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AOW4 전투 기초 공략

ㄹㄷ(121.131) 2023.11.16 22:42:40
조회 1506 추천 20 댓글 6
														

viewimage.php?id=2cbad529e3c537a86abac4a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f20a93fdaa06d47200e6600fe7290acdbce9eb844e8147834c6fd0f212ec427fa4046e5277d8c3a88dc9d941f


교전이 일어나는 칸을 기준으로 주변 3칸 범위의 원형 핵스 내에

존재하는 적군 최대 3군단 + 아군 최대 3군단이 교전에 참가함.


한개의 군단에는 최대 6개의 부대가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전투 가능 인원은 최대 18부대 vs 18 부대


viewimage.php?id=2cbad529e3c537a86abac4a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f20a93fdaa06d47200e6600fe7290acdbce9eb84485720c96c4c31b59bf9c6d007bf26cf0125d4c066df5fb6810


참전하는 군대의 범위는 붉은색 점선으로 확인 가능


viewimage.php?id=2cbad529e3c537a86abac4a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f20a93fdaa06d47200e6600fe7290acdbce9eb84485720c96c4c31b59bf9c6d007ba26bf71db14fd1ab4da44b67


대략적으로 아군과 적군의 군사력이 확인 가능하며

자동전투와 수동전투를 선택할 수 있다.


자동전투의 경우에는 단순히 포인트나 숫자로 계산하는게 아니라

실제로 컴퓨터가 양쪽 모두 ai를 배정하여 모의 전투를 시뮬레이션 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그래서 후반으로 가면 자전 돌려 놓으면 결과가 나오는데 시간이 좀 걸린다.)


viewimage.php?id=2cbad529e3c537a86abac4a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f20a93fdaa06d47200e6600fe7290acdbce9eb84485720c96c4c31b59bf9c6d007bf53fa541c65a3aca9c384e9d


자전을 돌려서 결과가 마음에 안들면 재시도를 눌러서 직접 수전으로 다시 전투를 치룰 수도 있고

아니면 전투가 왜 이렇게 흘러갔는지 리플레이 보기로 확인할 수도 있다.


다만 요즘 들어서 리플레이 보기를 누르면 자꾸 비동기화 되는 오류가 흔한 편

(시뮬로 돌린 플레이 하고, 리플레이로 다시 시뮬 돌린 결과가 틀려서 생기는 비동기화)


-----------------------------------------------------------------------------------------------------------------


viewimage.php?id=2cbad529e3c537a86abac4a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f20a93fdaa06d47200e6600fe7290acdbce9eb844e8147834c6fd0f212ec427fa1712b7247a7a99609edf60c6


모든 유닛은 전투 맵에서 3의 행동력을 가진다(하늘색 원)

이 행동력은 이동을 하거나 전투를 하는 방식으로 소모할 수 있다.


이동으로는 행동력을 최대 2 소모하고

아무리 멀리 이동해도, 행동력은 1 남는다.


viewimage.php?id=2cbad529e3c537a86abac4a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f20a93fdaa06d47200e6600fe7290acdbce9eb84485720c96c4c31b59bf9c6d007bf76ba042f63d77b2311ebb6d


일반적인 유닛은 이동속도가 32

발이 조금 빠른 유닛 (ex 척후병)은 이동속도가 40

기병 유닛은 이동속도가 48인게 일반적 이다.


전투에서 한 헥스를 이동할때 필요한 이동속도는 8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동속도가 32인 유닛은 전투에서 한턴에 4헥스를 이동할 수 있다.


당연히 이동속도가 빠른 유닛은 

같은 거리를 이동하더라도 행동력을 조금 덜 소모한다.


viewimage.php?id=2cbad529e3c537a86abac4a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f20a93fdaa06d47200e6600fe7290acdbce9eb84485720c96c4c31b59bf9c6d007ba06dfc45741c4c362eaf6fe6


유닛을 이동시킨 직후에는 이동을 실수로 잘못 했다면 되돌릴 수 있다.

하지만 이동 외에 다른 능력, 공격을 사용 했다거나 적에게 공격 당했다면

되돌리기는 쓸 수 없다.


viewimage.php?id=2cbad529e3c537a86abac4a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f20a93fdaa06d47200e6600fe7290acdbce9eb844e8147834c6fd0f212ec427fa4311e1262acdf6c80f5719ad


캐릭터를 누르고 마우스 커서를 이동할 공간으로 올려만 둘때

원거리 공격이 닿을 것인지 닿으면 명중률이 어느정도 일지

근거리 공격이 적에게 닿을 것 인지 등등이 ui로 확인이 가능하다.


---------------------------------------------------------------------------------------------------------


기술은 원거리, 근거리 무관하게 

소모하는 행동력으로 따지면

크게 5가지 타입으로 나뉜다.


viewimage.php?id=2cbad529e3c537a86abac4a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f20a93fdaa06d47200e6600fe7290acdbce9eb84485720c96c4c31b59bf9c6d007bf26bfd470254e7d571da5cdf


1. 연속 행동 - 🌕)))


남아있는 행동력 만큼 연속으로 공격을 한다.


제자리에서 공격을 시도하면 3번 타격하고,

한 두칸 이동하여 행동력이 2남았다면 2번 타격하고

멀리 이동해서 행동력이 1밖에 안남았다면, 1번 타격한다.


이동을 하면 할수록 데미지의 손해를 보지만

3번이나 타격할 수 있기 때문에 포지션을 잘 잡으면 높은 딜량을 기대할 수 있다.


viewimage.php?id=2cbad529e3c537a86abac4a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f20a93fdaa06d47200e6600fe7290acdbce9eb84485720c96c4c31b59bf9c6d007bf568a615f8fb2c4801ed426a


2. 단일 행동 - 🌕🌑🌑


남아있는 행동력이 3개이건 1개이건

딱 한번만 행동한다. 행동력이 얼마나 남았건, 이 행동을 하면, 해당 턴에선 더이상 활동할 수 없다.


주로 스커미셔(척후병) 유닛이나 돌격병 유닛이 이 종류의 공격을 사용하고 

대부분의 특수 공격들이 이 종류에 속한다.


이동을 하건 말건 적의 공격에 대응하기 편한 위치로 이동하거나

적의 후방으로 이동한 뒤에 측면 공격을 하기 좋다.


viewimage.php?id=2cbad529e3c537a86abac4a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f20a93fdaa06d47200e6600fe7290acdbce9eb84485720c96c4c31b59bf9c6d007ba13bf546c94148c9ee6c464d


3. 자유 행동 - 🌑🌑🌑


행동력을 소모하지 않고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능력이다.

보통 영웅이나 고티어 유닛의 부수적인 버프나 디버프 스킬에 달려있다.


viewimage.php?id=2cbad529e3c537a86abac4a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f20a93fdaa06d47200e6600fe7290acdbce9eb84485720c96c4c31b59bf9c6d007bf46df5468043f6f897d41447


4. 전체 행동 - 🌕🌕🌕


모든 행동력을 다 소모하는 기술 이기 때문에 한칸 이라도 이동하면 사용할 수 없다.


주로 몇몇 유닛의 강력한 필살기나 영웅의 소환 스킬

또는 총병과 대포의 공격방식 이다.


간혹 순간이동류 공격은

전체행동을 한 뒤에 행동력을 하나 돌려주기도 한다.


viewimage.php?id=2cbad529e3c537a86abac4a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f20a93fdaa06d47200e6600fe7290acdbce9eb84485720c96c4c31b59bf9c6d007ba53ef246263c5399e2306093


5. 남김 행동 - 🌑🌑

 
단일 공격과 비슷해서, 이동을 한뒤 기술을 사용해도 행동력이 1 남는다.
대걔 순간이동류 공격에 붙어 있는편으로
적의 근처로 순간이동 한 뒤, 단일 공격으로 공격하는 식으로 활용한다.

------------------------------------------------------------------------------------------------------

viewimage.php?id=2cbad529e3c537a86abac4a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f20a93fdaa06d47200e6600fe7290acdbce9eb84485720c96c4c31b59bf9c6d007ba56af641f4cc12cb8c3337eb


통제구역(ZOC)은 간단히 말하면

유닛이 호시탐탐 주의하고 있는 인접 공간 이다.


ZOC안에 있는 유닛이 행동을 하면 근접 유닛은 반격을 수행하는데

ZOC 내부에서 적이 이동을 하면 기회 공격을 수행하고

ZOC 내부에서 적이 공격을 해오면 반격을 수행한다.


7fed8275b48369f03cef84e047861b6cfce135dce542f20dd1c8b2c224bf0a


평범한 상태의 유닛은 전방쪽 3방향은 ZOC 상태 이지만

후방쪽 3방향은 무방비한데.


이렇게 후방 방향에서 들어온 공격은 측면 공격 이라고 한다.


측면 공격은 25% 더 많은 피해를 주며,

일반적으로는 ZOC이 아닌 방향에서 공격을 하기 때문에 

반격이나 기회공격도 유발하지 않는다.


주로 기동력이 빠르고 단일 공격을 사용하는

돌격병이나 척후병들이 측면 공격을 애용한다.


7fed8275b48369f03cef86e447841b6cd9e7e6ba384557f205a30871841b8b


유닛이 공격이나 특수한 기술로 턴을 종료하지 않으면

주로 방어 모드로 턴을 종료하게 되는데


방어 모드 상태에서는 측면이 사라져서 

6방향 전방위가 ZOC이 되고 측면 공격에는 면역이 된다.


7fed8275b48369f03cef86ec46861b6cb46ed466db5006ec20f9f6acd0e60f


특수한 패시브를 가진 유닛이 아니라면

원거리 유닛들은 적 통제 구역 내에서 원거리 공격을 사용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근접 유닛이 무리를 해서라도 원거리 유닛에 달라붙어서

통제구역 내에 원거리 유닛을 넣게 된다면


원거리 유닛은 그 다음턴에 근접 유닛에게 

기회공격을 얻어맞으며 도망을 가 거리를 벌리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고 방어모드로 턴을 넘겨야만 한다.


반대로 원거리 유닛이 역시 적 유닛 옆에 붙어 ZOC을 형성할 수는 있지만

원거리 유닛은 반격과 기회공격은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적에게 붙는건 큰 의미가 없다.


viewimage.php?id=2cbad529e3c537a86abac4a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f20a93fdaa06d47200e6600fe7290acdbce9eb84485720c96c4c31b59bf9c6d007ba03ea1113edeebcca039f277


반격은 근접 유닛과 근접 유닛이 교전을 할때 주로 일어나는데

특별한 패시브나 기술이 없다면, 공격자의 공격 >> 방어자의 반격 순서로 이루어지고

방어자는 1턴에 딱 한번만 반격을 한다.


다만 창병의 경우에는 선제 타격 패시브가 있어서

공격자의 공격 보다 먼저 반격을 하기도 하고

주시 패시브가 달려 2번 반격하기도 하며


돌격병 같이 한방 공격이 강한 상대는 반격 딜도 강해서

내 턴에 내가 공격을 했는데, 역으로 내가 손해를 보기도 한다.


7fed8275b48369f03fe683ed47851b6cfc405c3424ec4c9fbafd630d07d457


반격을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째로는 적의 통제구역이 아는 후방을 노리는 것이다.

위에서 말한 것 처럼 방어모드가 아니면 후방 3방향은 ZOC이 아니다.


그리고 둘째로는 적의 방어모드나 취소 시키는 것이다.

돌격병의 돌진 공격이나 대포의 공격 같이, 방어모드나 반격을 취소 시키는 공격이 존재한다.


7fed8275b48369f03cef87e146831b6c03f6ef931e2f1c1ac7e8986ff7b465


다만 창병들의 경우에는 돌진 저항이 달려 있어서

적의 돌진 효과를 무시하고 반격을 수행하기도 하는데


고티어 돌격 유닛들은 다시 돌진 저항도 무시하고

방어모드와 반격을 취소시킬 수 있는 '육중한 돌진'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


viewimage.php?id=2cbad529e3c537a86abac4a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f20a93fdaa06d47200e6600fe7290acdbce9eb84485720c96c4c31b59bf9c6d007ba138f01747f1a308d2f9ae76


원거리 공격은 반격을 유발하지는 않지만, 대신 명중률-회피율의 개념이 존재한다.

종족 트레잇, 버프, 디버프, 지형(숲이나 풀밭) 인챈트, 거리, 표적의 크기, 엄폐물의 유무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명중률은 결정된다.


viewimage.php?id=2cbad529e3c537a86abac4a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f20a93fdaa06d47200e6600fe7290acdbce9eb84485720c96c4c31b59bf9c6d007ba36ff71348904061988436f3


명중률이 낮으면 공격은 빗나감과 스침이 생기는데


빗나감은 원하는 유닛에게 데미지가 들어가지 않고

대상과 인접한 주변에 공격이 들어가기도 한다(아군이 맞을 수도 있다.)


스침은 원하는 유닛에 데미지가 들어가긴 하지만, 절반만 들어간다.


----------------------------------------------------------------------------------------------------------


7fed8275b48369f03cef82e443841b6c8b051ff26c4e0cb11f25946a699c66


전투중에 공격을 당하면 체력이 다는데

반대로 회복을 사용하는 유닛이 체력을 회복 시켜주면

'임시 체력'이 차오른다


임시 체력은 해당 전투에서는 평범하게 체력으로 작동 하지만

전투가 끝난 뒤에는 사라지는 체력이다.


이는 전작에서 일부러 전투를 안끝내고, 계속 회복기를 남발해서

아군의 체력을 만피로 회복 시키는 꼼수 때문에 개발된 것이다.


7fed8275b48369f03cef87e244811b6c7894e46fe9924f9b051e88834dde8e


여러 개체로 구성된 부대는 체력이 달게 되면 체력에 비례해서

구성원의 숫자가 줄어드는데

구성원 숫자가 줄어든 만큼 데미지도 줄어든다.


그렇기 때문에 개체 수가 적거나 하나로 이루어진 부대가 더 효율적인데

저티어 유닛들은 한 부대에 개체수가 많고, 

고티어 유닛들은 한부대에 개체수가 적은 것도 이런 탓이다.


viewimage.php?id=2cbad529e3c537a86abac4a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f20a93fdaa06d47200e6600fe7290acdbce9eb84485720c96c4c31b59bf9c6d007ba23fa71601cdeb491422076b


게임 내에는 체력 뿐만 아니라 사기도 존재한다.


사기가 +20을 넘어가면 치명타 확률 +20% 얻지만

사기가 낮으면 공격을 '놓칠'확률이 생기고

사기가 -60을 넘어가면 도주를 하게 된다.


사기는 기본적으로 적 유닛을 죽일때 오르고, 아군이 죽을때 떨어지는데(전투에서 소환 된 유닛은 무관)

자신과 가까이에 있는 유닛이 죽을 수록 사기의 변동치가 크다.

(EX, 바로 옆 아군이 사망시 -10, 멀리 있는 아군 사망시 -6)


그외에도 아군의 사기를 올려주는 종류의 스킬이나 인챈트

반대로 적군의 사기를 떨어트리는 종류의 인챈트나 패시브 등이 있다.



이 때문에 체력이 적고 잘 죽는 저티어 유닛을 부대에 섞는게

오히려 전투에 불리해 진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있다.


다만 언데드와 구성체(기계나 골렘)류는 사기 변화에 매우 둔감하며

사기 저하에 사실상 면역이다.


-------------------------------------------------------------------------------------------------


7fed8275b48369f03cee86ed45881b6cffee761c06aad790d9be7ec1443a2a

주문(스펠)에는 세계맵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세계 지도 주문과

전투맵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투 주문이 구별된다.



7fed8275b48369f03cee86ed44861b6c6510d9dff72e14419abda634ec8686c1


전투 주문은 평소에 3개만 즐겨찾기 해서 바로바로 사용할 수 있게

UI창에 지정할 수 있고


그외의 주문들을 확인하려면 파란색 구슬을 누르면 책이 펼쳐지며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전투주문들도 확인이 된다.


7fed8275b48369f03cee87e743861b6c21a7fa7568549cb1fab3f5c5345227


전투 주문은 시전 점수와 마나를 소모 하여 쓸 수 있는데

당연히 시전 점수나 마나가 고갈이 되면 주문을 쓸 수 없고


일반적으로는 한턴에 전투 주문은 한번만 사용할 수 있고

첫 턴에는 전투 주문을 쓸 수 없다.


하지만 제국 스킬을 익히면 첫 턴에 전투 주문을 사용할 수 있으며

몇몇 특수한 기술을 이용하면 전투 주문을 한턴에 2번 이상 쓸 수도 있다.


7fed8275b48369f03cee87ed46831b6c816193fe0086b2bc4f6870b7a959de


주문 교란기가 설치된 적 영토 내에서는

필요한 시전 점수가 2배로 증가한다.

(출시 초기엔 아예 주문이 불가능 했는데, 너무 사기라서 너프 먹은 듯 하다.)


7fed8275b48369f03cee87e347811b6caf8df7736bc0cecfaaf10fe5f384a3


당연히 고티어 마법서를 익힐 수록 더 강력한 주문을 얻을 수 있고

어떤 주문을 어떤 상황에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전투를 완전히 역전시키는 상황도 흔하게 일어난다.


-----------------------------------------------------------------------------------------------------------------------------------


7fed8275b48369f03cee84e542811b6c771bfe2c1b1ce53e913a23c47024


방어력은 크게 4종류가 있는데

방어력, 저항력, 상태 저항력, 속성 저항력이다.


방어력은 물리피해를 방어하는 수치이며

저항력은 물리 피해가 아닌 속성 피해를 방어하는 기본 수치이다.

상태 저향력은 부정적인 마법에 저항할 확률을 높여주고

속성 저항력은 딱 한가지 속성에서 저항력과 상태 저항력으로 작동하는 수치 이다.



예를 들어서 위 스샷 처럼 

어력3, 저항력 3, 역병저항 2, 번개 저항 -4인 유닛이 있다면

저 유닛은 물리공격에는 방어력이 3으로

역병 속성 공격에는 저항력이 5로, 번개 속성 공격에는 저항력이 -1로 작동하는 셈이다.



7fe48772b68760f636efe9a504d43234c7c9fbe7549df1a95df55f0efcec6b119eb6cb45adb4359f816fac15d41c2dc77387b3



기본적으로 방어력과 저항력 계산은  '피해량 X 0.9^(방어력)' 로 계산이 된다.


즉 대략적으로 방어력이나 저항력이 1 오를때마다 

피해량은 10%가 조금 안되는 수준으로 깎인다고 보면 된다.


--------------------------------------------------------------------------------------------------------------------------------------


유닛의 종류


이번작 에서는 유닛의 구분별 특색과 역할이 뚜렷해졌고

또 인챈트가 어떤 종류의 유닛인지를 따라가기 때문에

이 유닛이 어떤 종류의 유닛 인지가 중요해 졌다.


7fed8275b48369f03cee86e147891b6c1f5fe19b2111c452f22aac57f4c064bb


정찰병 : 사실상 전투용 유닛이 아니다.


빠른 이동력과 넓은 시야를 가지고 있어

초반에 맵을 탐험해서 정찰을 하고, 바닥에 떨어진 자원을 줍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유닛이 궁기병 포지션 이긴 하지만

전투력이 너무 저열해서 큰 의미는 없다.



7fed8275b48369f03cee84ec42861b6c3025f397ceec12971414375ff4511402


싸움꾼 : 특징이 딱히 없는 근접 유닛들 이다.


기본적인 문화권에는 적용되지 않은 유닛 으로

동물들이 대부분 이 종류의 유닛 이다.

특별한 특징도 장점도 딱히 없다.


대부분 평범한 3연속 근접 공격을 가지고 있다.


7fed8275b48369f03cee86e346841b6c046fa5de04ae1a2c38fd15f5b65f071a


방패병 : 아주 높은 방어력을 자랑하는 탱커형 유닛


데미지가 낮은 3연타 공격을 기본으로 가지고 있으며

방어력은 높지만 저항력이 상당히 낮은 축에 속한다.


방패 방어 능력 덕분에 1티어 부터 최소 방어력이 4,5이상 갖춰지며

(단 측면 공격을 당하면 방어력 -3 취급)

방어모드를 사용하면 주변 1헥스 범위내의 아군에게 방어력 +3 버프를 준다.


초반에는 특유의 높은 피통, 높은 방어력을 이용해서 

상당히 안정적이고 강력한 포스를 보여주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마법, 인챈트, 돌격병에 털려서

다소 잉여로운 모습을 보여주는 편이다.


7fed8275b48369f03cee82e744811b6cb2924f88fff4144b2553368f9f5cf41a


창병 : 방패병 보다 조금 더 공격적인 탱커


체력 방어력 측면에서는 방패병 보다는 낮지만

방패병 보다 공격력이 더 높은 3 연속 근접 공격을 가지고 있으며

저항력 역시 방패병 보단 조금 나은 수준이다.


돌진 저항과 선제 공격 능력이 있기 때문에

적에게 반격과 기회 공격을 사용하는 것이 능숙하며


기병학살자와 거인학살자가 붙어 있어서

돌격병을 괴롭히기에 좋다.



초반에는 방패병의 포스가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방패병에게 조금 밀리지만 그럼에도 충분히 준수하게 제 역할을 해준다.


중반 이후에는 엄청 활약하기 좋을 것 같지만

아쉽게도 대부분의 창병은 다 1,2티어 유닛 이라 중반 이후에는 오히려 보기 힘들다.

(이번 DLC에서 처음으로 3티어 창병이 등장했다.)


7fed8275b48369f03cee83e346871b6c0aacaea519e3769d705de8c5e21f4bd4


돌격병 : 적의 방어 상태를 해제하거나 강력한 딜을 뽑아내는 근접 딜러


단일 공격을 가지고 있어서, 3연속 공격을 할 수 있는 창병에 비하면 데미지가 낮을 거 같지만

이동한 거리당 데미지가 증가하는 돌진 공격 능력과, 이걸 이용해서 후방으로 돌아, 후방을 차징하면

어지간한 3연속 공격 부럽지 않은 막강한 데미지를 줄 수 있다.


또한 돌진 공격은 적의 방어모드와 반격을 취소 시키기 때문에

전략적으로도 쓰임새가 많은 편이다.



초반에는 종류도 적고, 

다른 근접 유닛에 비해서 너무 잘 죽으며, 

창병에게 카운터를 당하기 쉬워서 잘 쓰기 까다롭지만


후반으로 가면 육중한 돌격이 존재해 창병도 별로 무섭지 않고 

빠른 기동력이나 튼튼한 체력을 활용하면 궁수나 전투 마법사도 쉽게 제압해서

후반부에 상당히 강력한 직업군이다.



7fed8275b48369f03ced86e342801b6cbc28e15a2a1d1d7a13abe413afba194f


궁수 : 높은 딜량을 가진 정석적인 원딜


딜량이 준수한 3연속 공격을 가진 유닛 으로

기본적으로 사거리4의 원거리 공격을 할 수 있다.


근접 공격과 다르게 원거리 공격 인지라

이동하지 않고 적을 공격할 수 있고, 한명씩 적을 포커싱 해서 끊어내기도 쉬워서

출시 초기에는 최고의 사기 병종 중 하나 였지만 지금은 이래저래 너프가 되었다.



초반에는 낮은 체력과 한번 근접 유닛에게 물리면 피해를 강요 당하는 메커니즘

방패병의 방패를 뚫기 어려움 물리 위주 딜링 때문에 다소 무력한 편이지만


다양한 인챈트가 쌓일 수록 강력해 지는 편이다.

물론 너무 과하게 강력해서, 지금은 궁수의 인챈트 가 많이 너프를 먹고

예전 만큼의 위용은 없는 편



7fed8275b48369f03ced87e246861b6c53dd4183681a320294a33e44e191ab13


전투 마법사 : 강력한 특수기를 지닌 한방이 있는 원딜


기본 3연속 공격의 딜량은 다소 낮은 수준으로 아쉽지만

대부분의 전투 마법사들은 제각기 하나씩 특수한 기술들을 가지고 있는 편이다.

이런 특수기는 대걔 전체 행동 궁극기나 광역기로 


이 특수기를 잘 활용하면 게임의 판을 뒤집는 경우가 흔하다.


초반에는 낮은 체력, 근접 공격에 물리면 힘들다는 단점은 궁병과 동일 하지만

초반 패왕인 방패병의 카운터로 활동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후반에는 전투 마법사마다 개성이 다양해서 평가하기 애매하지만

잘 사용하면 굉장히 강력한 파괴력을 보여준다.


7fed8275b48369f03ced84e244861b6ce4ce33ba263b7940e00f1b458152c945


척후병 : 근접과 원거리 모두 수행가능한 다재다능한 포지션


기본적으로 3연속 공격의 근접 공격과 

단일 원거리 공격을 모두 가지고 있는 유닛 이다.


이동속도도 비교적 빠른 편이고(40)

능수능란과 덕분에 기회 공격을 무시하고 적진 사이를 누빌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원거리 유닛을 만나면 달라붙고

근거리 유닛을 만나면 도망치거나 측면에서 원거리 공격을 날리는

다재다능 만능 유닛에 가깝지만


궁수,마법사, 돌격병에 비교하자니 딜량이 애매하고

방패병이나 창병에 비교하자니 너무 잘 죽는 물몸 유닛이라서

조금 애매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대걔 척후병은 주력으로 쓰이지 않고, 소수만 넣어서

전투의 가려운 부분을 긁어주는 예비대 처럼 사용하거나


아니면 아예 척후병 위주로 병력을 구성하여

기동전을 활용하는 식으로 전투를 벌인다.

(다수의 척후병 + 소수의 궁병 같은 식으로)


7fed8275b48369f03ced85e142811b6cc59a1107ca6d4507d06162e82717b2d4


지원병 : 다양한 특수기와 지원기 회복기를 보유한 서포터


기본적으로 회복기를 가졌으며, 다양한 종류의 버프기나 특수기를 보유한 경우가 많다.

다만 단일 원거리 공격이 전부이기 때문에 공격력 측면에선 나약한 편이다.


저항력이 높고, 방어모드를 쓰면 주변 아군에게 저항력+3을 제공하기 때문에

전투 마법사의 카운터로 쏠쏠하게 쓸 수 있다.



이 게임에서는 유닛을 최대한 잃지 않고 전투를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회복기를 가진 지원병의 중요도가 매우 높다.


다만 자체 전투력이 대단한건 아니기 때문에

아무래도 주력 병종으로 쓰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많다.

추천 비추천

20

고정닉 1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866 AD 세상의 패권을 거머쥘 자, 로드나인 사전등록 중 운영자 24/06/05 - -
6211 일반 3시간 플레이 후기 [3] 벤텐마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4 252 0
6210 질문 어지간히 궁합 안맞는 조합 아니고선 [2] ㅇㅇ(211.168) 23.11.24 149 1
6209 일반 첫 캠페인 5스테이지 빡세네;; [3] ㅁㅅ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4 137 0
6208 일반 빡대가리입니다. 게임구매 질문드려요 [4] ㅇ3(106.101) 23.11.24 152 0
6207 일반 걍 프리미엄 지름 [6] 벤텐마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4 325 3
6206 일반 이거 DLC들 필수임? [4] 벤텐마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4 440 0
6205 일반 게임샀따 [2] 에갤러(180.69) 23.11.24 111 0
6203 일반 특성 중 능숙한 선원 많이 씀? [6] 강한아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4 152 0
6202 연재 에이지 오브 원더스 4 캠페인 연재 1-1편 [6] ㅇㅇ(14.47) 23.11.24 553 7
6201 일반 약탈자 유령선 개쌔네;; [4] 에갤러(221.152) 23.11.23 119 0
6200 일반 아 에오원3하고싶은데 영어라 [4] ㅇㅇ(222.109) 23.11.23 95 0
6199 일반 AOW4 간단 세계관 [9] ㄹㄷ(59.10) 23.11.23 1067 13
6198 일반 야만+무리 하는데 유닛 뭐 뽑음? [1] 강한아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104 0
6197 일반 그러고보니 바위정령 소환 전략맵에서 되던데 [2] ㅊ7ㅊ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97 0
6196 일반 전진하는 겨울 너프되었었구나 [2] ㅊ7ㅊ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112 0
6195 일반 산업-질서 빌드로 갔는데 [1] ㄹㄷ(59.10) 23.11.23 242 1
6194 일반 전투시에 속도 빠르게 못함 ?? ㅇㅇ [3] 에갤러(119.194) 23.11.23 107 0
6193 일반 황금 올리브 핫 치킨 [2] ㄹㄷ(59.10) 23.11.23 138 0
6192 일반 드래곤의 서 광역딜 스킬 부여를 메인으로 쓸 수 있을까 [1] ㅁㅅ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78 0
6191 일반 에오원3 로 입문해도 됨? [7] 에갤러(218.152) 23.11.23 145 0
6190 일반 겜하다가 제일 빡치는 순간 [4] 에갤러(58.231) 23.11.23 153 0
6189 일반 이거 백과사전에서 한글로 검색 안되나? [4] 에갤러(58.231) 23.11.23 66 0
6188 일반 오늘 멀티 하실분 있음? ㄹㄷ(59.10) 23.11.23 30 0
6187 일반 조작이 뭔가 불편함.. [1] 에갤러(125.190) 23.11.23 57 0
6186 일반 도시 사이의 거리는 몇 헥스 정도로 맞춰놓고 하시나요? [4] 에갤러(58.231) 23.11.23 116 0
6185 일반 게임 엔딩보고 난 뒤에 화면 지직거리는거 어떻게 고침? [3] nanum6696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92 0
6184 일반 뉴비가 궁금합니다. [5] 강한아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102 0
6183 일반 자동저장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3] 에갤러(125.241) 23.11.23 211 0
6182 일반 유튜버가 겜 하는거 보고 있는데 [2] ㄹㄷ(121.131) 23.11.22 207 0
6181 일반 AOW 세계관,로어 글도 쓰려고 했었는데 [3] ㄹㄷ(121.131) 23.11.22 99 4
6180 일반 게임을 할시간이없다. 에갤러(118.39) 23.11.22 53 0
6179 일반 레딧에서는 창조주의 서하고 깔맞춤하게 [3] ㅊ7ㅊ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2 157 0
6178 일반 요즘은 무슨 스팸이 스토리밀기쉽냐? [4] 에갤러(123.100) 23.11.22 214 0
6177 일반 전투하고나서 체력 빠지면 어디서 회복함 ?? ㅇㅇ [4] 에갤러(119.194) 23.11.22 158 0
6176 일반 히마매 안해봣는데 해보고싶은데 이거사도됨? [3] ㅇㅇ(222.109) 23.11.22 112 0
6175 일반 생산량 내가 보유한거 어디서 확인함 ??? ㅇㅇ [2] 에갤러(119.194) 23.11.22 46 0
6174 일반 에이지 오브 원더 세계관 이거 맞음? [14] 에갤러(58.231) 23.11.22 177 0
6173 일반 멀티 한번 오랫만에 하고 싶다. ㄹㄷ(121.131) 23.11.22 25 0
6172 질문 에이지4 프리미엄 6만원 살만함? [2] 에갤러(59.4) 23.11.22 259 0
6171 질문 성향변화 최근 이벤트 이거 몇턴 지나야 효과 없어지는지 어디서 봐? [1] 에갤러(58.231) 23.11.22 85 0
6170 일반 이번판도 산업 하는데 이번엔 존나 잘 풀린다. ㄹㄷ(211.118) 23.11.22 105 0
6169 일반 다렉이 프리미엄 훨씬싸다 에갤러(180.69) 23.11.22 118 3
6168 일반 프리미엄 에디쑌이랑 익스팬숀 패스랑 차이가 뭐야 [2] 에갤러(180.69) 23.11.22 156 0
6167 일반 AOW4 내정 기초 공략 2.5 [4] ㄹㄷ(211.118) 23.11.22 1034 16
6166 일반 AOW4 내정 기초 공략 2 [6] ㄹㄷ(121.131) 23.11.22 1862 18
6165 일반 AOW4 내정 공략 기초 1 [9] ㄹㄷ(121.131) 23.11.22 2531 23
6164 일반 지금 시점에서 강탈 매직락 잘 쓰러면 [2] ㅇㅇ(14.47) 23.11.22 107 0
6163 일반 내정 공략도 살짝 쓰려고 했는데... ㄹㄷ(121.131) 23.11.21 59 0
6162 질문 전초기지 지을때 농장같은건 의미없음? [3] 에갤러(59.0) 23.11.21 187 0
6161 일반 탱딸 함 쳐봤다 [5] 에갤러(1.245) 23.11.21 260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