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가이드] 번역) 아무런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히카리/호무라 배우기 (레벨 0)

Nar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2.06 11:48:36
조회 1751 추천 22 댓글 10
														

원제 : Learning Pyra and Mythra From Scratch (Level 0)

한국에서 파워 랭킹에도 들었었다가 지금은 미국으로 돌아간 미국 대난투 플레이어 JJROCKETS https://twitter.com/JJROCKETS의 글을 번역한 것입니다. 

이번에는 대본이 없다고 하셔서 부족한 실력으로 듣고 번역하느라 오역이 많을 수 있으니 혹시 이상한 부분이 보인다면 캐치해주세요



이전 시리즈 :

어떻게 해야 대난투(혹은 다른 분야들) 에서 실력 정체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mashbros&no=340235




​원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xITNhgQ_PIs



서문


안녕하세요, JJROCKETS입니다. 오늘 저는 아무런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부터 새로운 캐릭터를 배우는 것에 대해 이야기해 볼 것입니다. 이 시리즈에서 저는 디디콩 메인에서 히카리/호무라로 메인을 변경하는 제 여정을 기록해 볼 것입니다. 긴 말은 줄이고 바로 가봅시다.


이전 3년 동안 저는 영어를 가르치며 한국에 살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토너먼트에 그렇게 자주 가지 않았습니다. 가장 마지막 토너먼트를 갔던 것이 2020년 2월이었고, 디디콩을 사용해 대회를 우승했었습니다. 어젯밤은 2020년 2월 이후로 첫 토너먼트였습니다. 당시 대진표를 보면 볼 수 있듯이, 결과는 딱히 좋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저는 토너먼트 동안 히카리/호무라를 골랐고, 이 캐릭터는 제가 여태까지 한 번도 플레이하지 않은 캐릭터이기 때문입니다. 제 말은 토너먼트 이전에 온라인에서 잠깐잠깐 플레이를 해보긴 해봤지만 기본적으로 저는 이 캐릭터에 대해 완벽히 초보자라는 것입니다. 저는 꽤 강한 디디콩 플레이어에서 끔찍한 실력의 플레이어가 되었습니다.


왜 저는 이런 선택을 했을까요? 저는 저에게 한 가지 도전을 주고 싶었습니다. 만약 제가 디디콩을 더 이상 플레이하지 않고 새로운 캐릭터만 플레이하게 된다면 얼마나 갈 수 있을지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제 도전에는 두 가지 목표가 있습니다.



첫 번째, 디디콩을 사용하지 않고 시카고 PR(파워랭킹, 지역 별로 일정 기간 동안의 대회 성적에 따라 선수들의 실력 순위를 대회 주최자들이나 상위권 플레이어들의 의견을 합해 순위를 정하는 것을 말함, 역주)에 드는 것입니다. 

두 번째, 오프라인 토너먼트에서 우승하는 것입니다. 디디콩을 플레이하지 않고 말이죠.



그래서, 왜 디디콩을 더 이상 플레이하지 않고 히카리/호무라를 선택하게 됐을까요에 대한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 번째 이유로는 그냥 저는 더 이상 디디콩을 즐기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디디콩을 2009년 대난투 X(미국 기준 Brawl)에서부터 시작해서 대난투 4에서도 디디콩을 쭉 플레이했으며, 얼티밋에서도 코로나 사태가 오기 전까지 디디콩만 플레이했습니다. 이런 오랜 시간 끝에 저는 결국 디디콩을 플레이하는 것에 질려버렸습니다. 그리고 얼티밋에서 다른 캐릭터들을 경험해 본 결과, 히카리/호무라를 플레이하는 것이 제일 재밌었고, 이게 제 첫 번째 이유입니다: 그냥 더 재밌기 때문이죠. 그리고 솔직히 게임을 플레이하는데 재미가 없다면, 이 게임을 왜 하고 있나요? 


두 번째 이유로는, 디디콩과 히카리/호무라는 완벽히 다른 캐릭터입니다. 그래서 디디콩 메인으로서 저는 제가 바나나에 굉장히 의존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바나나를 들고 실드를 하면서 상대가 실수하기만을 기다리는 방법으로 게임을 이기곤 했죠. 만약 제가 다른 캐릭터를 플레이한다면 제가 의지할 수 있는 날먹(의역)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고, 저는 결국 이 게임(대난투)를 정말로 어떻게 플레이해야 하는가에 대한 방법을 찾아야 하겠죠. 전 이제 커맨드 그랩(커잡)도 없고, 투사체도 없습니다. 이것들은 제가 주로 디디콩을 플레이할 때 의존하던 (날먹) 기술들이죠. 그래서 저는 이 캐릭터 변경이 새로운 캐릭터를 배우는 것뿐만이 아니라 게임 자체를 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의역)




본론


7cee8573b08376b660b8f68b12d21a1db919e3e4c816



어떻게 히카리/호무라를 레벨업할까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이 스포츠 심리학적인 개념인 학습의 4단계 (four stages of coompetence, 능숙함의 4단계)에 대해 설명해 드리고 싶습니다. 이는 모두가 새로운 기술을 배울 때 볼 수 있는 피라미드와 같은 것입니다. 게임에 대해 배우거나, 새로운 캐릭터를 배우거나, 요리하는 법을 배우는 등 어떤 것이든 간에 적용할 수 있는 개념입니다. 당신은 이 피라미드의 가장 밑바닥에서부터 시작해서 점점 잘해질수록 가장 아래 단계인 무의식적 무능력 단계에서 가장 위 단계인 무의식적 유능력 단계까지 갈 수 있을 것입니다.




(1) 무의식적 무능력 단계

그래서, 단계 별로 한 번 살펴보고 왜 이 체계가 저에게 크게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봅시다. 가장 아래에 있는 단계는 '무의식적 무능력' 단계입니다. 이 단계는 어떤 기술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는 단계라, 자신이 뭘 못하는지조차도 구분할 수 없는 단계입니다. 그래서 당신은 마치 알아가야 할 것이 방대한 지식의 바다처럼 느끼게 됩니다. 히카리/호무라를 예를 들자면, 이 캐릭터를 배우려면 이 캐릭터에 대한 모든 정보를 알아야 할 것입니다. 콤보, 엣지가드, 저글링, 렛지트랩, 복귀, 뉴트럴 등등은 어떤 캐릭터를 플레이할 때 고수가 되기 위해서라면 필요한 개념들이고, 이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하지만 만약 당신이 이 단계에 있다면, 당신은 이 캐릭터를 플레이할 때 당신이 뭘 하고 있는지조차 알 수가 없습니다. 잘해지려면 어떤 특정한 게임 지식이 필요한지도 자각할 수가 없습니다. 예를 들면 저는 히카리/호무라에게 어떤 콤보가 있는지조차 알지 못합니다. 즉, 저는 제가 뭘 모르는지조차 모른다는 것이죠. 그게 문제입니다.



그래서, 만약 당신이 이 단게에 있다면 이 단계를 타파할 2가지의 방법이 있습니다. 저는 이 첫 번째 방법을 추천하는데, 당신이 못한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성장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이는 당신이 윗 단계로 올라갈 수 있게끔 도와줄 수 있겠죠.


반면에 두 번째 방법은 많은 사람들이 빠지는 함정인데, 바로 더닝 크루거 효과(Dunning-Kruger effect)의 피해자가 되는 것입니다.



7ce98672b48469f238f1c6bb11f11a394de4098acd324b01



만약 당신이 이것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없다면, 설명하자면 이는 게임을 못하는 사람이 왜 게임을 못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설명이 될 수 있는 개념입니다. 게임을 못 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게임을 잘한다고 착각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왜냐하면 이들은 게임에 대해 충분히 알지 못해서, 자신이 얼마나 게임의 일부분만 알고 있는지 자각조차 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너무 아는 게 너무 없어서 뒤에 더 방대한 지식의 바다 자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지 못합니다. 이 때문에 그들은 '아 그래 나는 이 캐릭터에 대해 대부분의 정보를 알고 있어.' '나 꽤 괜찮게 플레이하는 것 같은데?'라고 생각하며 자신감이 지붕을 뚫고 올라가게 됩니다. 하지만 당신이 조금씩 조금씩 지식이 많아질수록 지식의 바다가 보이게 되고, 드디어 자각하게 됩니다. "그래, 난 이 게임을 그지같이 못하는구나." 그리고 당신은 전문가가 될 수 있을 때까지 조금씩 조금씩 더 나아갈 수 있습니다. 이때 당신의 자신감은 다시 올라갈 수 있겠죠. 왜냐하면 당신은 드디어 당신이 정말로 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될 것이니까요. 


그래서 제 계획은 이 더닝 크루거 효과를 스킵하는 것입니다. 제가 잘한다고 착각하지 않고, 처음부터 제가 못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시작하는 것이죠. (위 그림에서) 자신을 쓰레기처럼 느끼게 만드는 우매함의 봉우리 단계를 경험하지 않고 절망의 계곡에서부터 시작해서 천천히 전문가가 되기 위해 올라가는 것입니다. 



(2) 의식적 무능력 단계

어찌 됐든 간에, 다음 단계는 의식적 무능력 단계입니다. 이는 아직도 못하는 단계이지만, 적어도 당신이 못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는 단계입니다. 드디어 당신이 정보의 바다라는 것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당신이 어떤 부분을 성장시킬 수 있는지 인지할 수 있는 단계입니다. 그리고 이를 인지하게 된다면 당신은 당신이 어떻게 잘해질 수 있는가에 대한 목표를 만들 수 있게 될 것입니다.



(3) 의식적 유능력 단계

세 번째 단계는 의식적 유능력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드디어! 당신이 게임을 잘하게 되었고, 당신이 게임을 잘한다는 것을 당신 자신이 알게 됩니다. 하지만 여기에 한 가지의 결점이 있습니다. 바로 게임을 할 때 당신은 게임을 의식적으로 하게 되고, 게임을 잘하려면 계속 그 게임을 어떻게 플레이를 해야 할지 생각을 계속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특히 하이 레벨 플레이에서 너무 많은 집중력을 소모하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서 당신이 게임을 무의식적으로 습관적인 행동(auto piloting, 의역)만으로 게임을 하게 된다면 당신은 그냥 패배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당신이 하는 모든 행동에 대해서 계속해서 생각해야 하기 때문이죠.



(4) 무의식적 유능력 단계

위의 단계와 대비되는 마지막 단계인 무의식적 유능력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당신은 너무 게임을 잘하게 되어서 게임 자체가 제2의 천성(second nature), 너무 익숙해서 그냥 자연스러운 일 그 자체가 됩니다. 그래서 더 이상 생각조차 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게임을 플레이하는데 어떤 노력조차 해야 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그래서 그저 생각 없이 무의식적인 플레이를 해도 매우 강한 플레이가 나오게 됩니다. 그래서 당신이 게임을 정말 잘하게 된다면,(당신이 어떤 게임을 하는지는 모르지만 이 영상을 보고 있다면 대난투가 되겠죠) 컨트롤러를 조작할 때 당신은 의식적으로 어떤 버튼을 눌러야 할지 생각을 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럽게 엄청난 플레이를 하고 있을 것입니다. 만약 당신이 이런 느낌을 한 번이라도 가져 본 적이 있다면, 이는 당신이 무의식적 유능력 단계에 돌입했다는 것을 말합니다. 바로 당신이 뭘 해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조차 필요가 없는 단계 말이죠. 마치 버튼이 자기들이 알아서 눌리는 느낌처럼 느껴지는데 그런 기분이 들 때마다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그래서 이게 제 학습의 4단계에 대한 장황한 설명이었고 저는 이 4단계의 가장 아래 단계부터 가장 위 단계까지 가 볼 생각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정말 큰 질문 하나가 생기게 됩니다. 


어떻게 피라미드 위 단계로 올라갈 수가 있을까요?


첫 번째로, 저는 제가 당분간 정말 끔찍하게 못할 것이라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제가 디디콩을 플레이한다면 제가 뭘 하는지도 알고, 어떻게 콤보를 해야 할 지도 알고, 어떻게 킬 셋업을 할지도 알고, 어떻게 렛지트랩을 할지도 압니다. 하지만 지금은 아무것도 알지 못합니다. 그래서 제 결과가 매우 좋지 못하고 좋지 못할 것임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게임을 플레이할 때마다 잘해질 것이고, 그게 바로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런데 저는 이와 반대로 제 대부분의 시간을 정보를 얻는 것에 투자할 것입니다. 그래서 어떻게 렛지가드를 할 수 있는지, 어떻게 렛지 트랩을 할 수 있는지, 어떻게 저글링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모든 것들을 위해서 저는 먼저 정보를 모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내면화해서, 의식적인 무능력 단계로 돌입하고, 이 정보들을 저에게 적용할 수 있게끔 작업을 시작할 것입니다. 그래서 먼저 저는 제가 무엇을 공부해야 할지 이것저것 검색을 해보아야 할 것입니다.


그럼 어떻게 검색해야 할까요?


첫 번째로 저는 유튜브 강의를 찾아볼 것입니다. 요즘엔 제 생각엔 어떤 캐릭터를 고르든 간에 친절한 사람을 찾기가 쉬워졌습니다. 유튜브에 히카리/호무라 가이드(pyra mythra guide)를 찾아봤는데 여기서 볼 수 있듯 유튜브에 정말 많은 가이드 영상이 올라와 있습니다. MkLeo, ESAM, Izaw, Void 등등 스크린샷 넘어서도 많은 플레이어들의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제 생각에 이건 다양한 최상위권 플레이어들의 관점을 찾아보기에 매우 유용하고, 최상위권 플레이어들의 영상이 아니더라도 당신은 새로운 것들을 배울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이 가이드들을 모두 챙겨보고 영상들에 대한 메모를 해서 제가 어떤 부분을 성장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잡고 갈 것입니다.



두 번째로는 디스코드에 들어갈 것입니다. 만약 Smashcord라는 것을 처음 들으신다면, 이 사이트는 대난투의 캐릭터라든지, 로컬 정보 등 대난투 디스코드들을 한곳으로 모아둔 사이트입니다. https://smashcords.com/smash-5


그래서 만약 새로운 캐릭터를 고르게 된다면 가장 먼저 들어가기 좋은 곳이 그 캐릭터에 대한 디스코드 서버라고 생각합니다. 이 서버에서 당신처럼 그 캐릭터를 잘하기 위해 당신처럼 노력하고 있는 플레이어들과 연결이 될 수도 있고, 이런 플레이어들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입니다. 매치업 팁이라든지 가이드 같은 것들 말이죠. 추천합니다.



다음은 최상위권 플레이어들의 영상을 보는 것입니다. 이는 최상위 플레이에서 이런 것들도 통하는구나 등등을 보기에 매우 유용합니다. 예를 들면 이런 콤보가 있었네? 나도 이 콤보를 모방해서 연습 모드에서 열심히 연습해서 탑 플레이어들이 하는 것처럼 따라해야겠다. 와 같은 식으로 접근한다면 자연스럽게 더 잘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당신보다 잘하는 플레이어가 있다면 그 플레이어가 하는 것을 모방하는 것만으로 더 잘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똑같은 캐릭터여도 탑 플레이어들 각각 다른 플레이 스타일로 플레이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한 명의 선수만 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플레이어들의 플레이를 보는 것을 추천하고, 그들의 플레이스타일과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을 비교해서 어떻게 당신의 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는지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이 영상에서 말하고 싶은 건 바로 Notion이라는 어플리케이션입니다. 과거에 저는 이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이야기한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제 시청자들이라면 아마 알 수도 있지만, 만약 모르신다면 이는 모든 기기로 동기화할 수 있는 노트 필기 어플리케이션입니다. 폴더 등등을 이용해서 메모를 정리하기에 매우 쉬운 프로그램입니다. 그러니까, 컴퓨터로 메모를 해놓는다면, 폰에서도 똑같이 볼 수 있는 것이죠. 그래서 토너먼트를 예로 들자면 토너먼트에서 휴대폰을 꺼내서 컴퓨터로 정리해놓았던 캡틴 팔콘 매치업 노트를 빠르게 확인하고 경기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게 되겠죠. 저는 제가 쓸 대난투 노트 템플릿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만약 이 템플릿에 대해 관심이 있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https://auspicious-impatiens-96a.notion.site/Smash-Notebook-Template-c3017f2ad11046099bb91e74dd0103fb



저는 이를 강력히 추천드리지만 이 영상이 꽤 길어지고 있기 때문에 빠르게 사용법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이 아래는 노션 템플릿에 대한 사용법을 알려주는 부분이기 때문에 전체 대사를 번역하지 않고 빠르게 요약만 해놓겠습니다.



7cec8177b48369f73dea87e4459f34330d0f935ba49c9eb1b81bfa


만약 위의 템플릿을 직접 사용하고 싶다면 로그인 후에 우측 위에 복제 버튼을 누르면 자신의 노트로 복제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매치업탭


7ce98677b18469f238ee82e34785727328ca2da079f874c57caf1c4cac48d3

매치업에 들어가보면 정리해 둔 캐릭터들과 표가 있을 것입니다.

메모를 하고 싶다면 캐릭터를 눌러보면 위 사진과 같이 팝업창이 뜨고, 메모를 할 수 있게 됩니다.

메모를 할 경우 실시간으로 저장이 되고, 폰으로도 동기화가 되기 때문에 스마트폰으로도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7ce98677b18469f238eb87e342807269edbf74babd6dd915bc57e5c08156bda43824



이 프로그램이 좋은 것은 계속해서 서브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인데, 쓰다가 더 자세하게 들어가야할 부분이 있다면 페이지 안의 페이지 안의 페이지 안의 페이지 안의 페이지...를 끊임없이 만들 수 있습니다.




7ce98677b1846cf738ee82e342807269cc0e1db5c6dd902e072e6b13e2d397a62b075309




또한 기본적으로 스테이지 리스트를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간단하게 밴이나 카운터픽으로 무슨 스테이지를 고를지 간단하게 정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 새로운 스테이지가 대회맵으로 나온다면 그 때 그 때 추가해도 무방합니다. 


(중략)



마치며

이후에 저는 제 노션 노트나 과정들, 예를 들면 제가 어떤 것을 연습하고 있는지, 어떤 것을 연습할지  모두 공개할 예정입니다. 재밌는 시리즈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저는 다음 주에 하게 될 로컬 대회에서 9등보다 높은 등수를 받기를 바랍니다. 영상 봐주셔서 정말 감사하고, 다음 주에 뵙겠습니다.












/////////////////////////////////////////


역자 사족



7feb8870b78a6af036ed98a518d60403005cf1165eb7de549c


7be5827eb78460f436ed80ed44876a2d7632349f7616923ef8d97d8475


7ce88777b08569f339ee83e258c12a3a2799b392ace5e215991992


(위는 올해 초에 급 진지하게 하고 싶어서 열심히 한 척한 내 노션 흔적들)





노션은 나도 2019년에서부터 쓰던 노트 프로그램인데 사용감만 익혀놓으면 정말 쓰기 좋다고 생각함


특히 대학교 계정이 있다면 대학교 메일로 가입했을 때 개인 프로 요금제를 공짜로 사용할 수 있으니 이왕이면 대학 이메일로 가입하는 것을 추천 (굳이 프로가 아니더라도 기능에 큰 문제는 없어요)


대난투 뿐만이 아니더라도 이래저래 노트할 때 좋으니 많은 사용 하면 좋을 것 같음!!


번역이 보기 불편하거나 문제가 있다면 댓글 ㄳㄳ

추천 비추천

22

고정닉 15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866 AD 세상의 패권을 거머쥘 자, 로드나인 사전등록 중 운영자 24/06/05 - -
515160 공지 대난투 갤러리 통합 가이드 [40] 슬러그캣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6 29132 21
549441 가이드 리틀맥은 정공캐 - 가젤펀치를 알아보자 [6] 난갤러(112.168) 01.13 782 14
545887 가이드 yuzu 에뮬레이터로 모딩 적용하는 방법 [19] Samu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6 1290 15
543118 가이드 켄 타츠마키 히트시 이득프레임 정리해봄 [34] ㅇㅇ(124.56) 23.06.19 833 16
538351 가이드 vs 마인카트 [13] 역도시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5 871 10
536258 가이드 쿠파주니어 : 종종 사용하는 정직하지 못한 꾀 중 하나를 소개합니다 [7] ㅊㅍ 23.01.14 1334 19
536171 가이드 조커의 약한 기술 총(B)에 대해 알아보자.webp [12] CP9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3 1548 29
535312 가이드 vs카즈야 매치업 [1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1550 17
535051 가이드 스압)마을주민의 필살기들에 대한 고찰 [4] 바우투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2 601 11
533636 가이드 장문) 난투를 잘하기 위해 필요한 것 [6] 비-오(211.199) 22.11.28 1322 16
532576 가이드 용사에 대해 계속해서 고민해 온 남자에 의한 '용사 대책'의 모든 것 [8] ㅇㅇ(1.247) 22.11.08 808 12
530195 가이드 로젤리나 가이드) 익혀두면 좋은 킬셋업 [16] 화이트네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3 726 15
529556 가이드 (번역)미래 대난투 판을 책임질 켄 유저들에게 [켄 해설 상급편] [4] Hanjun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5 516 10
526681 가이드 vs테리 매치업 [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27 914 14
521738 가이드 뉴비의 게임 이해를 위한 글 [8] ㅇㅇ(223.38) 22.07.14 763 12
519621 가이드 vs마리오 매치업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5 494 10
517122 가이드 캐릭터 공용 테크닉 [4] 슬러그캣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3 4107 20
515188 가이드 MOD 관련 정보 모음 [4] 슬러그캣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6 2753 12
515178 가이드 대난투 파이터별 가이드 모음 [11] 슬러그캣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6 19436 24
515159 가이드 가이드 인계 공지 [15] 슬러그캣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6 552 17
514805 가이드 모딩했는데 왜 온라인 밴 안당해요 ? 에 관한 답변 [17] Samu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3 1193 12
514168 가이드 슬링샷의 응용과 써야하는 이유 Roze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7 918 12
514129 가이드 슬링샷 종류와 하는법 [12] Roze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7 1950 28
514011 가이드 난갤팩 버전 1.0 배포(스위치용,Ryujinx용) [25] Samu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6 1611 19
512663 가이드 착지 패턴 속이기 [6] 역도시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6 766 14
507984 가이드 개굴닌자 고찰 ① - 실드 대책 [번역] [4] 직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1 534 11
507778 가이드 재밌는 틀맥 가이드 - 플레이 가이드 [2] ㅇㅇ(121.140) 22.03.08 526 19
507084 가이드 재밌는 틀맥 가이드 - 기본 정보 [7] ㅇㅇ(218.155) 22.03.04 1115 20
503220 가이드 카즈야 마신권을 발동할수 있는 무브들 [7] MandaWigu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1105 16
495539 가이드 얼타에 대해서.araboza [1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2 310 10
495371 가이드 뉴비용 게임 가이드 - 실드편 [14] 멍머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1 1000 16
492732 가이드 로젤리나 가이드) 디싱크 쉽게 쓰는 법 [11] 랄라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8 810 22
491352 가이드 슈르크 DS 파생 잡기술 가이드(2) [4] K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3 303 12
491350 가이드 슈르크 DS파생 잡기술 가이드(1) [4] K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3 415 13
가이드 번역) 아무런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히카리/호무라 배우기 (레벨 0) [10] Nar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06 1751 22
489511 가이드 포켓몬 트레이너의 장단점을 알아보자. [6] 소닉어드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05 891 13
489414 가이드 포켓몬 트레이너 기초 가이드 [9] 소닉어드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05 789 14
481665 가이드 소닉 콤보 가이드 (1) [41] Forc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1112 18
481491 가이드 베요네타 자주 묻는 질문들 [18] 멍머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0 585 10
478100 가이드 스위치 본체를 통한 파섹 멀티플레이 [11] 슬러그캣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9 2610 15
476483 가이드 (움짤많음)겜서인으로 랜뽑을 유도하는 방법(필살기 편).guide [11] 아모른직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3 1525 33
474885 가이드 절벽수직낙하 가이드~니캐도할수있다유사렛지트럼프~ [9] 무지개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9 754 16
473384 가이드 리제아스 매치업 노트 -카즈야 편- [8] 비오(211.199) 21.10.17 854 11
472653 가이드 리제아스 매치업 노트 - 테리편 - [6] 비오(61.34) 21.10.14 741 13
471536 가이드 실전에서 쓰는 베요 킬콤보들 [13] 멍머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0 965 13
466634 가이드 대회글(링크 많은 글) 쓰기 팁 [4] 머회용반고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3 296 11
465517 가이드 가이드:게임중에 생각하는 방법 [11] ???(221.151) 21.09.29 1453 24
456635 가이드 컨트롤러 스틱 유지보수 가이드(조이콘 제외) [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05 2011 22
455474 가이드 스테이지 점유율 관리에 대해 빠르게 알아보자 [7] 난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02 733 18
455293 가이드 호무라 잡기술 [6] 난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01 1174 1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