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가이드] 용사에 대해 계속해서 고민해 온 남자에 의한 '용사 대책'의 모든 것

ㅇㅇ(1.247) 2022.11.08 21:04:24
조회 807 추천 12 댓글 8
														

원문: https://note.com/raito1496/n/ndbc898fe6a72


라이토가 노트로 작성한 용사 매치업을 비루한 실력으로나마 번역해봤습니다. 오타 및 피드백 환영합니다.


나는 아마 대난투 경기 씬에서 몇 번이나 용사 유저에게 패배했을 것이다.

사용 중인 파이터인 덕헌트에게 있어 얼핏 보면 최악의 상성이고, 평범하게 싸워도 거의 승리하는 것이 불가능해 토너먼트를 이겨나갈 때마다 앞길을 막아 온 파이터다.


'루라'에 의한 무한의 복귀력과 '모으기'에 의한 최강의 킬 파워를 겸비해, 장풍 캐릭터의 대한 해답으로서 범용성도 높은 캐릭터의 일각이지만 

계속해서 지고 분노를 느낀 나는 연구를 거듭하고, 대책에 어울려 준 친구 덕분에 현재는 비교적 서투르단 의식은 사라졌다.


이번 기사에서는 자신이 경험으로 쌓아온 대 용사에 대한 모든 것을 적도록 하겠다.


지식으로 알아 두고 싶은 요소


대책 이전에 주문 관련으로 알아야 할 요소가 몇 가지 있기 때문에 기억해 두고 싶다.

특히 장풍 캐릭터를 사용하는 유저는 마호칸타나 피오림의 사양을 모르면 쉽게 틀어막히므로 주의하자.


모으기 + 바이킬트로 실드 브레이크가 가능한 기술


1667730136804-XThqTSp4hW.jpg?width=800

모으기(데미지 1.2배 + 실드 데미지 1.65)와 바이킬트(데미지 1.6배) 중 실드를 막으면 꽉 찬 실드 상태에서도 실드 브레이크가 가능한 통상 기술은


-각종 스매시

-대시 공격

-공중 뒤 공격(검 끝 부분 한정)

-공중 아래 공격

-옆 강공격(1/2타 모두 막았을 때)


이 다섯 패턴, 위 강공격이나 공중 앞 공격은 꽉 찬 실드는 깨지 못하고, 데인&라이데인은 가드 데미지에 상당한 마이너스 보정이 걸려 있기 때문에(?) 가드해도 전혀 문제가 없다.


기본적으로 이 상태의 용사에게는 어울리지 않고 철저하게 도망치는 것이 좋다.

바이킬트는 12초 후 효과가 사라지므로 12초 동안 확실히 도망치자, 절벽을 잡고 있을 때의 스매시 아츠 슈르크보다는 난이도가 낮을 것이다.


공중 아래와 스매시 공격은 가드하는 상황이 되고 있는 시점에서 대책으로서 잘못된 것이지만, 대시 공격과 옆 강공격은 대시에서 낼 수 있으므로 가드에 의지해고 싶어지는 장면이 많이 있다.

특히 피오림 상태라면 옆 강공격은 피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옆 강공격은 1타를 막고 회피, 대시 공격은 보고 구르기로 각각 대응이 가능하다.

기본은 가드하지 않도록 점프하는 쪽이 좋지만 가드보다는 회피에 의지하는 것이 좋다.


덧붙여서 플랫폼 위에서 가드를 유지하는 것은 상당한 악수. 바깥쪽에서는 공중 뒤 공격의 끝 부분을 맞출 수 있고, 가드가 조금이라도 닳아 있는 상태라면 위 강공격만으로도 실드 브레이크가 가능하다.


피오림과 마호칸타에 대해
1667730173784-vZ6lyDefK4.jpg?width=800
기본적으로 버프 주문의 추첨률은 어느 버프가 걸려 있어도 일정하지만, 마호칸타를 사용하고 있을 때만 피오림과 바이킬트의 출현율이 1/2이 된다.
장풍 캐릭터가 대 용사 전에서 마호칸타 발동 중 피오림도 바이킬트도 출현 확률이 감소하기 때문에 도망 일변도만 유지할 것이 아니라, 공격의 기회로 최대한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능숙한 용사 유저는 대 장풍 캐릭터 상태로도 마호칸타보다 피오림을 우선적으로 사용해 올 것이다.
피오림 -> 마호칸타의 순서대로 사용하면 출현 확률 감소를 막아 버릴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 마호칸타가 끝난 후에는 다음 마호칸타가 나올 확률이 약 12초간 약 5%까지 떨어진다. 대부분의 경우 마호칸타는 연속해서 나오지 않는다.
장풍을 쏠 기회로도 볼 수 있지만, 여기서 피오림을 사용해 버리면 약 10초 간 도망치면서 결과적으로 다음 마호칸타를 사용할 여유가 생겨 버리고 만다.

마호칸타와 피오림을 계속 돌려 쓰면서 시간이 다 될 때까지 어울리지 않게 되면, 결과적으로 바이킬트 & 모으기의 시도가 늘어나게 되므로 그렇게 되지 않도록 대책할 필요가 있다.

루라의 출현 확률에 대해
1667730198996-mYip0HDW90.jpg?width=800

루라는 절벽 바깥의 블래스트 존 근처에서는 출현율이 약 60%까지 상승한다.
루라의 출현율이 오르는 범위는 이 동영상(링크:
)으로 설명되어 있으므로 그쪽을 참조.

또한 용사는 제약에 의해 같은 주문은 연속으로 커맨드창에 출현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루라를 선택하지 않은 후 커맨드창을 열 때는 확정적으로 루라가 나타나지 않지만, 반대로 주문 창에 루라가 없는 상태에서 캔슬한 후 주문 창을 열지 않으면 날아갔을 때 루라가 출현할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연결된다.

능숙한 용사는 이 커맨드창 관리를 꽤 정확하게 하고 있지만, 모으기 등의 버프 주문이 필요한 스톡 종반부에는 그러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 절벽 바깥의 상황 이외에 창에 루라가 나와 버린 경우, 꽤나 무리해서 다시 커맨드창을 열려 하기 때문에 그 땐 때리러 갈 찬스.

중요도가 높은 대책

어느 정도 지식이 쌓인 시점에서, 대책에서 중요도가 높은 것들을 열거하겠다.


최우선적으로는 '주문(아래 팔살기)'를 사용하는 횟수를 줄인다.

1667730362424-SMLyk2GG6f.jpg?width=800

주문으로 버프가 걸린 상태의 용사는 전 파이터 중에서도 최강 클래스가 된다.

모으기 or 바이킬트 중 하나가 걸려 있으면 항상 실드를 깰 수 있다는 위험이 붙고, 피오림 상태에서는 공격을 맞추는 것이 어려워지고 마호칸타 상태에서 일부 캐릭터들은 손발을 쓸 수 없게 되어버린다.
문제인 것은 효과 지속시간이 끝날 때까지 철저하게 도망을 시도할 경우 버프를 거듭해 더욱 귀찮은 상태로 완성되어 버린다는 것.

마호칸타와 피오림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면 바이킬트를 반복해 버려, 강제적으로 실드를 올릴 수 없는 상태로 만들어 버린다.
바이킬트가 끝날 때까지 도망치다 피오림이 중첩되면 그 이후가 괴로워진다. 용사 상대로 도망치는 것은 결과적으로 전개가 나빠지기 쉽다.

용사는 콤보 화력이 낮은 대신에 모으기/바이킬트의 버프와 주문 포함한 단발 데미지는 높게 설정되어 있다.
반대로 말하면 버프 주문을 쓰지 못하면 화력은 어느 정도에서 그렇게 커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기동력이 낮고 뉴트럴에서 간을 보는 것도 효과가 없기 때문에 실드를 사용하는 상황이 어찌됐던 많아진다.
실드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커맨드 창을 열 수 있기 때문에, 커맨드 창을 열지 못하는 거리 주변에서 어슬렁거리던가 실드를 사용하게 만드는 것이 가장 손쉬운 대책이 된다.

용사의 주변에서 움직일 땐 점프의 거리에서 용사 측이 움직이는 것을 기다리는 것이 좋다. 용사의 공격계 주문은 자라키 이외엔 직선적인 궤도를 갖고 있으므로 자라키가 커맨드창에 나왔을 때를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론 점프로 무력화할 수 있다. 라이데인이라면 그 이후 후딜레이를 잡는 것도 가능하다.

거리를 너무 두면 버프를 둘러 온다던가, 순간적으로 튀어나오는 이오나즌에 말려드는 경우도 있어 역으로 위험하다. 적당한 거리에서 움직이는 것을 기다리는 것이 최선. 또한 실드를 오래 올리는 식으로 올 경우, 후술할 바기에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

지상기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기술은 '잽'과 '바기'
1667729942134-vogAgpYz7v.jpg?width=800
용사의 가장 강한 기술은 스매시도, 이오나즌도 아니다. 잽이다.

대공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리치도 긴 잽은, 달려오는 상대에 대해 깔아두는 기술로서 매우 우수한 역할을 한다.
무엇보다 잽에 맞았을 경우, MP 회복 및 버프 주문을 사용할 기회가 오기 때문에 이 기술에 걸리면 걸릴수록 불리한 전개에 처하기 쉽다.
다른 캐릭터의 잽과는 리턴이 전혀 다르다.

용사 유저들은 커맨드창을 열고 대시해오는 상대에게 커맨드 창을 캔슬하고 잽을 깔아두는 낚시 패턴을 자주 선택한다.
서로가 대치 중인 상황에서 커맨드 창을 열면 모션의 후딜레이를 잡을 수 있지만, 그것을 노리고 있는 상대에게 일부러 커맨드 창을 여는 틈을 보여 주고 잽을 맞추는 것으로 본래 원했던 버프 주문을 사용하는 것이 진짜 목적이다. 

이에 대응하는 측에선 대쉬 후 잽의 타이밍을 기억해 막던가, 잽이 오기 직전의 타이밍에 점프로 피할 필요가 있다.
점프를 할 경우 공중 앞 공격이나 공중 중립 공격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1667729924887-qkyOYDm4mK.jpg?width=800

바기에 대해서도 실드에 대해 애매하게 파고들었을 경우 잽을 맞은 것과 비슷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7프레임(모션 3f + 공격이 발생하는 4f)으로 낼 수 있는 OOS로서 바기는 카운터 펀치로 우수하지만, 이 외의 OOS는 모두 약하게 설정되어 있다. (잡기도 최약 클래스) 거기에 더해 기동력마저 낮기 때문에 바기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많다는 약점도 동시에 안고 있다.

바기는 판정 지속이 길기 때문에, 헛점프 잡기에 대응으로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어, 이를 이용해 헛점프 후 아무것도 하지 않는(가드나 점프) 같은 행동이 통하기도 한다. 

또, 리치가 긴 기술을 끝 부분으로 가드시키는 것도 꽤나 유효하다, 바기의 좌우 리치는 적당한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으므로, 반격 용도로 사용하는 버기가 닿지 않도록 공격을 휘두르는 것은 용사 측에 있어서 큰 스트레스가 된다. 이 두 가지의 선택지는 바기를 봉인할 뿐만 아니라, 저스트 실드 - 아래 스매시라는 리턴이 큰 행위에도 기능한다. 일석이조.


루라 대책은 쓰지 못하게 하는 것이 제일1667730388595-FNh23sHngn.jpg?width=800


루라는 절벽 상황이나 복귀 방해 상황을 무시하는 어처구니 없는 방어 주문이다.

루라를 반복하는 것만으로도 절벽이나 복귀 저지에 의존도가 높은 파이터는 그것만으로 경기 종료라고 봐도 좋다.

또한 루라를 사용하기 전에 버프 주문을 사용한다는 극도로 귀찮은 상황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밖으로 나간다 -> 첫 아래 필살기로 버프 -> 두번째의 아래 필살기로 루라라는 상황이 나오면 최강 상태의 용사가 스테이지 중앙으로 돌아온다. 악마의 아이 탄생의 순간.


방어 부분만이 아닌 격추 부분에서의 서포트도 부여하기 때문에, 루라는 쓰지 못하게 하는 것보다 좋은 방법은 없다.

초반의 출현 확률 항목에서도 언급했지만, 루라는 블래스트 존에 가까운 상태에서 출현 확률이 3배로 크게 오른다.


이미지적으로는 번 커맨드 창을 열면 루라가 나오므로, 블래스트 존 근처로 날리는 것은 적절치 않다

절벽에 용사를 몰아 넣었을 때는 넉백이 높은 기술을 선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킬 수단이 제대로 들어간다면 그것보다 좋은 것은 없지만, 그렇지 않다면 굳이 넉백이 약한 기술을 사용하도록 하자.

잡아 버렸을 땐 잡기 공격 연타로 끝내거나 아래 or 위 던지기를 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커맨드 창을 열 여유가 없고, 버프 주문이나 루라를 사용하지 못하게 만든 상태에서 다시 절벽 상황을 만들 수 있다. 복귀기로서의 바기마는 절벽을 잡을 때 머리가 나오기 때문에 때리기 쉽고, 바기크로스를 사용하게 하면 MP를 대폭 소모시킬 수 있어 전개적으로도 좋다.

메테오가 가능한 캐릭터라면 직접 때리는 것도 좋다.


또 앞서 말했듯이 같은 주문은 연속으로 출현하지 않기 때문에, 이 점을 살려 복귀 방해 상황으로 들어가는 것도 유효.


루라를 선택하지 않았거나, 루라로 돌아온 직후의 용사는 다음 커맨드 창을 열 때 확정적으로 루라가 나오지 않게 된다. 즉, 그 상태로 밖에 내보내지면 2번 커맨드 창을 열지 않으면 루라로 돌아올 수 없기 때문에, 복귀 방해가 강한 파이터에게 있어선 이 때가 찬스.


용사 측에서는 루라가 나오기 쉽도록 커맨드 창을 열어 확률 조정을 도모하겠지만, 커맨드 창을 내는 행위 자체가 파고들 여유를 준다.

루라를 사용한 직후에는 가까이 붙어서 가능한 한 커맨드 창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면서, 커맨드 창을 열면 즉시 공격으로 이을 수 있도록 준비를 해 두면 쫓기 쉬워진다.


루라는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베스트지만, 만약 사용했다면 착지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한 행동.


루라는 리스폰 플랫폼의 위치(스테이지 상에서 8분할되어 있다)의 세로축에 랜덤으로 떨어진다.

떨어지는 순간 레이더에 먼저 표시되기 때문에 대놓고 그 위치에 진을 치면서 판정 지속이 긴 기술을 깔아 두면 좋다.


기술이 맞은 경우에는 '레이더? 물론 확인하고 때린 거죠' 라는 표정을 지으면 그럴듯해져서 추천한다, 본인은 물어보면 이렇게 대답하고 있다, 왜냐면 멋있으니까.


덧붙여서 화면의 줌 상태로 스테이지의 안쪽인지 바로 앞쪽인지 특정 가능하단 소문도 있지만 상세 불명.


참고 트윗: https://twitter.com/6724ryo/status/1420230196402159618?s=20&t=-AHKOOKYzD8pp7gvNjbnGQ


그 외에 기억하고 있으면 좋은 대책 특히 중요도가 높은 것은 위에 열거했으므로, 다른 주의하고 싶은 부분에 대해 간단히 정리 마을과 타운은 무조건 밴(밴 규칙이 있는 토너먼트 룰이나 스마메이트 한정) 바기는 지상에서 맞았을 경우, 퍼센트와 무관계한 고정 넉백을 준다. 이를 악용해 바기 -> 위쪽 플랫폼 착지 -> 위 강공격 or 위 스매시로 빠른 킬을 노리는 콤보가 성립. 그 외에도 단순히 스테이지의 넓이가 넓고, 착지를 잡는 게 어려워지기 때문에 마을과 타운은 무조건 밴하는 것이 좋다. 피오림 중에는 깔아 두는 메라에 주의 피오림 중의 메라에 맞게 되면 공중기 콤보로 이어진다. 퍼센트가 낮은 경우엔 그대로 옆으로 밀어서 죽을 수도 있다. 메라는 근접에서 맞추면 콤보로 연결하기 어렵지만, 원거리에서 지속 판정을 맞췄을 경우엔 공중 공격이 확정이기 때문에 성가시다. 특히 피오림 중에는 이 거리를 조절하기 쉽기 때문에 지상에서 무리해서 공격하다가 맞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 커맨드 창을 열었을 경우 '마신베기' 외엔 모두 가드로 OK 마신베기 외의 공격은 모두 실드로 받아낼 수 있다. 착지 상황 등에서 용사가 커맨드 창을 열었을 때는 먼저 실드를 올려 두고 주문 목록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주문 중 이오나즌이나 화염베기가 없는 것을 확인하면 지체 없이 점프. 실드를 많이 사용하면 주문 취소 -> 잽이나 잡기를 깔아 두므로, 실드 -> 한 템포 늦게 점프하면 즉발로 내는 이오나즌이나 베기류에 대처하면서 낚시 패턴에도 대응이 늦지 않는다. 마신베기는 반응으로 보고 뒤구르기로 피한다. 늦었다면 저스트 실드를 노리자, 이것만큼은 반응으로 어떻게든 할 수밖에 없다. 일단 모으기 + 화염베기로 실드는 깨지지 않지만, 어느 정도 데미지가 있는 실드라면 깨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유의.



추천 비추천

12

고정닉 11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866 AD 세상의 패권을 거머쥘 자, 로드나인 사전등록 중 운영자 24/06/05 - -
515160 공지 대난투 갤러리 통합 가이드 [40] 슬러그캣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6 29129 21
549441 가이드 리틀맥은 정공캐 - 가젤펀치를 알아보자 [6] 난갤러(112.168) 01.13 782 14
545887 가이드 yuzu 에뮬레이터로 모딩 적용하는 방법 [19] Samu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6 1290 15
543118 가이드 켄 타츠마키 히트시 이득프레임 정리해봄 [34] ㅇㅇ(124.56) 23.06.19 832 16
538351 가이드 vs 마인카트 [13] 역도시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5 871 10
536258 가이드 쿠파주니어 : 종종 사용하는 정직하지 못한 꾀 중 하나를 소개합니다 [7] ㅊㅍ 23.01.14 1334 19
536171 가이드 조커의 약한 기술 총(B)에 대해 알아보자.webp [12] CP9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3 1548 29
535312 가이드 vs카즈야 매치업 [1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1550 17
535051 가이드 스압)마을주민의 필살기들에 대한 고찰 [4] 바우투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2 601 11
533636 가이드 장문) 난투를 잘하기 위해 필요한 것 [6] 비-오(211.199) 22.11.28 1321 16
가이드 용사에 대해 계속해서 고민해 온 남자에 의한 '용사 대책'의 모든 것 [8] ㅇㅇ(1.247) 22.11.08 807 12
530195 가이드 로젤리나 가이드) 익혀두면 좋은 킬셋업 [16] 화이트네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3 726 15
529556 가이드 (번역)미래 대난투 판을 책임질 켄 유저들에게 [켄 해설 상급편] [4] Hanjun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5 516 10
526681 가이드 vs테리 매치업 [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27 914 14
521738 가이드 뉴비의 게임 이해를 위한 글 [8] ㅇㅇ(223.38) 22.07.14 763 12
519621 가이드 vs마리오 매치업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5 494 10
517122 가이드 캐릭터 공용 테크닉 [4] 슬러그캣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3 4107 20
515188 가이드 MOD 관련 정보 모음 [4] 슬러그캣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6 2753 12
515178 가이드 대난투 파이터별 가이드 모음 [11] 슬러그캣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6 19435 24
515159 가이드 가이드 인계 공지 [15] 슬러그캣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6 552 17
514805 가이드 모딩했는데 왜 온라인 밴 안당해요 ? 에 관한 답변 [17] Samu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3 1193 12
514168 가이드 슬링샷의 응용과 써야하는 이유 Roze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7 918 12
514129 가이드 슬링샷 종류와 하는법 [12] Roze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7 1950 28
514011 가이드 난갤팩 버전 1.0 배포(스위치용,Ryujinx용) [25] Samu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6 1611 19
512663 가이드 착지 패턴 속이기 [6] 역도시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6 766 14
507984 가이드 개굴닌자 고찰 ① - 실드 대책 [번역] [4] 직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1 534 11
507778 가이드 재밌는 틀맥 가이드 - 플레이 가이드 [2] ㅇㅇ(121.140) 22.03.08 526 19
507084 가이드 재밌는 틀맥 가이드 - 기본 정보 [7] ㅇㅇ(218.155) 22.03.04 1115 20
503220 가이드 카즈야 마신권을 발동할수 있는 무브들 [7] MandaWigu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1105 16
495539 가이드 얼타에 대해서.araboza [1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2 310 10
495371 가이드 뉴비용 게임 가이드 - 실드편 [14] 멍머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1 1000 16
492732 가이드 로젤리나 가이드) 디싱크 쉽게 쓰는 법 [11] 랄라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8 810 22
491352 가이드 슈르크 DS 파생 잡기술 가이드(2) [4] K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3 303 12
491350 가이드 슈르크 DS파생 잡기술 가이드(1) [4] K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3 415 13
489622 가이드 번역) 아무런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히카리/호무라 배우기 (레벨 0) [10] Nar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06 1751 22
489511 가이드 포켓몬 트레이너의 장단점을 알아보자. [6] 소닉어드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05 891 13
489414 가이드 포켓몬 트레이너 기초 가이드 [9] 소닉어드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05 789 14
481665 가이드 소닉 콤보 가이드 (1) [41] Forc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1111 18
481491 가이드 베요네타 자주 묻는 질문들 [18] 멍머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0 585 10
478100 가이드 스위치 본체를 통한 파섹 멀티플레이 [11] 슬러그캣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9 2610 15
476483 가이드 (움짤많음)겜서인으로 랜뽑을 유도하는 방법(필살기 편).guide [11] 아모른직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3 1525 33
474885 가이드 절벽수직낙하 가이드~니캐도할수있다유사렛지트럼프~ [9] 무지개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9 754 16
473384 가이드 리제아스 매치업 노트 -카즈야 편- [8] 비오(211.199) 21.10.17 854 11
472653 가이드 리제아스 매치업 노트 - 테리편 - [6] 비오(61.34) 21.10.14 741 13
471536 가이드 실전에서 쓰는 베요 킬콤보들 [13] 멍머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0 965 13
466634 가이드 대회글(링크 많은 글) 쓰기 팁 [4] 머회용반고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3 296 11
465517 가이드 가이드:게임중에 생각하는 방법 [11] ???(221.151) 21.09.29 1453 24
456635 가이드 컨트롤러 스틱 유지보수 가이드(조이콘 제외) [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05 2011 22
455474 가이드 스테이지 점유율 관리에 대해 빠르게 알아보자 [7] 난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02 733 18
455293 가이드 호무라 잡기술 [6] 난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01 1174 1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