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공략 💡] 발헤임의 각 지역탐방] 검은 숲에 대해 알아보자 -1-

ㅇㅇ(118.129) 2024.04.09 13:35:29
조회 1022 추천 8 댓글 6
														

진행 순서


목초지>>검은숲>>늪>>대양>>설산>>평원>>안개지대>>잿가루지대



viewimage.php?id=3bbcdc2ee0db35&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152a76185034c434c4ec6c8901b7ff5c1b0b90f388e1c2d4d0ea3e92e174df07fa04c4118


검은 숲(Black Forest)은 뉴비가 발린이에서 벗어나는 첫발을 띄는 장소이자, 후반부에 가서 목초지이상 흔해서, "안전"하게 느껴질 바이옴이라 할 수 있다.
시작 제단이 있는 장소에서 조금 멀어지면 점차 검은 숲 영역을 자주 마주칠 수 있게 된다.


크리스마스 트리를 닮은 전나무(Fir)과 키가 큰 소나무(Pine)이 대규모로 자생하고 있는데, 이 키가 큰 나무들이 빼곡한 덕분에 검은 숲 내부는 더욱 어둡게 느껴진다.




viewimage.php?id=3bbcdc2ee0db35&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152a76185034c434c4ec6c8901b7ff5c1b0b90f388e1c2d405ea3be281c12a07fa04c4118


검은 숲의 전나무 군생지 사진, 전나무는 너도밤나무처럼 일반 목재만을 드롭한다.


목초지에도 심을 수 있는데, 크리스마스 트리 대용이라는 점을 빼면 너도밤나무와 동일한 목재 산출량을 지녔고,


씨앗 드롭률은 너도밤나무의 절반이라 목재 수급용으로는 다소 부적절하다.




viewimage.php?id=3bbcdc2ee0db35&no=24b0d769e1d32ca73de982fa11d02831c01d6e5fbed2bd28d2c5c152a76185034c434c4ec6c8901b7ff5c1b0b90f388e1c2d1b07afeb7d4b49f67fa04c4118


검은 숲의 소나무로, 소나무는 전나무와 달리 줄기 부분이 길고 나무 껍질도 짙고 두드러진다.

소나무는 두꺼운 통나무(Core wood)를 얻을 수 있는 유일한 나무로, 유용한 건축자재이며 다양한 도구의 재료다.

첨언하자면, 이 원형 목재는 드롭된 폴리곤 크기가 크지만, 의외로 일반 목재와 무게가 동일하니, 무게가 더 나가는게 아니라 다행이다.


일반 목재와 통나무 둘다 화로에서 목탄(석탄)으로 만드는게 가능하니 목탄으로 바꿀 것이 아니라면 인벤토리에 소나무가 있나 주의하자.

너도밤나무의 씨앗 드롭률에 비하면 매우 드물게 씨앗이 나오다보니 심어서 증식시키는 것은 어려운 편.

너도밤나무가 씨앗 드롭률이 넘사벽으로 좋은 것이고, 검은 숲은 벌채 후 복원이 어렵다는 점을 기억하자.



다행인 점은 검은 숲은 매우 흔한 바이옴이라는 점일 것이다.





검은 숲도 호수나 냇물과 강, 해안과 접안한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물가 지형에는 주석 광맥을 발견하기 쉽다.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바위덩어리 크기인데 금속성 빛을 띄고 있다.


곡괭이로 채굴하면 주석 원석이 3~4개 드롭되는데 제련하면 주석 주괴를 얻을 수 있다.


주석 자체로 만들 수 있는건 가마솥과 도살용 칼, 청동이 전부지만 솥 만드는데 10개나 들어가고 가마솥으로 만들 수 있는 것들이 매우 많기 때문에 재법 수요가 있다.

다행히 검은 숲의 해안가를 배타고 돌면서 수집하기 편한 편이다.


구리 광석은 대형 암석과 마찬가지로 덩어리가 매우 커서, 그걸 전부 채굴한다고 치면 꽤 많은양의 구리를 얻을 수 있다.

구리 자체는 철에 비하면 수요가 넘치지는 않지만, 청동이 못이나 기타 재료로 가끔 보이거나 건축할 때 쓰임세가 있어서 무시할 수는 없다.

대게는 구리 광맥 3개 정도 파내고 나면 차고 남고 넘쳐서 그 이상 채굴할 의욕이 나지 않을 것이고,

검은 숲 바이옴마다 1~2개 이상씩은 있어서 월드 전체적으로 매우 풍족한 자원이다.

구리는 대장간을 만들거나 촛대를 만드는 등 다양하게 쓰이다보니 그 자체 수요도 어느정도 있으며, 구리 단검도 만들 수 있다.


구리단검은 금속으로 만드는 최초의 무기일텐데, 성능 자체는 기대할 만큼은 아니지만 부싯돌 단검보단 강하고, 다음 단계 단검이 키틴질로 만드는 심연단검이라

단검쪽 무기를 좋아한다면 검은 숲 단계에선 종결 단검이라 할 수 있다. 특이사항이라면 업그레이드에 회색난쟁이눈깔이 필요하다는 점일 것이다.



구리랑 주석을 얻었다면, 대장간에서 이 3개의 주괴로 (1주석 2구리) 청동 주괴를 만들 수 있다.

청동기에 진입하고 통나무를 가지고 있다면 갑자기 만들 수 있는게 매우 많아질텐데, 가장 추천하는건 청동 도끼다.

토목공사, 구리나 주석, 철 채굴까지는 에이크시르 뿔 곡괭이가 더 좋을 수 있는데, 여러개 가지고 다니면서 작업대로 편하게 수리할 수 있어서다.

청동 곡괭이는 수리하려면 작업대 설치하고 대장간도 설치해야 하는데, 구리랑 석탄이랑 돌 같은 3개의 재료를 더 들고 다녀야 해서 편의성이 떨어진다.



청동기에 진입했으면, 해야 할 것이 매우 많아진다. 많은 뉴비들이 이 단계에서 나가떨어지는데,
광석 채굴 노가다도 노가다지만 거점 확보나 농사나 해양 탐사까지 길이 열리고 포탈이나 제련등 인프라 구축이 뼈빠지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 검은 숲 단계에서 얼마나 빡시게 인프라와 파밍 기반을 마련했느냐가, 다음 지역 진출의 난이도를 크게 좌우하기 때문에 몇번을 강조해도 부족하다.





그럼 이제 검은 숲에서 날것으로 얻을 수 있는 먹거리들을 알아보자.



1. 붉은 버섯: 목초지 숲에서 흔하지만 풍족하지는 않았던 그 버섯이다. 검은 숲은 좀더 발견하기 편하고 한번에 많이 발견되는 편이다. 자세한 사항은 목초지 편 참고.


2. 노랑 버섯: 묶음당 50개, 무게는 개당 0.1, 식사시 10분간 체력10, 스테미너 30. 틱당 hp 1회복 추가

>노랑 빛 야광색을 내는 버섯으로 검은 숲 자체 자생은 아니고 검은 숲에 있는 트롤 동굴이나 묘소 내부에서 발견 가능하다. 채집하면 240분마다 다시자란다.
동굴이나 무덤을 탈탈 털어도 다시 방문하여 수집할 수 있으니 버섯이 많은 던전은 기록해 두고 종종 찾아가면 좋다. 꿀과 함께 스테미너에 좋은 식량이다.
또한 이 버섯은 스테미너 벌꿀주 재료로 꿀 처럼 10개씩 요구되니 개꿀 파밍지는 여럿 개척해 놓을 수록 좋다.


3. 블루베리: 묶음당 50개, 무게는 개당 0.1, 식사시 10분간 체력8, 스테미너 25. 틱당 hp 1회복 추가

>목초지에 라즈베리가 있다면 검은 숲에는 블루베리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라즈베리에 비해 체력1, 스테 5 만큼 더 올려주는 식량이다.

철문이 노리고 만든건진 모르겠지만, 노랑버섯, 라즈베리, 블루베리 3종을 배를 채우면 10분간 체력 25 스테 75를 올려준다.(기본 피통이 25니, 최대피 50짜리...)

지속시간이 절반 남았을 때 스텟 증가량도 감소하기 시작하니 10분짜리 음식은 별로 추천하기 어렵다.

검은 숲의 식재료는 다른 요리나 벌꿀주 재료, 건설 등에 폭넓게 사용되니 날것으로 소비하는것은 다소 낭비라 할 수 있다.


검은 숲에서 얻을 수 있는 고기는 사슴고기가 대표적이다. 사슴고기에 대한 것은 목초지 편을 참고하자.


검은 숲에서 얻은 광석들로 청동을 얻으면 농기구를 만들 수 있는데, 마침 검은 숲에는 당근 씨앗을 지닌 흰 꽃들을 발견할 수 있다.
당근 씨앗을 경작한 농지에 심으면 씨앗 1개당 1개의 당근을 얻을 수 있고, 당근을 심어 꽃을 만들면 꽃 당 3개의 씨앗을 얻을 수 있어서 반복해 심어서 수를 불릴 수 있다. 당근 자체를 다 소모해도, 검은 숲에서 씨앗을 4시간 마다 얻을 수 있으니 꽃이 많은 장소는 마킹을 해두면 좋다.


당근: 묶음당 50개, 무게는 개당 0.3, 식사시 15분간 체력10, 스테미너 32. 틱당 hp 1회복 추가
>아직 발헤임에 말도 없는데, 말밥으로 알려진 당근이 있는게 좀 그렇긴 하지만, 농지 규모가 늘면, 당근을 무한으로 즐길 수 있음. 씨앗을 심으면 대충1시간~1시간 반 걸려서 당근이 됨. 당근은 그나마 촘촘히 심어도 무난히 성장하지만, 너무 빼곡하면 씨앗이 크지 못하고 말라죽을 수 있음. 심는 간격 노하우는 직접 익히는게 좋지만, 대략적으로 가장 작은 반칸 마루바닥 정도의 공간이 필요한 것으로 보임.



목초지 단계에서 멧돼지를 길들여 놓았다면, 당근을 먹여서 더 많은 멧돼지를 부담없이 키울 수 있을꺼임. 물론 멧돼지 수십마리 키우는 농장주가 아니라면 대충 버섯이나 라즈베리 던져줘도 되기는 함...
문제는 에이크쉬르가 죽은 뒤부터는 검은숲의 회색난장이들이 치사하게 투사랑 주술사까지 조합 짜서 방해하러 쳐들어 온다는 점일꺼임.

습격 대비가 안되어 있다면 작물이랑 돼지농가에 꽤 큰 피해를 줄 수 있음. 경작물은 약간의 데미지만 입어도 회수되는 것 없이 소멸해 버리니 수확을 앞두고 있다면 대단이 슬픈일이 벌어짐. 트롤 쿵쿵따에 당근 밭이 있었는데요 없었습니다 되기 때문...




그래서 습격을 대비해서 토대를 높혀서 마추픽추 해버리는 유저들도 있음. 몹들시치 올라와보시지.


0a9cd620b3866df15696f99e01c3031f3c8769b6b409072a5e0eccb1ddd7106df77bbb2f8bf9754021a76ec7a858a425f3e4e2e4a65b72be183b44428929a14d37f0642b8b0e77f9148d60358563226fadbf38c7cf4e9ba55c0315bc553e09a3dd1800064865aca3b79e02a35717d1744c1e1f6e4624ae7c75f2209937d44f6f67ffb8178c5fc0fa4b63799fcf98dbf6e4b5a61e3ba6a019fb9f3aab9cbb4a8b4243e1c48bc8cb


0882fb2ec7f02b9c76ebf1a21ed7130f56c129208a17a3e58ba33185bd60ab4cc38c931fc42b07e7406d77fed39a95ba58493eab078344c53227ec39b90369b2212c7d477c077a7b2a6760b1c3787c6affd5307843c36a9f6928bb747575da006493e2072e3de53b2d705ddb3ff42235e80652caab0b3855d6ae7a99b50d2d91a4ffd8c18148bd4b8d5b668bc0c3690ac7fea941878121bbc575a936a46a6af2139241924bfd

참고 예시.


사실 이런 걸로는 부족한게, 트롤 놈들은 키도 크고 사거리 긴 통나무로 공격하거나 돌댕이를 던져대서 저걸론 해결이 안될 것이다.


해자도 파고 벽도 치고, 멧돼지나 작물이 적 시야에 안들어가게 방벽도 세워야 한다.



밭이 너무 넓으면 방벽 안쪽에 몹이 스폰되는 일도 생길 수 있어서 그점도 주의해야 하고. 빡시게 토대 높혀서 천연 방벽으로 삼으면 나중에 확장할 때도 힘들어 진다.



하지만 이렇게 힘들게 개척해 놓으면, 늪지의 순무랑 설산구역의 양파 재배까지 편하게 갈 수 있긴 하니 고려해 보자



사실 싱글플레이어면 대충 작업대 범위 규모의 절반 크기 밭만 있어도 적당히 당근을 뽑을 수 있어서 저 위의 삽질이 다 의미가 없을지도...



목초지 편에서도 강조했지만, 결국 상위 지역 가면 하위지역 음식들은 스팩 딸려서 예능/장식용에 불과하다.



너무 여기서 힘 빼놓으면 평원 가서 또 농경지 만들고, 안개지대 가서 그짓을 또해야 해서 돌아버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적정 수준에서 해보고 싶은건 다 해보고 싶다면 말리진 않겠지만,


그럴 시간과 여유가 없다면 작은 텃밭을 여러 전초기지 한켠에 분산배치해 놓는 것도 좋을 수 있는데, 장단점이 있으니 적당히 마음 내키는대로 하자.




당근은 많아야 3개, 적당히 1개 당 1요리라서 대충 10~15개 심어놓고 바로바로 뽑아먹는거라면 별 부담도 안될꺼다.






이제 검은 숲 단계의 요리들에 대해 알아보자.


1. 여왕의 잼: 묶음당 10개, 무게는 개당 1.0, 식사시 20분간 체력14, 스테미너 40. 틱당 hp 2회복 추가
> 8 라즈베리 6 블루베리가 들어가는 호화로운 요리, 한번 생산할 때 4개씩 만들어진다.
그러니 대충 2라즈베리 1.5 블루베리당 1 여왕의 잼이 만들어진다 보면 된다. 4라즈베리 3블루베리 하고 2개씩 만들게 해도 좋았을텐데. 아무튼 만드는데 베리를 많이 소비한다. 당근농사 전 최초로 솥을 올릴 무렵에는 이미 베리는 다 가지고 있어서 조리법이 해금되어 있을텐데, 라즈베리, 블루베리를 따로 먹으면 10분간 합계 체력 15 상승에 스테 45 상승이라서 뭔가 가성비가 안나오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농담이고 허기 슬롯 1개를 소비해서 스테를 많이 받는 점은 좋다.,

베리가 풍족한 맵에서 부지런한 수렵민이라면 한상자씩 쌓아두었을테니 잼을 20개 정도 만드는 것은 어려운 일은 아닐것이다.
근데 이 두종류의 베리는 앞으로 쓸 곳이 많고, 벌꿀주도 만들고 요리도 만들어야 하니 여왕의 잼을 만드는데 낭비하지는 말자. 스테음식이라 노란색 포크로 분류된다.

2. 돼지고기 육포(Boar Jerky): 묶음당 20개, 무게는 개당 0.5, 식사시 30분간 체력23, 스테미너 23. 틱당 hp 2회복 추가
> 굽지 않은 날고기로 멧돼지 고기 1개, 벌꿀 1개로 만들어서 2개의 절임을 얻을 수 있는 혜자식량. 꿀을 절여서 말린것인지 술안주로 적절해 보인다. 30분이나 든든하게 지속시간이 가기 때문에 돼지농장이랑 양봉농업이 잘 발달되 있다면 주식으로 소비해도 좋다고 생각한다. 다른 음식과 달리 20개 스택이라 인벤 1칸당 효율도 좋다.
농사, 항해나 건축같이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일을 할 때 굶지 말고 이거라도 먹어주자. 체력과 스테미너를 균등히 올려줘서 은색 포크로 분류된다.


3. 구운 물고기(Cooked fish): 묶음당 20개, 무게는 개당 0.5, 식사시 20분간 체력45, 스테미너 15. 틱당 hp 2회복 추가

> 구운 물고기는 모닥불에 조리대로 구워먹는 요리로, 자체는 솥 요리는 아니긴 한데, 낚아올린 생선을 솥에서 날생선으로 한번 가공을 해줘야 해서 솥이 필요한 요리라 할 수 있다. 할도르에게서 낚시대를 구매하지 않았더라도, 지붕을 역방향으로 올려서 통발을 세워 물이 빠지는 타이밍 때 물 밖 판정에 걸린 물고기를 손으로 잡아올릴 수 있긴 하다. 아무튼 잡은 물고기는 장식인 동시에 아직 '살아' 있어서 언제라도 물에 놓아줄 수 있다. 장식대나 상자안에 보관하다 호수를 만들어서 풀어주고 감상하거나 낚시 숙련에 재활용 할 수 있으니 참고.

아무튼 물고기를 먹으려면 솥에서 일괄적인 식재료인 "날생선" 상태로 토막낸 뒤 조리대로 또 구워야 한다. 다소 복잡하긴 하지만, 앞으로 이런 식으로 중간 가공이 있는 경우가 종종 생기니 너무 이상하게 생각하진 말자.

구운 물고기는 성능적으로 사슴 스튜와 동일한데, 지속시간이 5분 더 짧다. 대체로 낚시를 안정적으로 하게 되기 까지 오래 걸리는 편이라서 일반적인 소비 식량이 되기 까지는 오래 걸릴 수 있으니 참고만 하자. 그래도 물고기랑 사슴스튜를 먹으면 체력 90에 스테 30이 올라가서 검은 숲 단계 치고 꽤 강해질 수 있다. 구운 물고기는 체력이 많이 올라가는 붉은색 포크로 분류된다.

4. 당근 스튜(Carrot soup): 묶음당 10개, 무게는 개당 1.0, 식사시 25분간 체력15, 스테미너 45. 틱당 hp 2회복 추가
> 당근스프는 1개당 당근3개에 붉은버섯1개가 들어가는 솥요리로 스테 32짜리 당근을 3개나 쓰는거 치고는 다소 가성비가 덜 나오는 느낌이긴 하다.
당근농사를 대량으로 만들고 있다면 당근이 남아돌테니 이렇게 죽 끓여 실컷 퍼먹어도 좋을 수 있기는 하다. 여왕의 잼 보다 꽤 좋은 성능이라 좋은 대체제고 스테도 든든히 올려주는 요리다. 검은 숲 단계에서 스테를 가장 많이 올려주는 요리이기도 해서 당근농장을 만들 좋은 동기부여가 되어 준다. 작정하고 만든다 하면 오히려 재배가 아닌 체집에 의존해야 하는 버섯이 부족할 수 있다. 스테음식이라 노란색 포크로 분류된다.

5. 고기 다짐 소스(Minced Meat Sauce): 묶음당 10개, 무게는 개당 1.0, 식사시 25분간 체력40, 스테미너 13. 틱당 hp 3회복 추가

> 이게 무슨 요리냐 싶겠는데, 우리는 스파게티에 얹은 것만 봐서 그렇다. 나중에 다른 요리의 재료로 요구될지 모르는데 아직은 그런게 없다. 아무튼 당근1개, 날것 돼지고기 1개, 날것 넥 꼬리 1개가 들어가는 요리다.

다른데에 넥 꼬리가 달리 쓰일 데가 많아서, 이 요리에 낭비하지는 않는게 좋지만 3종 체력템 요리를 다 먹어보겠다면 하나정돈 만들어 보자. 체력이 많이 올라가는 붉은색 포크로 분류된다.


6. 사슴 스튜(Deer stew): 묶음당 10개, 무게는 개당 1.0, 식사시 25분간 체력45, 스테미너 15. 틱당 hp 3회복 추가
> 블루베리1개, 당근 1개, 구운 사슴고기1개가 들어가는 검은 숲의 진수성찬이다. 체력이 많이 올라가는 붉은색 포크로 분류된다.
사실 검은 숲의 삽질 대부분은 이 요리를 얻기 위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고, 늪지 식량들에 비해 한끕 부족하긴 하지만, 엘더와 늪지에 도전할 때 반드식 먹어야 할 음식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동안 검은 숲을 정복하고 다니면서 사슴과 블루베리를 얼마나 쓸어담았는지, 토착민(?)들의 인성질을 쳐부수고 당근 농지를 잘 굴렸는지 보여주는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사실 이쯤 되서 구운 사슴고기가 남아돌고, 당근이랑 블루베리가 한상자씩 있지 않는다면 늪지 도전은 잠시 미루는게 좋을 수도 있다.


1번 슬롯 당근스프, 2번 슬롯 사슴스프, 3번 슬롯 멧돼지 절임 또는 고기다짐소스
이런 조합식 요리들을 챙겨먹는것이 검은 숲 산지직송 미식탐방의 종결이라 볼 수 있겠다.

이렇게 먹으면 총 기대값이 체력 83. 스테 83 상승(멧돼지 절임), 체력 100, 스테 73 상승(고기다짐소스)이라서 최대 피통 100 이상을 찍고 돌아다닐 수 있다. (기본체력이 25니까)
확실히 목초지에서 얻는 구운 고기류만 먹을 시절(체력 65)에 비해 한단계 성장한 상태다.

마찬가지로 늪지에서 얻는 요리는 한단계 더 성능이 좋은 별미들이 많이 기다리고 있으니 기대해도 좋다.





이번에는 벌꿀주를 알아보자.

"바이킹에게 술이 빠진다는건 해적이 낭만이 없다는 것과 같다."


질좋은 목재 30개, 청동 주괴 5개, 수지 10개로 만드는 양조기. 술통은 게임 끝날 때 까지 중요한 역할을 하니 검은 숲 단계에서 반드시 갖춰야 할 인프라이다.

대장간이나 작업대처럼 지붕과 벽이 필요하다.

벌꿀술을 만들기 위해서는 발효되기 전의 재료를 만들어야 하는데, 그래서 솥요리에 술이 되기 전의 재료를 만들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래서 둘 다 소개할테니 참고.



1. 맛있는 벌꿀술 밑재료
> 벌꿀 10개, 라즈베리 10개, 블루베리 5개가 들어간다. 무게는 1.0에 겹치지 않는 1슬롯 1스택짜리 솥요리다.

요구 수량이 많기는 한데 재료 자체는 검은 숲 단계에서 얻기 쉬운편이다. 이 재료를 술통으로 발효시키면 맛벌꿀주를 얻을 수 있다.



2. 맛 벌꿀주(Tasty mead) : 묶음당 10개, 무게는 개당 1.0, 식사시 10초간 스테미너 재생능력 2배(+100%), 체력 재생능력 -50%, 쿨타임 10초.
> 발효가 끝나면 6개씩 나오는 대표적인 벌꿀주로. 이름부터 맛있는 벌꿀주고 10초마다 쳐마실 수 있어서 많이 먹자면 얼마든지 빠르게 소비될 수 있다.
달콤한거 3개나 들어갔으니 맛이 없을리는 없고, 체력 재생능력은 페널티긴 한데 어차피 검은 숲 기준으로 요리 먹고 틱당 5~8 올라가는게 절반이 되는거라 근접전 상황이 아니면 걱정할건 없다. 스테 부족에 허덕이는 상황에서는 의외로 꽤 도움이 된다. 오히려 재료 수급이랑 술 만드는게 오래걸리는 점 때문에 여기 의지하지 않는게 좋을 뿐. 근데 이거 빠느니 차라리 스테미너 벌꿀주를 마시는 분들이 많다. 둘 다 마시면 되는 것인데...


3. 하급 회복의 벌꿀술 밑재료
> 벌꿀 10개, 라즈베리 10개, 블루베리 5개, 민들레 1개가 들어간다. 1.0에 겹치지 않는 1슬롯 1스택짜리 솥요리다.
그렇다, 위에서 맛있는 벌꿀술 만드느라 이거 만드는 재료가 부족해질 수 있다는게 문제라면 문제다. 민들레는 목초지에서도 흔히 눈에 띄는 노란색 꽃이고, 회색난장이투사를 쓰러뜨려도 그놈 머리에 펴 있는 민들레를 확정적으로 얻을 수 있어서 필요할 때 없다는 점을 빼면 만들기 참 쉬운 솥요리라 할 수 있다.
왜 블루베리와 라즈베리는 재배하지 못하는 것인가. 수집하러 다니기 벌써부터 지친다.


4. 하급 회복의 벌꿀주(Minor healing mead) : 묶음당 10개, 무게는 개당 1.0, 식사시 약 10초간 체력 50 만큼을 일정시간동안 회복한다.(틱당 회복량 증가 버프), 쿨타임이 2분이라 2분간 재사용 금지 디버프가 붙는다.
> 발효가 끝나면 6개씩 나오는 작은 회색병에 담겨나오는 벌꿀주로. 한번 사용하면 2분이라는 의외로 긴 시간 동안 다시 마실 수 없기 때문에, 포션마냥 마시고 또마시고 하는 식으로 버티는 용도라기 보다는 추락뎀 씨게 받고 간신히 살았을 때, 피를 빨리 체우는 데에나 도움이 되지, 막상 난전 상황에선 이거 마시는 것도 잊어버리기 쉽다.
그나마 나중에 중급 회복의 벌꿀주, 상급 회복의 벌꿀주를 얻으면, 각각 벌꿀주 쿨탐이 따로도는걸 감안해 전투중 생존에 기여할 수 있기는 하다.
즉, 나중에 간다고 버려지는 그런건 아니라는 것.


5. 하급 스테미너 벌꿀술의 밑재료

> 벌꿀 10개, 라즈베리 10개, 노란버섯 10개가 들어간다. 1.0에 겹치지 않는 1슬롯 1스택짜리 솥요리다.

라즈베리 한상자 가득 있다고 방심할 수 없게 여기도 라즈베리 10개씩 요구한다. 여왕의 잼 많이 만든 동료가 있다면 등짝을 때려줘야 하는 이유다.

검은 숲의 무덤들을 도굴하고 또 가서 노란버섯을 쓸어담고, 트롤 동굴도 주기적으로 방문하면 노란버섯이 부족할 일은 적을테지만, 부족하면 바다 건너 검은 숲도 털자.

목초지에 라즈베리가 흔해 보여도, 사실 부족해서 라즈베리 덤불 부수고 다니는 테러는 하지 말아야 한다.


6. 하급 스테미너의 벌꿀주(Minor stamina mead) : 묶음당 10개, 무게는 개당 1.0, 식사시 약 2초간 스테미너 80 만큼을 일정시간동안 회복한다.(틱당 회복량 증가 버프), 쿨타임이 2분이라 2분간 재사용 금지 디버프가 붙는다.
> 발효가 끝나면 6개씩 나오는 작은 노란색 벌꿀주로. 마시면 2초라는 짧은 시간동안 스테 80이 순시깐에 차오른다. 스테가 없는 긴급 상황에 회복 벌꿀주보다 사람 몫숨을 더 잘 구해주는 개쩌는 벌꿀주니 많이 만들자. 보스랑 근접전 다이다이중에 스테 오링으로 주먹 하나 휘두르기 힘든 절체절명의 상황이나, 다구리 까는 몹들로 부터 전력 질주로 도망쳐야 할 때, 에이크쉬르의 버프와 이거 하나 마시면 살아 도망칠 가능성이 1이라도 올라간다. 스테가 오링일 때 맞으면 스테가 없는 만큼 스테거(경직) 걸리고 방어% 떨어져서 다음에 맞는 공격은 매우 씨게 들어와 훅갈 수 있다. 회복 벌꿀주와 함께 탐사나 전투때 반드시 지니고 다녀라.


7. 독저항 벌꿀술의 밑재료
> 벌꿀 10개, 엉겅퀴 5개, 넥꼬리 1개, 석탄 10개가 요구된다. 1.0에 겹치지 않는 1슬롯 1스택짜리 솥요리다.
검은 숲에 야광으로 빛나는 구슬이 맺혀있는 작은 가지들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엉겅퀴다. 현실 엉겅퀴는 보라색 꽃이 나는 국화과 풀인데... 아무튼 판타지니 그러려니 하자. 엉겅퀴는 나중에도 식재료나 이것저것 쓰임세가 많으니 보이는대로 채집할 뿐 아니라 수가 많이 자생하는 장소는 맵에 마킹해 놓고 리잰 타임때마다 가서 수집해오자. 석탄은 해독용 같은데 아무튼 목탄을 많이 만들면 10개 정도는 어렵지 않을 것이다. 넥꼬리는 전부 굽거나 요리해 먹지 말라고 한게 이래서다. 날것 1개가 필요하니 목초지 가서 넥조지기가 좀 짜치더라도 자업자득이다. 미리 미리 모아놓자.


8. 독저항 벌꿀주(Poison resistance mead) : 묶음당 10개, 무게는 개당 1.0, 식사시 약 10분간 독저항 강 버프가 붙는다. 버프자체가 쿨타임이라 꺼지기 전에 다시 마실 수 없다.
> 발효가 끝나면 6개씩 나오는 작은 초록색 벌꿀주. 드디어 뭔가 마법같은 벌꿀주다. 검은 숲 까지는 독뎀을 맞는게 벌집을 건들거나 회색 난장이 주술사가 쏘는 독숨결 정도인데 데미지가 별볼일 없어서 굳이 이걸 만들 필요성은 느끼지 못할 것이다.
독저항 강 저항력은 독뎀의 지속시간을 절반으로 깍고, 받는 데미지도 절반으로 깍아서, 독속성 100댐을 맞는다 치면 지속시간동안 4분의 1인 25뎀을 틱당 나눠받게 되서 "견딜만" 한 데미지 수준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 버프가 없다면체력 회복량 틱당 10 수준에서 100댐을 몇번 나눈다 쳐도 고스란히 보유 체력에서 틱당 20~30씩 잃게 되서 죽을 수 있다. 

검은 숲 요리 수준을 보면 알겠지만, 블롭 독방구 한번만 맞아도 피통 80~90 수준의 목초지 뉴비는 사경을 해매거나 요단강 건너기 딱 좋다는 걸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늪지 어보미 잡고 만드는 나무뿌리 마스크(뚝)에도 독저항 효과가 있는데, 벌꿀주 효과와 동일해서 중첩되지 않는다. 이 장비템을 쓸 것이라면 독저항 벌꿀주를 안가지고 다녀도 된다. 사실 늪지는 독뎀 말고도 위험한 것 투성이긴 한데, 관련해선 다음편에 다루도록 하겠다.


검은숲의 요리와 벌꿀술에 집중해서 설명하지 않은 부분이 많다.

그래서 다음 편에서 이어서 설명하겠다.

-4/11 추가 정정 사항-

독의 부가 효과는 틱당 회복하는 메커니즘과 동일하게 데미지를 입힌다.
즉 저항력이 없는 상태에서  90짜리 독 효과를 당했다면, 회복 벌꿀주와 동일한 방식으로 체력이 총합 90 깍인다.
독 효과로 체력이 빠지는 중에는 다른 독 효과가 부가되지 않지만, 효과가 끝나는 상황에서 독장판(블롭,오즈,본메스) 범위내에 있다면 다시 중독된다.
이전에 독 효과가 누적된다고 잘못된 정보를 제공했는데, 벌꿀주를 지속시간동안 다시 마실 수 없는 것 처럼, 중독 효과에 걸려 있을땐 추가로 독효과는 받지 않는다.


다음 정보를 참고하자.

1. 독 피해는 즉각적인 피해를 입히는 대신 독 디버프를 적용함. 디버프 지속 시간은 피해량에 따라 달라지며 1초마다 틱 표시됨

2. 참고: 반올림 오류로 인해 포이즌 효과가 한 번 더 틱뎀을 부가할 수 있음.

3. 독 피해는 누적되지 않으나, 기존 디버프는 남은 데미지가 새로운 데미지보다 적을 경우 교체(갱신)될 수 있음.

4. 물리 공격으로 인한 독 피해를 차단할 수 있음(=방패나 무기로 패링해 중독 방지가 된다는 뜻). 독 피해는 방어구에 의해 감소됨. (누비 세트면 늪지에 독저항 없이도 안아픈 이유.txt)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8

고정닉 3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28898 공지 질문하는건 좋은데 [17] unknow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1 6524 26
40188 공지 발헤임 음식 [조합] 가이드 [4] KIM SANGMIN(116.37) 24.05.14 1763 11
34852 공지 모드 150선 간단한 소개(2024/04/28) [72] ㅇㅇ(222.112) 23.09.22 40999 42
30329 공지 ▶ 뉴비 시체찾기 및 구출 신청 요령 ◀ unknow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13 5132 13
25436 공지 필독)발헤임 갤러리 가이드라인(최신화 24.01.24) [21] unknow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4 12194 10
36454 공지 갤디코 '모드 오류 찾기' 기능 추가 [19] unknow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5 1505 6
24092 공지 건축할때 하중 계산하는 방법 [5] archri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9 12494 17
25854 공지 [ ThunderStore ] 발헤임 모드 정리 221120 [24] ㅇㅇ(123.215) 22.11.20 75048 14
40843 건축 (스압, 데이터 주의) 완전 공중부양(단 8미터) 거점 완성!! [11] jin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573 11
40737 일반 오늘 한 일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753 12
40666 일반 집짓느라 노숙할때마다 느끼는건데 얘들 바이킹아님 [7] ㅇㅇ(110.70) 05.23 996 10
26928 공략 발헤임 음식 모음집 [6] ㅇㅇ(58.150) 22.12.16 11954 19
40636 건축 교회 지었음 [5] 꼬꼬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667 8
40364 모드 모드 10개 한글 번역 [7] 멍냥핫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7 1742 8
40352 모드 (번역)에픽루트 잿가루 지대(애쉬랜드) 0.10.1 한패 [6] ㅇㅇ(112.140) 05.17 1450 8
40340 건축 애쉬랜드 업데이트 되어서 치트써서 만들어보는중 [3] ㅇㅇ(121.157) 05.17 1298 7
40289 건축 (스압) 130시간 동안 엘더도 못잡고 건축만한 뉴비의 집을 봐줘! [28] jin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1308 17
40278 일반 화포가 적재된 함선 등장 [9] 팡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5 1493 10
40204 패치🪄 Patch 0.218.15 (Live, Ashlands) 24.05.14 [5] unknow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4 1779 6
40149 일반 건설중인 나의 집 구경좀 해줘 [4] NothernBridg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3 1039 6
39993 정보 잿가루지대까지 편안함 정리 [15] unknow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6 2479 12
39852 건축 발붕이 친구덜이랑 애쉬랜드 기념 항구 건축했다 ㅋㅋ [1] ㅇㅇ(121.125) 05.02 919 6
39677 건축 잿가루 지대 준비를 위한 창고 증축 겸 거점 스샷 (스압) [3] KIM SANGMIN(175.121) 04.26 1749 11
39646 건축 발붕이 친구덜이랑 애쉬랜드 가려고 준비중이다 ㅋㅋ [9] ㅇㅇ(121.125) 04.25 2176 8
39517 패치🪄 Patch 0.218.9 (Public Test : Ashlands) [7] unknow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3382 8
39603 건축 [건축] 항구 건축 봐줘! [1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083 11
39433 정보 애쉬랜드 게임 플레이 티저 카운트다운 개시 [26] unknow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2447 9
39423 공략 발헤임의 각 지역탐방] 설산에 대해 알아보자 -2- [3] ㅇㅇ(118.129) 04.18 553 6
39402 건축 항구뉴비 등산로 개척 [6] ㅇㅇ(118.37) 04.15 1045 6
39377 일반 짤막팁] 스테거(Stagger), 비틀거림 상태에 대해 알아보자. ㅇㅇ(118.129) 04.12 765 9
39376 정보 짤막팁] 발헤임의 내가 받는 데미지 공식을 알아보자 [6] ㅇㅇ(118.129) 04.12 674 7
39364 일반 발헤임의 각 지역탐방] 늪에 대해 알아보자 -1- [5] ㅇㅇ(118.129) 04.11 981 8
39363 공략 짤막팁] 중독됨 데미지에 대해 알아보자 [4] ㅇㅇ(118.129) 04.11 668 8
39337 공략 발헤임의 각 지역탐방] 검은 숲에 대해 알아보자 -2- [1] ㅇㅇ(118.129) 04.09 662 9
공략 발헤임의 각 지역탐방] 검은 숲에 대해 알아보자 -1- [6] ㅇㅇ(118.129) 04.09 1022 8
39328 공략 발헤임의 각 지역탐방] 목초지에 대해 알아보자 [5] ㅇㅇ(118.129) 04.08 884 9
39327 건축 [ 건축 / 모드 ] 낭만낭만 바이킹촌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740 6
39308 일반 긴급탈출넘버원 [7] (121.137) 04.06 753 6
39282 일반 뉴비 이제야 이렇게 집지으면 안된다는거 알음 ㅋㅋ [10] ㅇㅇ(49.246) 04.04 1957 6
39230 건축 검은 성 [11] 장미수(175.112) 03.30 1096 8
39217 모드 스압) 마을에 NPC를 입주 시켜 보자 : 마켓 플레이스 NPC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9 958 6
39210 건축 뉴비 슬로우 항구마을 근황 [6] ㅇㅇ(118.129) 03.28 969 6
39184 패치🪄 발헤임 새로운 개발일지 (24.03.26) [7] unknow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1879 7
39154 건축 심심해서 올리는 설산마을 (스압) [13] KIM SANGMIN(175.121) 03.25 911 8
39107 일반 설산 거점 [10] 장미수(175.112) 03.20 709 6
39091 건축 싱글벙글 바이킹촌 [1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9 1175 11
39051 일반 "VALHEIM" [9] ㅇㅇ(112.185) 03.17 1328 8
39009 건축 ㅇㅎ)살색;; [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4 1950 7
38877 건축 안개지대 거점 [4] 장미수(175.112) 03.05 1650 13
38851 건축 건축) 모험가 캠프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4 1109 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