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념글 민수 인터뷰 번역해봄(오역, 의역 많음)

ㅇㅇ(166.104) 2020.02.17 13:49:26
조회 2507 추천 23 댓글 12
														

Triumphant Song Gaming's Solar brings mixed tidings from Korea in this pre-IEM Katowice 2020 interview, catching us up on what's been going on during the off-season.

pre-IEM Katowice 2020 인터뷰에서 TSG Solar는 우리에게 한국에서의 소식을 알려주고, (이를 통해)우리는 비시즌 기간에 무슨 일에 있었는지 알 수 있다.


Fretful fans will be glad to hear that we need not fear about the continuation of GSL Code S. What's more, the latest batch of players returning from military service could be the most competitive yet (in particular, a certain reaper-expert).

조급한 팬들은 GSL의 지속에 대해서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기뻐할 것이다. 게다가, 조만간 군대에서 복귀하는 선수들은 가장 경쟁적일 수 있다 (특히 사신장인 말이다).


On the other hand, tightened travel regulations means Classic may not be the last Korean pro to have trouble playing in major international events. And, of course, region-lock still sucks for Korean pros who can travel.

한편, Classic이 해외로 가는데 문제가 있는 마지막 선수가 아닐 수 있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여전히 지역락은 해외로 여행갈 수 있는 한국 프로들에게 엿같다.


*This interview has been edited and condensed.

Wax: What have you been up to since Super Tournament II, your last major tournament of 2019?

Wax: 슈토 시즌 2 이후에 뭐하고 있었냐?


Solar: I haven't been up to anything special, just taking it easy. Toward the end of the year I participated in tournaments in China and Australia, winning a bunch of of them, and then took a break.

Solar: 별 특별한 건 안했다. 연말에 중국과 호주에서의 여러 대회에 참가하고 여러번 우승했고, 그 이후에 쉬고 있었다.


When did you start practicing in earnest again?

언제부터 다시 연습하기 시작했냐?


After the patch I started practicing properly, but I don't think I have 100% understanding of the game yet.

패치 후에 제대로 연습을 시작했지만, 아직 게임에 대해 완벽히 이해한 것 같지는 않다.


We have most of the info for the Circuit/foreigner side of the ESL Pro Tour, but barely anything for Korea. Are Korean players in the dark as well?

서킷/해외 부분에서 우리는 ESL Pro Tour로부터 여러 정보를 받았지만, 한국에 대해서는 거의 알지 못한다. 한국 선수들도 이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나?


We roughly know when everything's going to happen. The Super Tournament just got officially announced, didn't it? I dunno, there's just some delays in Korea because of various issues like the corona virus.

우리도 거의 모른다. 슈토가 최근에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냐? 코로나와 같은 여러 이슈 때문에 한국에서는 (일정에)지연이 계속 일어나고 있다.


So we'll have three Code S tournaments like last year?

그래서 작년처럼 3번의 GSL이 열릴 것인가?


Yes, I think it will be three of them. There will be some changes, but I can't talk about those yet since it's not official.

세 번일 것 같다. 변화가 조금 있겠지만 공식적으로 발표된 것이 아니기에 이에 대해서 말할 수는 없다.


Some people in the foreign community were panicking because of the lack of information.

해외 커뮤니티에서는 정보 부족으로 몇몇 사람들은 걱정하고 있다.


There's going to be Code S, but there will be changes compared to last year.

Code S는 있을 것이지만, 작년과 비교해서 변화가 있을 것이다.


So the Korean players are satisfied with what they've been told

한국 선수들은 그들이 (GSL 측에서)전해들은 것에 대해서 만족하는가?


Honestly it will be a bit more... I think the competition will be more fierce than last year.

솔직히 말하면 작년에 비해서 더 경쟁이 치열할 것이다.


But personally, what I'm unhappy with is that... Was it last year? The year before that? I wrote about [the problems with region-lock] on Twitter. When I looked at the response from the foreign community, there were a lot of opinions that [region-lock] was unfair. Even when I asked foreign pros, though they were the ones benefiting, they thought it was a bit unfair as well.

개인적으로 내가 불만족스러운 것은 작년인가 재작년에 트위터에 썼던 [지역락 문제]에 관한 것이다. 트윗에 대한 해외 커뮤니티의 반응을 봤을 때, 거기에서도 [지역락]이 불공평하단 의견이 많았다. 해외 프로들에게 물어봤을 때도, 비록 그들이 혜택을 받고 있지만, 그들도 좀 불공평하다고 생각했다.


So if the players and fans all think that it's unfair, I don't know why it didn't change this year.

그래서 팬들과 선수들이 불공평하다고 얘기했는데도, 나는 왜 올해 지역락이 바뀌지 않았는지 잘 모르겠다.


Well, I think we all know it's unfair—it's just a trade-off for the sake of more viewership.

음, 우리 모두 그게 불공평하다는 것은 알고있다 ㅡ 더 많은 시청자를 위한 trade-off가 아닐까?


Yeah, and a lot of Korean pros retired because of it.

그렇다, 그리고 많은 한국 프로들이 그걸로 인해 은퇴했다.


How's the Korean scene looking? The top of the scene is still brutal, but maybe it's gotten easier to get through qualifiers?

한국 씬은 어떤가? 최상위권은 여전히 무섭지만, 예선 통과에 있어서는 더 쉬워지지 않았는가?


It's easier... But with format in the upcoming season, and since I hear a lot of foreign players are coming to play in GSL Code S, I'm a bit worried.

더 쉬워졌지만, 곧 다가올 시즌의 형식과, 많은 해외 선수들이 Code S에 참가하려고 한다는 소식에 나는 조금 걱정이 된다.


You're playing and winning a lot of the ESL weeklies, but Korean players aren't really participating. Why is that?

너는 많은 ESL 주간 대회에 참가하고 우승하고 있지만, 한국인들은 별로 참가를 안하고 았다. 왜 그런가?


Because it's just 10 points per win, I don't think the players really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it. The top players, in particular, think they will [qualify] anyway... Also, this year the number of players that can go to the Masters Championship [*Note: equivalent to the old Global Finals] was greatly increased from eight to sixteen. So I think the players are a little overconfident. I'm trying to stack up points beforehand so I can advance directly to next year's IEM Katowice/Masters Championship without any trouble.

우승당 10포인트만 주니까 선수들이 그 중요도를 모르는 것 같다. 정상급 선수들은 특히나 어떻게든 통과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게다가 올해 Master's Championship(*과거 글파라고 생각하면 됨)에 갈 수 있는 선수들의 수가 8명에서 16명으로 늘어났다. 그래서 선수들이 좀 더 자신감에 차있는 것 같다. 나는 그 전에 포인트를 쌓아둬서 별 문제 없이 내년 Master's Championship에 직행으로 가고자 한다.


Also, as far as I know, there are a lot of players who won't be able to travel overseas next year. Probably more than fans expect, the top tier players will be barred from travelling. So I don't think they're worried that much about earning points this year.

또한, 내가 아는 한 많은 선수들이 내년에 출국을 못하는 것으로 알고있다. 팬들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탑급 선수들도 출국을 못할 것이다. 따라서 나는 그들이 올해 포인트를 얻는 것에 대해서 별 걱정을 안하는 것 같다.


I think Classic said what he learned from his travel permission issues might help other players in the future.

Classic이 자신의 경우가 다른 선수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거라고 말했던 것 같다.


Regardless of that, Korea's laws changed recently. People who are 25 or older can get international travel permission six months at a time, and the longest total period you can request is two years. So actually, according to current laws, I don't think I'll be able to travel abroad when I turn 28 in Korean age.

그것과 관계없이, 한국의 법이 최근에 바꼈다. 25세 이상의 사람들은 이제 6개월에 한번 여행을 갈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최대 2년까지 요청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법에 따르면, 나는 28살이 되었을 때 해외로 여행을 갈 수 없을 것 같다.


[*Wax: I'm not familiar with these regulations, so I might not have interpreted the specific technical details correctly. Regardless, the point is that Solar fears new regulations will affect progamers above a certain age.]

(*Wax: 내가 이 제한에 대해 잘 모르다 보니까 디테일을 놓쳤을 수도 있다. 중요한 점은 Solar는 이 법이 특정 나이 이상의 선수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에 대해 두려워한다는 점이다.)


Military service isn't a career death-sentence? Some of the 'returners' are showing promise.

군입대가 커리어의 사형선고가 아니다?

'귀환자'들이 가능성을 보여준다.


Cure's been a hot topic in the foreign community for how good he's been during the off-season. Is he for real?

Cure는 해외 커뮤니티에서 비시즌에 얼마나 잘하는지로 뜨거운 감자가 되었다. ㄹㅇ이냐?


Cure was always good in practice. But the latest patch was quite good for Terran, so I think that had an effect. I think Terran players are all doing well in general, after the patch. Also, perhaps he's approaching things with a new attitude after leaving Jin Air.

Cure는 항상 연습에서는 잘했다. 하지만 최근 패치에서 테란이 좋다 보니까 그것도 영향이 있을 것 같다. 패치 후에, 나는 테란들이 다 잘한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진에어를 떠난 후에, 그는 새로운 마음가짐을 가졌을 수도 있다.


Who are some players to look out for going forward?

눈여겨볼 발전하는 선수는 누가 있는가?



Personally, I think you should keep an eye on players who returned from the military. There's a lot of players who finished their military service that are good, like DongRaeGu, Armani, or Dream.

개인적으로, 군 복귀자들을 지켜봐야한다고 생각한다. DRG, Armani, Dream 등 군에서 복귀한 뒤에 잘하는 선수들이 있다.


Players who came back from the army haven't had much success in the past. Is that changing?

과거에 군복귀자들은 별로 좋은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그게 바뀌고 있는가?


The practice is a bit... I think maybe having your military obligations out of the way helps you focus solely on practice. Compared to the past, they've really caught up a lot in terms of skill.

연습에서는 그렇다. 어쩌면 군복무는 연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주는지도 모르겠다. 과거와 비교해서, 그들은 실력적인 부분에서 (과거와)굉장히 근접했다.


How are Dark, Maru, the usual top guys doing?

Maru나 Dark와 같은 탑급 선수들은 어떤가?


I think all the guys who used to be good are still good; like Maru hit 7000 MMR on the Korean server. Besides a few guys, I think all of the strong players are still in good shape.

잘했던 애들은 여전히 잘한다; 마루는 한섭에서 7000점을 찍었다. 몇 명을 제외하고, 잘하는 선수들은 여전히 잘하는 것 같다.


Also, ByuN is going to return this year. ByuN is laddering on the Korean server these days, and he's around 6800~6900 MMR right now, getting in the neighborhood of 7000. He's still got it. So I think when ByuN comes back, he'll continue to do well in tournaments.

게다가, 변현우가 올해 복귀한다. 변현우는 요즘 한섭에서 래더에서 게임하는데, (그의 점수는)7000점 직전인 6800-6900 사이이다. 그는 여전히 잘한다. 따라서 그가 복귀하면, 대회에서 계속 잘할 것 같다.


You mentioned your game knowledge isn't complete yet, but still, who do you think is going to win at IEM?

네 게임 개념이 완벽하지 않다고 얘기는 했지만, 누가 IEM 우승할 것 같냐?


I think this time... Before, I always picked Serral to win tournaments. But this time, I think it will be tough for him, in my estimation. It's because Zerg doesn't have any big edge in terms of balance right now. In longer series, Terran and Protoss have a lot more strategies they can use. So I think it will be hard for Zerg players—I think Terran and Protoss players will do well.

전에는 항상 세랄을 뽑았지만, 지금 내 예상으로는 그에게 버거울 것이란 생각이 든다. 장기 대회에서 테란과 토스는 더 많은 전략을 가지고 있다. 저그 선수들에게는 따라서 버거울 것 같다 ㅡ 테란이나 토스 선수들이 잘할 것 같다.


Who are the top Protosses in Korea?

한국 최고의 토스는?


I think Trap and Stats are the best.

조성호나 김대엽이 제일 잘하는 것 같다.


KeSPA-tier salaries in the ambitious China Team Championship.

China Team Championship에서 케스파 급 월급.


What was it like playing in the live, China Team Championship playoffs?

중국 팀 대회 플레이오프에서 라이브로 플레이 할 때 어땠는가?


It was great, there were a lot more Chinese fans than I expected. It was awesome that the Chinese fans were enjoying it so much. The recent epidemic is delaying WESG and other tournaments right now. I hope the situation gets better and we can play in Chinese tournaments again.

최고였다, 내 예상보다 더 많은 중국 팬들이 있었다. 중국 팬들이 (대회를)정말 많이 즐긴다는게 너무 멋졌다. 최근의 전염병(코로나)은 WESG와 다른 대회들을 지연시키고 있다. 얼른 상황이 나아져서 중국 대회에서 플레이하고 싶다.


Did it remind you of the Proleague days?

(중국 팀리그가) 과거 프로리그 시절을 연상시켰나?


Playing matches regularly, it definitely felt a lot like the old days. Because the Chinese teams have been signing a lot of players, I think the next season is going to be really competitive with a lot of good players.

정기적으로 경기를 치르는게 확실히 옛날 느낌이 나긴 했다. 중국 팀들이 많은 선수와 계약을 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 시즌은 더 좋은 선수들과 함께 더 치열해질 것이다.


Has the introduction of the CTC been good for Korean pros? Maybe it's not KeSPA level pay, but that kind of stability must be nice.

한국 프로들에게 CTC의 등장이 좋았나? 케스파 수준의 급여는 아니더라도 안정감은 좋을 것이다.


It IS at that level, the pay is very good. The players who really earn a lot, they make as much money as top KeSPA players used to. Having regular income, it really stabilizes your career as a player.

급여는 케스파 수준이다. 돈을 많이 받는 선수들은 돈을 많이 받던 케스파 선수들만큼 받는다. 정기적인 급여를 받는 것은 선수생활을 안정적으로 하게 만든다.


Are there plans for CTC to start holding even regular season games live, and for the teams to all have teamhouses in China?

CTC에서 모든 정규 대회를 라이브로 하고, 팀마다 팀하우스를 준비할 계획은 있는가?


From what I know, that's the ultimate goal. For everyone to have team houses in Shanghai—my team [Triumphant Song Gaming] already has a teamhouse in Shanghai. So to play and practice there, really like it's Proleague—I hear SCBoy is dreaming of something like that. That's if everything goes well and things get bigger. It's still hard to do that now, but I think it would be fun if that happened in the future.

내가 아는 한으로는 그게 최종적인 목표로 안다. TSG는 이미 상하이에 숙소가 있다. 거기에서 연습하고 경기하는 것은 진짜 프로리그같다. 모든 팀이 상하이에 팀하우스를 갖는 것이 SCBoy의 진짜 꿈으로 안다. 모든게 잘 풀리고 커지면 그렇게 될 것이다. 지금 당장은 그게 힘들지만, 미래에 그렇게 되면 재밌을 것 같다.


You were excellent in a variety of competitions last year, even getting an eight-win all-kill in the CTC playoffs, but Code S didn't go that well for you. Why's that?

작년에 CTC에서는 잘했지만 Code S에서는 잘 못했다. 왜 그런가?


I don't know for sure, either. Just, I can't play that well in Code S, maybe it's the nerves. Also, the players prepare so well. I think the Code S format is disadvantageous for Zerg. The more time there is to prepare, the worse it is for Zerg, since Zerg have a limited range of strategies. So I think it's tough in tournaments where there's a lot of preparation time. Also, my style is a bit simple, so I think I get countered a lot.

나도 정확히는 잘 모르겠다. 그냥 Code S에서는 잘 못하겠다, 긴장해서 그런가. 게다가, 선수들이 정말 잘 준비해서 나온다. Code S의 형식은 저그에게 안좋은 것 같다. 준비 기간이 길어질수록 저그에게 안좋은 것 같다, 저그가 제한된 전략을 가지고 있다 보니. 따라서 준비기간이 긴 대회일수록 힘든 것 같다. 게다가 내 스타일이 단순하다 보니 저격을 잘 받는것 같다.


Conversely, foreign Terrans say that the short-duration format of the Circuit events favor Zerg. Anyway, what are your personal expectations for IEM Katowice?

그에 비해 해외 테란들은 서킷의 단기간 리그는 저그에게 유리하다고 한다. 어쨌든간에 이번 IEM 카토비체에서의 스스로의 기대는 어떤가?


When I got through the qualifiers, I was actually pretty surprised because I didn't expect it. But somehow, all my games went well on that day, so I [earned a seed]. I don't really have huge ambitions, it would just be nice to [get to the top four] and play in Spodek. That's my initial goal.

예선을 통과했을 때, (뚫을 것을)기대를 하지 않아서 너무 놀랐다. 하지만 그날 게임이 잘 풀려서 시드를 얻었다. 큰 열망은 없지만, 탑 4명에 들고 Spodek(4강 및 결승 경기장 이름인듯)에서 게임하고 싶다. 그게 내 최초의 목표다.


Any final comments or shout-outs?

팬들에게 마지막 한마디?


I don't think I have that many fans compared to other players, but I'm thankful to everyone who's kept cheering for me, no matter how much. I'm thankful to all my foreign fans as well.

다른 선수들에 비해서 많은 팬은 없는 것 같지만, 나를 계속 응원해준 팬들에게 감사하다. 내 모든 해외 팬들에게도 감사하다.


The StarCraft II scene has changed so that ESL is running things. I hope this change will make the scene more vibrant, we'll see more tournaments pop-up like in the old days, and we'll have a year where we can all be happy together.

이제 ESL이 스타크래프트2 씬을 운영한다. 이 변화가 씬을 더 활기차게 만들었우면 좋겠고, 전처럼 더 많은 대회들이 나타났으면 좋겠고, 그러면 모두가 행복한 한 해를 보낼 것이다.


You can follow Solar on Twitter at @TSG_Solar and catch his stream at AfreecaTV.


추천 비추천

23

고정닉 7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1339552 공지 금주의 스타2 (6/9 ~ 6/15) [6] ㅎㄹ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16 3988 15
1144471 공지 공지) 우마갤은 오늘부터 GOAT 논쟁을 금지합니다 [7] ㅇㅇ(61.73) 23.02.12 1968 41
1334031 공지 님들 저 무한동력 개발한듯 [3] ㅇㅇ(183.101) 24.03.08 1380 30
1310655 공지 23우마갤어워드 투표 결과 [20] 우마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1.29 1540 25
598000 공지 우주전쟁 마이너 갤러리 공략 모음(2023년 12월 업데이트) [37] lifare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4.21 40616 70
788604 공지 우마갤도서관 v1.23 [20] 영서를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2 9338 21
618703 공지 토쟁이 씹새끼들아 [30] 닭있는맛갈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5.12 10667 169
355282 공지 플레이 엑스피 유저여러분 [50] ㅇㅇ(14.55) 19.06.09 15568 141
1392673 스타2 (번역) 웨이보 게이밍과 DKZ는 월드컵을 위해 협력합니다. [2] ㅇㅎ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80 15
1391895 스타2 DKZ가 EWC 준비를 위해 6개월간 WBG(웨이보게이밍)과 계약함 [5] Strat0_Cast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533 14
1390745 일반 독거 노인분들한테 무료 급식으로 한솥 매화도시락 돌렸음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759 14
1390744 일반 길가다 리어카끄는 어르신 힘들지 말라고 같이 밀어드렸다 [4] ㅎㄹ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746 20
1390628 대회정 Esports World Cup 2024 대회 방식 [10] 아닌데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736 23
1390547 일반 3일차 뉴비 방금 아주 무서운 사실을 알아버렸다 [8] ㅇㅇ(223.39) 06.07 686 28
1389821 일반 맥스팩스가 뭘 잘못했다고 그렇게 뭐라 하십니까? [5] John_Su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911 18
1389167 일반 '사령부를 건설하십시오' [9] John_Su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037 23
1389155 일반 성호 근황 [5] 빙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909 18
1388520 일반 Teamliquid에서 정상인을 찾았다 [13] ㅇㅇ(183.101) 06.03 1177 33
1388403 일반 안녕하세요. SC: Evo Complete 동호인 대회가 열립니다! [5] 흐윽표범(125.177) 06.03 1062 25
1388341 일반 변스타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038 19
1388176 일반 버니 구미호 변 클렘 올베 >>> 마루 [5] ㅇㅇ(124.54) 06.03 908 33
1388165 일반 세랄 이기려면 체급이 필요하다 내가보기엔 [4] ㅇㅇ(183.101) 06.03 818 15
1388112 일반 솔직히 이젠 크랭크 인터뷰도 예측 감 [6] ㅇㅎ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296 34
1387940 일반 ??? : 바로 그거다 세랄 [2] ㅇㅎ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183 22
1387441 일반 맥팩정도면 우승권 도전할만한 선수 맞지 뭘 ㅋㅋ [16] 조성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1111 30
1386536 일반 달라스 리그 첫날 한줄평.txt [8] ㅇㅇ(221.164) 06.01 1059 17
1386508 일반 TLnet펌) Road to the Esports World Cup [2] 아닌데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652 16
1386442 스타2 장현우 블랙리스트 인터네셔널 입단 [9] 리틀바게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783 27
1386408 스타2 조성호 젠지 이스포츠 입단 [16] ㅎㄹ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1191 31
1385492 스타2 이병렬 팀 팰컨스 들어갔네 [4] Aqu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855 22
1385209 일반 우붕이들아.. 부탁이 있다.. [13] EV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761 27
1382500 일반 테테전의 신.jpg [1] ㅅㅁㅅ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1366 16
1367524 일반 수고하셨습니다 Goat [15] 우마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2149 56
1382473 일반 Tasteless 우붕이(121.164) 05.25 339 17
1382399 일반 병구햄 마지막교전 스톰...webp [7] 우붕이(119.206) 05.25 1265 15
1382398 일반 ???:내가 누구? [5] 우마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973 16
1382259 일반 ???:오토바이 좆사기네 내가 타고 만다 [5] ㅅㅁㅅ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1047 16
1382253 일반 ???:....... [4] 우마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714 15
1380809 일반 망겜하면서 진짜 오랜만에 도파민 풀충전한다 [5] 아싸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245 21
198193 일반 내가 진짜 씨발 눈물이다난다 개새끼들아 [589] ㅇㅇ(175.223) 18.11.23 93154 3623
1380584 대회홍 5/25 스1 vs 스2 이제동,변현제,김도욱,조성호vs장민철,송병구 [6] ㅇㅇ(219.251) 05.22 1187 20
1380324 일반 민수태양john [1] 리틀바게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746 18
1380307 일반 제이덩이 복귀하고 삼송.애뽈 지원금 59조원으로 gsj개최한다 [6] ㅇㅇ(223.39) 05.22 745 17
1380300 일반 25일 스1vs스2 대회 또열림 [15] 우붕이(112.170) 05.22 1336 36
1379907 일반 박령우 인스타 [1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1022 28
1379043 일반 온사이드게이밍x바이탈리티 트위터 [6] 우마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865 16
1379025 일반 우붕이 저그로 다이아찍음 [6] CuS0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662 20
1379021 일반 스킬러스 트위터 [2] 우마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657 13
1379013 스타2 WTL 트위터-1 우마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477 11
1378956 일반 수고하셨습니다 [1] ㅇㅇ(183.101) 05.19 675 2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