(1.240) 05.24 2023 36
1170543 📖정보 왈라키아로 시작하자마자 독립해봅시다. [5] ㅇㅇ(1.240) 05.22 980 18
1170409 📖정보 프랑스 본토 요새 최적화 [31] ㅇㅇ(175.193) 05.22 3251 56
1170401 📖정보 뉴비를 위한 패독겜 GPT 만들었다: Paradox Advisor [1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2237 39
1170149 📖정보 인디언 준주로 독립을 해봅시다 [6] ㅇㅇ(1.240) 05.21 1588 35
1169998 📖정보 별겜 관련 충격적인 우주 진실 알려준다. [34] 슈팅스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2657 49
1169614 📖정보 프레임이 낮을 수록 좋은가? 프레임 연구 [15] 이세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277 26
1169574 📖정보 유로파4 첩보-행정 이념 운용 가이드 [17] 사과좋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499 37
1169009 📖정보 하와이로 알제리런을 해봅시다 [6] ㅇㅇ(1.240) 05.17 1505 26
1168772 📖정보 틴토 토크 #12 요한 Q&A 텍스트 추가 [6] ㅇㅇ(116.40) 05.16 1291 18
1168062 📖정보 킹론상 동양 종교로 독일 만들기가 가능한 방법 [7] ㅇㅇ(1.240) 05.13 2291 33
1168026 📖정보 게임 시작 7년만에 폴란드 먹는 헝가리 공략 [1] 사과좋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3 782 9
1167952 📖정보 [공략] 전쟁 적게 하고 패스트 대독일 만들기 [12] 이세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3 1645 28
1167858 📖정보 나보려고 대략 정리해두는 파시스트 일지 [4] ㅇㅇ(1.240) 05.13 1103 19
1167813 📖정보 필리핀 초반 공략 2편(스압) [6] ㅇㅇ(222.233) 05.13 745 18
1167812 📖정보 필리핀 초반 공략 1편(스압) [9] ㅇㅇ(222.233) 05.13 1192 21
1167376 📖정보 티베트를 해봅시다 [2] ㅇㅇ(1.240) 05.11 1756 29
1167322 📖정보 틴토 지금까지 나온 자원 목록(수정2) [37] ㅇㅇ(116.40) 05.11 2265 26
1167094 📖정보 거북섬이 왜 저런 꼼수가 되는지 모르는 사람을 위한 설명 [9] 이세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2975 54
1166904 📖정보 윾 브르고뉴 핵심 팁 [14] ㅇㅇ(221.149) 05.10 1791 12
1166455 📖정보 유교-사회주의-신권민주정 조선을 해봅시다 [21] ㅇㅇ(1.240) 05.08 2084 32
1166416 📖정보 "아 ㅅㅂ 동인도 먹어야하는데 강대국에서 떨어졌어~~~~" [21] 이세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2823 71
1165922 📖정보 빅-빠따 붉은군대로 조선을 완전체로 만들어 봅시다 [16] ㅇㅇ(1.240) 05.06 2889 38
1165899 📖정보 (下) 뉴비들을 위한 137개의 스텔라리스 모드 소개와 추천 총집본 [8] 현질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6 582 20
1165898 📖정보 (上) 뉴비들을 위한 137개의 스텔라리스 모드 소개와 추천 총집본 [3] 현질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6 1065 23
1165629 📖정보 빅토리아3 주 건설 효율에 대해 ㅇㅇ(175.116) 05.04 1673 33
1165358 📖정보 [100%확정] 대박 찬스! 독일 무@료로 형#성하는법 [31] 이세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3 2410 48
1165029 📖정보 심화공략) 지식인을 비롯한 이해집단의 권세 통제 [3] ㅇㅇ(1.240) 05.03 1018 21
1164510 📖정보 크킹 #147 개발일지 올트너 답변 모음 [14]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1 1259 19
1164429 📖정보 태평천국을 피보호국화 해봅시다 [3] ㅇㅇ(1.240) 05.01 1073 15
1164316 📖정보 크킹 이번 개발일지 간단 요약 [16] ㅇㅇ(121.174) 04.30 2150 40
1164219 📖정보 태평천국 피보호국을 확정으로 날먹하는 방법 [6] ㅇㅇ(210.104) 04.30 1266 29
1164052 📖정보 중앙 아메리카 일지를 코후비면서 해결해봅시다. [15] ㅇㅇ(1.240) 04.30 1620 47
1163990 📖정보 이른 보통선거권은 오히려 노조를 약화시킨다 [21] ㅇㅇ(210.104) 04.29 2168 42
1163985 📖정보 코 후비면서 시크제국으로 동인도 양도받기 [3] ㅇㅇ(1.240) 04.29 1052 15
1163913 📖정보 시크로 시작하자마자 동인도를 따먹는 방법 [15] ㅇㅇ(210.104) 04.29 1759 40
1163472 📖정보 탄지마트 교육 연구 보상 개쩌네 [20] ㅇㅇ(1.240) 04.27 2087 21
1163312 📖정보 왕중왕 이란 관련된 성능적,개인적 하자들 모음 [22] Rheinlandpfalz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2102 44
1163149 📖정보 일지 마지막에 있는 영일동맹 일지 [4] ㅇㅇ(220.127) 04.26 420 10
1162678 📖정보 농민 공화국 아라곤 공략 [16] 사과좋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847 34
1162517 📖정보 윾) 호기심 해결사 - 과연 주사위 0이 뜨면 0딜도 나올까?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254 32
1162316 📖정보 빅3) 노예제 금지를 날먹해봅시다 [7] ㅇㅇ(1.240) 04.23 492 8
1161990 📖정보 몰라도 별 상관은 없는 빅토 짤팁 [3] ㅇㅇ(1.240) 04.21 2036 19
1161633 📖정보 eu4) 궁금궁금) 반란군의 나라로 변환하면, 반란 취급은 어떻게 될까? [15] ㅇㅇ(1.235) 04.20 1685 4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